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764B1 - 체인 - Google Patents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764B1
KR100663764B1 KR1020050013952A KR20050013952A KR100663764B1 KR 100663764 B1 KR100663764 B1 KR 100663764B1 KR 1020050013952 A KR1020050013952 A KR 1020050013952A KR 20050013952 A KR20050013952 A KR 20050013952A KR 100663764 B1 KR100663764 B1 KR 10066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chain
pin
link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157A (ko
Inventor
양미숙
Original Assignee
양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미숙 filed Critical 양미숙
Priority to KR102005001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7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체인은, 소정 이송물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와; 캐리지의 양단부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씩 배치되는 링크들; 및 링크들 사이에 캐리지가 개재되도록 링크와 캐리지를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인, 캐리지, 링크, 핀, 공급장치

Description

체인{A cha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이 적용된 가공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송체인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송체인의 분리 사시도.
도 8a는 도 6에 도시된 이송체인의 단면도.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이송체인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피딩체인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피딩체인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피딩체인이 가이더에 의해 가이드 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Ⅰ-Ⅰ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가공기계 20..가공부
30..피딩유닛 31..피딩체인
40.목재 32,33..메인톱니바퀴
35..구동톱니바퀴 50..기기 본체
70..체인가이더 80..체인 가이드레일
90..지지블럭 100..공급장치
111,112..메인프레임 113..베이스 프레임
114,115..가이드프레임 120..이송유닛
121..이송체인 210,310..캐리지
130..구동수단 131,133..제1 및 제2톱니바퀴
135,137.제1 및 제2지지샤프트 138..메인 동력전달유닛
138a..종동 톱니바퀴 138b.. 동력전달체인
140..정렬유닛 141..회전롤러
142..동력전달유닛 151..동력전달벨트
152,153..제1 및 제2회전샤프트 154..연동벨트
155,156,157,158..풀리 160..규제부재
162..가이드바
본 발명은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피가공물을 탑재한 채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의 종류는 대단히 많으나, 크게 나누면 범용(汎用)공작기계와 전용(專用)공작기계로 분류된다. 옛날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은 범용공작기계로, 가공물의 재질·종류 등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 가공할 수 있다. 절삭속도도 넓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가공방식도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가공조건을 선택하여 어떠한 것이라도 가공이 쉽게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전용공작기계는 단지 한 종류만 가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료의 설치·가공속도·이송속도 등 모두가 한 종류이며, 변화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전용기의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고 조작도 수월하며 경제적이므로, 대량생산용이다. 자동차의 엔진블록 가공용인 트랜스퍼머신도 여러 개의 전용기를 조합한 것으로, 규모는 상당히 크지만 전용기의 일종이다. 시계의 부품 제작용 자동기계도 전용기이다.
이와 같은 공작기계는, 주조(鑄造)·단조(鍛造) 등으로 만든 기계부품 즉, 금속 기계부품 등을 가공하는 기계를 말하며,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절삭기, 연삭기, 커터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제재(製材) 및 각종 목재가공에 사용되는 목공기계의 경우에는, 그 종류와 형식에 따라 목공선반, 띠톱기계, 둥근톱기계, 실톱기계, 기계대패, 루터, 드릴링머신, 목형연마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예를 들어 상기 목형연마기(sander)는, 목형의 표면을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할 때 쓰이는 기계로, 원반 또는 원통면에 샌드페이퍼를 붙이고 이것을 회전시킴으로써 목형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샌더의 종 류에는 벨트 샌더 ·디스크 샌더 ·스핀들 샌더 ·드럼 샌더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목형연마기와 같은 가공장치는 공급되는 피가공물을 자동으로 가공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및 연속 가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가공장치로 피가공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공급하느냐에 따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건비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통상의 호퍼에 다수의 피가공물을 넣은 상태에서, 하나의 피가공물씩 가공장치로 공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가공기계로 피가공물을 공급하거나, 공급받은 피가공물을 소정의 가공부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송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이송장치로는 통상의 체인이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피 가공물을 원하는 위치로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체인이나 컨베이어벨트 등을 사용할 경우, 가공물을 정밀하게 이송시키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피가공물을 안정되게 이송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개선된 체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인은, 소정 이송물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양단부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씩 배치되는 링크들; 및 상기 링크들 사이에 상기 캐리지가 개재되도록 상기 링크와 캐리지를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그 각각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이송물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캐리지는, 상기 링크들 사이에 개재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물을 지지하는 지지홈; 및 상기 몸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핀이 통과하는 한 쌍의 결합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캐리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마련되며, 그 각각과 상기 캐리지와의 사이에 상기 링크들이 개재되도록 위치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링크들 및 상기 캐리지를 통과하여 연결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외측에 각각 밀착되며, 상기 핀의 양단이 고정되는 보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링크에 밀착되며, 상기 핀이 통과하는 결합공을 가지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상하단 각각으로부터 상기 캐리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벽을 가지며,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절곡벽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핀은, 상기 어느 한 보조브라켓에 밀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보 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연장되며 상기 보조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링크들 및 캐리지를 통과하는 원기둥부; 및 상기 원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헤드의 반대쪽 보조브라켓을 통과한 뒤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용접에 의해 상기 보조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캐리지는 복 수개가 마련되며, 각각은 상기 링크와 교번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캐리지와 링크들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핀은, 상기 캐리지 및 상기 링크들에 형성된 결합공들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결합공들을 통과하는 원기둥부; 및 상기 원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들을 통과한 뒤 반대쪽 링크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링크와 상기 고정부를 통과하여 결합시키는 누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체인은,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들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 이송물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와 상기 캐리지는 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캐리지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이송물이 수용되는 지지홈과; 상기 링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체인들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가공물 공급장치(10)가 소정의 가공기계(2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공급장치(100)는 가공기계(10) 각각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들이 채용되며, 자세한 체인의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공급장치(100)는 가공기계(10)에서 가공될 피가공물 예컨대, 목재를 소정 공급단위로 공급한다.
상기 가공기계(10)는 공급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목재를 가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공기계(10)가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목형연마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공기계(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받은 목재(40)를 가공부(20)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피딩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가공부(20)에는 미 도시된 연마벨트가 목재(40)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주행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목재(40)를 연마한다. 그리고 연마벨트의 상부에는 목재(40)의 연마형태를 결정하는 금형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피딩유닛(30)은 가공부(20)와 기기본체(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피딩유닛(3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급장치(10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공급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목 재(40) 이송유닛(120)과, 이송유닛(12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130)과, 공급될 목재(40)를 정렬시키는 정렬유닛(14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1,112)과, 메인프레임들(111,112)을 연결하는 베이스 프레임(113)을 구비한다. 각 메인프레임(111,112)에는 장치의 다리들(10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3)은 목재(40)의 이송시 이송유닛(120)의 가이드레일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3)은 수용부(110a)로부터 가공기계(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이송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40)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14,115)을 더 구비한다. 각 가이드프레임(114,115)은 베이스 프레임(113)과 함께 다수의 공급될 목재(40)가 수용되는 수용부(110a)를 이루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4,115)은 베이스 프레임(113) 상에서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본체(110)에는 가이드프레임(114,115)을 지지하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샤프트(118,162)가 마련된다. 따라서, 목재(40)의 종류 즉, 길이에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114,11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가이드프레임(114,115) 사이에 이송유닛(120)이 주행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이송유닛(120)은 한 쌍의 이송체인(121)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체인들(1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들로서, 본체(110)에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채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두 이송체인(121)은 목재(40)의 길이방향 및 그 폭에 대응되도록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송체인들(121)은 베이 스 프레임(113)을 사이에 두고 주행되며, 주행시 베이스 프레임(113)의 상면을 레일로 이용하여 주행 된다.
이러한 이송체인(121)은 수용부(110a)를 경유하여 가공기계(10)에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113)의 상단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주행 되면서, 수용부(110a)에 마련된 목재들(40)을 순차적으로 적재하여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체인(12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210)을 사이에 두고 링크들(220)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링크들(220)은 체결유닛에 의해 캐리지(21)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유닛은 핀(2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지들(210)은 링크들(220)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링크(220)와 교번되게 연결된다.
상기 캐리지(2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물질로 된 몸체(211)와, 몸체(211)의 상단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지지홈(212)과, 몸체(211)의 하단 측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공(214)을 가진다. 몸체(211)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링크들(2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지지홈(212)은 소정 이송물 즉, 상기 목재(4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캐리지(210) 몸체(211)의 상단 및 양 측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캐리지들(210)이 연속해서 일정간격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지지홈(212)도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목재(40)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한 채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캐리지(210)는 핀(230)을 중심으로 회전시 서로 인접한 캐리지(210)와의 간섭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에 단차부(213)를 가진다.
또한, 상기 링크들(220) 각각은 상기 결합공들(214)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 합공들(221)을 가진다. 또한, 링크들(220)은 결합공(221)과 연결되며, 그 결합공(221)보다는 큰 폭 즉, 내경을 갖도록 링크(220)의 외측에서 인입 형성된 단차홈(223)을 가진다.
상기 핀(230)은 캐리지(210)와 링크(220)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핀(230)은 헤드(231)와, 헤드(231)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원기둥부(232) 및 고정부(233)를 가진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30)의 헤드(231)는 캐리지(210)의 결합공(214)과 링크(220)의 결합공(221)보다 큰 폭 즉, 외경을 가지므로 결합공들(221,214)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단차홈(223)에 삽입되어 링크(220)의 외측에 밀착된다. 상기 헤드(231)가 링크(22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헤드(231)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기 단차홈(223)이 소정깊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기둥부(232)는 결합공들(211,214)을 통과하여 반대쪽 링크를 통과하므로 고정부(233)가 돌출된다. 그리고 가공부(233)는 반대쪽 링크(220)의 단차홈(223)에 용접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핀(230)의 단부도 반대쪽 링크(22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고정부(223)는 결합공(211)으로 다시 들어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33)는 원기둥부(232)의 끝단을 리벳팅하여 변형시켜서 링크(22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체인(121)은 서로 마주하는 링크들(220) 사이에 캐리지(210)를 개재시킨 후, 핀(230)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이 적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단가를 낮 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캐리지(210)의 폭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체인(121)의 전체 폭을 얇게 설계하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다양한 폭의 체인을 설계 및 생산하는데 자유롭다. 또한, 링크(220)의 외측으로 핀(230)이 돌출되지 않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체인(121)의 주행시 주위의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게 되어 원활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30)의 고정부(233)와 링크(220)를 누드핀(240)을 이용하여 체결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부(233)와 링크(220) 각각에는 누드핀(240)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누드핀(240)에 의해 핀(230)과 링크(220)가 체결되며, 핀(230)은 링크(220)와 결합된 상태로, 핀(23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써, 캐리지(210)를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성의 이송체인들(121)의 서로 나란한 상태로 주행 된다. 따라서, 각 캐리지(210)의 지지홈(212)에 목재(40)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 개수의 공급단위로 목재(40)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단위는 목재(40)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인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지지홈(212)의 크기와 깊이는 목재(40)의 크기 및 두께를 고려하여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체인들(12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목재(40)의 양단부를 각각 동시에 지지한 채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목재(40)를 안정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들(121)에 지지된 채 이송되는 목재들(4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14,115)에 의해 정렬 및 가이드 되면서 이송되므로, 이탈됨이 없이 안정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인들(121)은 가이드프레임(114,115)과 마찬가지로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목재(40)의 길이에 따라 체인들(121)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목재(40)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이송체인(121)의 낮은 쪽을 각각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제1회전체(131)와, 상기 이송체인(121)의 높은 쪽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체(133)와, 상기 제1회전체(131)가 지지되는 제1지지샤프트(135)와, 제2회전체(1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샤프트(137) 및 가공기계(10)의 동력을 어느 한 회전체(133)로 전달하기 위한 메인 동력전달유닛(138)을 구비한다.
상기 제1회전체(131)는 수용부(110a)에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제1지지샤프트(135)에 설치된다. 이 제1회전체(131)는 이송체인(121)을 일정한 속도 비로 주행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톱니바퀴(이하 제1톱니바퀴(131)라 함)를 포함한다. 이 제1톱니바퀴(131)는 제1지지샤프트(135)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톱니바퀴(131)의 위치결정시 조정나사(S)에 의해 위치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133)는 한 쌍의 톱니바퀴(이하 제2톱니바퀴(133)라 함)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톱니바퀴(133)는 제2지지샤프트(137)에 각각 슬 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제2톱니바퀴(133)도 조정나사(S)에 의해 고정 및 풀림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1지지샤프트(135)는 수용부(110a) 측에 치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샤프트(137)는 본체(110)의 상부 측에 즉, 제1지지샤프트(135)보다는 높고 가공기계(10) 쪽에 가까운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톱니바퀴(131)는 제1지지샤프트(135)와 함께 회전되며, 제2톱니바퀴(133)는 제2지지샤프트(137)와 함께 회전되면서 체인들(121)을 주행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동력전달유닛(138)은 제2지지샤프트(137)에 결합된 종동 톱니바퀴(138a)와, 상기 종동 톱니바퀴(138a)와 가공기계(100)의 피딩유닛(30)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체인(138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피딩유닛(30)은 가공기계(10)에 무한궤도상을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피딩체인(31)과, 상기 체인들(31)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메인톱니바퀴들(32, 33)을 구비한다. 제1메인톱니바퀴들(32)은 공급장치(100)와 인접한 곳에서 피딩체인들(31)을 지지한다. 그리고 각 메인톱니바퀴(32, 33) 중 어느 한쪽은 미 도시된 메인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메인톱니바퀴(32)의 회전축(34)에는 구동 톱니바퀴(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톱니바퀴(35)에는 상기 동력전달체인(138b)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체인들(121)은 피딩체인들(31)과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목재(40)의 공급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딩체인들(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인을 나타 낸 것으로서, 가공기계(10)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다. 상기 피딩체인들(3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310)와, 각 캐리지(3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한 쌍씩 설치되는 링크(320) 및, 캐리지(310)와 링크(320)를 연결하는 체결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캐리지(310)는 이송유닛(120)에 의해 이송되어 공급된 목재(40)를 전달받아 지지하는 지지홈(312)을 가진다. 상기 지지홈(312)의 일 측벽은 피딩체인(31)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지지홈(312)에서 목재(40)가 가공될 때 회전되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캐리지(310)는 앞서 설명한 캐리지(2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결합공을 가진다.
상기 체결유닛은, 핀(330)과, 지지브라켓(340)과 보조브라켓(350)을 구비한다. 지지브라켓(340)은 캐리지(3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배치된다. 각 지지브라켓(340)과 캐리지(310)의 외측면 사이에는 상기 링크들(320)이 개재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340) 각각의 외측면에는 보조브라켓(350)이 밀착된다. 리지브라켓(340)과 보조브라켓(350) 각각은 캐리지(310)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브라켓(340)은 결합공을 가지며 링크(320)에 밀착되는 지지벽(341)과, 지지벽(341)의 상하단 각각에서 절곡된 절곡벽(342)을 가진다. 상기 절곡벽들(342) 사이에 상기 보조브라켓(350)이 위치된다.
상기 핀(330)은 앞서 도 6, 도 7 및 도 8a를 통해 설명한 핀(230)과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브라켓(350), 지지브라켓(340), 캐리지(3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핀(330)도 상기 핀(23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더 이상 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핀(330)이 보조브라켓(350)에 체결되고 고정되는 방법 또한 앞서 설명한 핀(230)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브라켓(340)과 보조브라켓(350)을 이용하여 캐리지(310)를 링크(320)와 연결시킴으로서, 캐리지(310)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체인(31)이 이송시 캐리지(310)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이송되는 목재(40)를 안정되게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결국, 목재(40)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피딩체인(31)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목재(4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피딩체인(31)은 지지블럭(90) 위에 놓인 가이드레일(80) 위를 따라 주행 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80)에는 체인(31)의 주행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더(70)가 서로 마주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체인(31)은 가이드레일(80) 상을 주행하면서, 양측은 상기 가이더(70)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인(31)의 경우에는, 캐리지들(310)이 서로 인접하지 않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캐리지들(310) 사이에는 복수의 링크들(320)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송체인(121)과는 달리 캐리지들(310)의 간격이 더 멀더라도, 상기 톱니바퀴들(35)(138a)의 회전비를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이송체인(121)에 의해 조밀한 간격으로 공 급되는 목재들(40)을 피딩체인(31)의 캐리지(310)로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 톱니바퀴(35)의 톱니 수를 종동 톱니바퀴(138a)의 톱니 수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송체인(121)의 주행속도를 피딩체인(31)보다 느리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목재(40)를 정확하고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특히, 공급장치(100)의 동력을 가공기계(10)의 피딩유닛(30)으로부터 전달받아 종동시킴으로서, 목재(40)의 전달속도 및 전달위치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들(121,123)과 피딩체인(31)이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서로가 목재(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각 체인들(121)(31)이 회전축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각 캐리지(210)(310)가 회전축 방향에 대해 서로 소정량 오버랩되면서 주행하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121)은 목재(40)를 탑재한 채로 주행하여 최상단부에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목재(40)를 떨어뜨리게 되고, 피딩체인(31)은 상승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떨어지는 목재(40)를 전달받게 된다. 이를 위해, 두 캐리지(210)(3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면서 이동되고, 서로 일정량 오버랩될 때 목재(40)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a)에 수용된 목재들(40)을 정렬시켜서 이송유닛(120) 쪽으로 안내하는 정렬유닛(1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정렬유닛(140)은 수용부(110a)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롤러(141)와, 구동원(150)과, 구동원(150)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롤러(14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유닛(142)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롤러(14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4,115) 각각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좋다. 이 회전롤러(141)는 목재(40)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들(114,115)의 간격을 조절할 때, 그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회전롤러로 교체 가능하도록, 가이드프레임(114,11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 회전롤러(141)는 이송체인(121)의 주행방향에 대해 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위에 쌓인 목재들(40)을 튕기거나, 마찰을 일으켜 줌으로서 목재들(40)을 바르게 정렬시키고, 이송체인(121)으로 탑재되도록 목재들(40)을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공기계(10)로부터 회전롤러(141)로 전달할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으로는 가공기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체인들(31)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목재(40)를 이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벨트(61)가 설치된다. 이 가동벨트(61)는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은 복수의 회전샤프트(62, 63)에 마련된 구동풀리(64, 65)에 지지되어 주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샤프트(62,63)는 피딩체인(31)의 구동원이나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어느 한 회전샤프트(63)의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유닛(142)을 이용하여 회전롤러(141)로 전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142)은,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벨트(151)와, 제1 및 제2회전샤프트(152,153), 한 쌍의 연동벨트(154)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벨트(151)는 구동모터(150)의 동력을 제1회전샤프트(152)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동모터(150)의 구동축과 제2회전샤프트(152) 각각에는 동력전달벨트(151)가 연결되는 풀리(155,156)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샤프트(153)는 회전롤러(141)를 사이에 두고 제1회전샤프트(152)와 상하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샤프트(152,153) 각각의 대략 중앙부위에는 상기 연동벨트(154)가 지지되는 지지풀리(157)(158)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벨트(154)는 상하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회전롤러(141)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연동벨트(154)의 회전시 회전롤러(141)가 연동 회전되면서, 수용부(110a)의 목재들(40)을 정렬시키고, 이송체인(121)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러한 연동벨트(154)는 회전롤러(141)를 이송체인(121) 주행방향의 순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들(121)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톱니바퀴(131) 및 제2톱니바퀴(133)를 각 지지샤프트(135,137) 각각에 대해서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조정나사들(S)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121)에 탑재되어 상향 이송되어 가공기계(10)로 전달되는 목재(40)의 공급단위 즉,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1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규제부재(160)는 이송체인(121)의 주행경로 상에서 최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의 상측에 배치되며, 본체(110)에 설치되는 가이드바(16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규제부재(160)는 가이드바(16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재(164)에 의해 위치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된다. 이 규제부재(160)도 이송체인(121) 각각의 대응되는 상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다른 예로서는 가이드프레임(114,115) 각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프레임(114,115)과 함께 규제부재(160)의 위치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규제부재(160)에 의하면, 예를 들어, 이송체인(121)의 하나의 캐리지(210)에 두 개의 목재(40)가 탑재된 상태로 이송될 경우, 하나의 목재(40)보다는 높아지므로 적어도 하나의 목재(40)는 규제부재(160)에 걸려서 수용부(110a)로 다시 회수된다. 그리고 지지홈(212)에 삽입되어 지지되지 못하고, 캐리지들(210) 사이에 목재(40)가 올라탈 경우에도, 기준높이보다 높아지므로 규제부재(160)에 의해 잘못 탑재된 목재(40)는 회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급장치(100)에서 가공기계(10)로 공급되는 목재(40)는 일정한 공급단위로 일정한 간격에 의해 안정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체인들(121, 31)이 채용된 공급장치(100) 및 가공기계(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100)를 가공장치(10)에 연결하여, 가공기계(10)의 동력이 공급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력전달체인(138b)을 이용하여 구동 톱니바퀴(35)와 종동 톱니바퀴(138a)를 연결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벨트(151)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50) 의 풀리(155)와 제1회전샤프트(156)의 풀리(156)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가공기계(10)에 공급장치(100)를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10)의 수용부(110a)에 목재(40)를 다량 적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정렬되게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재시키는 것이 좋다.
이어서, 가공기계(1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면, 가공기계(10)의 동력에 의해 공급장치(100)가 구동된다. 즉, 이송체인(121)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회전롤러(141)는 이송체인(121) 주행방향의 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목재(40)를 정렬시킨다. 그러면, 수용부(110a)를 경유하는 이송체인(121)의 캐리지(210)의 지지홈(212) 각각에 목재들(40)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각 캐리지(210)에 지지된 목재들(40)은 이송체인(121)의 주행에 따라 본체(110)의 상측, 즉 도면의 왼쪽으로 이동하다가 다시 캐리지(210)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이때, 가공기계(10)의 피딩체인들(31)이 이송체인들(121)과 미리 설정된 톱니바퀴들(35,138a)의 회전비율에 따라서 일정한 속도로 주행한다. 따라서, 이송체인들(121)에서 일정 시간간격으로 떨어지는 목재들(40)은 상승구간에서 주행중인 피딩체인(31)의 캐리지(310)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피딩체인(31)으로 전달된 목재들(40)은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정해진 소정 가공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121)은 피딩체인(31)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 상태로 주행 되면서 목재(40)를 공급하더라도, 피딩체인(31)의 주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가이드부재들(51, 52)에 의해 목재(40)가 가이드 되면서 피딩체인(31)의 캐리지(310)로 자연스럽게 목재(40)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들(51, 52)은 목재의 길이에 따라서 서로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 및 접근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공할 목재(40)의 길이에 따라서 가이드부재들(51, 52)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목재(40)의 양단을 밀착시켜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딩체인들(3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공기계(10)에 마련된 가이더(70) 및 가이드레일(80)에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 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목재(40)를 안정되고 정확하게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가공부(20)에서의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목재들(40)을 공급하는 과정에 있어서, 한 쌍의 이송체인(121)을 이용하므로, 목재(40)의 두 지점 즉, 양단을 동시에 지지한 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목재(40)가 흔들리거나 비틀리지 않은 자세로 안정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체인들(121)을 포함하여 베이스 프레임(113)을 상향 경사지게 마련하여 주행시킴으로써, 목재(40)의 이동시 이송체인(121)에서 목재(40)가 이탈되더라도 하방향으로 굴러가서 수용부(110a)로 다시 회수될 수 있기 때문에, 기기가 동작 중에 멈추거나 별도의 작업자가 관찰하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이송체인(121)에 지지된 채 목재(40)가 이송되는 과정 중에도, 가이드프레임들(114,115)에 의해 목재(40)의 양단이 가이드 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목재(40)를 이송방향에 대해서도 일정한 폭의 범위 내에서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공기계(10)로 전달하는 과정이 용이하고, 가공기계(10)에서도 별도로 목재(40)의 길이방향으로의 정렬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체인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 및 생산이 가능하고, 다양한 폭으로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체인을 구성하는 핀을 결합시 링크의 외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체결시킴으로써, 체인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가공물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가공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소정 이송물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양단부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씩 배치되는 링크들; 및 상기 링크들 사이에 상기 캐리지가 개재되도록 상기 링크와 캐리지를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캐리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마련되며, 그 각각과 상기 캐리지와의 사이에 상기 링크들이 개재되도록 위치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링크들 및 상기 캐리지를 통과하여 연결시키는 핀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외측에 각각 밀착되며 상기 핀의 양단이 고정되는 보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그 각각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이송물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링크들 사이에 개재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물을 지지하는 지지홈; 및
    상기 몸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핀이 통과하는 한 쌍의 결합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링크에 밀착되며, 상기 핀이 통과하는 결합공을 가지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상하단 각각으로부터 상기 캐리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벽을 가지며,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절곡벽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어느 한 보조브라켓에 밀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연장되며 상기 보조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링크들 및 캐리지를 통과하는 원기둥부; 및
    상기 원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헤드의 반대쪽 보조브라켓을 통과한 뒤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용접에 의해 상기 보조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복 수개가 마련되며, 각각은 상기 링크와 교번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캐리지와 링크들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캐리지 및 상기 링크들에 형성된 결합공들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결합공들을 통과하는 원기둥부; 및
    상기 원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들을 통과한 뒤 반대쪽 링크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크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링크와 상기 고정부를 통과하여 결합시키는 누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50013952A 2005-02-21 2005-02-21 체인 KR10066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952A KR100663764B1 (ko) 2005-02-21 2005-02-21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952A KR100663764B1 (ko) 2005-02-21 2005-02-21 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157A KR20060093157A (ko) 2006-08-24
KR100663764B1 true KR100663764B1 (ko) 2007-01-03

Family

ID=3760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952A KR100663764B1 (ko) 2005-02-21 2005-02-21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85B1 (ko) * 2011-08-12 2012-05-07 공정식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자동 세척장치
KR102199957B1 (ko) * 2019-10-11 2021-01-07 김현욱 파이프 자동 천공장치
KR102524887B1 (ko) * 2020-12-14 2023-04-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제조용 이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용 이송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392U (ko) 1974-05-13 1975-11-20
JPS60248507A (ja) * 1984-05-25 1985-12-09 Koa Corp 電子部品搬送装置
JPS6414714U (ko) * 1987-06-30 1989-01-25
KR890008832U (ko) * 1987-10-13 1989-05-29 정형 체인 콘베이어의 스크레이퍼 (scraper) 취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392U (ko) 1974-05-13 1975-11-20
JPS60248507A (ja) * 1984-05-25 1985-12-09 Koa Corp 電子部品搬送装置
JPS6414714U (ko) * 1987-06-30 1989-01-25
KR890008832U (ko) * 1987-10-13 1989-05-29 정형 체인 콘베이어의 스크레이퍼 (scraper) 취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157A (ko)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5773B1 (en) Conveyor device with chain links driven by a toothed belt
CN1727176B (zh) 折叠糊盒机的折叠站和穿入站
KR101095839B1 (ko) 웜 샤프트 형상 가공 장치
KR960010226B1 (ko) 평평한 작업편을 직각분류하도록 설계된 십자방형으로 이동하는 전동식 운반용 볼을 갖춘 작업대
US7275897B2 (en) Drilling machine for panels
US7428858B2 (en) Feedworks device
US4260001A (en) Woodworking machines
JPS5822307B2 (ja) ザイモクオシアゲサイスンスルキカイ
KR100663764B1 (ko) 체인
KR100957003B1 (ko) 부품 공급 장치
FI83485C (fi) Sjaelvcentrerande matarmekanism foer en slipmaskin.
KR100524093B1 (ko) 목재 가공장치
US4750254A (en) Continuously operating one-sided formatting and edge shaping machine
US4750394A (en) Cutting machine for decoration chains
KR101676709B1 (ko) 쇼트볼 제조장치
KR20060098629A (ko)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CN116572584A (zh) 一种全自动可调式纸板开槽机
US3785416A (en) Lumber planer and crook eliminator
EP3838479A1 (en) Deburring machine for the finishing of elements made of wood, metal,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KR20050032537A (ko) 목재 피가공물 공급장치 및 목재 피가공물 공급방법
KR101120030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AU2021217507B2 (en) Sawing facility and method for sawing a sawing material
US6811022B2 (en) Log transport system
CN212946911U (zh) 一种可对中的导向进料装置及其双端面磨床
KR100628732B1 (ko) 목재 피가공물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