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113B1 -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113B1
KR102135113B1 KR1020170105802A KR20170105802A KR102135113B1 KR 102135113 B1 KR102135113 B1 KR 102135113B1 KR 1020170105802 A KR1020170105802 A KR 1020170105802A KR 20170105802 A KR20170105802 A KR 20170105802A KR 102135113 B1 KR102135113 B1 KR 10213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group
answer
smart p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905A (ko
Inventor
최선호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오시스 filed Critical (주) 아이오시스
Priority to KR102017010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1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K9/0044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2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the type of docu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은 개인별, 그룹별 책 또는 시험지와 같은 인쇄물 생성시 문제와 개념, 설명글과 같은 글자의 위치 정보와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XML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을 읽거나 시험 중에 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좌표 코드 정보를 시험지에 매핑하여 인쇄 및 프린트 가능한 포멧으로 생성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인 시험지에 대하여 수험자가 시험지의 각 문제를 읽고 해당 문제에 대한 답안 영역에 스마트 펜을 이용하여 객관식 또는 주관식 답안을 필기하는 단계와, 스마트 펜이 필기한 답안에 대하여 좌표 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좌표 코드 정보를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XML를 기초로 하여 기저장된 수식 또는 텍스트 답안과 변환된 수식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오답 여부를 채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Test Page Formation and Grading System by Using Smart Pe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펜을 이용하여 필기한 시험지 답안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자동으로 생성하고 디지털 코드의 답안을 채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펜은 각 페이지의 스마트 펜으로 글씨를 쓴 펜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통신으로 텍스트 변환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개인별, 그룹별 책, 시험지는 스마트 펜의 위치에 매핑하는 위치 코드 정보가 입혀져 인쇄되고, 상기 책, 또는 시험지의 답안 작성 시 스마트 펜으로 시험지 위에 필기로 답안을 작성하면 스마트 펜으로 필기한 위치 코드 정보가 전송되어 사용자가 쓴 답안을 시스템에서 판단하여 정답인지 또는 오답인지 여부를 채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7-0061573호(2017. 06. 05. 공개)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노트 제공방법 흐름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 노트 제공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페어링이 된 스마트 펜(20)이 인쇄물(40)에 인쇄된 코드를 인식함에 따라, 스마트 펜(20)으로부터 인식한 코드와 관련된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S42). 이때 해당 인쇄물(40)의 식별 정보와 학습자가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 정보도 함께 획득할 것이다. 예컨대, 인쇄물(40)의 식별 정보는 특정 과목의 문제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문제지가 두 페이지 이상인 경우 페이지 정보는 해당 문제지의 전체 페이지 가운데 몇 번째 페이지인지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현재 어떤 동작 모드에 있는지 판단한다(S44). 오답 처리 모드가 아닌 경우, 스마트 펜(20)이 인식한 코드에 따른 페이지 정보와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서적 설정 정보로부터 인출하고, 인출된 기능이 모드 변경이면 오답 처리 모드로 변경한다(S46). 즉, 학습자가 스마트 펜(20)으로 소정의 위치를 눌러 선택하거나 필기를 시작하는 등 미리 정해진 약속에 따른 조작을 하면 모드 변경 명령으로 인식하고 오답 처리 모드로 변경하여 이후 학습자의 오답 체크 동작을 기다리는 것이다. 즉 학습자가 정오를 판단하고 시스템에 그 정오 정보를 등록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노트 제공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코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펜의 액션에 따를 코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서적 설정 정보를 출력하고 모드 변경인지를 판단하고 모드 변경이면 사람이 직접 오답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수험자 또는 학습자가 쓴 정답을 서버에 저장된 해당 문체의 정답과 비교하여 시스템이 자동으로 체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답안지를 자동으로 채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코드 정보와 좌표 정보를 기초로 오답 여부를 판단하므로 오류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펜의 액션에 대한 궤적을 수신하여 상기 궤적에 대한 정보를 수식 또는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서버의 정답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정오답여부를 채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은 개인별, 그룹별 책 또는 시험지와 같은 인쇄물 생성시 문제와 개념, 설명글과 같은 글자의 위치 정보와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XML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을 읽거나 시험 중에 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좌표 코드 정보를 시험지에 매핑하여 인쇄 및 프린트 가능한 포멧으로 생성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스마트 펜이 수험자 가 읽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좌표 코드 정보가 인쇄된 인쇄물인 시험지에 대하여 해당 문제에 대한 답안 영역에 객관식 또는 주관식 답안을 필기하도록 하는 단계와, 스마트 펜이 필기한 답안에 대하여 좌표 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좌표 코드 정보를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XML를 기초로 하여 기저장된 수식 또는 텍스트 답안과 변환된 수식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오답 여부를 채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좌표 코드 정보를 시험지에 매핑하면 개인별 시험지의 각 글자에 대한 좌표 코드 정보가 정하여 지고 시험지에 스마트 펜으로 필기한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객관식 문항은 정답의 위치 정보를 서버가 저장하고 있으므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오답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고, 주관식 필기 문항은 필기 위치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서버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와 비교하여 자동 채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위치 정보와 좌표코드는 시험지 페이지에 입혀지는 행렬식 x,y 좌표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표 코드 정보를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은 스마트 펜의 스캔 궤적에 따라 좌표 코드 정보를 생성하고 좌표 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수식 또는 텍스트를 생성하고 기저장된 답과 비교하여 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은 스마트 펜을 이용하여 일반 펜을 이용한 학습과 같이 답안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채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필기 정보를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채점하므로 채점 시간을 절약, 일반펜과 같이 사용됨으로 사용 편익 증진 채점 자동화를 위한 각종 도구(OCR, OMR)를 사용하지 않고 채점함으로써 비용의 절감 및 채점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노트 제공방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을 도 2 내지 도 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은 좌표 코드 정보가 인쇄된 개인별 또는 그룹별 인쇄물(100)과, 상기 인쇄물 생성 시 좌표 코드 정보와 수식 또는 텍스트 답안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펜과 통신하여 스마트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답안 관련 좌표 코드 정보를 기초로 수식 또는 텍스트로 답안을 변환하고 기저장된 답안과 비교하여 오답 여부를 판단하여 제공하는 관리 서버(200)와, 상기 좌표 코드 정보가 입혀진 인쇄물을 읽고 답안 작성 영역에 답을 필기하고 필기에 따른 좌표 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펜(300) 및 스마트 펜과 관리 서버를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근거리 통신망(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는 개인별로 상이한 조판이 이루어져 동일한 문제의 번호 또는 문제위치가 개인별로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되고 이를 기초로 자동으로 채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200)는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의 좌표 코드 정보와 관리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좌표 코드 DB(210)와, 상기 좌표 코드 정보에 매핑되는 시험지 수식 또는 텍스트 형태의 답안을 저장하고 있는 매핑 글자 정보 DB(220)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의 답안을 저장하고 있는 답안 정보 DB(230)와, 스마트 펜으로부터 수신된 좌표 코드 정보를 매핑 글자 정보 DB를 기초로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좌표코드 변환부(240)와, 스마트 펜과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250)과,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의 각 페이지에 입혀진 좌표 코드 정보를 좌표 코드 DB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좌표 코드 정보와 시험지 글자를 매핑하여 매핑 글자 정보 DB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스마트 펜으로부터 좌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좌표 코드 정보에 대하여 매핑 글자 정보DB를 이용하여 좌표 코드 변환부로 하여금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변환된 수식 또는 텍스트를 답안정보 DB에 저장된 답과 비교하여 오답 여부를 판다하고 판단 결과를 표시부(260)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메인 제어부(2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은 개인별, 그룹별 책 또는 시험지와 같은 인쇄물 생성시 문제와 개념, 설명글, 답안과 같은 글자의 위치 정보와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XML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1)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을 읽거나 시험 중에 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좌표 코드 정보를 시험지에 매핑하여 인쇄 및 프린트 가능한 포멧으로 생성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2)와, 수험자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에 대하여 시험지의 각 문제를 읽고 해당 문제에 대한 답안 영역에 객관식 또는 주관식 답안을 필기하도록 하는 단계(S13)와, 스마트 펜이 필기한 답안에 따라 좌표 코드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4)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좌표 코드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식 또는 텍스트 또는 도형으로 변환하는 단계(S15)와, 관리 서버가 XML를 기초로 하여 기저장된 수식 또는 텍스트, 도형 답안과 변환된 수식 또는 텍스트 또는 도형을 비교하여 정오답 여부를 자동으로 채점하는 단계(S16) 및 관리 서버가 채점 결과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시험지가 객관식 문항인 경우에는 응시자가 필기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만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채점할 수 있는 것이고, 시험지가 주관식 문항인 경우에는 응시자가 펜으로 필기한 위치 정보를 스마트 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 궤적을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며 변한된 수식 또는 텍스트와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정답 수식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오답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인쇄물, 200 : 관리 서버,
300 : 스마트 펜, 400 : 근거리 통신망

Claims (4)

  1.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은,
    좌표 코드 정보가 인쇄된 개인별 또는 그룹별 인쇄물(100)과;
    인쇄물 생성 시 좌표 코드 정보와 글자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펜과 통신하여 스마트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답안 관련 좌표 코드 정보를 기초로 수식 또는 텍스트로 답안을 변환하고 기저장된 답안과 비교하여 정오답 여부를 판단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개인별로 상이한 조판이 이루어져 동일한 문제의 번호 또는 문제위치가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의 좌표 코드 정보와 관리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좌표 코드 DB(210)와 상기 좌표 코드 정보에 매핑되는 시험지 글자를 저장하고 있는 매핑 글자 정보 DB(220)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의 답안을 저장하고 있는 답안 정보 DB(230)와 스마트 펜으로부터 수신된 좌표 코드 정보를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좌표코드 변환부(240)와 스마트 펜과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250) 및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의 각 페이지에 입혀진 좌표 코드 정보를 좌표 코드 DB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좌표 코드 정보와 시험지 글자를 매핑하여 매핑 글자 정보 DB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스마트 펜으로부터 좌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좌표 코드 정보에 대하여 매핑 글자 정보DB를 이용하여 좌표 코드 변환부로 하여금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변환된 수식 또는 텍스트를 답안정보 DB에 저장된 답과 비교하여 정오답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표시부(260)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메인 제어부(270)로 구성된 관리 서버(200)와;
    수험자가 각 문제를 읽은 것에 대하여 답안 작성 영역에 답을 필기하고 필기에 따른 좌표 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펜(300) ;
    및 스마트 펜과 관리 서버를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근거리 통신망(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2. 삭제
  3.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은,
    관리 서버가 개인별, 그룹별 책 또는 시험지와 같은 인쇄물 생성시 문제와 개념, 설명글, 답안과 같은 글자의 위치 정보와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XML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S11)와;
    관리 서버가 개인별로 상이한 조판이 이루어져 동일한 문제의 번호 또는 문제위치가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인쇄물을 읽거나 시험 중에 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좌표 코드 정보를 시험지에 매핑하여 인쇄 및 프린트 가능한 포멧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S12)와;
    스마트 펜이 수험자가 읽은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인 좌표 코드 정보가 인쇄된 인쇄물에 대하여 해당 문제에 대한 답안 영역에 객관식 또는 주관식 답안을 필기하도록 하는 단계(S13)와;
    스마트 펜이 필기한 답안에 따라 좌표 코드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4)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좌표 코드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S15);
    및 관리 서버가 XML를 기초로 하여 기저장된 수식 또는 텍스트 답안과 변환된 수식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정오답 여부를 자동으로 채점하는 단계(S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시험지가 객관식 문항인 경우에는 응시자가 필기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만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채점하는 것이고, 시험지가 주관식 문항인 경우에는 응시자가 펜으로 필기한 위치 정보를 스마트 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 궤적을 수식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며 변한된 수식 또는 텍스트와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정답 수식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오답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은,
    관리 서버가 채점 결과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로 상이하거나 또한 그룹별로 상이하게 편집된 스마트 펜을 이용한 개인별, 그룹별 시험지 자동 채점 방법.







KR1020170105802A 2017-08-22 2017-08-22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KR10213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02A KR102135113B1 (ko) 2017-08-22 2017-08-22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02A KR102135113B1 (ko) 2017-08-22 2017-08-22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05A KR20190020905A (ko) 2019-03-05
KR102135113B1 true KR102135113B1 (ko) 2020-07-17

Family

ID=6576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802A KR102135113B1 (ko) 2017-08-22 2017-08-22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1833A (zh) * 2021-01-29 2021-05-14 深圳市鹰硕教育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笔的考试系统、方法及服务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151B1 (ko) * 2009-05-22 2011-12-02 이승원 문서 디지털화 시스템, 방법, 및 문서 디지털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83728A (ko) * 2016-01-11 2017-07-19 한민 검사지 및 검사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05A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20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oring nonobjective assessment materials through the application and use of captured images
Koenig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literacy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JP4894189B2 (ja) 教材処理装置、教材処理方法、教材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40121298A1 (en) System and method of capturing and processing hand-written responses in the administration of assessments
KR101481498B1 (ko)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US8768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digital assessments
US7092669B2 (en) System for facilitating teaching and learning
US20150199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ading Unstructured Documents Using Automated Field Recognition
US20140030686A1 (en) Curriculum assessment
US8261967B1 (en) Techniques for interactively coupling electronic content with printed media
CN108563623A (zh) 一种有痕阅卷的方法和系统
CN112183143A (zh) 批阅方法及教学系统
CN112669179A (zh) 一种作业智能批改方法、装置、系统及服务器
KR102135113B1 (ko)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JP2014182789A (ja) ドキュメントを編集する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96897A (zh) 一种教学系统
CN110889262B (zh) 教学系统、点阵教学课件
CN101819723B (zh) 可联网交互的多功能规定格式习字系统及方法
JP2018106082A (ja) 問題作成装置、問題作成方法及び問題作成プログラム
CN108268914A (zh) 基于纸质手写时个人信息与作业本信息的收集方法及装置
JP6766987B1 (ja) 採点支援装置、採点支援システム、採点支援方法および採点支援プログラム
KR102242539B1 (ko) Omr 시스템
CN113378822A (zh) 一种在试卷中使用特殊标记框标注手写答案区域的系统
JP2006106182A (ja) 採点支援システム
CN116107441B (zh) 教学及考试用智能笔及其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9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05

Effective date: 2020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