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700A -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700A
KR20170100700A KR1020160022435A KR20160022435A KR20170100700A KR 20170100700 A KR20170100700 A KR 20170100700A KR 1020160022435 A KR1020160022435 A KR 1020160022435A KR 20160022435 A KR20160022435 A KR 20160022435A KR 20170100700 A KR20170100700 A KR 2017010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type flexible
turtle neck
flexible sensor
cerv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이응수
이경근
유승완
Original Assignee
김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형 filed Critical 김진형
Priority to KR102016002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700A/ko
Publication of KR2017010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6Evaluating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ome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거북목 측정장치는 인체의 목에 부착되며 경추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경되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 및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장치 및 그 거북목 측정 시스템{Forward head posture measurement apparatus using a flexible patch-type sensor AND Forward head posture measureme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북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장치 및 그 거북목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북목 증후군은 직장인 48%가 겪고 있으며 직장인들에게 나타나는 증후군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거북목 증후군은 척추가 굽고 목이 빠지는 증상으로,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업무를 진행하거나, 스마트폰 사용시 목을 앞으로 많이 기울이는데 그 원인이 있다.
특히 목을 앞으로 많이 기울일 경우 경추(목뼈)에 하중이 많이 가해지기 때문이 어깨와 등으로 통증이 전해지며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심할 경우,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손이 저린 증상이 나타낸다.
도 1은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상 C형 목 - 일자목(1단계) - 일자목(2단계) - 거북목(3단계)의 단계의 목의 자세와, 경추의 엑스레이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정상 자세보다 목을 앞으로 많이 기울일 경우, 목뼈 1cm마다 약 2 ~ 3kg 의 하중이 더 가해지게 되며, 상태에 따라 최고 15kg 까지의 추가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므로, 나쁜 자세를 지속할 경우 경추에 영구적인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한편, 수면시 높은 베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거북목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베개 내부에 센서를 배치하여 베게의 높이를 측정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베개 내부에 센서가 배치됨으로써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체의 목 부분에 착용하여 거북목 증후군을 방지하거나 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출시되어 있으나, 사람이 누운 상태에서 해당 기기를 착용해야 하므로 업무 중이나 일상생활 중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인체의 목에 부착되며 경추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경되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장치 및 그 거북목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목에 부착되며 경추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경되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 및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거북목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는,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고,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는, 피부에 접착되는 피부 접착 패드; 상기 피부 접착 패드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결합 밴드;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밴드에 의해 고정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목에 부착되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하는 거북목 측정장치; 및 상기 거북목 측정장치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 교환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경추 기울기값 및 상기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인체의 머리 및 목 부분을 포함하는 기준영상을 촬영한 후 상기 기준영상의 정보를 상기 거북목 측정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북목 측정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머리 및 목 부분의 상기 기준영상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기준 저항값을 트리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북목 측정장치는, 인체의 목에 부착되며 경추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경되는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 및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는,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고,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는, 피부에 접착되는 피부 접착 패드; 상기 피부 접착 패드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결합 밴드;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밴드에 의해 고정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측정장치 및 그 거북목 측정 시스템은, 인체의 목에 부착될 수 있는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하여 경추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 및 업무 중에도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거북목 측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의 제1 예시도.
도 5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의 제2 예시도.
도 6은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의 제3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거북목 측정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측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거북목 측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측정장치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북목 측정장치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와, 구동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와 구동 제어부(200)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거북목 측정장치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는 인체의 목에 부착되며 경추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경된다.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는 피부 접착 패드(110)와, 결합 밴드(120)와, 센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부 접착 패드(110)는 접착제 성분이 포함되어 피부에 접착되도록 구성되며, 피부에 다수 번 탈부착 시킬 수 있는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접착 패드(110)는 소모품 형태로 취급되어 수명이 다할 경우 교환될 수 있다.
결합 밴드(120)는 피부 접착 패드(110)의 테두리 부분에 부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즉 결합 밴드(120)는 피부 접착 패드(110)의 테두리 부분에 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모품 형태의 피부 접착 패드(110)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결합 밴드(120)와 피부 접착 패드(110)에 각각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볼록부가 오목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벨크로 테이프가 결합 밴드(120)와 피부 접착 패드(11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센서(130)는 결합 밴드(120)와 피부 접착 패드(110) 사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데, 결합 밴드(120)의 일측 및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130)는 반도체형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도체형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는 휘는 정도 - 휘는 각도크기 - 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로 정의된다.
구동 제어부(200)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는 그 휘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므로 저항-전압-전류 상호간의 관계식에 의해 그 변화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200)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는 인체의 목 뒷부분에 부착될 경우, 목의 자세에 따라 휘는 각도가 변경되므로, 휘는 각도에 따른 저항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는 실시예에 따라 1차원 축방향(-X, +Y)을 감지하거나, 2차원 축방향(+-X, +-Y, +-Z)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구동 제어부(200)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201)를 이용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거북목 증후군의 진행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2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의복에 구동 제어부(2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클립(210)이 구비될 수 있다.
발광소자(201)는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RGB)을 발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자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동 제어부(200)는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고,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취하는 목의 자세를 시간별로 누적하여 저장한 후,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며,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구동 제어부(200)에는 진동수단 및 소리 출력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진동수단은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 및 거북목 증후군의 위험도에 따라 진동세기가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현재 목의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소리 출력수단은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 및 거북목 증후군의 위험도에 따라 소리크기 및 소리종류가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현재 목의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의 제1 예시도(11)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센서(13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시도(11)의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는 반도체형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성되며, Single element 타입의 형태로 배치된다.
도 5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의 제2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센서(13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예시도(12, 13)의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는 반도체형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성되며, 2-element cross 타입(stacked type, plane type)의 형태로 배치된다.
도 6은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의 제3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센서(13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예시도(14, 15)의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는 반도체형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성되며, 3-element Rosette 타입(stacked type, plane type)의 형태로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측정 시스템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거북목 측정 시스템은 거북목 측정장치(100,200)와, 휴대용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북목 측정장치(100,200)는 도 2 및 도 3의 거북목 측정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와, 구동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거북목 측정장치(100, 200)는 인체의 목에 부착되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한다.
구동 제어부(200)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는 그 휘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므로 저항-전압-전류 상호간의 관계식에 의해 그 변화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200)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제어부(200)는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고,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취하는 목의 자세를 시간별로 누적하여 저장한 후,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며,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300)는 거북목 측정장치(100, 200)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 교환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무선통신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전송되는 경추 기울기값 및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수신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300)는 경추 기울기값 및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인 수단을 통해 실시간 알람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구동 제어부(200)가 휴대용 단말기(300)로 경추 기울기값을 단순히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사용자가 취하는 목의 자세를 시간별로 누적하여 저장한 후,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며,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구동 제어부(200) 및 휴대용 단말기(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300)는 인체의 머리 및 목 부분을 포함하는 기준영상을 촬영한 후 기준영상의 정보를 거북목 측정장치의 구동 제어부(200)에 송신한다.
즉, 사용자가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를 목 뒷부분에 부착한 후, 가장 편안한 정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로 머리 및 목 부분을 포함하는 기준영상을 촬영한다.
기준영상은 머리의 정면(후면)을 촬영한 제1 기준영상과, 머리의 좌측면(우측면)을 촬영한 제2 기준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제1 기준영상 및 제2 기준영상에서 머리의 크기와 목의 두께 및 각도를 검출한 후, 경추에 가해지는 기준 하중치를 계산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300)는 사람이 취하는 정자세와, 머리의 크기와, 목의 두께 및 각도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기준 하중치를 산출한 후, 이러한 계산값을 기준영상의 정보로써 구동 제어부(200)에 송신한다.
거북목 측정장치의 구동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머리 및 목 부분의 기준영상의 정보를 토대로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기준 저항값을 트리밍 할 수 있다.
즉,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휘는 각도에 따라 거북목 증후군의 진행상태를 판단할 경우, 사람의 신체조건에 따른 오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영상의 정보, 즉 사람이 취하는 정자세와, 머리의 크기와, 목의 두께 및 각도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기준 하중치의 정보를 고려하여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기준 저항값을 트리밍 한다.
이때, 구동 제어부(200)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기준 저항값을 트리밍 할 뿐만 아니라, 기준영상의 정보를 고려하여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휘는 각도마다 저항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휘는 각도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했을 경우, 각각의 구간이 서로 다른 저항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고,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취하는 목의 자세를 시간별로 누적하여 저장한 후,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며,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제어부(200)는 기준영상의 정보 - 사람이 취하는 정자세와, 머리의 크기와, 목의 두께 및 각도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기준 하중치의 정보 - 를 고려하여,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기준 저항값을 트리밍 한 후,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며,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영상의 정보 - 사람이 취하는 정자세와, 머리의 크기와, 목의 두께 및 각도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기준 하중치의 정보 - 를 고려하여,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휘는 각도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간에 서로 다른 저항 가중치를 부여한 후,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과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기준영상은, 사용자가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를 목 뒷부분에 부착한 후, 가장 편안한 정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머리 및 목 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하였다.
이때 제3 내지 제6 기준영상이 추가적으로 촬영되어, 기준영상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데, 제3 기준영상은 사용자가 목을 최대한 앞으로 기울인 자세를 지칭하고, 제4 기준영상은 사용자가 목을 최대한 뒤로 기울인 자세를 지칭한다.
또한, 제5 기준영상은 사용자가 좌측방향으로 목을 최대한 기울인 자세를 지칭하며, 제6 기준영상은 사용자가 우측방향으로 목을 최대한 기울인 자세를 지칭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300)는 제1 내지 제6 기준영상을 토대로 각 개인에 맞는 기준영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 제어부(200)는 제공된 기준영상의 정보를 토대로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기준 저항값을 트리밍 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100)의 내부에는 반도체형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130)는 온도변화에 의해 저항 오차값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동 제어부(200)에서는 온도값을 전송받아 기준 저항값을 트리밍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거북목 측정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츨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300)에는 사용자의 거북목 상태가 직관적으로 표시 - 1- 되어 있다. 즉, 사람의 머리와 목이 3D 또는 2D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취하는 자세 - 목의 각도 - 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이때, 사람의 머리와 목의 형태는 촬영된 기준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마다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즉, 머리의 크기, 목의 굵기 등이 기준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시간별 목 기울기 / 하중값이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 2 -
또한,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경우, 거북목 증후군의 현재 진행상태에 따른 스트레칭 및 운동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 3-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는 거북목 증후군의 진행상태를 미리 설정된 의료기관에 통보하고, 선택된 의료기관에서 치료방법, 치료날짜 및 교정운동 방법 등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는 거북목 증후군의 진행상태에 따라 발송되는 맞춤형 광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는 거북목 증후군의 진행상태를 미리 설정된 교정기기 판매자에 통보하고, 선택된 판매자가 추천하는 교정기기 및 의료기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측정장치 및 그 거북목 측정 시스템은, 인체의 목에 부착될 수 있는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하여 경추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 및 업무 중에도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
110 : 피부 접착 패드
120 : 결합 밴드
130 : 센서
200 : 구동 제어부
201 : 발광소자
201 : 고정 클립

Claims (11)

  1. 인체의 목에 부착되며 경추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경되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 및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하는 구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거북목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고,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는,
    피부에 접착되는 피부 접착 패드;
    상기 피부 접착 패드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결합 밴드;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밴드에 의해 고정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장치.
  5. 인체의 목에 부착되는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하는 거북목 측정장치; 및
    상기 거북목 측정장치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 교환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경추 기울기값 및 상기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인체의 머리 및 목 부분을 포함하는 기준영상을 촬영한 후 상기 기준영상의 정보를 상기 거북목 측정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측정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머리 및 목 부분의 상기 기준영상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기준 저항값을 트리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측정장치는,
    인체의 목에 부착되며 경추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경되는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 및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경추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각의 경추 기울기값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산출하고, 경추 기울기값의 지속시간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거북목의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형 플렉서블 센서부는,
    피부에 접착되는 피부 접착 패드;
    상기 피부 접착 패드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결합 밴드;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밴드에 의해 고정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측정 시스템.
KR1020160022435A 2016-02-25 2016-02-25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 시스템 KR20170100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35A KR20170100700A (ko) 2016-02-25 2016-02-25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35A KR20170100700A (ko) 2016-02-25 2016-02-25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700A true KR20170100700A (ko) 2017-09-05

Family

ID=5992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435A KR20170100700A (ko) 2016-02-25 2016-02-25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7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77A (ko) 2018-02-27 2019-09-0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의 움직임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174370B1 (ko) *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CN114652300A (zh) * 2022-03-17 2022-06-2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面向颈椎健康监测的电子皮肤
CN117064375A (zh) * 2023-07-18 2023-11-17 江西瑞声电子有限公司 头部姿态监测方法、主控设备以及智能穿戴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77A (ko) 2018-02-27 2019-09-0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의 움직임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174370B1 (ko) *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CN114652300A (zh) * 2022-03-17 2022-06-2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面向颈椎健康监测的电子皮肤
CN117064375A (zh) * 2023-07-18 2023-11-17 江西瑞声电子有限公司 头部姿态监测方法、主控设备以及智能穿戴设备
CN117064375B (zh) * 2023-07-18 2024-03-22 江西瑞声电子有限公司 头部姿态监测方法、主控设备以及智能穿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0700A (ko) 패치형 플렉서플 센서부를 이용한 거북목 측정 시스템
RU25298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здоровья
US20100286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ody Sway Feedback to a Body of a Subject
US20190101984A1 (en) Heartrate monitor for ar wearables
US20190307387A1 (en) Balance compensating device, body center measuring apparatus, balance compensation system, and balance compensation method
US20180055660A1 (en)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es for spinal deformities
JP2017503628A (ja) 体の特徴を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20170215769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anatomy of a person
WO2018081097A1 (en)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es for spinal deformities
KR101976092B1 (ko) 둥근 어깨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시스템
CN106420134A (zh) 一种治疗脊椎侧弯的智能矫正工具
KR20200001328A (ko)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US20180318124A1 (en) Braces for spinal deformities and methods of use
KR20200126578A (ko) 스마트 거울, 스마트 거울 재활 시스템 및 스마트 거울을 이용한 재활 훈련 방법
US20200046261A1 (en) System for correcting shoulder alignment, assembly of a system and a further processing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801469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erception of equilibrium in individuals
KR101105229B1 (ko) 휴대용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938199B1 (ko) 척추질환 진단 및 교정 가방
US12082923B2 (en) Posture monitoring device employing elastic resistance element, an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osture by using same
KR101923676B1 (ko) 샌들 기반의 자세교정 장치
CN105982768A (zh) 一种颈椎和背部姿势矫正器及其控制方法
KR101712279B1 (ko)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US20230043160A1 (en) Balance compensating device, body center measuring apparatus, balance compensation system, and balance compensation method
KR101838485B1 (ko) 착용형 골반 각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반 각도 측정 방법
EP3326518B1 (en)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body pos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