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701B1 -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701B1
KR101480701B1 KR20070122076A KR20070122076A KR101480701B1 KR 101480701 B1 KR101480701 B1 KR 101480701B1 KR 20070122076 A KR20070122076 A KR 20070122076A KR 20070122076 A KR20070122076 A KR 20070122076A KR 101480701 B1 KR101480701 B1 KR 10148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hair cosmetic
scalp
menthol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2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248A (ko
Inventor
강병하
이기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07012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7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량감과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에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는 분말상태의 향료를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코팅제로 캡슐화하여 제조함으로써, 모발에 적용 후 물로 헹구는 과정에서 씻겨나가는 속도가 용해되어 있는 일반 합성 또는 천연 향료에 비해 느려져서 결과적으로 두피에 접촉하는 시간이 증진되고 이로 인해 두피 청량감과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효과를 가지도록 제조한 분말향료캡슐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분말향료, 청량감, 상쾌함, 지속성,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코팅제, 캡슐, 모발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for maintaining freshness and bracing durability on the scalp}
본 발명은 청량감과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에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는 분말상태의 향료를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코팅제로 캡슐화하여 제조함으로써, 모발에 적용 후 물로 헹구는 과정에서 씻겨나가는 속도가 용해되어 있는 일반 합성 또는 천연 향료에 비해 느려져서 결과적으로 두피에 접촉하는 시간이 증진되고 이로 인해 두피 청량감과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효과를 가지도록 제조한 분말향료캡슐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린스 및 트리트먼트 등의 모발용 제품은 두피 및 모발의 오염을 제거하고 모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발용 화장품으로서, 세정을 위한 목적 이외에 빗질의 용이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윤기부여,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및 모발 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 고 있다. 이러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향료를 배합하는 목적은 두피에 청량감과 상쾌함을 주기 위해서인데, 이러한 목적으로 멘톨(menthol)이라는 향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향료는 제형 내에서 수분과 계면활성제에 의해 가용화된 형태로 존재하고 있어서 모발에 사용 후 헹구기 시작하면 빠르게 씻겨나가게 되어 사용 초기와 같은 청량감과 상쾌함을 지속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최근 다양한 향료 성분의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중합체를 이용하여 이들을 캡슐화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83161호에는 향기 성분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겔화제를 포함하고 코막힘 방지 효과를 가지는 하이드로 젤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31235호에는 물 세척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으면서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은 스프레이 타입의 샴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87477호에는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또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및 이차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미노플라스트에 향료 성분을 포집시켜 제조한 향료 캡슐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72720호에는 향기 성분이 양이온성 중합체의 혼합물로 코팅된 중합체 캡슐 내부에 포집된 중합체 캡슐 향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헤어 세정제 조성물에서 청량감과 상쾌함을 지속시키기 위한 향료의 캡슐화 과정이나 그 용도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분 및 계면활성제에 대한 용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분말향료를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코팅제로 캡슐화한 뒤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을 직접 사용시 캡슐이 모발과 손가락 사이에서 부딪히고 물로 헹구는 등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부서지면서 분말향료가 두피 및 모발에 부착, 잔존하여 청량감과 상쾌함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 청량감과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피 청량감을 제공할 수 있는 분말상태의 향료를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코팅제로 캡슐화하여 제조한 분말향료캡슐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향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해도가 낮은 분말향료를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코팅제로 캡슐화한 분말향료캡슐을 함유함으로써 수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는 장시간 안 정성을 확보하면서 사용시에는 물리적 힘에 의해 코팅제가 부서지면서 분말향료가 두피 및 모발에 부착, 잔존하여 청량감과 상쾌함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향료는 실온에서 고체상태로 존재하는 멘톨(Menthol), 바닐린(Vanillin), 2-이소프로필-N,2,3-트리메틸부티르아마이드(2-Isopropyl-N,2,3-trimethylbutyramide) 및 N-에틸-p-메탄-3-카르복사마이드(N-Ethyl-p-methane-3-carboxamide)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팅제는 물에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면서 기계적 자극에 의해 파괴되는 견고한 구조를 지니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비닐피롤리돈, 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폴리비닐아세탈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비즈왁스(bees wax), 파라핀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페트롤륨왁스(pertroleum wax) 및 전분(Starc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말향료와 코팅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말향료를 코팅제로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법, 분무건조(spray drying)법, 분무냉각(spray cooling)법, 결정 화법(co-crystallization) 및 유동층(fluidized bed)법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유동층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동층법은 원료 이송, 혼합(mixing), 연합, 과립(granulation) 및 건조(drying)의 단위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유동층 코팅기를 사용하여 분말향료를 유동 공기에 의해 유동시키면서 분무 노즐을 통하여 코팅제 용액을 분사시켜 분말향료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분말향료캡슐은 구 형태로 100-1000㎛의 입자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300-600㎛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분말향료캡슐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향료캡슐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피자극이나 안자극이 발현될 수 있으며, 0.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청량감 증진효과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포마드, 헤어트리트먼트 및 헤어로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 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샴푸 조성물을 예로 들어 대표적인 기제 성분과 첨가물들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샴푸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세정성분인 합성계면활성제, 방부제 및 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알파-카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및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 옥사이드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및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임의성분으로는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임의성분에는 펄화제, 방부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및 모발 컨디셔닝제 등이 포함된다.
펄화제로는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글라이콜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지방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 나트륨,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1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점도 조절제로는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엠이에이(CME), 코카마이드디이에이(CDE) 및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H 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모발 컨디셔닝제로는 디메치콘 베이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및 양이온성 폴리머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두피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말향료캡슐 제조
분말멘톨 500g을 100-300㎛ 크기로 작고 균일하게 분쇄한 후 유동층 코팅기에 투입하여 유동시키고, 노즐을 통해 코팅제로서 전분액을 분사하여 분말멘톨 표면을 전분으로 코팅하였다. 캡슐의 구성비는 멘톨과 전분이 1:1이 되도록 하였고, 최종적으로 300-600㎛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멘톨캡슐 1k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액상향료캡슐 제조
멘톨 500g을 에탄올 250g에 녹여 멘톨용액 750g을 제조한 후 젤라틴(gelatin) 250g을 코팅제로 하여 코아세르베이션법을 이용하여 300-600㎛ 입자크기를 갖는 액상멘톨캡슐 1kg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2] 샴푸의 제형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샴푸 제조방법에 따라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2를 제조하였다.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라우릴황산암모늄 10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5 5 5 5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2 2 2 2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코코일 모노에탄올아미드 0.8 0.8 0.8 0.8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0.2 0.2 0.2 0.2
청색1호 0.0002 0.0002 0.0002 0.0002
황색4호 0.0001 0.0001 0.0001 0.0001
메틸파라벤 0.1 0.1 0.1 0.1
향료 0.8 0.8 0.8 0.8
실시예 1의 분말멘톨캡슐 0.5 1.0 - -
멘톨 - - 0.5 -
비교예 1의 액상멘톨캡슐 - - - 0.5
구연산 0.1 0.1 0.1 0.1
디메치콘 1.0 1.0 1.0 1.0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제형예 1 및 2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말멘톨캡슐을 첨가하였고, 비교제형예 1에는 분말멘톨캡슐 대신에 같은 양의 분말멘톨을 첨가하였다. 비교제형예 2에는 분말멘톨캡슐 대신 같은 양의 멘톨을 함유하는 액상멘톨캡슐을 배합하였다.
[시험예 1] 두피 청량감의 관능 평가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2에서 제조한 샴푸의 두피 청량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25∼45세의 남녀 40명을 선정하여 10명씩 4개 그룹으로 나눈 다음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2의 샴푸를 통상의 방법대로 사용하게 한 후 5점 척도로 샴푸 직후, 30분 후, 1시간 후, 2시간 후 및 3시간 후에 청량감의 정도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청량감 지수(5점 척도) 제형예 1 제형예 2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샴푸 직후 4.1 4.6 3.8 3.9
30분 후 3.6 4.2 3.4 3.4
1시간 후 3.4 3.8 3.1 3.2
2시간 후 3.2 3.5 2.7 2.7
3시간 후 3.0 3.3 2.4 2.5
<평가 기준: 매우 좋다 5, 좋다 4, 보통 3, 나쁘다 2, 매우 나쁘다 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분말멘톨캡슐을 첨가한 제형예 1 및 2가 분말멘톨을 직접 첨가한 비교제형예 1 및 액상멘톨캡슐을 첨가한 비교제형예 2에 비하여 청량감 지수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시간에 따른 지속성 역시 휠씬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첨가한 분말멘톨캡슐의 양에 따라 청량감과 지속성은 증가하였으며, 같은 양의 멘톨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1과 액상멘톨을 캡슐화한 비교제형예 2는 서로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시험예 2] 샴푸 제형 내 분말멘톨 안정도 및 캡슐 내 멘톨함량 경시 변화 평가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풍부한 샴푸 제형 내 분말멘톨의 안정도 및 캡슐 내 멘톨함량의 경시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제형예 1과 비교제형예 1의 샴푸 내용물을 0℃, 30℃, 40℃ 및 50℃의 조건에서 각각 1주일, 1개월 및 3개월 동안 항온실에서 보관한 후 분말멘톨 안정도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1에 대해서는 분말 멘톨캡슐의 안정도와 멘톨 함량을 각각 외관관찰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멘톨함량은 초기 배합량 대비 중량%로 나타내었다. 비교제형예 1의 경우 외관 및 촉감으로도 분말 멘톨이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제조직후에 바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샴푸 제형 내에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용해되었다.
온도(℃) 1주일 1개월 3개월
0 안정(100%) 안정(100%) 안정(100%)
30 안정(100%) 안정(100%) 안정(100%)
40 안정(100%) 안정(100%) 안정(99%)
50 안정(100%) 안정(100%) 안정(98%)
(외관평가방법: 캡슐형태 유지 시 안정, 캡슐형태 변형 시 불안정)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말멘톨의 안정도 및 캡슐 내 멘톨함량의 경시변화가 제형예 1의 샴푸 제형 내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분말항료를 코팅제로 캡슐화하여 얻은 분말항료캡슐을 함유하며, 상기 분말향료캡슐은 구 형태로 300-600㎛의 입자크기를 가지며,
    상기 코팅제는 전분(Star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향료는 멘톨(Menthol), 바닐린(Vanillin), 2-이소프로필-N,2,3-트리메틸부티르 아마이드(2-Isopropyl-N,2,3-trimethylbutyr amide) 및 N-에틸-p-메탄-3-카복르사마이드(N-Ethyl-p-methane-3-carbox 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향료와 코팅제의 혼합비가 1:1 중량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코팅제로 캡슐화된 분말향료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제 2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에 청량감 또는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특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70122076A 2007-11-28 2007-11-28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48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2076A KR101480701B1 (ko) 2007-11-28 2007-11-28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2076A KR101480701B1 (ko) 2007-11-28 2007-11-28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248A KR20090055248A (ko) 2009-06-02
KR101480701B1 true KR101480701B1 (ko) 2015-01-12

Family

ID=4098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22076A KR101480701B1 (ko) 2007-11-28 2007-11-28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493B1 (ko) * 2020-01-21 2021-09-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멘톨 함유 모발 화장용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897A (ja) * 1996-10-11 1998-05-06 Sangi Co Ltd 粉末香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応用
JP2006249326A (ja) * 2005-03-11 2006-09-21 T Hasegawa Co Ltd カプセル化香料および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897A (ja) * 1996-10-11 1998-05-06 Sangi Co Ltd 粉末香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応用
JP2006249326A (ja) * 2005-03-11 2006-09-21 T Hasegawa Co Ltd カプセル化香料およ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248A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563B1 (ko) 개인 위생 및 가정용 소수성으로 개질된 다당류 조성물
JP6084234B2 (ja) 体臭抑制剤
JPH08239312A (ja) ヘアシャンプー組成物
US20030228272A1 (en) Novel antidandruff conditioning shampoo
KR101824754B1 (ko) 오래 지속되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케라틴 기재에 도포되는 개인 관리 조성물 첨가제
US20150110728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JPH06157252A (ja) 毛髪シャンプー・コンディショナー組成物
JP2007070469A (ja) 洗浄剤組成物
WO2008002666A1 (en) Func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saccharides for personal care, household &amp; institutional and pet care products
TW200400052A (en) Hair cleansing compositions
JP2813208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EP2473153B1 (en) Surface modified pigment
JP3545372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8127329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US20030133899A1 (en)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that contain surfactants, co-surfactants, water insoluble solids and/or liquids and cationic conditioning polymers
KR101480701B1 (ko)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74381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4291717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316602B1 (ko)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TWI706032B (zh) 毛髮清洗用組合物
JP4485085B2 (ja) 洗浄剤組成物
JP4787469B2 (ja) 洗浄剤組成物
GB2455404A (en) Mild cleansing composition
KR100770088B1 (ko)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100983207B1 (ko)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