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026B1 -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026B1
KR101480026B1 KR20140037867A KR20140037867A KR101480026B1 KR 101480026 B1 KR101480026 B1 KR 101480026B1 KR 20140037867 A KR20140037867 A KR 20140037867A KR 20140037867 A KR20140037867 A KR 20140037867A KR 101480026 B1 KR101480026 B1 KR 10148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user
attitude
pressur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중
홍지영
송정용
김희찬
Original Assignee
(주) 피앤에스프로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앤에스프로,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피앤에스프로
Priority to KR2014003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ur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자세 교정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압력 값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압력 값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이상 증세를 판단하고 이상 증세와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보다 능동적인 자세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METHOD FOR CORRECTING POSTURE, APPARATUS FOR MANAGING POSTURE, AND SYSTEM FOR CORRECTING POSTURE}
본 발명은 자세 교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앉은 자세 분석을 통한 자세 교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 바람을 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나쁜 자세로 중력이 신체의 어떤 부위에 집중되거나 한쪽으로만 쏠리게 된다면 척추 측만증, 전만증, 후만증, 거북목, 디스크, 척추분리증, 근 위축, 소화불량, 두통, 만성피로와 같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 바른 자세는 몸을 상, 하로 좌, 우로 앞, 뒤로 나누어서 봤을 때 어느 한곳으로 삐뚤어져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나쁜 자세는 만성질환의 원인이 된다.
일반인이 운동을 할 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않으면 오히려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스포츠 선수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자세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테니스의 경우 아무리 게임을 잘하고, 볼을 잘 다룬다고 하더라도 올바른 자세가 몸에 익지 않은 경우에는 잘못된 자세가 오래 누적되면서 테니스 엘보우, 팔 관절, 다리 관절 등의 문제로 운동을 하고 싶어도 못하게 되는 지경까지 이르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골프의 경우에도 어드레스 자세에 있어서는 신체 균형이 완벽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고 탑스윙 시점에는 신체의 균형이 완벽하게 오른쪽 다리에 쏠려 있어야 하며, 스윙 중에는 왼쪽 다리로 서서히 중심을 이동해야 하는 등 자세가 중요하다.
관련해서 올바른 자세 유지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기구적인 방법을 사용해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39580호를 비롯하여 시판되는 일반적인 의자의 경우 등과 엉덩이 부분을 의자에 밀착해야만 효과가 있어, 학습 등에 집중할 경우 자세가 나빠지더라도 제어할 수가 없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3376호를 비롯한 수유 시트의 경우에는, 아이가 올바른 자세로 수유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적용 대상이 아주 한정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석의 경우에도 엉덩이 뒷부분을 높게 하여 좀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단순하고 수동적인 자세 교정 방법에서 벗어나 사용자에게 보다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증세 검출뿐 아니라 자세 교정을 위한 운동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자세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자세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자세 교정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세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하여 수집된 압력 값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이상 증세를 판단하여 이상 증세와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별하는 교정판단부 및 상기 교정판단부에 의해 선별된 운동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세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과 관련하여 수집된 압력 값들 및 자세관련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자세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세관련 기준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주요 행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교정판단부는, 상기 방석 및 등받이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값이 나타나는 복수의 구역을 정의하고, 각 구역별로 나타나는 접촉 영역 및 해당 접촉 영역에서의 압력 값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한다.
상기 교정판단부는, 방석에서 정의되는 각 구역에 대해 면적, 위치, 압력값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상호 비교하고, 등받이에서 정의되는 각 구역에 대해 면적, 위치, 압력값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이상 증세를 판단한다.
상기 신체이상 증세는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거북목증후군, 일자목, 굽은 등, 및 골반틀어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측정치들을 수집하는 자세 검출 장치 및 상기 자세 검출 장치로부터 자세 관련 측정치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치들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이상 증세를 판단하여 이상 증세와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별하고 선별된 운동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자세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자세 검출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다수의 압력 측정 포인트들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자세 검출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측정 포인트에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압력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압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세 검출 장치는, 상기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에 걸쳐 배치된 복수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상기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 중 적어도 일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세 검출 장치는 자세관련 기준압력 값 및 감지센서가 측정한 각 지점의 압력 값을 저장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관련 기준압력 값 및 감지센서가 측정한 각 지점의 압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에서 공기 주입이 필요한 부분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공기주입부의 공기주입 속도, 공기주입량, 공기주입 유지시간, 반복 회수, 및 다수의 공기토출구들 간의 공기주입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상기 자세 교정 시스템은,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자세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해당 운동 콘텐츠를 상기 자세 관리 장치로 제공하는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세 교정 방법은,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압력 값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압력 값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이상 증세를 판단하는 단계, 이상 증세와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한 운동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압력 값들을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다수의 압력 측정 포인트들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수집된 압력 값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석 및 등받이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값이 나타나는 복수의 구역을 정의하고, 각 구역별로 나타나는 접촉 영역 및 해당 접촉 영역에서의 압력 값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한다.
상기 자세 교정 방법은, 상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이상 증세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이상 증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세 교정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별 적합한 운동 콘텐츠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검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현대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척추 및 목 관련 이상증세를 도시한다.
도 6는 장시간 앉은 자세로 생활하는 사용자에게서 이상증세가 흔히 나타나는 신체 부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은 크게 자세 검출 장치(100)와 자세 관리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세 검출 장치(100)는 좌석의 등받이 또는 방석에 배치된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중심이동 현황을 측정하고, 중심이동, 시간 기준 등과 관련하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날 경우 알림음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세 관련 기준 값을 설정하고 중심이동 추이를 조회할 수 있는 자세 관리 장치(200)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컴퓨터(PC), 이동 단말 등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저장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200)는 특히, 사용자에게 기준 값 선택을 위한 연령 및 상황(독서, 학습, 필기, 컴퓨터 사용, 진료 등) 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움직임에 대한 영상 저장(예를 들어, PC, 노트북 등에 부착된 카메라를 활용)을 통한 행동과 중심이동 현황에 대한 조회, 압력 강도 측정 등으로부터 신체 불균형 상황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관련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 교정을 가능토록 한다.
이하 도 2 내지 4를 통해 상술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검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검출 장치(100), 자세 관리 장치(200), 및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상호 연동 작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및 자세 교정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검출 장치(100)는 감지 센서(110), 제어부(120), 기록부(130), 공기주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10)는 방석, 등받이, 발받침 등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여러 지점에서의 압력 또는 움직임을 측정한다. 감지센서의 개수는 센서가 설치되는 위치 및 해당 제품이 주로 사용될 사용자의 연령, 신장 등을 고려하여 확정될 수 있다. 감지센서(110)가 출력하는 압력 또는 움직임 측정치는 제어부(120)로 입력된다.
여기서, 감지센서(110)는 해당 지점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110)는 또한, 중량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 위치인식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고도계, 진동 센서 등 압력 또는 움직임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센서(110)가 측정한 여러 지점의 압력 값을 검토하고, 검토한 값을 토대로 하여 올바른 자세 설정 값과 측정된 압력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자세가 설정된 기준을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크게 벗어난 경우 알림 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검출 장치(100)는 소리 출력 장치(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록부(130)는 감지센서(110)가 측정한 방석 및 등받이 각 지점의 압력 값, 자세관련 기준압력 값(예를 들어, 자세 관리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알림음 또는 알림 메시지 파일 등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부(130)로는 마이크로 SD(Secure Digital) 등의 저장매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마이크로 SD는 자세 검출 장치(100)로부터 분리되어 자세 관리 장치(200)로 삽입 가능하며, 마이크로 SD에 기록된 데이터는 자세 관리 장치(200)에 의해 독출되어 자세 패턴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공기주입부(140)는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자세 교정이 필요한 부위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부(140)는 방석 또는 등받이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 또는 착석시 자세 감지에 최적화된 배치 간격에 따라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공기를 주입할 것인지 판단하고, 공기주입 속도, 공기주입량, 공기주입 유지시간, 반복회수, 및 다수의 공기토출구들 간의 공기주입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항에 따라 공기주입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또한 감지센서(110)로부터 입력된 측정치를 기록부(130)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세 검출 장치는 별도의 무선통신부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기록부(130)가 저장하는 자세 관련 정보를 자세 관리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infrared(IR) transmission), 블루투쓰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자세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교정판단부(220), 자세정보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영상 획득부(미도시), 무선 통신부(미도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자세정보 저장부(230)는 자세 관련 기준 정보 및 실제 사용자 자세 측정 값을 저장한다. 자세 검출 장치(100)의 기록부(130)가 단시간의 압력 관련 측정치 등 단순한 정보만을 저장한다면, 자세 관리 장치(200)의 자세 정보 저장부(230)는 보다 긴 장시간 동안의 압력 측정치를 영상 획득부(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자세 동영상과 연결시켜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련 기준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주요 행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자세 관련 기준 정보는 연령, 키, 몸무게 등 사용자의 기본사항, 앉은 자세에서 주로 하는 행동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독서를 할 것인지, 필기를 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학습을 할 것인지, 진료 등의 작업을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자세 관련 기준 정보는 초기 설정 이후에도 필요시 사용자가 설정 값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세 관련 기준 정보는 또한, 잘못된 자세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할 통지 또는 알람에 대한 설정 정보, 예를 들어, 스마트폰 알림메시지, 스피커 안내메시지 등의 실행여부, 알림 시간, 알림 간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정판단부(220)는 자세정보 저장부(230)가 저장하는 자세정보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의자의 압력 패턴을 검출한다. 교정판단부(220)는 또한 검출된 압력 패턴으로부터 어떠한 건강이상을 의심해야 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질병과 관련한 교정 자세 및 교정 스트레칭에 대한 콘텐츠를 매칭시킨다.
이때, 교정 운동(자세 또는 교정 스트레칭)에 대한 콘텐츠는 별도의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자세정보 저장부(230)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교정 운동에 대한 콘텐츠가 자세정보 저장부(230) 내부에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되는 경우 아래에서 살펴볼 표 1 내지 3에서와 같이 증상, 동작 명칭, 동작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및 각 동작과 관련한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는 용어는 관계형(relational), 객체지향형(objected-oriented)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엄밀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 베이스(file-base) 형태의 간단한 정보 저장 구성요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하는 경우 자세 관리 장치(20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 등을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의심되는 건강이상정보 및 매칭되는 교정 자세 및 교정 스트레칭 동작을 텍스트, 사운드, 또는,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자세 관리 장치(200)는 또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자세 검출 장치(100)와 통신가능하여, 자세 검출 장치(100)가 일정한 검출 시간 동안 검출한 다수의 압력 측정 포인트들에서의 압력 측정치 및 관련 정보를 자세 검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운동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10) 및 입출력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다양한 운동 관련 콘텐츠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웹사이트, 휴대용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또한, 자세 관리 장치(200) 내부에 위치하여 다양한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이미 설명하였으며, 이 경우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도 4에 도시된 형태가 아니라 자세 관리 장치(200) 내부에 위치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운동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10)는 판단된 사용자 증상에 따라 유용한 운동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운동 콘텐츠 정보는 관련 운동 시퀀스에 대한 텍스트 및 운동 시연 영상을 포함한다. 운동 콘텐츠 정보는 사용자의 증상별로 매칭되는데, 하나의 증상에 여러 운동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증상에 동일한 운동 콘텐츠가 매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는 용어는 관계형(relational), 객체지향형(objected-oriented)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엄밀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 베이스(file-base) 형태의 간단한 정보 저장 구성요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입출력 제어부(320)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자세 관리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운동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10)에서 해당 콘텐츠를 검색하여 자세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현대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척추 및 목 관련 이상증세를 도시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에 의해 검출 및 교정이 가능한 현대인의 근골격계 이상증세의 대표적인 예들을 도시한다.
도 5의 A에서는 뒤에서 바라보았을 때 척추의 일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어지는 척추측만증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5의 B에서는 옆에서 바라보았을 때 척추가 뒤로 넘어가는 형태이거나 앞으로 쏠리는 형태, 또는 경추가 일자이거나 거북목의 형태를 띠는 이상증세를 도시한다.
도 5에 나타낸 A 형태의 척추측만증을 가지는 경우 앉은 상태에서 왼쪽 엉덩이가 방석에 부착되는 부분의 면적 및 압력, 그리고 오른쪽 엉덩이가 방석에 부착되는 부분의 면적 및 압력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등받이에 부착되는 등의 왼쪽 및 오른쪽 부분도 그 위치 및 면적, 그리고 압력 면에서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좌측 및 우측에서 이러한 불균형이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관측된다면 압력이 더 세게 나타나는 쪽으로의 척추측만증을 의심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척추측만증이 심한 경우는 골반불균형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에 따르면 척추 측만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척추 측만 증상에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뿐 아니라 골반 불균형에 따른 운동 콘텐츠 또한 제공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목 및 경추의 다양한 형상과 관련해서, 엉덩이가 방석에 부착되는 부분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전방으로 많이 치우치는 경우 또는 전방의 압력이 후방보다 강한 경우는 척추전만증, 거북목 증후군 등을 의심할 수 있다. 반대로 엉덩이가 방석에 부착되는 부분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후방으로 많이 치우치는 경우 또는 전방의 압력보다 후방의 압력이 강한 경우는 척추후만증 등을 의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듯 측정된 압력 패턴으로부터 의심되는 이상증세를 판단하고, 이상 증세에 매칭시켜 아래 표 1 내지 표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운동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200)에 의해 사용자가 골반불균형, 허벅지부종, 굽은등, 골반/허리 틀어짐 등의 증상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각 증상에 매칭가능한 운동 콘텐츠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증상 동작 명칭 동작 순서
골반불균형, 허벅지 부종 변형 합장 자세 A. 발 뒷꿈치를 살짝 들어주세요.
B. 다리를 양옆으로 벌린 뒤, 그대로 투명의자 자세를 해주세요.
C. 허리는 쭉 편채, 어깨를 벌리고 목을 안으로 넣어주세요.
D. 합장자세를 하고, 시선은 정면으로 바라보아 주세요.
굽은 등/ 늑골/가슴 유연나무 자세 A. 한 다리로 균형을 잡고 몸을 바르게 세워주세요.
B. 엉덩이에 힘을주고 양팔은 쭉 뻗어 어깨가 펴지는 것을 느껴보세요. 
C. 이후 양쪽으로 한번씩 기울여 옆구리가 접히고 허리의 긴장이 풀어지는 것을 느껴보세요
골반, 허리 틀어짐 가위
자세
A. 다리를 ? 옆으로 쭉 벌리고 앉은 자세에서 오른쪽 무릎을 굽혀 발뒷꿈치를 회음부 쪽에 대고 왼쪽다리는 무릎을 쭉 펴주세요
B. 허리는 오른쪽으로 틀어주시고 정면도 오른쪽 뒤를 바라보아주세요 
C. 양팔은 왼쪽 다리방향으로 쭉 뻗어 손바닥은 하늘로 향하게 유지해주세요
E. 어깨와 가슴을 확짝 펴주시고, 20~30초 정도 유지해주세요
F. 처음 [A] 자세로 돌아와, 다시 반대쪽으로 실시해주세요
G. 이후 정좌자세로 돌아와 호흡을 정리해 주세요.
아래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증상 중 척추 측만증과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증상에 대해 다양한 추천 동작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200)는 매칭되는 모든 운동 동작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시도할 동작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된 운동 동작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고,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하나의 동작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증상 동작 명칭 동작 순서
척추 측만증 기립근 늘리기 1 1. 경추에서 흉추, 요추까지 내려가면서 최대한 멀리 밀어준다
2. 척추의 곡선이 형성되고 엉덩이가 하늘로 올라가도록 한다.
3. 날개뼈 주위의 근육과 흉추, 요추 모두 다 근육이 이완되어 시원한 느낌이 날때까지 계속한다.
4. 천천히 제자리로 몸을 올려준다. 이때, 내려간 순 반대쪽부터 허리 흉추 경추로 천천히 올려준다.
기립근 늘리기 2 1. 무릎을 꿇고 상체를 쭈욱 밀어준다.
2. 오른쪽 방향으로 피아노 치듯이 손가락을 천천히 움직여준다.
3. 골반이 따라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때, 오른쪽은 완전히 수축시키고 왼쪽은 충분히 이완되도록 한다.
4. 제자리에서 쭈욱 이완시킨 뒤 왼쪽으로 천천히 이동하여 커브를 만든다. 이때, 왼쪽은 수축하고 오른쪽은 충분히 이완되도록 한다.
아래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증상들 중 척추전만증, 거북목 증후군, 척추후만증과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증상 동작 명칭 동작 순서
척추전만증, 거북목 증후군 기본 자세 1. 누가 머리를 위에서 잡아당기고 있는 느낌으로 머리를 쭉 뽑고 앉으세요.
2. 머리를 몸통 전체에서 받칠 수 있도록 앉고 서고 걷고 일상생활동작을 교정하세요
seated scapular wall 1.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벽 등의 구초제를 대고 앉는다.
2. 양발의 발바닥이 마주보도록 하여 양 무릎을 구부려 양 무릎이 바닥에 닿도록 한다.
3. 팔꿈치가 직각을 이루도록 양팔을 든다. 이때, 머리, 팔, 다리, 엉덩이가 등에 밀착되도록 한다.
4. 팔이 일자가 되도록 벽을 따라 들어올렸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5. 15회 반복한다.
Stretch Your Neck Scalenes Muscles 1. 의자에 앉아 한쪽 손으로 의자 옆의 밑을 잡고 머리는 잡은 손의 반대 방향으로 옆으로 숙인다. 이때 의자를 잡은 손 쪽 목 옆이 스트레칭되는 것을 느낀다.
2. 그 상태에서 머리를 옆/앞 방향으로 숙이고 목 뒤쪽이 스트레칭됨을 느낀다.
3. 머리는 같은 방향으로 숙이고 고개를 들어 목 앞쪽이 스트레칭됨을 느낀다.
4. 손을 바꾸어 잡고 목을 반대 방향으로 숙여 위와 반대 방향으로 동작을 반복한다.
Extension-self mobilization 1. 무릎은 고관절 보다 높게 하여 앉는다.
2. 그 상태에서 요추를 잠그기 위해 손은 각지를 껴서 목뒤에 올리고 양 팔꿈치가 붙게 해서 앞으로 내민다.
3. 천정을 향해 팔꿈치를 서서히 올린다
4. 최대한 올린 후 호흡을 내뱉는다
척추후만증 코어근육 운동 1. pull-ups: 어깨를 올리지 않고 낮게 유지한 상태에서 슬링을 잡고 pull-up 동작을 10-12회 정도 반복
2. push-ups: 슬링을 이용하여 push-up 동작을 10-12회 정도 반복
도 6는 장시간 앉은 자세로 생활하는 사용자에게서 이상증세가 흔히 나타나는 신체 부위를 도시한다.
직장인, 학생 등 앉은 상태에서 긴 시간을 보내는 사용자들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610) 및 승모근(620)에 가장 먼저 이상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에 대한 자세 판단 결과 별다른 이상증세가 의심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동일 면적, 동일 범위에서 장시간 동안 압력치의 변화가 미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앞서 표 1 내지 표 3에 예시된 운동 콘텐츠 중 적당한 동작, 예를 들어, 거북목증후군에 적합한 기본 자세 동작 또는 seated scapular wall 동작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장시간 동안의 앉은 자세가 수년 동안 이어지는 경우 일자목, 거북목 증후군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다분하므로, 심각한 이상 증세로 이어지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자세 교정 방법을 통해 예방 조치를 취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 본 발명의 자세 교정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이 도 2 내지 4를 통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자세 교정 시스템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은 각 단계를 정의하는 기능 자체로서 한정되어야 한다. 즉,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된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각 단계의 수행주체가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방법에 따르면 우선,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압력 값들을 수집하고(S710), 수집된 압력 값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한다(S720). 이때, 압력 값들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다수의 압력 측정 포인트들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압력을 측정하여 획득된다.
자세 패턴 검출과 관련하여서는, 방석 및 등받이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었을 때 각 구간별로 나타나는 접촉 영역 및 해당 접촉 영역에서의 압력 값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한다.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이상 증세를 판단하고(S730), 판단 결과, 이상 증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740).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방법은 또한 잘못된 자세임을 단순 통지하는 수준을 넘어서, 판단된 이상 증세와 매칭되는 운동콘텐츠를 선별하고(S750), 선별한 운동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760).
여기서, 이상 증세는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거북목증후군 등 명확한 명칭을 붙일 수 있는 증세뿐 아니라 앞서 도 6과 관련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장시간의 좌식 생활 환경 또한 포함한다 할 것이다. 도 6에서는 예를 들어,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사용자에게는 경추와 승모근을 풀어줄 수 있는 기본 동작을 제공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세 검출 장치 110: 감지 센서
120: 제어부 130: 기록부
140: 공기주입부 200: 자세 관리 장치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교정판단부
230: 자세정보 저장부 300: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
310: 운동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320: 입출력 제어부

Claims (18)

  1.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하여 수집된 압력 값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신체이상 증세를 판단하여 신체이상 증세와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별하는 교정판단부; 및
    상기 교정판단부에 의해 선별된 운동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자세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과 관련하여 수집된 압력 값들 및 자세관련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자세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자세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세관련 기준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주요 행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세 관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판단부는, 방석 및 등받이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값이 나타나는 복수의 구역을 정의하고, 각 구역별로 나타나는 접촉 영역 및 해당 접촉 영역에서의 압력 값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는, 자세 관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정판단부는,
    방석에서 정의되는 각 구역에 대해 면적, 위치, 압력값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상호 비교하고, 등받이에서 정의되는 각 구역에 대해 면적, 위치, 압력값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이상 증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관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신체이상 증세는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거북목증후군, 일자목, 골반틀어짐, 및 굽은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세 관리 장치.
  7.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측정치들을 수집하는 자세 검출 장치; 및
    상기 자세 검출 장치로부터 자세 관련 측정치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치들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이상 증세를 판단하여 이상 증세와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별하고 선별된 운동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자세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세 검출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다수의 압력 측정 포인트들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압력을 측정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세 검출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측정 포인트에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압력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압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세 검출 장치는,
    상기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에 걸쳐 배치된 복수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상기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 중 적어도 일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세 검출 장치는, 자세관련 기준압력 값 및 감지센서가 측정한 각 지점의 압력 값을 저장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관련 기준압력 값 및 감지센서가 측정한 각 지점의 압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에서 공기 주입이 필요한 부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주입구의 공기주입 속도, 공기주입량, 공기주입 유지시간, 반복 회수, 및 다수의 공기토출구들 간의 공기주입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자세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해당 운동 콘텐츠를 상기 자세 관리 장치로 제공하는 운동 콘텐츠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15.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압력 값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압력 값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신체이상 증세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체이상 증세와 매칭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한 운동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압력 값들을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방석 및 등받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다수의 압력 측정 포인트들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압력 값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는,
    방석 및 등받이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값이 나타나는 복수의 구역을 정의하고, 각 구역별로 나타나는 접촉 영역 및 해당 접촉 영역에서의 압력 값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자세 패턴으로부터 신체이상 증세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신체이상 증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방법.

KR20140037867A 2014-03-31 2014-03-31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48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867A KR101480026B1 (ko) 2014-03-31 2014-03-31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867A KR101480026B1 (ko) 2014-03-31 2014-03-31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026B1 true KR101480026B1 (ko) 2015-01-08

Family

ID=5258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7867A KR101480026B1 (ko) 2014-03-31 2014-03-31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026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487A (ko) * 2015-08-07 2017-02-15 곽정오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20170002727U (ko) * 2016-01-21 2017-07-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자세 교정 장치
KR101797827B1 (ko) * 2015-12-16 2017-12-12 이용민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KR20180002242A (ko) * 2016-06-29 2018-01-08 김진용 스트레칭 가이드 방법 및 스트레칭 가이드 장치
KR101816711B1 (ko) * 2016-02-29 2018-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의자 및 착석자세 분석 방법, 스마트 의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8008935A1 (ko) * 2016-07-05 2018-01-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석 자세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57938A (ko) * 2016-11-23 2018-05-31 김상민 거북목 교정 시스템
KR20180077378A (ko) * 2016-12-28 2018-07-09 구기원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8662A (ko) * 2017-05-24 2018-12-04 한국전기연구원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90004540A (ko) * 2017-07-04 2019-01-14 한국전기연구원 힘토크 센서를 이용한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90036929A (ko) 2017-09-28 2019-04-05 권명규 실시간 자세 관리 시스템
KR20190119488A (ko) * 2018-04-12 2019-10-2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스마트 요가 매트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점수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6219A (ko) * 2018-11-14 2020-05-22 박성하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KR102137445B1 (ko) 2020-03-26 2020-07-24 신규승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자세분석 방법과 자세분석 시스템
KR102268667B1 (ko) 2020-09-16 2021-06-23 조민우 사용자 맞춤형 자세 교정 쿠션, 자세 교정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3297876A (zh) * 2020-02-21 2021-08-24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冰箱的运动姿势矫正方法、智能冰箱及存储介质
KR102297719B1 (ko) 2021-04-07 2021-09-02 이기성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운동처방 시스템
KR20210107972A (ko) * 2020-02-24 2021-09-0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KR20230039874A (ko) * 2021-09-14 2023-03-22 이석규 돌기 및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거북목 치료용 목 운동시스템
KR102593121B1 (ko) 2022-11-01 2023-10-24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자세교정 운동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244B1 (ko) 2022-11-01 2023-12-06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자세측정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운동추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515A (ko) * 2004-08-23 2004-10-16 조명호 자세감지도구
KR20110043822A (ko) * 2009-10-22 2011-04-28 (주)인성정보 체력강화용 영양처방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9941A (ko) * 2009-11-06 2011-05-13 이동인 자세교정의자 및 방석
KR20110137681A (ko) * 2010-06-17 2011-12-23 (주)레보 인체공학적 체형 보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515A (ko) * 2004-08-23 2004-10-16 조명호 자세감지도구
KR20110043822A (ko) * 2009-10-22 2011-04-28 (주)인성정보 체력강화용 영양처방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9941A (ko) * 2009-11-06 2011-05-13 이동인 자세교정의자 및 방석
KR20110137681A (ko) * 2010-06-17 2011-12-23 (주)레보 인체공학적 체형 보정기구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279B1 (ko) * 2015-08-07 2017-03-03 곽정오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20170017487A (ko) * 2015-08-07 2017-02-15 곽정오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101797827B1 (ko) * 2015-12-16 2017-12-12 이용민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KR20170002727U (ko) * 2016-01-21 2017-07-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자세 교정 장치
KR101816711B1 (ko) * 2016-02-29 2018-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의자 및 착석자세 분석 방법, 스마트 의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7211B1 (ko) * 2016-06-29 2019-09-02 김율 스트레칭 가이드 방법 및 스트레칭 가이드 장치
KR20180002242A (ko) * 2016-06-29 2018-01-08 김진용 스트레칭 가이드 방법 및 스트레칭 가이드 장치
WO2018008935A1 (ko) * 2016-07-05 2018-01-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석 자세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18813B1 (ko) * 2016-07-05 2019-02-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석 자세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CN109844798A (zh) * 2016-07-05 2019-06-04 Lg优普乐株式会社 用于提供就坐姿势信息的设备及方法
KR20180057938A (ko) * 2016-11-23 2018-05-31 김상민 거북목 교정 시스템
KR20180077378A (ko) * 2016-12-28 2018-07-09 구기원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47095B1 (ko) * 2016-12-28 2019-02-13 구기원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8662A (ko) * 2017-05-24 2018-12-04 한국전기연구원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63816B1 (ko) * 2017-05-24 2019-03-29 한국전기연구원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002069B1 (ko) * 2017-07-04 2019-07-19 한국전기연구원 힘토크 센서를 이용한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90004540A (ko) * 2017-07-04 2019-01-14 한국전기연구원 힘토크 센서를 이용한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90036929A (ko) 2017-09-28 2019-04-05 권명규 실시간 자세 관리 시스템
KR20190119488A (ko) * 2018-04-12 2019-10-2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스마트 요가 매트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점수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39584B1 (ko) * 2018-04-12 2019-11-0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스마트 요가 매트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점수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209492B1 (ko) * 2018-11-14 2021-01-28 박성하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KR20200056219A (ko) * 2018-11-14 2020-05-22 박성하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CN113297876A (zh) * 2020-02-21 2021-08-24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冰箱的运动姿势矫正方法、智能冰箱及存储介质
KR20210107972A (ko) * 2020-02-24 2021-09-0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KR102330442B1 (ko) 2020-02-24 2021-11-24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KR102137445B1 (ko) 2020-03-26 2020-07-24 신규승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자세분석 방법과 자세분석 시스템
KR102268667B1 (ko) 2020-09-16 2021-06-23 조민우 사용자 맞춤형 자세 교정 쿠션, 자세 교정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97719B1 (ko) 2021-04-07 2021-09-02 이기성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운동처방 시스템
KR20230039874A (ko) * 2021-09-14 2023-03-22 이석규 돌기 및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거북목 치료용 목 운동시스템
KR102649601B1 (ko) * 2021-09-14 2024-03-22 이석규 돌기 및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거북목 치료용 목 운동시스템
KR102593121B1 (ko) 2022-11-01 2023-10-24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자세교정 운동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244B1 (ko) 2022-11-01 2023-12-06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자세측정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운동추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026B1 (ko)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673212B1 (ko) 바른 스쿼트 운동을 위한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JP7109612B2 (ja) 代償運動の原因部位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並びに、代償運動を解消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Iyengar et al. Relationship between postural alignment in sitting by photogrammetry and seated postural control in post-stroke subjects
Muyor et al. Concurrent validity of clinical tests for measuring hamstring flexibility in school age children
US10952660B2 (en) Berg balan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Sahinoğlu et al. Effects of different seating equipment on postural control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20170086711A1 (en) Motion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KR101975585B1 (ko) 신축성 센서를 이용한 보행 분석 시스템 및 보행 코칭 방법
Gabison et al. Trunk strength and function using the multidirectional reach distance in individuals with non-traumatic spinal cord injury
JP6281876B2 (ja) 運動器評価システム及び運動器評価方法
Marszałek et al. Reliability of measurement of active trunk movement in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KR101545516B1 (ko) 균형성 재활운동 자세 교정 시스템
Stenlund et al. Inter-and intra-tester reliability when measuring seated spinal postures with inertial sensors
KR20090109413A (ko) 체형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8044B1 (ko) 스쿼트 트레이닝 시스템
US10517522B2 (en) System for measuring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CUĞ et al. Influence of leg dominance on single-leg stance performance during dynamic conditions: An investigation into the validity of symmetry hypothesis for dynamic postural control in healthy individuals
KR101092078B1 (ko) 하지 근력 평가 및 훈련 제어장치 및 방법
US7922622B2 (en) Method for improving strength, flexibility, and coordination
Lee et al. Assistive devices to help correct sitting-posture based on posture analysis results
Amick et al. Comparison of the SWAY balance mobile application to the abbreviated balance error scoring system
RU2725088C9 (ru) Многовекторная оздоровительная гимнастика
Rohleder Validation of balance assessment measures of an accelerometric mobile device application versus a balance platform
Roy et al. Quantification of postural balance using augmented reality based environment: A pilot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