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602B1 -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602B1
KR100316602B1 KR1019990028878A KR19990028878A KR100316602B1 KR 100316602 B1 KR100316602 B1 KR 100316602B1 KR 1019990028878 A KR1019990028878 A KR 1019990028878A KR 19990028878 A KR19990028878 A KR 19990028878A KR 100316602 B1 KR100316602 B1 KR 10031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ampoo composition
styling shampoo
polymer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155A (ko
Inventor
박현석
송명언
랑문정
최수규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28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6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8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washing or drying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8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in the form of a sp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세계적으로 간편성을 추구하는 사조에 부응하여 샴푸 한가지로 세정 기능, 린스 기능 및 스타일링 기능까지 모두 해결할 목적으로 1 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 1 종 이상의 양이온 폴리머 및 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샴푸는 스타일 유지력과 모발 정돈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Description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THERMAL STYLING SHAMPOO COMPOSITIONS}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샴푸 한가지로 세정 기능, 린스 기능 및 스타일링 기능까지 모두 해결할 수 있는 1 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 1 종 이상의 양이온 폴리머 및 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샴푸는 두피 및 모발의 오염을 없애면서 두피 및 모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발용 화장품으로 세정 기능부여 이외에 빗질의 용이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윤기 부여 및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모발 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모발을 특정 형태로 만들고, 유지시키고자 하는 바램은 꾸준히 증대되고 있으며, 스타일을 만들고 유지시키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화학적 변화에 의한 방법으로 이는 모발 내부 결합 위치 변경에 의한 것으로 파마라고 하며 반영구적이다. 둘째로, 물리적 변화에 의한 방법이며 일시적 변화로서물 또는 샴푸 등으로 쉽게 스타일을 풀 수 있다. 이런 일시적 스타일 변화는 일반적으로 샴푸 사용 후 스라일링 제품을 모발에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스타일 유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는 보통 수지 또는 검으로 젤, 무스, 스프레이의 형태로 사용한다.
상기의 스타일링 제품은 샴푸 사용 후 스타일링 제품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 스타일링 제품을 모발에 도포 시 손을 이용하기 때문에 모발에 도포 시킨 후 손을 세정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 사용에 몇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간편성을 추구하는 사조에 부응하여 1980 연대 말부터 린스 겸용 샴푸가 도입되어 실용화되었고 지금은 보편화되어 있다. 이런 간편성 추구는 샴푸 한가지로 세정 기능, 린스 기능 및 스타일링 기능까지 모두 해결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Soap, Detergents & Toiletry Review, p. 19, August 1996).
따라서 샴푸에 이러한 스타일링 기능을 부여하는 연구가 오래 전부터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연구들에는 일본특허공개공보 JP 61-161214호에는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여 모발에 풍성함과 광택 등을 부여하고 모발에 대해 우수한 셋팅 유지력을 주는 발명, 국제특허 WO 91/15185호에는 용해도상수(Solubility Parameter)를 응용한 것으로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스타일링 폴리머를 적당한 용해도 상수를 갖는 용매로 샴푸 용액 내에 안정하게 분산시켜 샴푸 사용 시 스타일링 폴리머가 모발에 쉽게 흡착되게 하여 스타일링 기능을 부여하는 발명 등이 있다.
또한 유럽특허출원 제 507272호에는 수용성 키틴 수용체와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바디감, 스타일링 효과를 부여하는 발명이 소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96-11565호에는 실리콘 수지 또는 실록산 검인 고점도 실리콘과 양이온성 구아검(Guar Gum) 유도체를 사용하여 실리콘 유도체의 모발 흡착력을 높여 모발에 바디감, 스타일 유지력을 부여하는 발명이 있다.
또한 '3-in-1 Multi-Functional Styling and Conditioning Shampoo Technology'[Proceedings of 20th IFSCC Congress, Brunch Sajic, Y. Kamesh Rao (Stepan)]에는 폴리머- 계면활성제 복합체가 모발에 잔류하여 스타일링 기능을 주는 연구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 중 국제특허 WO 제 91/15185호는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폴리머를 사용하기 때문에 헹굼 시 감촉이 좋지 않고, 또한 모발 전체에 적용되기 때문에 스타일링 기능을 원하지 않는 부위까지 스타일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의 냄새가 심한 단점이 있다. 또한 Sajic 등이 발표한 연구 결과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 배제에 따라 샴푸의 기본 기능인 세정력과 기포력이 떨어지고, 상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샴푸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스타일 유지력과 모발 정돈 효과가 우수한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1 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b)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 (c) 1종 이상의 양이온 폴리머 및 (d)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O-CH2-CH2]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타일링 기능을 겸비한 샴푸를 연구하던 중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분자량이 40 만 보다 적을 경우에는 헤어 드라이어 사용 시와 유사한 정도의 열을 가하면 열을 가한 부위가 스타일링되는 효과가 떨어지지만, 분자량이 40 만 이상이 되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를 사용할 경우에는 열 스타일링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샴푸 시 물로 헹구어 낼 때 대부분 씻겨 내려가기 때문에, 모발에 잔류하여 열 스타일링이 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에 양이온 폴리머를 적당한 비율로 함께 사용하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모발에 대한 흡착력이 증가하여 열 스타일링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사용 후 헹구어 내는 모발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a) 1 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b)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 (c) 1종 이상의 양이온 폴리머 및 (d) 물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이다.
상기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활성성분으로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의 0.5 내지 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는 분자량이 4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40만 미만인 경우에는 열 스타일링 효과가 떨어져서 좋지 않다.
본 발명에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와 양이온 폴리머를 혼합 사용 시 열 스타일링 효과가 높은 이유는 수용액에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와 양이온 폴리머가 복합체를 형성하여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모발 흡착능을 높이기 때문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현상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도 다소 미흡하지만 발생하였다.
상기 양이온 폴리머로는 화학식 2의 폴리쿼터늄-7, 화학식 3의 폴리쿼터늄-10, 화학식 4의 폴리쿼터늄-11, 양이온성 구아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C8H16.C3H5NO.Cl]n
[화학식 3]
[화학식 4]
[C8H15NO2.C6H9NO]n.nC4H10O4S
한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와 양이온 폴리머의 혼합비가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와 양이온 폴리머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5 : 1 내지 1 : 2.5가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 양이온 폴리머의 혼합비가 5 : 1 보다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모발 흡착능이 저하되어 열 스타일링 효과가 떨어지고,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 양이온 폴리머의 혼합비가 1 : 2.5 보다 양이온 폴리머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 보다 양이온 폴리머의 모발 흡착이 증대되어 열 스타일링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사용량은 0.01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다.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열 스타일링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고, 상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의 사용량은 0.01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다. 0.01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모발 흡착성이 저하되어 모발 열 스타일링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모발 흡착이 지나치게 높아 헹굼 시 감촉이 부드럽지 못하고, 빗질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물을 포함한다. 물은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에 대한 용매로서의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지방산 금속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코카미도프로필베테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은 활성성분으로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의 10 중량%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염화스테아릴트리메칠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칠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칠암모늄, 염화디세틸디메칠암모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은 활성성분으로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의 10 중량%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모노라우린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은 활성성분으로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의 10 중량%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면 열 스타일링 효과와 함께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함께 향상되는데 이는 지방산 에스테르가 운반용매(Carrier solvent)로 작용하여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와 양이온 폴리머로 된 복합체의 모발 흡착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량은 열 스타일링 샴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열 스타일링 효과가 향상되지 않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포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샴푸의 기본 속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C가 12-15인 알콜 벤조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Isostearyl Isostearate),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Octyl Hydroxystearate), 다이옥틸 숙시네이트(Dioctyl Succin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샴푸 제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소와 향료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물들의 점도 조정을 위하여 전해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0 %(w/w) 라우릴황산아트륨 수용액 20 중량%, 30 %(w/w)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용액 30 중량%, 야자유지방산디에단올아미드 1.0 중량%, 폴리옥스(Polyox) WSR 301 1.0 중량%를 물에 분산 용해시킨 후 폴리쿼터늄-7 (활성성분 8 중량%) 6.0 중량%를 가하여 60 ℃가 될 때까지 가온 한 후,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30 분간 교반시켰다.
상기 교반 후 45 ℃까지 교반 냉각시키고 색소,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및 구연산을 적당량 가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으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각각 샴푸를 제조하였다.
[표 1]
(단위:중량%)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라우릴황산나트륨(30%) 수용액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30%) 수용액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1.0 1.0 1.0 1.0 1.0 1.0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평균분자량:400만)1) 1.0 - 1.0 - 1.0 - - - -
폴리옥시에틸렌(평균분자량:100만)2) - 3.0 - 3.0 - 1.0 3.0 - -
폴리옥시에틴렌(평균분자량:30만)3) - - - - - - - 1.0 -
폴리쿼터늄-74)(활성성분 8중량%) 6.0 - 6.0 - - - - - -
폴리쿼터늄-105)(활성성분 8중량%) - 1.0 - 1.0 - - 0.2 - -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0.1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0.5
색소 0.2 0.2 0.2 0.2 0.2 0.2 0.2 0.2 0.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0.2 0.2 0.2 0.2 0.2 0.2
향료6) 0.4 0.4 0.4 0.4 0.4 0.4 0.4 0.4 0.4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0.5 0.5
구연산 0.1 0.1 0.1 0.1 0.1 0.1 0.1 0.1 0.1
100 중량%가 될 때까지 첨가시켰다
1) : Polyox WSR 301 (Union Carbide)
2) : Polyox WSR N-12K (Union Carbide)
3) : Polyox WSR N-1750 (Union Carbide)
4) : Merquat 550 (Calgon)
5) : Polymer JR 400 (Union Carbide)
6) : SKP-3473 (Hasegawa)
[실험예 1] 스타일 유지력 실험
모발 타래를 폭 4 cm, 길이 1.5 cm로 만든 후, 5 %(w/w)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에테르 수용액에 5 분간 침적시킨 후, 흐르는 물로 1 분간 헹구고 25 ℃, 상대습도 50 % 조건에서 24 시간 방치하였다. 상기 방치 후 표 1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샴푸 조성물 5 %(w/w) 수용액에 모발 타래를 5 분간 침적시킨 후, 흐르는 물로 1 분간 헹구고, 70 ℃ 건조 오븐에서 2 분간 열을 가하였다.
상기 열을 가한 후 25 ℃, 상대습도 50 % 조건에서 24 시간 방치하였다. 각 모발 타래를 굽힘력 시험 기기인 Bending Machin KES-S(Kato Tech사 제품)를 이용하여 굽힘력(굽히는데 필요한 힘)과 굽힘 이력(처음 상태로 펴는데 필요한 힘)을 3회 측정한 후 이를 평균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굽힘력 값이 크고, 굽힘 이력 값이 크다는 것은 모발이 잘 고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값이 높으면 모발 스타일 유지력이 크다고 판단하였다.
[표 2]
구분 가열하지 않았을 때 70 ℃/2 분 가열하였을 때
굽힘력(gf.cm2/cm) 굽힘 이력(gf.cm/cm) 굽힘력(gf.cm2/cm 굽힘 이력(gf.cm/cm)
실시예 1 4.3 3.3 6.6 4.2
실시예 2 4.1 3.7 8.5 5.2
실시예 3 4.3 3.4 7.2 6.7
실시예 4 4.2 3.5 9.5 7.1
비교예 1 3.4 2.0 3.8 2.1
비교예 2 3.4 2.2 3.7 2.4
비교예 3 3.9 2.4 4.4 3.7
비교예 4 3.0 1.3 3.1 1.5
비교예 5 3.0 1.5 2.8 1.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을 가하지 않았을 때의 굽힘력에 있어서 본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0.2 내지 1.3 gf.cm2/cm 증가하였으며, 열을 가하지 않았을 때의 굽힘 이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2.4 내지 0.9 gf.cm/cm 증가하였다.
이에 반하여 열을 가했을 때의 굽힘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2.2 내지 6.7 gf.cm2/cm 증가하였으며, 열을 가하지 않았을 때의 굽힘 이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0.5 내지 5.9 gf.cm/cm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로 제조한 샴푸인 실시예 1 내지 4가 비교예에 비하여 스타일 유지력이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특히 열을 가하였을 때 더욱 스타일 유지력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실시예 4의 결과는 특히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모발 정돈 실험
샴푸 사용 후 항상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여자 35 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샴푸에 대해 5 명씩 2 주일 동한 평소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게 한 후, 2 주 째 되는 날 완전 건조 상태에서 모발 정돈 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발 정돈 효과의 평가는 표 3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점수를 매긴 후, 이를 평균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구분 평점
정돈 효과가 매우 우수 5
정돈 효과가 우수 4
보통이다 3
정돈 효과가 나쁘다 2
정돈 효과가 매우 나쁘다 1
[표 4]
원료명 모발 정돈 효과
실시예 1 3.8
실시예 2 4.0
실시예 3 4.2
실시예 4 4.2
비교예 1 3.2
비교예 2 3.2
비교예 3 3.4
비교예 4 3.2
비교예 5 2.6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사용한 경우에는 평점이 3.8 내지 4.2로서 모발 정돈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주나, 비교예 1 내지 5는 평점이 2.6 내지 3.4로서 모발 정돈 효과가 보통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과 4를 실험한 경우에 나타난 것과 같이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경우 모발 정돈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열을 가하였을 때 매우 우수한 스타일 유지력을 보여주며, 또한 모발 정돈 효과도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a) 1 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b)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
    (c) 1종 이상의 양이온 폴리머; 및
    (d) 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화학식 1]
    -[O-CH2-CH2]n-
  2. 제 1항에 있어서,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a) 양쪽성 계면활성제 10 중량% 미만, (b) 양이온 계면활성제 10 중량% 미만,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 중량% 미만, (d) 지방산 금속염 10 중량% 미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더욱 포함하는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평균 분자량이 40 만 이상인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의 함량이 0.01내지 10.0 중량%인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와 상기 양이온 폴리머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5 : 1 내지 1 : 2.5인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가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및 양이온성 구아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의 함량이 0.01 내지 5.0 중량%인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를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는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C가 12-15인 알콜 벤조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Isostearyl Isostearate),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OctylHydroxystearate), 다이옥틸 숙시네이트(Dioctyl Succin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KR1019990028878A 1999-07-16 1999-07-16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KR10031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878A KR100316602B1 (ko) 1999-07-16 1999-07-16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878A KR100316602B1 (ko) 1999-07-16 1999-07-16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155A KR20010010155A (ko) 2001-02-05
KR100316602B1 true KR100316602B1 (ko) 2001-12-12

Family

ID=1960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878A KR100316602B1 (ko) 1999-07-16 1999-07-16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33B1 (ko) 2005-12-13 2007-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두피케어용 샴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0441A1 (en) * 2004-07-27 2006-02-02 Unilever Plc Hair care compositions
KR100644087B1 (ko) * 2005-06-01 2006-11-10 정종재 다중 에멀젼 형태의 일액형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44656B1 (ko) * 2005-12-27 2007-08-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DE102006030091A1 (de) * 2006-06-28 2008-01-03 Beiersdorf Ag Haarpflegereinigungszusammensetzung mit besonderer Schaumleis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33B1 (ko) 2005-12-13 2007-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두피케어용 샴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155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1652B1 (en) Hair shampoo composition to impart improved hair conditioning properties
US5288484A (en) Cationic cellulose derivative containing fatty quaternum groups in a pre-shampoo conditioning composition
KR102066476B1 (ko) 개선된 침적 특성을 가진 조성물 및 개선된 침적 특성을 가진 개인 관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H0422883B2 (ko)
JPH072629A (ja) 透明な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KR100968134B1 (ko) 모발처리용 조성물
CN109640944A (zh) 含有玫瑰果油的头发护理用头发组合物及其用途
KR100316602B1 (ko) 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JP2005255627A (ja) 毛髪化粧料
JPS5989611A (ja) 整髪組成物
KR100779287B1 (ko)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JP2000319139A (ja) 毛髪用洗浄剤組成物
KR20180058315A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2121131A (ja) 安定なパール感を有する洗浄料
KR100610470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3499063B2 (ja) 溶剤含有乳化型頭髪処理剤
JP4485085B2 (ja) 洗浄剤組成物
JP4612249B2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剤組成物及び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剤
Board Modern Technology Of Cosmetics
KR101480701B1 (ko) 두피 청량감 및 상쾌함을 지속시키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7156A (ko) 모발 표면 강화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823988B1 (ko) 투명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90894A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함유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4081687B2 (ja)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の安定化方法
KR100654059B1 (ko) 알킬포스파티딜피지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모발광택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