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827B1 -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7827B1 KR101797827B1 KR1020150180492A KR20150180492A KR101797827B1 KR 101797827 B1 KR101797827 B1 KR 101797827B1 KR 1020150180492 A KR1020150180492 A KR 1020150180492A KR 20150180492 A KR20150180492 A KR 20150180492A KR 101797827 B1 KR101797827 B1 KR 101797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ck
- smart device
- user
- display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25482 malaise Diseas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6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06010028836 Ne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942 A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9816 Muscle tight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37 neck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스마트기기(10)에 설치되어 목질환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착용되어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목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에 따라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단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때 무의식적으로 숙여지는 목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표시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자발적 또는 강제적 동기유발을 제공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의 스마트기기는 거치대에 올려둔 상태에서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손으로 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손으로 기기를 파지하고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머리보다 낮은 위치에 기기를 위치시키고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목부위 관절의 손상이나 목근육의 긴장 등의 목질환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중매체나 건강서적 등에서는 상기 목질환을 방지하기 위해 목의 관절이나 근육을 풀어줄 수 있도록 수시로 목 스트레칭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목질환이 발생되어 통증이 유발할 때까지는 스트레칭 운동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이나 동기유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때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목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표시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자발적 또는 강제적 동기유발을 제공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스마트기기(10)에 설치되어 목질환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착용되어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목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에 따라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단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기설정된 불량자세 범위에 속하고 설정시간 동안 상기 불량자세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10)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기설정된 잠금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마트기기(10)에 설치되어 목질환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착용되어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현재 시각과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각이 일치하면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알람기능을 활성화하되 상기 알람기능이 활성화되면 목과 관련된 스트레칭 운동조건(A)을 상기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스트레칭 운동조건(A)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며, 수행시 상기 알람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마트기기(10)에 설치되어 목질환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착용되어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방향 전환되는 캐릭터(C)를 이동시켜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화면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목이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하며, 측정된 목의 기울기 방향과 상기 캐릭터(C)의 이동방향을 동기화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마트기기(10)에 설치되어 목질환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착용되어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목이 기울어지거나 회전하는 방향별로 가동범위를 테스트하기 위해 각 방향별로 목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정보가 상기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각 방향별 목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며, 기설정된 각 방향별 정상가동 기준데이터와 산출된 각 방향별 가동측정데이터를 비교하여 기준데이터에 미달되는 특정 방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목을 움직일 때 사용되는 근육과 관련된 스트레칭 운동정보(D)가 상기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0)를 사용할 때 무의식적으로 숙여지는 목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표시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자발적 또는 강제적 동기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센서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정보를 측정하여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를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기기(10)를 사용하는 자세를 고치거나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알람동작시 목 관절이나 근육을 풀어줄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조건(A)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중인 알람이 해제되도록 동작됨으로써 스트레칭의 필요성이 큰 시기인 취침직후에 사용자가 스트레칭을 운동할 수 있도록 강제적인 동기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방향 전환되는 캐릭터(C)를 이동시키는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목의 움직임에 따라 캐릭터(C)가 이동되도록 동기화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게임 중에 목 움직임에 따른 스트레칭 효과가 자연스럽게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둘째, 목이 기울어지거나 회전하는 방향별로 가동범위를 테스트하여 정상가동 기준데이터에 미달되는 특정 방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목을 움직일 때 사용되는 관절나 근육과 관련된 스트레칭 운동정보(D)를 스마트기기(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목상태에 따른 맞춤형 스트레칭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다양한 형태로 전방 기울기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잠금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잠금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알람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알람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의 목 움직임 방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목의 가동범위를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적정한 스트레칭 운동이 제시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다양한 형태로 전방 기울기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잠금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잠금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알람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알람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의 목 움직임 방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목의 가동범위를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적정한 스트레칭 운동이 제시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스마트기기(10)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목질환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센서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기기(10)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및, 노트북과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모바일을 포함하여 PC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고정되고 사용자의 눈높이가 변동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기인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센서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나 목에 착용되어 목의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서, 도 2의 (a)와 같이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면서 목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움직임, 도 2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고개를 젖히면서 목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움직임,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고개를 돌리면서 목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100)는 자이로센서, 관성센서 및 가속도센서와 같이 고정된 위치에서의 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여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는 귀걸이, 안경, 모자, 머리핀 및 머리띠 등 사용자의 머리나 목에 착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되, 사용자의 목 움직임에 따라 변동되는 물리적 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착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00)는,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스마트기기(10)를 통해 다양한 목질환 방지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상태표시 컨텐츠제공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에는 목질환 방지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50)가 구비된다.
상기 목상태표시 컨텐츠제공부(210)는,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목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결과에 따라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단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도 4의 확대도에 표시된 하향 화살표는 사용자의 고개가 아래로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는 색상변화를 통해 양호한 상태와 불량한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0도 내지 5도에 속하는 경우 양호한 상태로 청색표시로 나타낼 수 있고, 6도 내지 30도에 속하는 경우 보통 상태로 황색표시로 나타낼 수 있으며, 31도 내지 60도에 속하는 경우 불량 상태로 적색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는 화살표 표시 이외에 도 5의 (b)와 같이 인체 형상과 같이 다양한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음향이나 점멸상태 또는 문자, 수치로서 목의 기울기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센서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정보를 측정하여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를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기기(10)를 사용하는 자세를 고치거나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기설정된 불량자세 범위에 속하고 설정시간 동안 상기 불량자세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기기(10)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기설정된 잠금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0)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거나 자세를 올바르게 고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잠금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목과 관련된 스트레칭 운동조건(A)을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스트레칭 운동조건(A)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며, 수행시 상기 잠금기능이 해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알람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시된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알람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스트레칭에 대한 강제적인 동기유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알람기능 컨텐츠제공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알람기능 컨텐츠제공부(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각과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각이 일치하면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알람기능을 활성화하되 상기 알람기능이 활성화되면 목과 관련되 스트레칭 운동조건(B)을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스트레칭 운동조건(B)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며, 수행시 상기 알람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람동작시 목 관절이나 근육을 풀어줄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조건(B)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중인 알람이 해제되도록 동작됨으로써 스트레칭의 필요성이 큰 시기인 취침직후에 사용자가 스트레칭을 운동할 수 있도록 강제적인 동기유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게임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목의 스트레칭 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게임기능 컨텐츠제공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게임기능 컨텐츠제공부(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되는 캐릭터(C)를 이동시켜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화면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목이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하며, 측정된 목의 기울기 방향과 상기 캐릭터(C)의 이동방향을 동기화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 전환되는 캐릭터(C)를 이동시키는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목의 움직임에 따라 캐릭터(C)가 이동되도록 동기화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게임 중에 목 움직임에 따른 스트레칭 효과가 자연스럽게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사용자 목의 가동범위를 테스트하고 테스트결과에 따라 요구되는 스트레칭 운동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스트레칭 컨텐츠제공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칭 컨텐츠제공부(2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이 기울어지거나 회전하는 방향별로 가동범위를 테스트하기 위해 각 방향별로 목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정보가 상기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각 방향별 목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며, 기설정된 각 방향별 정상가동 기준데이터와 산출된 각 방향별 가동측정데이터를 비교하여 기준데이터에 미달되는 특정방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목을 움직일 때 사용되는 관절이나 근육과 관련된 스트레칭 운동정보(D)가 상기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목이 기울어지거나 회전하는 방향별로 가동범위를 테스트하여 정상가동 기준데이터에 미달되는 특정 방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목을 움직일 때 사용되는 관절나 근육과 관련된 스트레칭 운동정보(D)를 스마트기기(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목상태에 따른 맞춤형 스트레칭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스마트기기 11...디스플레이
100...센서부 200...제어부
210...목상태표시 컨텐츠제공부 220...알람기능 컨텐츠제공부
230...게임기능 컨텐츠제공부 240...스트레칭 컨텐츠제공부
250...메모리
100...센서부 200...제어부
210...목상태표시 컨텐츠제공부 220...알람기능 컨텐츠제공부
230...게임기능 컨텐츠제공부 240...스트레칭 컨텐츠제공부
250...메모리
Claims (4)
- 스마트기기(10)를 이용하여 목질환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귀, 귀걸이, 안경, 모자, 머리핀 또는 머리띠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움직임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스마트기기(10)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목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에 따라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단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목의 전방 기울기 상태가 기설정된 불량자세 범위에 속하고 설정시간 동안 상기 불량자세 범위를 유지하면 상기 스마트기기(10)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기설정된 잠금기능을 활성화하며,
상기 잠금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목과 관련된 스트레칭 운동조건(A)이 문자나 이미지로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스트레칭 운동조건(A)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며, 수행시 상기 잠금기능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현재 시각과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각이 일치하면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알람기능을 활성화하되 상기 알람기능이 활성화되면 목과 관련된 스트레칭 운동조건(B)을 상기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스트레칭 운동조건(B)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며, 수행시 상기 알람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방향 전환되는 캐릭터(C)를 이동시켜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화면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목이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하며, 측정된 목의 기울기 방향과 상기 캐릭터(C)의 이동방향을 동기화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492A KR101797827B1 (ko) | 2015-12-16 | 2015-12-16 |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492A KR101797827B1 (ko) | 2015-12-16 | 2015-12-16 |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2081A KR20170072081A (ko) | 2017-06-26 |
KR101797827B1 true KR101797827B1 (ko) | 2017-12-12 |
Family
ID=5928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0492A KR101797827B1 (ko) | 2015-12-16 | 2015-12-16 |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78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39005A1 (ko) * | 2020-12-22 | 2022-06-30 | 주식회사 프로젝트레인보우 | 호흡훈련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호흡측정장치 |
KR102552192B1 (ko) * | 2023-04-03 | 2023-07-05 | 김택균 | 바른자세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026B1 (ko) * | 2014-03-31 | 2015-01-08 | (주) 피앤에스프로 |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
-
2015
- 2015-12-16 KR KR1020150180492A patent/KR1017978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026B1 (ko) * | 2014-03-31 | 2015-01-08 | (주) 피앤에스프로 |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2081A (ko) | 2017-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6545B1 (en) | Portable system for vestibular testing and/or training of a user | |
US9406211B2 (en) | Wearable posture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to regulate posture | |
AU2015336097B2 (en) | Posture improv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 |
KR101726894B1 (ko) | 시지각 속도 및/또는 폭의 테스트/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 |
US9814925B2 (en) | Exercise mat, entertainment device and method of interaction between them | |
JP5804553B2 (ja) | 姿勢バランス測定装置 | |
KR101338043B1 (ko) | 실감 인터랙션을 이용한 인지재활 시스템 및 방법 | |
US10881289B2 (en) | Device for testing the visual behavior of a pers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ptical design parameter of an ophthalmic lens using such a device | |
KR101978803B1 (ko) |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 | |
JP2018530790A (ja) | 累進レンズの光学系を判定する方法 | |
US20130110004A1 (en) | User posture detection | |
KR20190097396A (ko) |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 |
US10890964B2 (en) | Intent based inputs and forced feedback system for a virtual reality system | |
TW201842432A (zh) | 自動配置感測器的方法、電子設備及記錄媒體 | |
KR101797827B1 (ko) | 스마트기기용 목질환 방지컨텐츠 제공시스템 | |
JPWO2018079382A1 (ja) |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JP2017124074A (ja) | 電子機器、システム、判定方法、判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TWI530821B (zh) | 頭戴式顯示系統及其操作方法 | |
KR101580317B1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세 인식 장치 | |
KR102133219B1 (ko) | 움직임감지 증강현실 글라스 | |
JP2022085560A (ja) | 身体不調改善装置及び身体不調改善プログラム | |
JP2014204759A (ja) | 立位姿勢バランス評価訓練システム | |
JP7029722B2 (ja) | Ar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TWI533238B (zh) | 動作偵測與判斷裝置及方法 | |
US11079845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apy and computer us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