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629A -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629A
KR20060098629A KR1020050017846A KR20050017846A KR20060098629A KR 20060098629 A KR20060098629 A KR 20060098629A KR 1020050017846 A KR1020050017846 A KR 1020050017846A KR 20050017846 A KR20050017846 A KR 20050017846A KR 20060098629 A KR20060098629 A KR 20060098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mold
unit
processing apparatus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종규
Original Assignee
남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규 filed Critical 남종규
Priority to KR102005001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8629A/ko
Publication of KR2006009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02Smoothing, i.e. working one sid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12Arrangement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06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with non-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공급되는 목재를 소정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목재 가공장치에 있어서, 공급받은 목재를 지지한 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목재의 가공될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금형면을 가지는 금형유닛과; 이송유닛과 금형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가 개시된다.
목재, 가공장치, 공급장치, 금형, 연마

Description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A wood working apparatus and a wood work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가 목재 공급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재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급체인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공급체인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목재 가공기계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목재 가공기계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횡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금형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목재 가공장치 20..가공부
30..이송유닛 31..공급체인
40.목재 32,33..메인톱니바퀴
35..구동톱니바퀴 51,52..가이드부재
53..체인가이더 61..지지벨트
70..금형유닛 71..지지블록
72..금형부재 75..체결부재
76..조정부재 80..연마벨트
90..에어덕트 100..목재 공급장치
111,112..메인프레임 113..베이스 프레임
114,115..가이드프레임 120..공급유닛
121..공급체인 210,310..캐리지
130..구동수단 131,133..제1 및 제2톱니바퀴
135,137.제1 및 제2지지샤프트 138..메인 동력전달유닛
138a..종동 톱니바퀴 138b.. 동력전달체인
140..정렬유닛 141..회전롤러
142..동력전달유닛 151..동력전달벨트
152,153..제1 및 제2회전샤프트 154..연동벨트
155,156,157,158..풀리 160..규제부재
162..가이드바
본 발명은 공작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공작기계에서 가공될 공작물을 상기 공작기계로 공급할 수 있는 공작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의 종류는 대단히 많으나, 크게 나누면 범용(汎用)공작기계와 전용(專用)공작기계로 분류된다. 옛날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은 범용공작기계로, 가공물의 재질·종류 등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 가공할 수 있다. 절삭속도도 넓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가공방식도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가공조건을 선택하여 어떠한 것이라도 가공이 쉽게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전용공작기계는 단지 한 종류만 가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료의 설치·가공속도·이송속도 등 모두가 한 종류이며, 변화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전용기의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고 조작도 수월하며 경제적이므로, 대량생산용이다. 자동차의 엔진블록 가공용인 트랜스퍼머신도 여러 개의 전용기를 조합한 것으로, 규모는 상당히 크지만 전용기의 일종이다. 시계의 부품 제작용 자동기계도 전용기이다.
이와 같은 공작기계는, 주조(鑄造)·단조(鍛造) 등으로 만든 기계부품 즉, 금속 기계부품 등을 가공하는 기계를 말하며,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절삭기, 연삭기, 커터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제재(製材) 및 각종 목재가공에 사용되는 목공기계의 경우에는, 그 종류와 형식에 따라 목공선반, 띠톱기계, 둥근톱기계, 실톱기계, 기계대패, 루터, 드 릴링머신, 목형연마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예를 들어 상기 목형연마기(sander)는, 목형의 표면을 샌드 페이퍼로 다듬질할 때 쓰이는 기계로, 원반 또는 원통면에 샌드 페이퍼를 붙이고 이것을 회전시킴으로써 목형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샌더의 종류에는 벨트 샌더 ·디스크 샌더 ·스핀들 샌더 ·드럼 샌더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목형연마기와 같은 목재 가공장치는 공급되는 목재를 자동으로 가공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및 연속 가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가공장치로 목재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공급하느냐에 따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건비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통상의 호퍼에 다수의 피가공물을 넣은 상태에서, 하나의 피가공물씩 가공장치로 공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한편, 목재 가공장치의 경우, 가공툴이나 이송장치 등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가공할 목재의 크기 및 길이에 많은 제한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작고 가늘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목재 가공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수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가늘거나, 또는 짧은 길이의 목재 가공물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가공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목재의 가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재 가공장치는, 공급되는 목재를 소정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목재 가공장치에 있어서, 공급받은 목재를 지지한 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목재의 가공될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금형면을 가지는 금형유닛과;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금형유닛 사이로 주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벨트; 및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연마부재 및 상기 금형유닛 쪽으로 밀착시키는 지지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금형유닛은, 상기 목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과; 양단이 상기 지지블록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하면에 상기 금형면을 가지는 복수의 금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금형부재는, 상기 목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가공하도록 하는 금형면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금형부재는, 상기 목재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위치되는 제1금형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양측에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제1금형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금형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2금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금형유닛은,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금형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블록에 대해서 상기 금형부재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블록에 마련되는 조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금형부재는, 상기 금형면과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에어홀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금형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형부재의 에어홀로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연마벨트를 상기 금형부재의 금형면에 밀착시키는 에어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마벨트는, 상기 지지벨트와 상기 이송유닛의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지지벨트는, 상기 목재의 이송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주행하면서 상기 목재를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는, 공급되는 목재를 소정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목재 가공장치에 있어서, 공급받은 목재를 지지한 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목재의 가공될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금형면을 가지는 금형유닛과;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금형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연마부재 및 상기 금형유닛 쪽으로 밀착시키는 지지벨트; 및 상기 연마부재를 상기 금형유닛의 금형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에어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재 가공방법은, 공급되는 목재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할 목재의 표면형상에 대응되 는 금형면을 가지는 금형유닛을 상기 목재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목재를 지지한 채 상기 금형유닛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목재와 상기 금형면의 사이로 연마벨트를 주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목재를 상기 연마벨트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목재를 상기 연마벨트의 주행방향의 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재의 하측을 접촉 지지한 채로 상기 목재 이송방향으로 지지벨트를 상기 목재의 이송속도보다 더 빨리 주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마벨트와 상기 금형면 사이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연마벨트를 상기 금형면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금형유닛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금형면을 제공하는 복수의 금형부재를 상기 목재의 이송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목재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상기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대칭형 금형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금형부재의 자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10)가 목재 공급장치(10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목재 공급장치(100)는 목재 가공기계(장치)에서 가공될 목재를 소정 공급단위로 공급한다.
상기 가공장치(10)는 공급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목재를 가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공장치(10)가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목형연마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장치(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받은 목재(40)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20)와 지지본체(50) 사이에 목재(40)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30)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공장치(10)는 하기의 목재 곰급장치(100)를 먼저 설명한 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공급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목재(40) 공급유닛(120)과, 공급유닛(12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130)과, 공급될 목재(40)를 정렬시키는 정렬유닛(14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1,112)과, 메인프레임들(111,112)을 연결하는 베이스 프레임(113)을 구비한다. 각 메인프레임(111,112)에는 장치의 다리들(10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3)은 목재(40)의 이송시 이송유닛(120)의 가이드레일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3)은 수용부(110a)로부터 가공기계(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이송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40)를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14,115)을 더 구비한다. 각 가이드프레임(114,115)은 베이스 프레임(113)과 함께 다수의 공급될 목재(40)가 수용되는 수용부(110a)를 이루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4,115)은 베이스 프레임(113) 상에서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본체(110)에는 가이드프레임(114,115)을 지지하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샤프트(118,162)가 마련된다. 따라서, 목재(40)의 종류 즉, 길이에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114,11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가이드프레임(114,115) 사이에 이송유닛(120)이 주행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공급유닛(120)은 한 쌍의 공급체인(121)을 구비한다. 상기 공급체인들(121)은 본체(110)에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도록 설치된다. 즉, 두 공급체인(121)은 목재(40)의 길이방향 및 그 폭에 대응되도록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공급체인들(121)은 베이스 프레임(113)을 사이에 두고 주행되며, 주행시 베이스 프레임(113)의 상면을 레일로 이용하여 주행된다.
이러한 공급체인(121)은 수용부(110a)를 경유하여 가공장치(10)에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113)의 상단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주행되면서, 수용부(110a)에 마련된 목재들(40)을 순차적으로 적재하여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체인(1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210)와 캐리지(210)를 연결하는 링크(220)를 구비한다. 즉, 각 캐리지(210)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단은 링크(220)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캐리지(210)와 링크(220)는 핀(2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210) 각각은 상기 목재(40)가 끼워져 안착되는 지지홈(212)을 가진다. 상기 각 캐리지(210)의 지지홈들(212)은 공급체인(121)의 주행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공급체인들(121)의 주행시 각 지지홈(212)에 목재(40)의 양단이 각 각 끼워져 지지됨으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 개수의 공급단위로 목재(40)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단위는 목재(40)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인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지지홈(212)의 크기와 깊이는 목재(40)의 크기 및 두께를 고려하여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체인들(12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목재(40)의 양단부를 각각 동시에 지지한 채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목재(40)를 안정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들(121)에 지지된 채 이송되는 목재들(4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14,115)에 의해 정렬 및 가이드 되면서 이송되므로, 이탈됨이 없이 안정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인들(121)은 가이드프레임(114,115)과 마찬가지로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목재(40)의 길이에 따라 체인들(121)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목재(40)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공급체인(121)의 낮은 쪽을 각각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제1회전체(131)와, 상기 공급체인(121)의 높은 쪽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체(133)와, 상기 제1회전체(131)가 지지되는 제1지지샤프트(135)와, 제2회전체(1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샤프트(137) 및 가공기계(10)의 동력을 어느 한 회전체(133)로 전달하기 위한 메인 동력전달유닛(138)을 구비한다.
상기 제1회전체(131)는 수용부(110a)에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제1지지샤프트 (135)에 설치된다. 이 제1회전체(131)는 공급체인(121)을 일정한 속도 비로 주행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톱니바퀴(이하 제1톱니바퀴(131)라 함)를 포함한다. 이 제1톱니바퀴(131)는 제1지지샤프트(135)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톱니바퀴(131)의 위치결정시 조정나사(S)에 의해 위치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133)는 한 쌍의 톱니바퀴(이하 제2톱니바퀴(133)라 함)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톱니바퀴(133)는 제2지지샤프트(137)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제2톱니바퀴(133)도 조정나사(S)에 의해 고정 및 풀림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1지지샤프트(135)는 수용부(110a) 측에 치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샤프트(137)는 본체(110)의 상부 측에 즉, 제1지지샤프트(135)보다는 높고 가공장치(10) 쪽에 가까운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톱니바퀴(131)는 제1지지샤프트(135)와 함께 회전되며, 제2톱니바퀴(133)는 제2지지샤프트(137)와 함께 회전되면서 체인들(121)을 주행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동력전달유닛(138)은 제2지지샤프트(137)에 결합된 종동 톱니바퀴(138a)와, 상기 종동 톱니바퀴(138a)와 가공장치(10)의 이송유닛(30)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체인(138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30)은, 가공장치(10)의 지지본체(50) 상에 무한궤도상을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31)과, 상기 체인들(31)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메인톱니바퀴들(32,33)을 구비한다. 제1메인톱니바퀴들 (32)은 공급장치(100)와 인접한 곳에서 이송체인들(31)을 지지한다. 그리고 각 메인톱니바퀴(32,33) 중 어느 한 쪽은 미 도시된 메인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메인톱니바퀴(32)의 회전축(34)에는 구동 톱니바퀴(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톱니바퀴(35)에는 상기 동력전달체인(138b)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체인들(121)은 이송체인들(31)과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목재(40)의 공급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체인들(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310)와, 각 캐리지(31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링크(320) 및 보조브라켓(340)을 구비한다. 각 캐리지(310)의 양측에는 상기 링크(320)가 각각 밀착되며, 그 링크(320)의 외측에는 상기 보조브라켓(340)이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핀(330)이 한쪽으로부터 보조브라켓(340)과 링크(320) 및 캐리지(310)를 차례로 통과한 뒤, 반대쪽 링크(320)와 보조브라켓(340)을 통과하여 고정됨으로써, 캐리지(310)를 링크(320) 사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브라켓(340)을 이용하여 캐리지(310)를 링크(320)에 대해서 외측으로부터 밀착되게 지지함으로써, 캐리지(310)가 흔들리거나 떨리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핀(330)은 보조브라켓(34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핀(330)은 보조브라켓(340)에 대해 미 도시된 누드 핀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리지(310)는 공급유닛(120)에 의해 공급된 목재(40)를 전달받아 지지하는 지지홈(312)을 가진다. 또한, 캐리지들(310)은 서로 인접하지 않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캐리지들(310) 사이에는 복수의 링크들 (320)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급체인(121)과는 달리 캐리지들(310)의 간격이 더 멀더라도, 상기 톱니바퀴들(35)(138a)의 회전비를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공급체인(121)에 의해 조밀한 간격으로 공급되는 목재들(40)을 이송체인(31)의 캐리지(310)로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 톱니바퀴(35)의 톱니 수를 종동 톱니바퀴(138a)의 톱니 수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공급체인(121)의 주행속도를 이송체인(31)보다 느리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목재(40)를 정확하고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특히, 공급장치(100)의 동력을 가공장치(10)의 이송유닛(30)으로부터 전달받아 종동시킴으로써, 목재(40)의 전달속도 및 전달위치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체인들(121,123)과 이송체인(31)이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서로 목재(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각 체인들(121)(31)이 회전축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각 캐리지(210)(310)가 회전축 방향에 대해 서로 소정량 오버랩 되면서 주행하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체인(121)은 목재(40)를 탑재한 채로 주행하여 최상단부에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목재(40)를 떨어뜨리게 되고, 이송체인(31)은 상승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떨어지는 목재(40)를 전달받게 된다. 이를 위해, 두 캐리지(210)(3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면서 이동되고, 서로 일정량 오버랩될 때 목재(40)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a)에 수용된 목재들(40)을 정렬시켜서 공급유닛(120) 쪽으로 안내하는 정렬유닛(1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유닛(140)은 수용부(110a)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141)와, 가공기계(10)로부터 동력을 회전롤러(141)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유닛(14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롤러(141)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4,115) 각각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좋다. 이 회전롤러(141)는 목재(40)의 길이에 따라서 가이드프레임들(114,115)의 간격을 조절할 때, 그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회전롤러로 교체 가능하도록, 가이드프레임(114,11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 회전롤러(141)는 공급체인(121)의 주행방향에 대해 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위에 쌓인 목재들(40)을 튕기거나, 마찰을 일으켜 줌으로서 목재들(40)을 바르게 정렬시키고, 공급체인(121)으로 탑재되도록 목재들(40)을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롤러(141)는 가공장치(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되, 후술할 지지벨트(61)를 구동시키는 회전샤프트(62,63) 중 어느 한 회전샤프트(63)로부터 전달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샤프트(63)의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유닛(142)을 이용하여 회전롤러(141)로 전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142)은,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벨트(151)와, 제1 및 제2회전샤프트(152,153), 한 쌍의 연동벨트(154)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벨트(151)는 회전샤프트(63)의 동력을 제1회전샤프트(152)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샤프트(63)와 제2회전샤프트(152) 각각에는 동력전달벨트(151)가 연결되는 풀리(155,156)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샤프트(153)는 회전롤러(141)를 사이에 두고 제1회전샤프트(152)와 상하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샤프트(152,153) 각각의 대략 중앙부위에는 상기 연동벨트(154)가 지지되는 지지풀리(157)(158)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벨트(154)는 상하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회전롤러(141)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연동벨트(154)의 회전시 회전롤러(141)가 연동 회전되면서, 수용부(110a)의 목재들(40)을 정렬시키고, 공급체인(121)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러한 연동벨트(154)는 회전롤러(141)를 공급체인(121) 주행방향의 순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공급체인들(121)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톱니바퀴(131) 및 제2톱니바퀴(133)를 각 지지샤프트(135,137) 각각에 대해서 고정하거나, 해제시키는 조정나사들(S)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급체인(121)에 탑재되어 상향 이송되어 가공기계(10)로 전달되는 목재(40)의 공급단위 즉,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1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규제부재(160)는 공급체인(121)의 주행 경로 상에서 최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의 상측에 배치되며, 본체(110)에 설치되는 가이드바(16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규제부재(160)는 가이드바(16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재(164)에 의해 위치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된다. 이 규제부재(160)도 공급체인(121) 각각의 대응되는 상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다른 예로서는 가이드프레임(114,115) 각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프레임(114,115)과 함께 규제부재(160)의 위치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규제부재(160)에 의하면, 예를 들어, 공급체인(121)의 하나의 캐리지(210)에 두 개의 목재(40)가 탑재된 상태로 이송될 경우, 하나의 목재(40)보다는 높아지므로 적어도 하나의 목재(40)는 규제부재(160)에 걸려서 수용부(110a)로 다시 회수된다. 그리고, 지지홈(212)에 삽입되어 지지되지 못하고, 캐리지들(210) 사이에 목재(40)가 올라탈 경우에도, 기준높이보다 높아지므로 규제부재(160)에 의해 잘못 탑재된 목재(40)는 회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급장치(100)에서 가공장치(10)로 공급되는 목재(40)는 일정한 공급단위로 일정한 간격에 의해 안정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공장치(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목재(40)를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받은 목재(40)를 지지한 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30)과, 목재(40)의 가공될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금형면을 가지는 금형유닛(70)과, 이송유닛(30)과 상기 금형유닛(70) 사이로 주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목재(40)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벨트(80), 상기 이송유닛(30)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연마벨트(80)와, 상기 금형유닛(70) 쪽으로 밀착시키는 지지벨트(61) 및 에어덕트(90)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유닛(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송체인(31)과, 이송체인(31)을 회전 주행시키는 톱니바퀴들(32,33)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체인들(31) 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캐리어(310)를 가짐으로써, 목재(40)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한 채 이송시킨다.
상기 금형유닛(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31)의 상부에 복수개가 목재 이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각 금형유닛(70)의 상부에는 상기 에어덕트(90)가 배치된다.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유닛(70)과 이송체인(31) 사이에는 연마벨트(80)가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마벨트(80)는 가공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드럼(82)에 지지된 채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되, 이송체인(31)의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주행된다. 상기 연마벨트(80)는 목재(40)와 접촉되는 외측면에 소정 연마물질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연마벨트(80)가 목재(40)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주행되면서, 목재(40)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금형유닛(7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71)과, 양단이 상기 지지블록(71)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금형부재(72)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금형부재(72)는, 목재(40)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가공하도록 하는 금형면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금형부재(72)는, 목재(40)의 길이방향으로 중간(C)에 위치되는 제1금형부재(73)와, 상기 제1금형부재(73)의 양측에 각각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금형부재(74)를 구비한다. 상기 제1금형부재(73)는 상기 중심(C)을 기 준으로 대칭되는 소정 형상의 금형면(73a)을 가진다. 그리고, 한 쌍의 제2금형부재(74)는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현상의 금형면(74a)을 가진다. 이와 같이, 금형부재들(72)이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금형면을 가짐으로서, 사기 목재(40)의 길이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목재(40) 표면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금형유닛(70)은, 지지블록(71)과, 금형부재들(72)을 체결하는 체결부재(75)와, 지지블록(71)에 대해서 금형부재(72)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지지블록(71)에 설치되는 조정부재(7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재(75)는 지지블록(71)과 금형부재(72)를 통과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정부재(72)는 지지블록(71)에 나사결합되되, 단부가 상기 금형부재들(72)의 상면에 접촉되는 조정볼트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 즉, 체결부재(75)로 금형부재(72)를 지지블록(71)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조정부재(72)를 회전시키면, 조정부재(72)의 단부가 금형부재(72)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금형부재(75)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75)의 체결깊이를 조정하여서 각 금형부재들(73,74)의 금형면(73a,74a)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블록(71)과 금형부재들(72)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금형부재들(72)은 지지블록(71)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므로, 가공할 목재(40)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금형부재들(72)로 교체하여 채용할 수 있다. 또는, 금형유닛(70) 자체를 복수개 마련하여, 선택적으로 가공장치(10)에 채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지지블록(71)에는 가공장치(10)의 소정 위치에 체 결시키기 위한 체결공(71a)이 양단에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블록(71)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71b)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71b)으로 체결부재(75)가 통과하여 금형부재들(72)과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들(75)이 슬롯(71b)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므로, 금형부재들(73,74)의 간격 및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길이의 목재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금형부재들(73,74) 각각에는 상면 및 하면으로 관통하도록 복수의 에어홀(77)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덕트(90)가 상기 금형유닛(7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에어덕트(90)는 소정의 에어펌프(P)가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상기 에어홀(77)을 통해 에어덕트(90)의 흡입력이 연마벨트(80)의 상면으로 제공됨으로써, 연마벨트(80)는 금형부재들(73,74)의 금형면(73a,74a)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연마벨트(80)가 금형면(73a,74a)에 밀착됨으로써, 목재(40)의 표면을 금형면(73a,74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마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공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홀(77)을 통해 에어덕트(90)로 공기가 흡입되므로, 연마벨트(80)의 마찰열을 공기로 냉가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벨트(61)는 이송체인(31)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목재(40)를 연마벨트(80) 및 금형유닛(70) 쪽으로 밀착시킨다. 또한, 지지벨트(61)는 이송체인(31)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하면서, 목재(40)를 회전시킴으로써, 목재(40) 의 표면이 골고루 연마벨트(80)에 접촉되어 연마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 지지벨트(61)는 상술한 한 쌍의 회전샤프트(62,63)에 설치된 지지풀리(64,65)에 지지되어 주행된다. 여기서, 지지벨트(61)는 이송체인들(31)사이에 두 개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체인들(31)은 서로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이송체인(31)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지지벨트(61) 중 어느 하나만 이송체인들(3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장치(10)를 이용하여 목재(40)를 가공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목재를 가공장치(10)로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한 뒤, 목재의 가공방법을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100)를 가공장치(10)에 연결하여, 가공장치(10)의 동력이 공급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력전달체인(138b)을 이용하여 구동 톱니바퀴(35)와 종동 톱니바퀴(138a)를 연결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벨트(151)를 이용하여 회전샤프트(63)의 풀리(155)와 제1회전샤프트(156)의 풀리(156)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가공장치(10)에 공급장치(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10)의 수용부(110a)에 목재(40)를 다량 적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정렬되게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재시키는 것이 좋다.
이어서, 가공장치(1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면, 가공장치(10)의 동력에 의해 공급장치(100)가 구동된다. 즉, 공급체인(121)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회전 롤러(141)는 공급체인(121) 주행방향의 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목재(40)를 정렬시킨다. 그러면, 수용부(110a)를 경유하는 공급체인(121)의 캐리지(210)의 지지홈(212) 각각에 목재들(40)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각 캐리지(210)에 지지된 목재들(40)은 공급체인(121)의 주행에 따라 본체(110)의 상측, 즉 도면의 왼쪽으로 이동하다가 다시 캐리지(210)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이때, 가공장치(10)의 이송체인들(31)이 공급체인들(121)과 미리 설정된 톱니바퀴들(35,138a)의 회전비율에 따라서 일정한 속도로 주행한다. 따라서, 공급체인들(121)에서 일정 시간간격으로 떨어지는 목재들(40)은 상승구간에서 주행중인 이송체인(31)의 캐리지(310)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이송체인(31)으로 전달된 목재들(40)은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정해진 소정 가공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체인(121)은 이송체인(31)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 상태로 주행되면서 목재(40)를 공급하더라도, 이송체인(31)의 주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가이드부재들(51,52)에 의해 목재(40)가 가이드 되면서 이송체인(31)의 캐리지(310)로 자연스럽게 목재(40)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들(51, 52)은 목재의 길이에 따라서 서로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 및 접근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공할 목재(40)의 길이에 따라서 가이드부재들(51,52)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목재(40)의 양단을 밀착시켜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들(31)은 가공장치(10)에 마련된 체인가이더(52)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가공부(20)에서의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가이더(53)는 이송체인들(31)의 위치 이동시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송체인들(31)의 캐리지(310)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목재(40)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51,5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이송된다. 따라서, 목재(40)는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부재(51,52)도 이송체인들(31)의 간격 조절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목재들(40)이 이송체인(31)의 캐리지(310)로 순차적으로 옮겨진 상태로 이송된다. 그리고 지지벨트(61)는 이송체인(31)과 동일한 방향으로 더 빠른 속도로 주행하면서, 목재(40)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연마벨트(80)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연마벨트(80)가 목재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목재(40)의 표면을 연마한다. 이 때, 상기 연마벨트(80)는 에어덕트(90)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금형부재들(73,74)의 금형면(73a,74a)에 밀착된 상태로 주행됨으로써, 목재(40)의 표면은 금형면(73a,74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마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금형면(73a,74a)이 목재(40) 길이방향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목재(40)는 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현상으로 가공된다.
상기와 같이 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가공된 목재(40)는 중심(C)을 절단하는 공정을 통해서 두개의 동일한 가공물이 된다.
즉, 하나의 목재(40)를 이용하여 결국 복수의 가공물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제 얻고자 하는 가공물의 길이가 짧을 경우, 하나의 목재를 가공하여 하나의 단위 가공물을 얻기 힘든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목재(40)를 소정 기준 즉, 중심(C)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복수개의 단위로 동시에 가공하게 되면, 중심(C)이 되는 부분을 절단하는 공정을 통해 여러 개의 짧은 가공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결국, 길이가 짧은 목재 가공물을 가공하는데 있어서, 정밀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재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목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공물을 얻을 수 있도록 가공할 수 있다.
즉, 금형유닛의 금형면을 자유롭게 변경 및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목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대칭되는 가공표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공된 목재의 대칭부분들을 절단하는 공정을 통해 하나의 가공된 목재로부터 복수의 가공물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얻고자 하는 가공물의 길이가 짧더라도 용이하게 가공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생산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공급되는 목재를 소정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목재 가공장치에 있어서,
    공급받은 목재를 지지한 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목재의 가공될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금형면을 가지는 금형유닛과;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금형유닛 사이로 주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벨트; 및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연마부재 및 상기 금형유닛 쪽으로 밀착시키는 지지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유닛은,
    상기 목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과;
    양단이 상기 지지블록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하면에 상기 금형면을 가지는 복수의 금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형부재는,
    상기 목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가공하도록 하는 금형면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형부재는,
    상기 목재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위치되는 제1금형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양측에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제1금형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금형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2금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유닛은,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금형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블록에 대해서 상기 금형부재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블록에 마련되는 조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재는, 상기 금형면과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에어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형부재의 에어홀로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연마벨트를 상기 금형부재의 금형면에 밀착시키는 에어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벨트는,
    상기 지지벨트와 상기 이송유닛의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목재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벨트는, 상기 목재의 이송속도보다 더 빨리 주행하면서 상기 목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10. 공급되는 목재를 소정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목재 가공장치에 있어서,
    공급받은 목재를 지지한 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목재의 가공될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금형면을 가지는 금형유닛과;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금형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연마부재 및 상기 금형유닛 쪽으로 밀착시키는 지지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를 상기 금형유닛의 금형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에어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유닛은,
    상기 목재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장치.
  14. 공급되는 목재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할 목재의 표면형상에 대응되는 금형면을 가지는 금형유닛을 상기 목재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목재를 지지한 채 상기 금형유닛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목재와 상기 금형면의 사이로 연마벨트를 주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목재를 상기 연마벨트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를 상기 연마벨트의 주행방향의 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재의 하측을 접촉 지지한 채로 상기 목재 이송방향으로 지지벨트를 상기 목재의 이송속도보다 더 빨리 주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벨트와 상기 금형면 사이에 흡입력 을 제공하여 상기 연마벨트를 상기 금형면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방법.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유닛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금형면을 제공하는 복수의 금형부재를 상기 목재의 이송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목재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상기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대칭형 금형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금형부재의 자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방법.
KR1020050017846A 2005-03-03 2005-03-03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KR20060098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46A KR20060098629A (ko) 2005-03-03 2005-03-03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46A KR20060098629A (ko) 2005-03-03 2005-03-03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629A true KR20060098629A (ko) 2006-09-19

Family

ID=3763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846A KR20060098629A (ko) 2005-03-03 2005-03-03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86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42B1 (ko) * 2013-06-07 2014-10-13 선경창호주식회사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KR20210050743A (ko) 2019-10-29 2021-05-10 (유)명진테크 자동 사면 대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42B1 (ko) * 2013-06-07 2014-10-13 선경창호주식회사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KR20210050743A (ko) 2019-10-29 2021-05-10 (유)명진테크 자동 사면 대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0001A (en) Woodworking machines
CN101583463B (zh) 棱柱状构件的研磨装置
KR101304976B1 (ko)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US6142050A (en) Cutting machine for elongate workpieces
JPS5822307B2 (ja) ザイモクオシアゲサイスンスルキカイ
KR101870258B1 (ko) 무한궤도 방식의 연마장치
CN211806654U (zh) 一种密度纤维板生产加工用裁切设备
KR100524093B1 (ko) 목재 가공장치
KR100663764B1 (ko) 체인
EP0879677B1 (en) A planing machine
KR20060098629A (ko)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US6220940B1 (en) Micro-finishing apparatus
CN111469230A (zh) 一种多功能数控精铣机
CN201371406Y (zh) 弧面打磨抛光机
KR20060104784A (ko)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CA1145944A (en) Abrasive grinding machine
KR101469743B1 (ko) 석재 모서리 가공장치
US4685845A (en) Guide pad resurfacing apparatus
CN210308140U (zh) 一种本子裁切机
KR20050032537A (ko) 목재 피가공물 공급장치 및 목재 피가공물 공급방법
KR100627132B1 (ko)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CN212946911U (zh) 一种可对中的导向进料装置及其双端面磨床
KR100628732B1 (ko) 목재 피가공물 공급장치
CN220198153U (zh) 切割总成及开方机
CN211806746U (zh) 一种用于密度纤维板生产的旋转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