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378A -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378A
KR20180077378A KR1020160181131A KR20160181131A KR20180077378A KR 20180077378 A KR20180077378 A KR 20180077378A KR 1020160181131 A KR1020160181131 A KR 1020160181131A KR 20160181131 A KR20160181131 A KR 20160181131A KR 20180077378 A KR20180077378 A KR 2018007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ensors
sensing
moto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095B1 (ko
Inventor
구기원
Original Assignee
구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기원 filed Critical 구기원
Priority to KR102016018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0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3Constructive detail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9Velocity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r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종래 기술에 비해 다양한 자세를 측정할 수 있는 자세 교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은 넥밴드 및 방석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종합적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정자세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OSTURE CALIBRATIP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허리와 어깨의 자세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올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6387호에는 실시간으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방석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석은 4등분으로 분리된 각 부분의 공기압력을 센싱하고, 각 부분의 압력차를 디스플레이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세의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은 앉은 자세에서 허리 이하의 자세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겠지만, 사람의 자세는 단순하게 엉덩이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만으로 분석할 수 없다. 사람의 척추는 경추(목뼈) 7개, 흉추(등뼈) 12개, 요추(허리뼈) 5개, 천추(자리뼈) 5개, 미추(꼬리뼈) 4개 이며, 이중 자세와 연관성이 높은 경추, 흉추, 요추의 개수만도 24개이다. 이 24개의 뼈는 서로 맞물려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의자에 가해지는 압력만으로 앉은 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판단하는 것은 정확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허리(엉덩이)와 어깨(목)의 자세를 함께 센싱하여 종합적으로 자세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6387호
본 명세서는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정확한 자세 판단 및 올바른 자세 교정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각각 센싱하는 2개의 가속도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각각 센싱하는 2개의 자이로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각각 센싱하는 2개의 지자기 센서, 사용자의 목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목 오른쪽에 배치되는 우측 모터, 사용자의 목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목 왼쪽에 배치되는 좌측 모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2개의 가속도 센서, 2개의 자이로 센서 및 2개의 지자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모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넥밴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넥밴드; 복수의 공기튜브, 상기 복수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공기펌프모터, 상기 복수의 공기 튜브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압력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1개의 가속도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1개의 자이로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각각 센싱하는 1개의 지자기 센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 1개의 가속도 센서, 1개의 자이로 센서 및 1개의 지자기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공기펌프모터 제어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석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압 방석; 및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자세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우측 모터, 좌측 모터 및 공기펌프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기준 자세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및 3개의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기준 자세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모터를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따라서 모터의 세기와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복수의 공기 튜브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압력 센서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공기 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방법은, 넥밴드, 공기압 방석 및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넥밴드 및 방석이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복수의 압력센서에서 센신? 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자세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넥밴드 및 방석이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복수의 압력센서에서 센신? 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센싱값과 상기 기준 자세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우측 모터, 좌측 모터 및 공기펌프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기준 자세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기준 자세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모터를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따라서 모터의 세기와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복수의 공기 튜브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압력 센서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공기 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센서의 차이 값이 증가한 방향의 위치를 기준으로, 넥밴드와 방석의 3축 자이로, 3축 지자기, 3축 가속도 센싱 값을 이용하여 공기주입 양을 제어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달리 더욱 다양하게 정자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공기압 방석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및 5 카메라 모듈를 이용하여 자세 기준값을 설정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LDA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넥밴드의 자세한 구조이다.
도 8은 앱을 이용한 통계화면의 예시도 이다.
도 9는 앱을 이용한 허리자세 측정 화면(a), 앱을 이용한 거북목 측정화면(b)이다.
도 10은 측정 가능한 자세로 앞뒤 굽음(a), 양옆 휨(b), 위아래 뒤틀림(c),
좌우 다리꼬음(d)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중심으로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은 넥밴드(10), 공기압 방석(30) 및 휴대용 단말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이해의 편의를 위한 예시임을 미리 언급한다.
상기 넥밴드(10)는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2개의 가속도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2개의 자이로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2개의 지자기 센서, 사용자의 목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목 오른쪽에 배치되는 우측 모터, 사용자의 목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목 왼쪽에 배치되는 좌측 모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2개의 가속도 센서, 2개의 자이로 센서 및 2개의 지자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모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넥밴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가속도 센서 및 2개의 자이로 센서는 상기 넥밴드(10)가 사용자의 목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자세, 특히, 어깨와 목의 자세를 센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모터 및 좌측 모터는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진동을 주기 위한 역할을 한다. 즉,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를 통해 어느 한 쪽에 진동세기와 진동주기를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자세가 올바르지 못하며,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알림을 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를 구동시키는 세기 및 주기는 아래 표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1
Degree_max = Max[ abs[roll,pitch,yaw] ]
D = duration rate of vibration ( 0<D<1 )
Ts = duration of vibration
Ti = strength of vibration
S = strength rate of vibration ( 0<S<1 )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공기압 방석(30)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공기압 방석(30)은 복수의 공기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원형 방석을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구역이 나누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정의 각도는 15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공기압 방석(30)은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에는 3층 구조로, (a)가 1층, (b)가 2층, (c)가 3층인 예시도이다. 상기 복수의 공기튜브는 2층에 위치할 수 있다. 1층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공기펌프모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1개의 가속도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1개의 자이로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1개의 지자기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3층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 튜브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압력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공기압 방석(30)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공기펌프모터 제어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방석 제어부는 1층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공지의 정보처리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겠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자세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우측 모터, 좌측 모터 및 공기펌프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넥밴드에 부착된 2개의 가속도 센서 및 2개의 자이로센서 및 2개의 지자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비교하여 목자세를 측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넥밴드에 위치한 2개씩의 지자기, 가속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롤(Roll)값 차이를 이용하여 거북목 자세 측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를 중심으로 의해 자세 교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101에서 교정의 기준이 되는 자세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세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 및 5 카메라 모듈를 이용하여 자세 기준값을 설정하는 참고도이다.
도 4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화면상에 가상의 중심선과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정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자세를 촬영하여 사용자가 정자세를 취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자세가 취해진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넥밴드 및 공기압 방석에서 출력된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기준 자세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자세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눈, 코, 입, 어깨끝점을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선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임계치 이하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정자세를 취한 후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교정(Calibration) 버튼을 눌러주면 각도 임계값(Angle_threshold, 예: 85도<Angle<95도 사이)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넥밴드에서 일정시간(3초) 동안 Roll 값과 Pitch 값을 수집하여 그 값들을 평균을 취하여 롤(Roll)값과 피치(Pitch)값의 기준값(=정자세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값은 자세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기준으로 얼굴의 정면이 보이도록 앉을 수 있으며, 얼굴의 측면이 보이도록 앉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자세에 따라 기준값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2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3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시 수신된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앉은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구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넥밴드에서 수집되는 롤(Roll), 피치(Pitch), 요우(Yaw)값을 수집하여 AC/LDA을 수행한다. AC/LDA란, Autocorrelation/Linear Discriminant Analysis으로서, 롤(Roll), 피치(Pitch), 요우(Yaw) 값의 변화율을 가지고 사용자가 걸을 때에 갖는 롤(Roll), 피치(Pitch), 요우(Yaw) 변화율을 보이는지 아니면 앉아 있을 때의 롤(Roll), 피치(Pitch), 요우(Yaw) 변화율을 보이는지 구분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아래 수식은 Autocorrelation을 도출하는 수식이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x( i ) : R.P.Y(Roll,Pitch,Yaw Data)
x( i +m ) : 시간 m에 의해 시프트된 R.P.Y값
N : 신호 길이(ex.3초동안의 측정된 데이터 개수)
m : 걸음의 길이(ex.1초 동안의 측정된 데이터 개수)
Figure pat00004
: Autocorrelation value
Figure pat00005
: Autocorrelation classes
위와 같이 수집된 Autocorrelation 값을 가지고 LDA를 수행하여 Transformation matrix를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면
Figure pat00006
에 저장된 Autocorrelation class간에 LDA를 수행하여 Transformation matrix(weight vector)를 찾아낼 수 있다. 그 후 Transformation matrix간의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를 구하여, 거리값의 임계치를 벗어날 경우 다른 모집단으로 판단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6은 LDA의 예시도이다.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값은 사용자의 정자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자세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 잘못된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프로그래머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잘못 된 자세의 종류가 다양할 수 있다. 단순하게 앞이나 뒤로 굽은 자세일 수도 있고, 옆으로 허리가 휜 자세일 수도 있고, 상기 앞뒤로 굽은 상태에서 허리가 휜 자세일 수도 있으며, 다리를 꼬고 앉은 상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이 종래 기술과 달리 넥밴드와 방석에서 센싱된 값을 종합적으로 수신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정자세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넥밴드(10)를 이용해서는 자세의 롤(Roll)값과 피치(Pitch)값과 요우(Yaw)값만을 측정할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압 방석(30)과 결합하면 방석내의 압력 센서, 1개의 자이로 센서 및 1개의 가속도 센서 및 1개의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된 값을 비교하여, 기존에 넥밴드만이용하거나 방석만 이용했을 때 측정불가했던 다리 꼬은 자세와 허리의 위아래 뒤틀린 자세를 측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넥밴드만 사용할 때 전체 적인 사용자의 자세유형을 '3가지(roll_좌, 정방향, 우) x 3가지(Pitch_앞, 정방향, 뒤) = 9가지'에서 공기압 방석(30)과 동시에 사용할 경우, '3가지(roll_좌, 정방향, 우) x 3가지(Pitch_앞, 정방향, 뒤) x 3가지(Yaw_좌로비틀림, 정방향, 우로비틀림) x 2(좌우 다리꼬기) = 54가지'의 유형으로 늘어난다.
다음으로 단계 S106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자세가 잘 못된 자세라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따라서 모터의 세기와 주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7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복수의 공기 튜브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압력 센서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공기 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무게 중심이 이동하여 압력이 증가한 부분에 추가적인 공기를 주입시켜 기울어진 사용자의 몸을 반대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공기압을 주입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잘못된 자세가 어느 자세인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일반 허리 교정의 경우, 넥밴드를 통해 잘못된 자세라고 측정된 경우, 넥밴드에서 기울어진 정도(롤(Roll) 값과 피치(Pitch)값을 계산)에 따라 방석내의 공기 튜브의 위치 및 공기 주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넥밴드에서 롤(Roll) 값과 피치(Pitch)값이 변함에 따라서 방석에 공기 주입 위치를 변경하는 이른바 피드백(feedback)이 제공될 수 있다. 반면, 다리를 꼬은 자세인 경우, 넥밴드에서 기울어진 정도는 임계치 이하의 값이만, 방석에서 측정된 좌우 압력 값이 임계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압력이 상대적으로 많은 방향 즉, 무게 중심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8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자세가 정자세로 돌아왔을 때, 상기 추가 주입했던 공기만큼을 방출시켜 최초 정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자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 장치에 누적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누적된 정자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자세의 변화를 보여주는 통계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최적화된 방석의 부위별 공기 압력을 적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넥밴드
20 : 휴대용 단말기
30 : 공기압 방석

Claims (10)

  1.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2개의 가속도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2개의 자이로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센싱하는 2개의 지자기 센서서,
    사용자의 목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목 오른쪽에 배치되는 우측 모터,
    사용자의 목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목 왼쪽에 배치되는 좌측 모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2개의 가속도 센서, 2개의 자이로 센서 및 2개의 지자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모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넥밴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넥밴드;
    복수의 공기튜브,
    상기 복수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공기펌프모터,
    상기 복수의 공기 튜브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압력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각각 센싱하는 1개의 가속도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각각 센싱하는 1개의 자이로 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3축을 각각 센싱하는 1개의 지자기 센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 1개의 가속도 센서, 1개의 자이로 센서 및 1개의 지자기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공기펌프모터 제어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석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압 방석; 및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자세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우측 모터, 좌측 모터 및 공기펌프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기준 자세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및 3개의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기준 자세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모터를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따라서 모터의 세기와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는, 복수의 공기 튜브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압력 센서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공기 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6. 넥밴드, 공기압 방석 및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넥밴드 및 방석이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복수의 압력센서에서 센신? 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자세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넥밴드 및 방석이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복수의 압력센서에서 센신? 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센싱값과 상기 기준 자세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우측 모터, 좌측 모터 및 공기펌프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기준 자세값을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3개의 가속도 센서, 3개의 자이로 센서 및 3개의 지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로 수신된 센싱값을 기준 자세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우측 모터 또는 좌측 모터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모터를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기울기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따라서 모터의 세기와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복수의 공기 튜브 중 상기 기준 자세값에서 압력 센서의 차이값이 증가한 방향에 위치한 공기 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방법.
KR1020160181131A 2016-12-28 2016-12-28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4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131A KR101947095B1 (ko) 2016-12-28 2016-12-28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131A KR101947095B1 (ko) 2016-12-28 2016-12-28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378A true KR20180077378A (ko) 2018-07-09
KR101947095B1 KR101947095B1 (ko) 2019-02-13

Family

ID=6291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131A KR101947095B1 (ko) 2016-12-28 2016-12-28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5477A (zh) * 2021-06-23 2021-09-24 华中科技大学 一种针对脊柱侧凸矫正治疗的反馈控制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401A (ko) * 2010-06-25 2012-0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80026B1 (ko) * 2014-03-31 2015-01-08 (주) 피앤에스프로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KR20160006387A (ko) *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마르페 실시간 자세 교정 방석 및 의자
KR20160043741A (ko) * 2014-10-14 2016-04-22 최석화 머리 흔들림과 위치를 조정하여 목과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401A (ko) * 2010-06-25 2012-0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80026B1 (ko) * 2014-03-31 2015-01-08 (주) 피앤에스프로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KR20160006387A (ko) *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마르페 실시간 자세 교정 방석 및 의자
KR20160043741A (ko) * 2014-10-14 2016-04-22 최석화 머리 흔들림과 위치를 조정하여 목과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5477A (zh) * 2021-06-23 2021-09-24 华中科技大学 一种针对脊柱侧凸矫正治疗的反馈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3425477B (zh) * 2021-06-23 2023-12-12 华中科技大学 一种针对脊柱侧凸矫正治疗的反馈控制方法及相关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095B1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7648B1 (en) A device for monitoring a user and a method for calibrating the device
KR101183580B1 (ko)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KR101604024B1 (ko) 운동량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70062826A (ko)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KR101942264B1 (ko)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7160A (ko) 단말과 연동 가능한 자세 교정 모듈
KR101438714B1 (ko) 척추 자세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데이터 생성 방법
KR101665773B1 (ko) 의류 장착형 자세교정 시스템
CN106999101A (zh) 用于检测人体姿势的设备和方法
KR101707930B1 (ko) 자세교정을 위한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101947095B1 (ko)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76092B1 (ko) 둥근 어깨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시스템
KR20180074868A (ko)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US20200046261A1 (en) System for correcting shoulder alignment, assembly of a system and a further processing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70100700A (ko)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 시스템
JP6491121B2 (ja) 身体歪み検知システム
CN107874884A (zh) 一种脊柱状态监测及纠正装置
KR20190018265A (ko)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19017673A (ja) 姿勢を検出する検出装置、およびウェアラブル装置
US20190150795A1 (en) System and use method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incorrect posture
KR20160048617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85392B1 (ko) 운동 자세의 평가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그 운동 감지 장치 및 운동 관리 장치
EP2708185A1 (en) Alarm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ncorrect postures
CN108209931A (zh) 关节夹角的测量系统及方法
KR102544231B1 (ko) 동적 척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