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967B1 -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 Google Patents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967B1
KR101480967B1 KR20130109307A KR20130109307A KR101480967B1 KR 101480967 B1 KR101480967 B1 KR 101480967B1 KR 20130109307 A KR20130109307 A KR 20130109307A KR 20130109307 A KR20130109307 A KR 20130109307A KR 101480967 B1 KR101480967 B1 KR 10148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main body
driving
idler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관
성창제
김경호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9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17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fixed to the workpiece
    • B23K37/0223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fixed to the workpiece the guide member being a part of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보기용접(overhead welding)을 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어 균일한 용접품질 확보 및 용접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하게 배치된 플랜지(F)에 끼워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내설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플랜지(F)의 상면을 따라 구르는 한 쌍의 구동휠(20A,20B)과; 상기 본체(10)에 내설되어 플랜지(F)의 하면을 따라 구르는 한 쌍의 무구동휠(20C,20D)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플랜지(F)의 하면에 무구동휠(20C,20D)이 밀착될 수 있도록 무구동횔(20C,20D)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유닛(30)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토치(T)를 위치조정가능하게 고정하는 토치고정용 기구(40)와; 상기 본체(10)의 진행방향 면에 설치되어 플랜지(F)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맞대어지는 제1아이들러(50)와; 상기 제1아이들러(50)가 설치된 본체(10)의 반대 면에 설치되되, 제1아이들러(50)보다 상대적으로 더 플랜지(F)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플랜지(F)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맞대어지는 제2아이들러(5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70)을 매개로 구동휠(20A,20B)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60)와; 상기 구동부(6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Pressing and traveling type of horizontal welding carriage}
본 발명은 용접케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위보기용접(overhead welding)을 실시함에 있어 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균일한 용접품질 확보 및 용접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용접은 모재와 모재의 접합부위를 용융시켜 서로 접하는 기술로서, 용접 작업자는 통상 위보기자세, 수평보기자세, 수직보기자세, 아래보기자세 등의 4가지로 방법으로 실시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용접은 수작업 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부위의 양부가 상이하여 제품의 품질에 많은 차이가 나타나게 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용접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케리지들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정된 속도와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용접케리지들을 사용하여 작업생산성과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종래의 용접케리지로는 대한민국특허 제10-1063535호(둔각용 수평용접케리지)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기술은 수평보기용접(horizontal welding)에 상당히 적합한 것으로 위보기 용접용으로 사용시 주행공간, 즉 충분한 바닥면이 확보되어 있어야 하므로 위보기 용접에는 상당히 부적합한 부분이 있었으며, 특히 바닥면이 협소한 H빔의 경우에는 더욱더 적용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에 통상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위보기용접(overhead welding)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숙련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위보기용접(overhead welding)을 실시하더라도 길이가 상당히 긴 모재를 용접함에 있어 균일한 용접품질의 확보가 어려웠고, 용접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려 생산성 크게 떨어졌으며, 용접작업시 발생하는 불순물불꽃이 직접 작업자에게 튀게 되면서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에 작업자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작업자가 장시간 용접용 토치를 들고 용접을 실시해야하므로 근골격계 부상도 자주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위보기용접(overhead welding)을 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어 균일한 용접품질 확보 및 용접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하게 배치된 플랜지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플랜지의 상면을 따라 구르는 한 쌍의 구동휠과;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플랜지의 하면을 따라 구르는 한 쌍의 무구동휠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플랜지의 하면에 무구동휠이 밀착될 수 있도록 무구동횔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토치를 위치조정가능하게 고정하는 토치고정용 기구와;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 면에 설치되어 플랜지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맞대어지는 제1아이들러와;
상기 제1아이들러가 설치된 본체의 반대 면에 설치되되, 제1아이들러보다 상대적으로 더 플랜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플랜지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맞대어지는 제2아이들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무구동휠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블록에 체결되어 이송블록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에는 용접불꽃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본체의 하부를 막는 보호커버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휠과 무구동휠의 둘레면에는 미끄럼방지용 링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에는 고정블록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원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원동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와, 원동스프로킷을 갖추고서, 고정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횔과 결합하는 제1샤프트와,
종동스프로킷을 갖추고서, 상기 고정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나머지 구동횔과 결합하는 제2샤프트와,
상기 원동스프로킷의 동력이 종동스프로킷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원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 사이에는,
상기 고정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체인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로킷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빔의 플랜지에 설치되어 플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위보기용접(overhead welding)을 실시하게 되므로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고, 균일한 용접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용접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동휠과 무구동휠의 둘레면에 미끄럼방지용 링을 설치해 줌으로서 주행중 슬립현상(미끄럼)의 문제를 해소하여 주행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구동휠과 무구동휠 사이에 끼워지는 플랜지의 두께에 변동이 있더라도 본체에 설치된 이송유닛을 조작하여 이에 상응하게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편리해지고 탄력적인 운용 및 상당히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체가 플랜지에 사선형태로 설치되어 구동휠과 제1·2아이들러를 매개로 플랜지의 측면을 밀면서 주행하므로 본체가 플랜지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 - A'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 B'단면도.
도 6은 도 2의 C - C'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 - A'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 - B'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C - C'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는, 본체(10)와 한 쌍의 구동휠(20A,20B), 한 쌍의 무구동휠(20C,20D), 이송유닛(30), 위치조정용 뭉치(40), 제1·2아이들러(50,50'), 구동부(60), 동력전달수단(70) 및 제어부(80)로 구성되며, 여기에 보호커버(90)가 더 보강 구비된 것으로서, 빔(B)의 플랜지(F)에 설치되어 플랜지(F)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용접, 바람직하게는 위보기용접(overhead welding)을 실시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일단으로 개구된 금속프레임으로서, 양 측면(진행방향 면과 그 반대 면)에는 일정한 폭과 높이로 개구된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내부 일면에는 고정블록(12; 도 4 참조)이 설치되며, 반대편 면에는 이송블록(32)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1)의 상측에는 제1아이들러(50)와 제2아이들러(50')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을 매개로 수평하게 배치된 빔(B)의 플랜지(F)에 끼워진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구동휠(20A,20B)은 바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0)의 고정블록(12; 도 4 참조)에 동력전달수단(70)의 제1샤프트(71)와 제2샤프트(72)를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부(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플랜지(F)의 상면을 따라 구르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무구동휠(20C,20D)은 바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이송유닛(30)의 이송블록(32)에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랜지(F)의 하면을 따라 구르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의 경우 플랜지(F)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슬립현상(미끄럼)이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균일한 용접상태를 기대하기 어려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이와 같은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의 둘레면에 미끄럼방지용 링(R)을 설치해 주었다.
상기 미끄럼방지용 링(R)은 고무, 우레탄, 합성고무와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밖에도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도 적용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용 링(R)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에 미끄럼방지용 링(R)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핀을 박아 고정하거나 이 밖에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유닛(30)은 본체(10)에 설치되어 플랜지(F)의 하면에 무구동휠(20C,20D)이 밀착될 수 있도록 무구동휠(20C,20D)을 왕복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송유닛(30)은 한 쌍의 가이드봉(31)과 이송블록(32) 및 손잡이가 구비된 이송스크류(33)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봉(31)은 일단이 본체(10)에 설치되고 타단이 고정블록(12)의 일면에 설치되어 이송블록(32)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예컨대 본체(10)의 양측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이송블록(32)의 양 측면에 각각 돌기와 홈(LM가이드)을 형성하여 가이드봉(31)과 같은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이송블록(32)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블록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봉(3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이송블록(32)의 하면에는 무구동휠(20C,20D)이 배치되며, 이 무구동휠(20C,20D)은 축을 매개로 각각 이송블록(3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스크류(33)는 둘레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이송블록(32)에 체결되어 이송블록(33)을 직선왕복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본체(10)의 외면으로 노출되는데, 이 노출된 부분에는 둘레면이 널링(knurling)된 손잡이가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이송스크류(33)의 손잡이를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이송블록(33)은 가이드봉(31)을 따라 이송되고, 이로 인해 고정블록(12)에 설치된 구동휠(20A,20B)과 이송블록(33)에 설치된 무구동휠(20C,20D) 간의 간격(G)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 사이에 끼워지는 플랜지(F)의 두께에 변동이 있더라도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해 얼마든지 간격(G)을 조절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해지고 탄력적인 운용 및 상당히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상기 토치고정용 기구(40)는 전후이송블록(41)과 상하이송블록(42) 및 토치고정클램프(4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0)에 설치되어 토치(T)를 위치조정가능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송블록(41)은 본체(10)에 설치되어 제1조작부(41a)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송블록(42)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상하이송블록(42)은 전후이송블록(41)에 설치되어 제2조작부(42a)의 회전에 의해 토치고정클램프(43)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토치고정클램프(43)는 상하이송블록(42)에 설치되어 토치(T)를 가압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토치고정용 기구(40)는 공지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3535호(둔각용 용접케리지)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2아이들러(50,50')는 안내홈(51)이 구비된 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0)의 가이드홈(11)이 형성된 면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51)는 빔(B)의 플랜지(F) 측면에 서로 맞대어지며, 제1·2아이들러(50,50')는 안내홈(51)을 매개로 플랜지(F)의 측면을 따라 구르게 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이들러(50)와 제2아이들러(50')의 높낮이를 서로 다르게 본체(10)에 설치하였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10)의 가이드홈(11)을 플랜지(F)에 끼운 상태에서 제1·2아이들러(50,50')의 안내홈(51)을 플랜지(F)의 측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본체(10)는 자연스럽게 사선형태(도 8 참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구동휠(20A,20B)에 동력원을 전달하게 되면, 본체(10)는 구동휠(20A,20B)에 의해 플랜지(F)의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본체(10)에 설치된 제1·2아이들러(50,50')가 더 이상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대신 제1·2아이들러(50,50')가 플랜지(F)의 측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본체(10)는 플랜지(F)의 측면을 밀면서(가압하면서) 진행(전진)하게 되므로 본체(10)가 플랜지(F)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60)는 제어부(80)에 동작제어되는 모터(motor)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0)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70)을 매개로 구동휠(20A,20B)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구동부(60)는 커버(도 5 참조)에 의해 감싸져 보호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60)는 동력전달수단(70)의 종동기어(71a)와 맞물려 종동기어(71a)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원동기어(61)를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은 구동부(60)의 구동력이 한 쌍의 구동휠(20A,20B)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중간매개체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은 제1샤프트(71)와 제2샤프트(72) 및 체인(73)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텐션스프로킷(74)이 더 보강 된다.
상기 제1샤프트(71)는 본체(10)의 고정블록(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횔(20A)과 결합하는 축으로서, 상측에는 원동기어(61)와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71a)가 설치되고, 종동기어(71a)보다 하측에는 체인(73)이 설치되는 원동스프로킷(71b)이 설치된다.
상기 제2샤프트(72)는 고정블록(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른 구동횔(20B)과 결합하는 축으로서, 상측에는 체인(73)이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72a)이 설치된다.
상기 체인(73)은 원동스프로킷(71b)의 동력이 종동스프로킷(72a)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원동스프로킷(71b)과 종동스프로킷(72a)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60)가 제어부(80)에 의해 동작되면, 구동부(60)에 고정된 원동기어(6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원동기어(61)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71a)가 강제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종동기어(71a)를 구비하는 제1샤프트(71)가 회전하게 되면서 구동횔(20A)를 회전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샤프트(71)가 회전하게 되면 제1샤프트(71)에 설치된 원동스프로킷(71b)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체인(73)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종동스프로킷(72a)이 함께 회전되며, 종동스프로킷(72a)를 구비하는 제2샤프트(72)가 회전하게 되면서 다른 구동횔(20B)을 회전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해 본체(10)에 설치된 구동휠(20A,20B)이 구동되면서 플랜지(F)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스프로킷(74)은 제1샤프트(71)와 제2샤프트(72) 사이에는 설치되어 체인(73)에 인정한 장력을 부여(장력 조절) 및 체인(73)의 처짐을 방지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는 공지의 컨트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0)에 설치되어 구동부(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용접을 진행하다 보면 용융된 불순물불꽃이 외부로 튀게 되는데, 이러한 불순물불꽃이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에 튈 경우 둘레면에 설치된 미끄럼방지용 링(R)을 녹여 손상시키게 되고, 동력전달수단(70)으로 튀게 될 경우 제1샤프트(71)와 제2샤프트(72) 및 체인(73)에 눌어붙게 되면서 오작동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도 1 및 도 3과 같이, 본체(10)에 용접불꽃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본체(10)의 하부를 막는 보호커버(90)를 설치해 주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체(10)의 가이드홈(11)을 빔(B)의 플랜지(F)에 끼워주게 되면, 플랜지(F)를 기준으로 상면에는 구동휠(20A,20B)이 얹혀지고, 하면에는 무구동휠(20C,20D)이 이격배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10)에 설치된 제1아이들러(50)와 제2아이들러(50')의 안내홈(51)을 각각 플랜지(F)의 측면에 맞대어 주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사선으로 틀어진 상태로 플랜지(F)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은 본체(10)에 의해 함께 틀어져 사선방향으로 구동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F)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무구동휠(20C,20D)의 경우 플랜지(F)의 하면에 무구동휠(20C,20D)을 밀착시켜 플랜지(F)에 설치해 줄 필요가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30)의 이송스크류(33)를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송블록(32)이 고정블록(12)을 향해 이송하게 되고, 이송블록(32)에 설치된 무구동휠(20C,20D)은 자연스럽게 이송되어 플랜지(F)의 하면에 견실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토치(T)가 고정된 토치고정용 기구(40)를 조작하여 토치(T)의 선단부가 용접대상부위에 인접하게 배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빔(B)의 플랜지(F)에 설치시켜 준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어부(80)를 동작시켜 주게 되면, 제어부(80)에 의해 구동부(60)가 동작하게 되고, 구동부(60)의 동작에 의해 원동기어(61)가 회전하게 되며, 원동기어(61)에 의해 동력전달수단(70)이 연동되어져 구동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60)가 제어부(80)에 의해 동작되면, 구동부(60)에 고정된 원동기어(6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원동기어(61)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71a)가 강제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종동기어(71a)를 구비하는 제1샤프트(71)가 회전하게 되면서 구동휠(20A)을 회전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71)가 회전하게 되면 제1샤프트(71)에 설치된 원동스프로킷(71b)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체인(73)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종동스프로킷(72a)이 함께 회전되며, 종동스프로킷(72a)을 구비하는 제2샤프트(72)가 회전하게 되면서 다른 구동휠(20B)을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구동휠(20A,20B)에 의해 플랜지(F)의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본체(10)에 설치된 제1·2아이들러(50,50')가 더 이상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대신 제1·2아이들러(50,50')가 플랜지(F)의 측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본체(10)는 플랜지(F)의 측면을 밀면서 진행하게 되므로 본체(10)가 플랜지(F)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는 플랜지(F)를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토치고정용 기구(40)에 설치된 토치(T)가 가용접된 빔(B)에 위보기용접을 실시하게 되며, 이 용접과정 중 발생된 불순물불꽃은 본체(10)에 설치된 보호대(90)에 의해 차단되어 구동휠(20A,20B)의 미끄럼방지용 링(R)을 보호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빔(B)의 플랜지(F)에 설치되어 플랜지(F)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위보기용접(overhead welding)을 실시하게 되므로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고, 균일한 용접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용접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의 둘레면에 미끄럼방지용 링(R)을 설치해 줌으로서 주행중 슬립현상(미끄럼)의 문제를 해소하여 주행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구동휠(20A,20B)과 무구동휠(20C,20D) 사이에 끼워지는 플랜지(F)의 두께에 변동이 있더라도 본체(10)에 설치된 이송유닛(30)을 조작하여 이에 상응하게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편리해지고 탄력적인 운용 및 상당히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체(10)가 플랜지(F)에 사선형태로 설치되어 구동휠(20A,20B)과 제1·2아이들러(50,50')를 매개로 플랜지(F)의 측면을 밀면서 주행하므로 본체(10)가 플랜지(F)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본체 11: 가이드홈 12: 고정블록
20A.20B: 구동휠 20C,20D: 무구동휠 30: 이송수단
31: 가이드봉 32: 이송블록 33: 이송스크류
40: 토치고정용 기구 41: 전후이송블록 41a: 제1조작부
42: 상하이송블록 42a: 제2조작부 43: 토치고정클램프
50: 제1아이들러 50': 제2아이들러 60: 구동부
61: 원동기어 70: 동력전달수단 71: 제1샤프트
71a: 종동기어 71b: 원동스프로킷 72: 제2샤프트
72a: 종동스프로킷 73: 텐션스프로킷 80: 제어부
90: 보호대

Claims (6)

  1. 수평하게 배치된 플랜지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플랜지의 상면을 따라 구르는 한 쌍의 구동휠과;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플랜지의 하면을 따라 구르는 한 쌍의 무구동휠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플랜지의 하면에 무구동휠이 밀착될 수 있도록 무구동횔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토치를 위치조정가능하게 고정하는 토치고정용 기구와;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 면에 설치되어 플랜지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맞대어지는 제1아이들러와;
    상기 제1아이들러가 설치된 본체의 반대 면에 설치되되, 제1아이들러보다 상대적으로 더 플랜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플랜지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맞대어지는 제2아이들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무구동휠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블록에 체결되어 이송블록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용접불꽃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본체의 하부를 막는 보호커버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과 무구동휠의 둘레면에는 미끄럼방지용 링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고정블록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원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원동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와, 원동스프로킷을 갖추고서, 고정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횔과 결합하는 제1샤프트와,
    종동스프로킷을 갖추고서, 상기 고정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나머지 구동횔과 결합하는 제2샤프트와,
    상기 원동스프로킷의 동력이 종동스프로킷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원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 사이에는,
    상기 고정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체인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로킷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KR20130109307A 2013-09-11 2013-09-11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KR10148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307A KR101480967B1 (ko) 2013-09-11 2013-09-11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307A KR101480967B1 (ko) 2013-09-11 2013-09-11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967B1 true KR101480967B1 (ko) 2015-01-09

Family

ID=5258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307A KR101480967B1 (ko) 2013-09-11 2013-09-11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1628A (zh) * 2020-05-20 2020-07-28 赣州经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束焊机焊缝直径偏心工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970A (ko) * 2009-04-08 2010-10-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형 자동 용접 장치
KR20120005797U (ko) * 2011-02-08 2012-08-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오버헤드식 협소구역 용접 캐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970A (ko) * 2009-04-08 2010-10-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형 자동 용접 장치
KR20120005797U (ko) * 2011-02-08 2012-08-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오버헤드식 협소구역 용접 캐리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1628A (zh) * 2020-05-20 2020-07-28 赣州经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束焊机焊缝直径偏心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531B2 (en) Assembly for assisting the removal from storage and transfer of wire
KR101508813B1 (ko) 파이프 자동가공장치
KR101347343B1 (ko)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US96944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compression line spring
AU2012207539A1 (en) Assembly for assisting the removal from storage and transfer of wire
JPS5828029B2 (ja) パイプ突合せ溶接用溶接装置
KR101346024B1 (ko) 로봇 탈부착장치
KR200484496Y1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01422729B1 (ko) 파이프 가공 캐리지
KR101480967B1 (ko) 가압주행식 수평용접케리지
KR101063535B1 (ko) 둔각용 용접케리지
KR101799324B1 (ko) 곡선 및 직선 주행이 가능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캐리지
KR101313556B1 (ko)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KR10142444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ITTO950120A1 (it) Carrello per guidare un attrezzo lungo una traiettoria specificata su di un pezzo da lavorare.
KR101279433B1 (ko) 원형회전 용접케리지
KR101800166B1 (ko) 자동용접기용 횡이송장치
KR200311915Y1 (ko) 레일주행형 자동용접장치
CN106000760A (zh) 一种全自动数控横留缝涂料机
KR101607975B1 (ko) 위빙 서브머지드 용접 장치
KR101223908B1 (ko) 와이어 피더가 구비된 용접용 캐리지
US3131283A (en) Seam follower holding means
CN210188118U (zh) 一种提高上料安全系数的数控折弯机
US11541474B2 (en) Wire shaping device for bulk packaged welding wire
KR930004328Y1 (ko) 3차원 곡면용접용 자동 mig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