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942B1 -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 Google Patents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942B1
KR101447942B1 KR1020130065430A KR20130065430A KR101447942B1 KR 101447942 B1 KR101447942 B1 KR 101447942B1 KR 1020130065430 A KR1020130065430 A KR 1020130065430A KR 20130065430 A KR20130065430 A KR 20130065430A KR 101447942 B1 KR101447942 B1 KR 10144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utting
unit
bor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칠영
Original Assignee
선경창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경창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경창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5/00Boring or turning tools; Au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2Cylinder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3/00Drilling machines or drilling devices; Equipment therefor
    • B27C3/04Stationary 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9/00Multi-purpose machines; Universal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9/00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 B27G19/02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for circular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는, 전체적인 무게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위치하고, 피가공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양측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피가공물 또는 절단부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절단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피가공물 이송부;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에서 절단된 피가공물을 이송받은 후 상기 피가공물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링부; 및 상기 적재부 및 보링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WOOD BORING MACHINE CAPABLE OF DOUBLE SLICING}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공작물의 내부 구멍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는 목공 보링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의 양측면을 동시에 절단한 후 상기 목재에 구멍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고, 목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공 기계는 목재의 절삭, 절단, 구멍뚫기, 홈파기 등의 목재를 가공하는 기계를 이르는 것으로, 일반 금속 가공용 공작 기계와 동일한 가공 방식을 갖도록 구성되지만, 금속 대신 목재를 가공한다는 점에서 공작기계와는 별도로 목공 기계로 구별된다.
이러한 목공 기계는 일반 가구나 싱크대 등에 사용되는 목재를 가공하는 전단기, 보링기, 벤딩기 등의 종류가 있으며, 특히 목재를 이용한 가구 등의 조립을 위해 목재 패널에 구멍을 천공하는 목공 보링 기계가 널리 사용된다.
목공 보링 기계는 일반적으로 한번에 여러 개의 구멍을 가공할 수 있도록 다축 보링 기계가 사용되는데, 다축 목공 보링 기계는 다수개의 작동 드릴 모듈이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특정 위치의 작동 드릴 모듈을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목재 패널에 구멍이 천공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목공 보링 기계는 통상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식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식이 대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끝단에 바이트가 장착되어 공작물의 내부 구멍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공하게 되는데, 상기 내부 구멍의 내벽이 수직 혹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면 수직 혹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내부 구멍을 가공하게 되는 것에 문제가 없지만, 가공될 목재가 비스듬하게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목재의 경사에 대응하여 가공하기가 쉽지 않아 정밀 가공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목공 보링 기계는 다수개의 작동 드릴 모듈을 회전 구동시키고, 특정 위치의 작동 드릴 모듈을 직선 이동시키는 등의 작동 수단이 필요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지며, 목재의 절단 및 보링 가공시 이러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목재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면에 보링공을 형성하려는 경우에, 상기 목재를 절단하고 위치를 변경하여 보링공을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위치 이동 및 고정 작업에 시간이 소요되며 그로 인해 가공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재의 양측면을 동시에 절단한 후 상기 목재에 구멍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고, 또한 목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재의 위치 이동 및 고정 작업에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재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절단 및 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는, 전체적인 무게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위치하고, 피가공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양측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 상기 적재부의 일측 및 상기 절단부의 하부에 대칭되게 위치하고,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피가공물 또는 절단부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절단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피가공물 이송부;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에서 절단된 피가공물을 이송받은 후 상기 피가공물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링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 고정프레임에 인접되게 위치하고, 상기 적재부 및 보링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압축공기의 배기 또는 공급에 의해 행정거리가 변함으로써 구동력을 제공하는 에어실린더; 상기 에어실린더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거리 이동되는 절단모터; 및 상기 절단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수단으로 하여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은 회전톱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링부는, 컴프레셔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실린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천공모터; 및 상기 천공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가공물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피가공물을 일측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제1 이송 공압실린더; 및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와 인접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어 절단된 피가공물을 타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 공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는 상기 피가공물을 고정 지지하는 제1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링부는 상기 천공모터의 양측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천공모터의 하측면과 결합되고,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천공모터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천공모터에 구비된 수용구멍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이동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디지털화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화한 표시수단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회전비만큼 상기 이동 위치가 수치화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는, 목재의 양측면을 동시에 절단한 후 상기 목재에 구멍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고, 또한 목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한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는, 목재의 위치 이동 및 고정 작업에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가공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한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는, 목재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절단 및 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배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에서 목공 보링 기계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간략히 표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에서,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배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에서 목공 보링 기계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간략히 표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에서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는 목재의 절삭, 절단, 구멍뚫기, 홈파기 등의 목재를 가공하는 기계를 이르는 것으로, 일반 금속 가공용 공작 기계와 동일한 가공 방식을 갖도록 구성되지만, 금속 대신 목재를 가공한다는 점에서 공작기계와는 별도로 목공 기계로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는 피가공물(50)의 양측을 동시에 절단하고, 또한, 동시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 바, 하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어느 일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면 타측에 구비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설명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는 고정프레임(100), 절단부(200), 보링부(300), 적재부(400), 피가공물 이송부(500), 간격조절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상기 목공 보링 기계의 전체적인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목공 보링 기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하면 고정프레임(110) 및 측면 고정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 고정프레임(110)은 상기 목공 보링 기계의 하중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면 고정프레임(110)은 상기 목공 보링 기계의 하측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프레임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에 의해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면 고정프레임(110) 상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보링부(300), 간격조절부(600), 제어부(700) 등이 설치되고, 목재의 절단이나 보링 작업 수행 시 상기 보링부(300), 간격조절부(600), 제어부(700) 등의 구성요소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120)은 상기 목공 보링 기계의 하중을 측면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120)은 상기 하면 고정프레임(110)의 일 측면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목공 보링 기계의 측면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프레임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에 의해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120) 상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절단부(200) 등이 설치되고, 목재의 절단이나 보링 작업 수행 시 상기 절단부(200) 등의 구성요소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200)는 하기에서 설명될 적재부(400)에 적재되어 있는 피가공물(50), 예를 들어, 목재를 양측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상하 방향의 이동 방향에 따라 피가공물(50)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변경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절단부(200)는 에어실린더(210), 절단모터(220) 및 절단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210)는 상기 절단모터(220) 및 절단수단(2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210)는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120)의 양측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210)의 작동원리는 압축공기의 배기 또는 공급에 의해 실린더의 행정거리가 변함으로써 작업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목공 보링 기계에서는 절단모터(220) 및 절단수단(230)을 일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에어실린더(210)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절단모터(220)는 상기 에어실린더(21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실린더(2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절단모터(220)는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700)의 ON/OFF 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절단모터(220)는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12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700)의 전기적인 인가에 의한 회전력을 절단수단(2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절단모터(2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모터(220)는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120) 상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가공물(50)을 절단하기 위한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230)은 상기 피가공물(5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피가공물(50)을 절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230)은 전달받은 상기 절단모터(220)의 회전력을 구동수단으로 하여 상기 피가공물(50)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230)은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50)을 절단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단수단(230)은 회전톱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톱니는 외주면상에 날카롭게 돌출된 톱날을 구비하고, 상기 톱날은 상기 절단모터(22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50)을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보링 기계에서 상기 절단부(200)는 보호커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40)는 상기 절단수단(23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절단수단(230)의 회전력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보호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커버(240)는 상기 절단수단(23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사각의 판상으로 구성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절단수단(230)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절단수단(230)의 회전을 확보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보링 기계는 상기 하면 고정프레임(110) 상에 절단수단 간격조절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 간격조절부(250)는 전기적인 신호의 인가에 의해 일측 절단부(200)를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보링 기계에서 상기 절단부(200)의 절단수단(230)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절단수단 간격조절부(250)에 의한 전기적인 인가에 의해 조절되거나, 또는 상기 하면 고정프레임(110) 상에 구비되는 조절나사(25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절단수단 간격조절부(250)의 스위치를 눌러 상기 절단수단(2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거나, 상기 조절나사(255)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단수단(2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링부(300)는 상기 피가공물(50)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피 가공물의 외측에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링 기계에서 상기 보링부(300)는 상기 피가공물(50)의 절단 후, 상기 피가공물(50)의 절단면 상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피가공물(50)의 절단면 외의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보링부(300)는 공압실린더, 천공모터(320) 및 드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는 컴프레셔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공압실린더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압실린더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기 천공모터(320)와 연결되어 상기 천공모터(320)를 일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천공모터(320)는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700)의 ON/OFF 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천공모터(320)는 상기 피가공물(50)의 외측에 대칭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700)의 전기적인 인가에 의한 회전력을 드릴(3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천공모터(320)는 상기 절단모터(220)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릴(330)은 상기 천공모터(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가공물(50)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릴(330)은 상기 천공모터(320)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5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릴(330)은 드릴날(3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릴날(335)은 송곳 모양으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외주면상이 나선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피가공물(50)에 효율적으로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보링 기계는 상기 보링부(300)는 드릴상하간격조절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드릴상하간격조절부(25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보링부(300)에 구비된 드릴(3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드릴상하간격조절부(340)는 상기 피가공물(50)에 천공되는 구멍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드릴상하간격조절부(340)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드릴상하간격조절부(340)는 이동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디지털화한 표시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릴상하간격조절부(34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회전비만큼 상기 드릴상하간격조절부(340)의 이동거리를 수치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원리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적재부(400)는 절단 및 보링 작업을 준비하기 위한 상기 피가공물(50), 예를 들어, 목재가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적재부(400)의 일 측단에는 피가공물(50)의 일측 단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단부간격조절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부간격조절부(420)는 피가공물(50)을 절단 및 보링하기 위하여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피가공물(50)의 일단과 상하로 절단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피가공물(50)의 일단을 상기 단부간격조절부(420)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가공물(50)의 일단을 평평하게 절단한 후 상기 적재부(400)에 목재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단부간격조절부(420)는 이동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디지털화한 표시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부간격조절부(42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회전비만큼 상기 단부간격조절부(420)의 이동거리를 수치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원리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적재부(400)는 플레이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10)는 상기 피가공물(50)이 위치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의 피가공물(50)이 적재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10)는 목재가 놓여지는 가운데 부분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데, 상기한 구성은 피가공물(50)이 절단된 후 보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피가공물 이송부(500)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플레이트(410)는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절곡된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500)는 상기 절단부(200)에 의해 절단된 피가공물(50)에 보링 작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단부(200)에 의해 양측이 절단된 피가공물(50)은 이후 보링 작업이 수행되게 되는데,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500)는 절단된 피가공물(50)을 상기 천공모터(320)(또는, 드릴(330))와 동축상에 위치하게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500)는 제1 이송 공압실린더(510) 및 제2 이송 공압실린더(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510)는 상기 적재부(400)에 적재된 피가공물(50)을 후면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400)에 적재된 피가공물(50)은 상기 적재부(400)의 플레이트(410)와 일정 간격 이격 공간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510)는 상기 피가공물(50)을 후면 방향으로 밀착 고정함으로써, 상기 피가공물(50)이 흔들림 없이 절단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510)는 통상의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고, 제1 고정판(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판(515)은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5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평평한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판(515)은 상기 피가공물(50)이 밀착되는 것을 좀더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절단 작업시 상기 피가공물(50)이 심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 공압실린더(520)는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510)와 인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 공압실린더(520)는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510)에 의해 후면 방향으로 이송되어 밀착된 상기 피가공물(50)을 전면 방향으로 다시 이송시켜 상기 피가공물(50)을 상기 천공모터(320)와 동축 상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 공압실린더(520)는 통상의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510)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기 피가공물(50)을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600)는 상기 보링부(300)를 전, 후 방향으로 일정거리 미세 간격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600)는 상기 천공모터(320)의 하측면과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간격조절부(60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천공모터(320)가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조절부(600)는 상기 천공모터(320)의 하측면에 형성된 수용구멍(630)과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작업자가 상기 간격조절부(60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간격조절부(600)의 회전수 또는 회전비율만큼 상기 천공모터(320)가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디지털화된 표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조절부(600)와 천공모터(320)의 회전비율을 2:1의 숫자 비율로 구성한다면, 작업자가 상기 간격조절부(600)를 숫자 0에서 2로 바꾸면 상기 천공모터(320)는 숫자 1의 변화가 생기도록 디지털화된 표시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간격조절부(6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천공모터(320)를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가공물(50)에 천공되는 구멍의 형성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600)는 손잡이부(610) 및 나사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10)는 작업자가 상기 간격조절부(600)를 일정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61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어떠한 손잡이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나사부(620)는 일정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천공모터(320)를 일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사부(620)는 상기 천공모터(320) 하측면에 형성된 수용구멍(630)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부(62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비율만큼 상기 천공모터(320)를 일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보링 기계에서 상기 간격조절부(600)의 구성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면 고정프레임(110) 상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조절부(600)는 상기 하면 고정프레임(110) 상에 위치하고, 상기 천공모터(320)의 하측과 결합되어 상기 천공모터(320)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데,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천공모터(320)간의 좌우 방향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목공 보링 기계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목공 보링 기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복수개의 선택스위치(71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선택스위치(710)의 ON/OFF 동작에 의해 상기 목공 보링 기계가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보링 기계에서 상기 제어부(700)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구성인 바, 작동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보링 기계의 작동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400) 상에 절단 및 보링 가공하기 위한 피가공물(50)을 적재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700)의 선택스위치(710)를 선택하여 누르면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터가 작동하여 상기 피가공물(50)을 후면 방향으로 고정 밀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200)의 절단모터(22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가공물(50)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보링 작업을 수행할 피가공물(50)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이송 공압실린더(520)가 작동하여 상기 피가공물(50)을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구멍을 천공할 상기 피가공물(50)을 상기 천공모터(320)와 동축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천공모터(320)가 상기 피가공물(5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천공모터(320)에 형성된 드릴(330)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가공물(50)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목공 보링 기계 100; 고정프레임
110; 하면 고정프레임 120; 측면 고정프레임
200; 절단부 210; 에어실린더
220; 절단모터 230; 절단수단
240; 보호커버 300; 보링부
310; 공압실린더 320; 천공모터
330; 드릴 335; 드릴날
400; 적재부 410; 플레이트
500; 피가공물 이송부 510; 제1 이송 공압실린더
515; 제1 고정판 520; 제2 이송 공압실린더
600; 간격조절부 610; 손잡이부
620; 나사부 630; 수용구멍
700; 제어부 710; 선택스위치
50; 피가공물

Claims (11)

  1. 전체적인 무게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위치하고, 피가공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양측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
    상기 적재부 일측 및 상기 절단부 하부에 대칭되게 위치하고,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피가공물 또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절단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피가공물 이송부;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에서 절단된 피가공물을 이송받은 후 상기 피가공물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링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 고정프레임과 인접되게 위치하고, 상기 적재부 및 보링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압축공기의 배기 또는 공급에 의해 행정거리가 변함으로써 구동력을 제공하는 에어실린더;
    상기 에어실린더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거리 이동되는 절단모터; 및
    상기 절단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수단으로 하여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회전톱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링부는,
    컴프레셔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실린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천공모터; 및
    상기 천공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가공물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 이송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피가공물을 일측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제1 이송 공압실린더; 및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와 인접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어 절단된 피가공물을 타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공압실린더는 상기 피가공물을 고정 지지하는 제1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링부는 상기 천공모터의 양측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천공모터의 하측면과 결합되고,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천공모터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천공모터에 구비된 수용구멍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이동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디지털화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화한 표시수단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회전비만큼 상기 이동 위치가 수치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보링 기계.
KR1020130065430A 2013-06-07 2013-06-07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KR10144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430A KR101447942B1 (ko) 2013-06-07 2013-06-07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430A KR101447942B1 (ko) 2013-06-07 2013-06-07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942B1 true KR101447942B1 (ko) 2014-10-13

Family

ID=5199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430A KR101447942B1 (ko) 2013-06-07 2013-06-07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7362A (zh) * 2020-11-16 2021-03-16 陈四文 一种建材用圆木削边成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905A (ja) * 1992-02-25 1993-09-07 Kobayashi Gimune Seisakusho:Kk 木工用深孔穿孔機におけるドリル支受装置
JPH09254101A (ja) * 1996-03-25 1997-09-30 Marunaka Tekkosho:Kk 木工用孔明け加工装置
KR20060098629A (ko) * 2005-03-03 2006-09-19 남종규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US20090188584A1 (en) 2008-01-30 2009-07-30 Lewis E Stepp Wood Wor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905A (ja) * 1992-02-25 1993-09-07 Kobayashi Gimune Seisakusho:Kk 木工用深孔穿孔機におけるドリル支受装置
JPH09254101A (ja) * 1996-03-25 1997-09-30 Marunaka Tekkosho:Kk 木工用孔明け加工装置
KR20060098629A (ko) * 2005-03-03 2006-09-19 남종규 목재 가공장치 및 목재 가공방법
US20090188584A1 (en) 2008-01-30 2009-07-30 Lewis E Stepp Wood Work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7362A (zh) * 2020-11-16 2021-03-16 陈四文 一种建材用圆木削边成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5959B1 (en) Machine tool with lathe tool and scraping cutter
EP2745968B1 (en) Milling method for machining metallic member
EP3209457B1 (en) Machine for processing of volumetric metal objects
US20140165348A1 (en) Machine tool with lathe tool and milling cutter
EP2745961B1 (en) Method for machining metallic member using lathing and milling
CN107921595B (zh) 加工设备
CN103786211A (zh) 一种门套边框安装位置组合加工机床
US9630278B2 (en) Method for machining metallic member using lathing and scraping
CN103358126A (zh) 一种切削加工与激光加工复合的钣金加工中心
KR101447942B1 (ko) 더블 절단 가능한 목공 보링 기계
US9718153B2 (en) Method for machining metallic member using lathing and scraping
CN103551861B (zh) 一种数控加工中心机床
CN210209379U (zh) 一种车钻一体的高效数控车床
JP5361563B2 (ja) 旋盤
CN108620614B (zh) 一种数控机床刀台
KR20140133017A (ko) 절삭가공용 공작물의 고정베이스 회전장치
CN105478916A (zh) 一种五轴切割机
JP2017148926A (ja) 刃具破損検出機能付き旋盤加工機
CN211387671U (zh) 一种组合式数控车床
CN216421121U (zh) 一种钻孔机
CN105108494A (zh) 轮毂加工专用车床
EP2745960A2 (en) Method for machining metallic member using lathing and milling/scraping
KR101323890B1 (ko) 터릿형 수직선반과 그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베벨기어박스
CN113500442A (zh) 自动换刀六面钻机头
CN103785891B (zh) 一种新型旋切式切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