KR20120088261A -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261A
KR20120088261A KR1020110009500A KR20110009500A KR20120088261A KR 20120088261 A KR20120088261 A KR 20120088261A KR 1020110009500 A KR1020110009500 A KR 1020110009500A KR 20110009500 A KR20110009500 A KR 20110009500A KR 20120088261 A KR20120088261 A KR 2012008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ing
answer
bar code
information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920B1 (ko
Inventor
김정원
Original Assignee
김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원 filed Critical 김정원
Priority to KR102011000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주관식 문제를 직관적이면서 간단하게 채점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니터 상에 문항의 답과 관련된 핵심어, 진위문장, 식 등의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제시하고 각각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에 문항정보와 배점정보를 지닌 바코드를 배치하여 채점자가 수험자의 답안을 보고 답안 내용과 일치하는 혹은 유사한 모니터 상의 채점가이드라인 모범답안의 바코드를 리딩하여 주관식 문제를 채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통해 직접 주관식 채점 입력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주관식 문제를 직관적이면서 간단하게 채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An examination paper marking system make use of barcod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항정보와 배점정보를 지닌 모니터 상의 바코드를 리딩하여 주관식 문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채점할 수 있도록 한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채점 시스템은 답안을 마킹(marking)하는 기입란에 표기된 OMR(Optical Mark Read Card)에 응시자가 수성사인펜으로 마킹하여 카드리더기로 마킹한 기입란을 정답과 비교하여 채점하고, 주관식은 오프라인 상에서 사람이 수작업을 통하여 채점한 채점 점수를 채점 시스템에 입력하여 주관식 채점 점수와, 객관식 채점 점수를 연산처리하여 최종 점수를 출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주관식 채점을 수작업으로 한 후 이를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통해 그 결과를 채점 시스템에 입력함에 따라 시간적 소비가 많고, 입력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전산화된 객관식 채점에 수작업으로 채점한 주관식 채점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채점 공정을 거쳐야 함으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답형, 서술형, 논술 등의 주관식 문제는 단지 정답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답안의 내용에 따라 부분점수를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험지 하나 하나를 채점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채점자가 판단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절차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에 문항정보와 배점정보를 지닌 바코드를 배치하고 해당 바코드를 리딩하여 자동으로 주관식 문제를 채점할 수 있도록 한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은, 회원정보 및 문항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하는 DB부와, 상기 DB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개별 맞춤형 시험지, 답지 및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제공하여 개별 맞춤형 학습 관리를 하기 위한 학습관리부와, 상기 학습관리부에서 제공되는 시험지, 답지 및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에 바코드를 배치하여 바코드형 시험지, 답지 및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생성하는 바코드형 시험지/답지 생성부와, 문항정보와 배점정보가 포함된 바코드가 배치된 주관식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시험지, 답지 및 모니터상의 바코드를 리딩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와, 상기 바코드 리더기에서 리딩한 바코드를 인식 가능한 데이터형태로 변환하는 바코드 인식/변환부, 및 상기 답지로부터 리딩한 바코드에 포함된 정오답정보로 객관식 문제를 채점하고, 상기 모니터 상의 채점가이드라인 모범답안으로부터 리딩한 바코드에 포함된 배점정보로 주관식 문제를 채점하는 채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방법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시험지를 채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1) 시험지 형식, 시험내용, 각 문항의 모범답안, 문항채점기준이 포함된 문항정보와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는 단계와, (2) 상기 등록된 회원정보를 토대로 해당 수험자에게 맞는 문항정보로 개별 맞춤형 시험지를 제작하고, 시험지에 시험지정보 및 답지를 나타내는 바코드를 배치하여 바코드형 시험지 및 답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3) 상기 생성된 바코드형 시험지에 수험자에 의해 답안이 체크되면, 시험지에 배치된 시험지정보 바코드 및 답지 바코드를 리딩하는 단계와, (4) 상기 리딩된 바코드로부터 해당 문항의 주관식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객관식이면 체크된 답안과 모범답안을 비교하여 채점하고, 판단결과 주관식이면 문항정보와 배점정보가 포함된 바코드가 배치된 주관식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화면에 제시하는 단계, 및 (5) 상기 화면에 제시된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 중 수험자의 주관식 답안내용에 상응하는 답안의 바코드를 리딩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배점정보로 주관식 채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주관식과 객관식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객관식에 머물러 있는 시험문제 자동 채점 영역을 주관식으로 넓혀 다양한 출제와 폭넓은 사고를 유발하고, 주관식 문제를 직관적이면서 간단하게 채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지 예시도,
도 4a-4d는 본 발명에 따른 유형별 바코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답안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관식 채점을 위한 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관식 채점 예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회원정보 및 문항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한 DB부(10), DB부(1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개별 맞춤형 학습 관리를 위해 개개인에 맞춰 시험지 내용을 제공하는 학습관리부(20), 및 학습관리부(20)에서 개별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시험지 내용을 토대로 바코드형 시험지 및 답지를 생성하는 바코드형 시험지/답지 생성부(30)를 구비한다. 출력부(40)는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로써, 바코드형 시험지/답지 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시험지 혹은 답지를 인쇄물 형태 등으로 출력한다. 도 1 시스템은 또한, 인쇄물 형태의 시험지/답지(50) 혹은 모니터(60) 상의 바코드를 리딩하기 위한 바코드리더기(70), 바코드리더기(70)에서 리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변환부(80), 및 바코드 인식/변환부(80)에서 변환된 시험지 혹은 답지 바코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채점하기 위한 채점부(9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1 시스템의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DB부(10)는 문항DB와 회원DB로 구성된다. 문항DB에는 시험지 형식, 시험내용, 각 문항의 모범답안, 문항채점기준 등의 문항정보가 저장된다. 회원DB에는 회원으로 등록된 수험자의 학년, 이름, 성적 등의 회원정보가 저장된다.
학습관리부(20)는 DB부(10)의 회원DB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토대로 문항DB로부터 해당 수험자에게 맞는 문항정보를 읽어내어 개별 맞춤형 시험지 내용을 제공하게 된다.
바코드형 시험지/답지 생성부(30)에서는 학습관리부(20)에서 제공되는 개별 맞춤형 시험지 상에 바코드를 배치하여 바코드형 시험지/답지를 생성하게 된다.
바코드(barcode)란, 일반적으로 컴퓨터가 읽고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 기호와 조합한 코드를 말하는 데, 상품의 종류나 도서 분류, 신분증명서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렇게 생성된 바코드형 시험지/답지(50)는 출력부(40)를 통해 수험자에게 인쇄물 형태로 제공되어 수험자가 풀 수 있도록 한다. 다 푼 시험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채점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바코드리더기(70)를 통해 시험지/답지(50) 상에 있는 시험지정보 바코드(51) 및 답지 바코드(53)를 각각 리딩한다(단계 201, 단계 202).
시험지정보 바코드(51)는 도 3a 혹은 도 3b와 같은 시험지나 도 5와 같은 별도 답안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지/답지(50) 좌측 상단에 배치된다. 시험지정보 바코드(51) 구조는 도 4a와 같이 회원정보, 과목, 단원, 문제번호와 정답이 포함된 문항정보, 답지코딩유형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답지 바코드(53)는 도 3a 혹은 도 3b처럼 시험지(50)에 병기되거나 도 5처럼 별도의 시험 답안지에 표기된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지(50)의 각 문제의 4지 혹은 5지 선답 측면에 답지 바코드(53)가 배치되거나,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지(50)의 각 문항 하단에 답지 바코드(53)가 배치되게 된다. 시험 답안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단에 시험지정보 바코드(51)가 배치되며, 우측 상단에는 과목, 시험내용, 일시, 학년, 이름 등의 정보가 기입되어 수험자의 개인정보 및 시험내용이 전산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 하단에는 해당 문항의 답지 바코드(53)가 배치되고 수험자가 기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답지 바코드(53)는 도 4b와 같이 문항정보, 정오답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바코드인식/변환부(80)는 리딩한 시험지정보 바코드(51)와 답지 바코드(53)를 채점부(90)에서 인식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채점부(90)에 제공한다. 채점부(90)는 바코드인식/변환부(80)에서 변환된 시험지정보와 답지정보를 통해 해당 문항의 주관식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03).
단계 203의 판단결과 주관식이 아니면 즉, 객관식일 경우 바코드리더기(70)를 통해 수험자가 도 5의 별개 답안지나 시험지 상에 정답이라고 기표한 번호의 답지 바코드를 리딩한다(단계 204). 바코드인식/변환부(80)는 바코드리더기(70)를 통해 리딩한 답지 바코드를 채점부(9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채점부(90)로 전송한다. 채점부(90)는 DB부(10)에 저장된 정답과 바코드인식/변환부(80)로부터 전송된 답지를 비교하는 통상의 객관식 채점 방식을 통해 채점을 수행한다(단계 207).
단계 203의 판단결과 주관식일 경우, 모니터(60) 상에 문항채점기준이 되는 핵심어, 진위문장, 식과 같은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과 각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의 배점과 문항정보를 지닌 바코드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단계 205). 여기서, 모니터용 주관식 답지 바코드 구조는 도 4c와 같이 문항번호와 배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모니터용 명령어 바코드 구조는 도 4d와 같이 명령어코드로 이루어진다. 채점자는 수험자의 답안을 보고 수험자의 답안의 내용과 같거나 유사한 모니터(60)상의 모범답안을 찾아 해당 바코드를 리딩한다(단계 206).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0) 화면 상단에는 수험자 성명, 학년, 과목, 문항 등의 시험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화면 하단 혹은 좌우측 화면에는 주관식 문제 채점시의 채점 기준(61)과 채점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 바코드(63)가 디스플레이된다. 명령어 바코드의 예로, 홈이동, 삭제, 실행, 앞페이지, 뒷페이지 등의 이동, 종료 등이 포함된다. 채점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 바코드형태의 제어방식은 주관식 채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응용이 가능하다.
채점부(90)는 키보드나 마우스 조작없이 단지 모니터(60) 화면상의 채점 기준(61)에 디스플레이된 바코드를 리딩하여 맞춤형 시험지의 주관식 문제를 채점한다(단계 207).
일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민의 4대 의무는?" 이라는 주관식 문제가 제출되고, 수험자가 시험지/답지(50)에 "국방의 의무", "납세의 의무"라고 기술한 경우, 채점자는 모니터(60) 상의 모범답안 중 수험자가 기술한 답안의 내용에 상응하는 "국방의 의무", "납세의 의무"에 배치된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기(70)를 통해 리딩한다. 그러면, 채점부(90)는 리딩된 바코드에 있는 배점정보로 해당 문항의 점수를 매기게 된다.
이렇게 처리된 채점정보는 실시간으로 DB부(10)에 저장 처리되어 성적산출 및 맞춤 학습 피드백이 가능하게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DB부 20 : 학습관리부
30 : 바코드형 시험지/답지 생성부 40 : 출력부
50 : 바코드형 시험지/답지 60 : 모니터
70 : 바코드 리더기 80 : 바코드 인식/변환부
90 : 채점부

Claims (6)

  1. 회원정보 및 문항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하는 DB부;
    상기 DB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개별 맞춤형 시험지, 답지 및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제공하여 개별 맞춤형 학습 관리를 하기 위한 학습관리부;
    상기 학습관리부에서 제공되는 시험지, 답지 및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에 바코드를 배치하여 바코드형 시험지, 답지 및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생성하는 바코드형 시험지/답지 생성부;
    문항정보와 배점정보가 포함된 바코드가 배치된 주관식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상기 시험지, 답지 및 모니터상의 바코드를 리딩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
    상기 바코드 리더기에서 리딩한 바코드를 인식 가능한 데이터형태로 변환하는 바코드 인식/변환부; 및
    상기 답지로부터 리딩한 바코드에 포함된 정오답정보로 객관식 문제를 채점하고, 상기 모니터 상의 채점가이드라인 모범답안으로부터 리딩한 바코드에 포함된 배점정보로 주관식 문제를 채점하는 채점부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정보 바코드는 회원정보, 과목, 단원, 문제번호, 정답이 포함된 문항정보와 답지코딩유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답지 바코드는 문항정보와 정오답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에는 문항의 답과 관련된 핵심어, 진위문장, 식이 포함된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이 제시되고,
    상기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에는 문항정보와 배점정보를 지닌 바코드가 채점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바코드와 함께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용 주관식 답지 바코드 구조는 문항번호와 배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용 명령어 바코드 구조는 명령어코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6. 바코드를 이용하여 시험지를 채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1) 시험지 형식, 시험내용, 각 문항의 모범답안, 문항채점기준이 포함된 문항정보와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는 단계;
    (2) 상기 등록된 회원정보를 토대로 해당 수험자에게 맞는 문항정보로 개별 맞춤형 시험지를 제작하고, 시험지에 시험지정보 및 답지를 나타내는 바코드를 배치하여 바코드형 시험지 및 답지를 생성하는 단계;
    (3) 상기 생성된 바코드형 시험지에 수험자에 의해 답안이 체크되면, 시험지에 배치된 시험지정보 바코드 및 답지 바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4) 상기 리딩된 바코드로부터 해당 문항의 주관식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객관식이면 체크된 답안과 모범답안을 비교하여 채점하고, 판단결과 주관식이면 문항정보와 배점정보가 포함된 바코드가 배치된 주관식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을 화면에 제시하는 단계; 및
    (5) 상기 화면에 제시된 채점가이드라인용 모범답안 중 수험자의 주관식 답안내용에 상응하는 답안의 바코드를 리딩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배점정보로 주관식 채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방법.

KR1020110009500A 2011-01-31 2011-01-31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8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500A KR101268920B1 (ko) 2011-01-31 2011-01-31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500A KR101268920B1 (ko) 2011-01-31 2011-01-31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61A true KR20120088261A (ko) 2012-08-08
KR101268920B1 KR101268920B1 (ko) 2013-05-29

Family

ID=4687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500A KR101268920B1 (ko) 2011-01-31 2011-01-31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9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8933A (zh) * 2013-02-26 2013-07-24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 一种手持式试卷自动统分装置
KR101481498B1 (ko) * 2014-05-07 2015-01-13 오종현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WO2016104965A1 (ko) * 2014-12-23 2016-06-30 오종현 학습 평가 서비스 시스템
CN106023698A (zh) * 2016-07-29 2016-10-12 李铧 一种作业及练习册自动批阅方法
CN110110585A (zh) * 2019-03-15 2019-08-09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深度学习的智能阅卷实现方法及系统、计算机程序
CN110765107A (zh) * 2019-10-23 2020-02-07 浙江蓝鸽科技有限公司 基于数字化编码的题型识别方法及其系统
KR20200074865A (ko) 2018-12-17 2020-06-25 전통발효식품 협동조합 더덕 막장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44B1 (ko) * 2014-03-05 2015-01-05 오종현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CN110413741B (zh) * 2019-08-07 2022-04-05 山东山大鸥玛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面向主观题的智能阅卷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8933A (zh) * 2013-02-26 2013-07-24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 一种手持式试卷自动统分装置
KR101481498B1 (ko) * 2014-05-07 2015-01-13 오종현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WO2015170822A1 (ko) * 2014-05-07 2015-11-12 오종현 시험지의 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WO2016104965A1 (ko) * 2014-12-23 2016-06-30 오종현 학습 평가 서비스 시스템
KR20160076601A (ko) * 2014-12-23 2016-07-01 오종현 학습 평가 서비스 시스템
CN106023698A (zh) * 2016-07-29 2016-10-12 李铧 一种作业及练习册自动批阅方法
KR20200074865A (ko) 2018-12-17 2020-06-25 전통발효식품 협동조합 더덕 막장 제조 방법
CN110110585A (zh) * 2019-03-15 2019-08-09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深度学习的智能阅卷实现方法及系统、计算机程序
CN110110585B (zh) * 2019-03-15 2023-05-30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深度学习的智能阅卷实现方法及系统、计算机程序
CN110765107A (zh) * 2019-10-23 2020-02-07 浙江蓝鸽科技有限公司 基于数字化编码的题型识别方法及其系统
CN110765107B (zh) * 2019-10-23 2023-09-29 浙江蓝鸽科技有限公司 基于数字化编码的题型识别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920B1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920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Barrot Using automated written corrective feedback in the writing classrooms: Effects on L2 writing accuracy
US20170330469A1 (en) Curriculum assessment
Ferris Does error feedback help student writers? New evidence on the short-and long-term effects of written error correction
US8768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digital assessments
KR20190052410A (ko) 답안 일체형 시험지 및 답안 일체형 교재를 이용하는 자동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1419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actice worksheets
CN105718855A (zh) 一种在线作文测评方法及其系统
WO2020166539A1 (ja) 採点支援装置、採点支援システム、採点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230036441A (ko) 사용자 맞춤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KR102242539B1 (ko) Omr 시스템
KR101479444B1 (ko)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TW201816749A (zh) 寫作與翻譯評分系統
JP2880326B2 (ja) 学習問題の作成及び学習成績の処理システム
Nikolayeva et al. Incorporating Technical Writing in ESP Classroom in Russian Higher Education Settings
Veldman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AU2021106429A4 (en) Teach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JP5227720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情報記入シート
Bianchi et al. Medical Writing:: Journal Research Articles
Abdullah et al. L2 Writing feedback: Alignment of instructiona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JP2012068782A (ja) 採点集計システム
JP4381151B2 (ja) 学習プリント
TWI385580B (zh) For the artificial drawing of the document and its identification structure
Hadžić et al. Software system for automatic reading, storing, and evaluating scanned paper Evaluation Sheets for questions with the choice of one correct answer from several offered
Kramnaya et al. ABSTRACT TRANSLATION CONTEST: RELEVANCE AND METHODOLOGICAL PECULIARITIES OF THE ON-LINE FOR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