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515A - 자세감지도구 - Google Patents

자세감지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515A
KR20040088515A KR1020047013105A KR20047013105A KR20040088515A KR 20040088515 A KR20040088515 A KR 20040088515A KR 1020047013105 A KR1020047013105 A KR 1020047013105A KR 20047013105 A KR20047013105 A KR 20047013105A KR 20040088515 A KR20040088515 A KR 20040088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icrocomputer
reaction
sensor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102004701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8515A/ko
Publication of KR20040088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5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4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 B60N2/0027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or of occupant's body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relations between different adjustments, e.g. height of headrest following longitudinal position of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착석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통지하는 목적의 자세감지도구로 유아, 어린이, 소아용의 착석수단과 감지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감지장치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 마이크로컴퓨터, 반응수단, 스위치부 및 전원으로 구성되며,
이 센서들은 착석자가 착석수단에 앉아 이 센서에 접촉했을 때 신호를 발생하여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고,
신호를 전달받은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며,
반응수단이 반응신호를 발생했을 경우, 착석자가 자세를 바르게 고쳐 모든 센서에 접촉하게 되면 반응수단의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함.

Description

자세감지도구{POSTURE SENS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자(chairs), 좌석(seats)과 같은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착석자의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착석부(seat member)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등받이부(back member)를 가지고 있다.
어린이 카 시트와 같은 어린이 지지수단(baby holding means)도 착석자의 대퇴부, 골반부 및 등을 지지해 주는 저면시트 부위(bottom seat portion)와 등받이 부위(backrest portion)를 가지고 있다.
어린이 지지수단은 어린이 좌석 (infant seat), 어린이 카 시트 (child car seat), 어린이 차 침대 (child car bed), 유모차 (stroller), 유아 침대 (infant bed), 그물 침대 (hammock), 요람 (cradle), 흔들의자(rocker), 쇼핑 카트(shopping cart), 포장달린 유모차(bassinet), 유아 운반구(infant carrier), 어린이 운반 팩(baby carrying pack), 유아 그네(swing), 울타리 있는 아기 침대(crib), 보행기(walker), 어린이용 높은 의자(high chair), 고정용 유아 지지구 (stationary infant stand) 등 공지의 것들을 지칭하며, 이 어린이 지지수단은 각각 별도로 된 하나의 도구로 제공되거나 이들 도구가 몇 개결합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현재, 인형 및 장난감 형상용의 소형 악세서리가 시중에 팔리고 있는 바, 이것은 인형을 기르는 행위에 수반되는 여러 행동에 합당한 악세서리들로서 미니어쳐 형태의 어린이 좌석 (infant seat), 어린이 카 시트 (child car seat), 어린이 차 침대 (child car bed), 유모차 (stroller), 유아 침대 (infant bed), 그물 침대 (hammock), 요람 (cradle), 흔들의자(rocker), 쇼핑 카트(shopping cart), 포장달린 유모차(bassinet), 유아 운반구(infant carrier), 어린이 운반 팩(baby carrying pack), 유아 그네(swing), 울타리 있는 아기 침대(crib), 보행기(walker), 어린이용 높은 의자(high chair), 고정용 유아 지지구 (stationary infant stand) 등등이 있다.
이 인형들은 어린이, 동물, 광대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진 것이며, 위의 악세서리수단에 눕거나 앉는 자세로 담겨져 있게 된다.
이 인형 지지용 악세서리수단(accessory means for supporting dolls)도 각각 인형(착석물; occupant)의 대퇴부 및/또는 골반 부위(thighs and/or pelvis part)를 지지해 주는 저면 시트부(bottom seat portion)와 등 부위(back part)를 지지해 주는 등받이부(backrest portion)를 가지고 있다.
유아(幼兒)가 담요와 같은 담요수단에 싸여 있을 경우, 이 담요수단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유아의 등과 엉덩이가 닿게 된다. 나아가, 담요수단에 싸여진 유아(幼兒)가 의자에 앉혀질 경우, 이 담요수단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의자의 등받이부와 착석부 위에 위치하게 된다.
어린이가 어린이 침대(crib)의 평평한 표면 위에 눕혀질 경우, 어린이의 엉덩이 부분과 등 부분이 각각 닿게 되는 침대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저면 시트부(bottom seat portion)와 등받이부(backrest portion)로 표기하게 된다.
따라서, 편의상 어린이 지지수단(baby holding means)과 악세서리수단(accessory means) 및 담요수단(wrapping means)의 저면 시트부(bottom seat portion)와 등받이부(backrest portion)를 각각 대표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착석부(seat member)와 등받이부(back member)라는 용어를 전 명세서에 걸쳐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상, "어린이 지지수단(baby holding means)", "악세서리수단(accessory means)" 및 “담요수단(wrapping means)”을 대표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착석수단(sitting means)"이라는 용어를 전 명세서에 걸쳐 사용할 때도 있다.
나아가, 이러한 유형의 착석수단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말로 "의자(chair)"또는 "좌석(seat)"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도 있다.
넓은 의미에서, 올바른 착석자세는 둔부를 등받이에 밀착시키고 척주(spinal column)를 생리학적으로 죽 곧게 바로 세워, 척추를 움직이는 근육의 작용이 균형을 이루는 소위 생체공학적 측면에서 정상적인 자세의 사람이 지니는 척추의 중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세를 말한다.
도 1과 2는 사무의자와 운전좌석에 앉은 사람의 올바른 착석자세와 그릇된 착석자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3과 4는 도 2의 좌 우측 그림에 있는 사람의 주요 골격부분을 투시한 개괄도이다.
요통과 좌골신경통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평소 의자에 앉는 잘못된 착석자세 때문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빠르게 성장(成長)하는 어린이의 경우 올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을 가지도록 하는 너무나 중요한 일이다.
어린이의 놀이는 아무런 목적이 없는 행위가 아니라 도제 수습의 초기 형태를 나타내는 행위이다. 어린이의 발달과정에는 행위의 흉내를 내는 과정이 내포되어 있는 바, 이 과정에는 자신이 반복적으로 듣고 배운 행위를 수행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만약 한 어린이가 올바른 착석자세를 가지도록 반복적으로 듣고 배우게 되면, 그는 그 과정을 통해 최소한 올바른 자세가 무엇인가에 대해 막연하나마이해를 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어린이 카 시트의 경우, 차가 급정거하거나 사고에 직면했을 때 어린이를 보호해 주는 보호대나 안전 벨트(shield and/or safety belts)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어린이들은 때로는 잠이 들어 시트에서 미끄러져 내리거나, 옆으로 기울거나, 부자연스러운 나쁜 자세를 취하게 되며, 그 반면 일부 활발한 어린이들은 시트에서 갑자기 일어서거나 의도적으로 살며시 빠져 나오는 수가 있다.
게다가 안전벨트가 안전하게 체결되었는지 또는 어린이의 어떤 행동으로 인해 잠금구조가 열리게 되지나 않았는지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어린이가 갑자기 일어서거나 어린이 카 시트에서 살며시 빠져 나오게 되면, 운전에 열중하던 어머니는 깜짝 놀라게 되어 운전에 방해를 받게 되며, 이렇게 되면 급정거, 불의의 사고, 또는 충돌을 일으키게 할 가능성이 많게 된다.
만약 한 어린이가 축소형 카 시트 (miniature car seat) 속에 있는 인형을 올바른 자세로 앉도록 하거나 안전 벨트를 메도록 반복적으로 듣고 배우게 되면, 그는 그 과정을 통해 최소한 올바른 자세가 무엇인지, 좌석벨트를 채우는 것이 왜 중요한지 등에 대해 막연하나마 이해를 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어린이가 잠자게 되면 어머니는 아기를 담요나, 포대기 받침 패드, 침대요(blanket, pad or mattress) 같은 담요수단 위에 눕혀두고 아기가 자는동안 다른 일을 하게 된다.
그러나, 잠자는 동안에 아기는 몸을 뒤척이거나 뒹굴고 이리저리 움직이다가 누웠던 자리(담요나 매트 등)로부터 상당히 먼 곳으로 벗어나는 수가 있으며, 이는 때로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사고를 불러오는 수도 있다.
따라서 어린이에게 바르게 앉는 자세에 대한 개념을 가르치고 부모들에게는 아기, 어린이 또는 소아 가 누웠던 담요나 앉아 있던 카 시트의 원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알려주기 위하여, 위에서 기술한 본 발명 감지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이 여러 형태의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및 담요수단에 제공되고 있다.
마찬가지 논거로, 본 발명 감지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은 인형 및 장난감 형상의 몸체나 유아용 기저귀를 포함한 유아, 어린이, 소아용의 옷에도 실시되고 있다.
선행기술에 있어, 착석자(유아, 어린이, 소아) 및/또는 착석자의 보호자에게 착석자의 자세를 알려주고, 착석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착석자의 자세를 고치도록 촉구하는 장치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수단에 앉은 착석자 또는 착석자의 보호자에게 착석자가 가장 올바른 최상의 착석자세를 가지도록 알리거나, 가르치거나, 인도하거나, 격려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 어린이 및 소아가 최상의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유아, 어린이 및 소아용의 여러 수단과 감지장치를 결합해서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은 착석수단에 앉은 착석자가 어린 나이 때부터 최상의 착석자세로 앉는 것을 습관화하도록 계도함으로서
첫째, 건장하고 죽 곧은 체형을 지니게 하고, 둘째, 늙어서도 생리학적으로 똑바로 선 꼿꼿한 자세(physiologically erect posture)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셋째, 착석자의 보호자가 착석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예상치 못한 사고를 예방하게 해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착석수단, 특히 착석자의 자세를 감지(感知)하고 착석자 및/또는 착석자의 보호자에게 착석자의 자세를 알려주어, 착석자 및/또는 착석자의 보호자가 착석자의 자세를 고치도록 촉구하는 착석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2는 의자와 좌석에 앉는 사람의 올바른 착석자세와 그릇된 착석자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3과 4는 도 2의 의자에 앉은 사람의 측면 정면도로 주요 골격구조가 투시된 상태(depicted in phantom)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도 11까지는 본 발명 감지장치가 설치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어린이 지지수단의 한 예로 어린이 카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인형용의 악세서리 수단의 한 예로 요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요람에 아기 인형이 놓여진 것으로 흔들의자의 역할을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담요수단의 담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담요를 어린이 카 시트 위에 위치시킨 개괄적 사시도이다.
도 17에서 도 20까지는 본 발명 감지장치의 불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 감지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주경로를 도시한 플로 차트(flow chart)이다.
여러 도면에 사용된 유사한 번호는 비슷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 감지장치는 근본적으로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감지수단, 반응수단, 스위치부, 및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은 유아, 어린이, 소아용의 여러 수단에서 이 유아, 어린이, 소아의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들에 제공된다.
착석자가 착석수단에 앉아 이들 감지수단과 접촉하면 이 다수 개의 감지수단은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다. 접촉신호를 전달받은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하거나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게 된다.
따라서, 반응수단의 반응이 있을 경우,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는 반응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착석자세를 옳게 고쳐 앉아 상기 일정한 감지모드에 상응하는 감지수단 모두에 접촉하려고 노력하게 되며, 따라서 감지장치는 착석자로 하여금 최상의 착석자세를 가지도록 알리거나, 가르치거나, 인도하거나, 권장하게 된다.
도 5와 도 17은 본 발명 감지장치(sensing device)와 이와 결합된 착석부 (21)과 등받이부 (31)을 가진 의자 (57)을 나타내고 있다.
대퇴부, 둔부, 척주, 갈비뼈, 견갑골, 및/또는 머리를 지지해 주는 착석부 (seat member)와 등받이부 (back member)를 규정하는 여러 유형의 수단을 대표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착석수단(sitting mean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감지장치는 근본적으로 착석부센서 (SS;23), 둔부센서 (HS;33), 반응수단 (RM;95), 스위치부 (SP;93), 전원 (PS;97) 및 마이크로컴퓨터(91)로 구성되어 있다.
착석부센서 (23)은 착석부 (21)에서 착석자의 대퇴부와 골반부가 접촉하는 곳에 설치되며 둔부센서 (33)은 착석자의 둔부가 접촉하는 등받이부 (31)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마이크로컴퓨터 (91), 스위치부 (93), 반응수단 (95) 및 전원 (97)로 구성된 유닛 또는 어셈블리(unit or assembly)는 "컨트롤 유닛(control unit) (90)"으로 표기한다. 이 착석부센서 (23), 둔부센서 (33) 및 컨트롤 유닛 (90)으로 구성된 본 실시안 감지장치의 작동모드를 "둔부 감지형 모드(hip sensing mode)"로 기술한다.
센서는 공지의 센서, 즉 물리적 신체(physical body)가 접촉하거나 외부의힘이 가해지거나, 물리적 신체의 존재를 감지했을 때 활성화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electrical, mechanical, thermal, piezoelectric, infrared LED, silicon rubber sensor 등등)는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착석자가 착석수단에 앉아 거기에 제공된 센서(예로, 센서 (23)과 (33))에 접촉하거나 활성화시키면 개개의 센서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하게 된다.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착석수단에 제공된 센서에 대한 데이터, 각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 및 이 센서의 개수(個數)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있으며, 나아가 마이크로컴퓨터 (91)은 어느 신호가 어느 센서에서 발생했는지 구분을 하고, 센서가 보내온 신호의 개수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그 수가 설정되어 있는 센서의 개수를 비교하며,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 (91)의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은 바;
먼저 마이크로컴퓨터 (91)은 센서에 의해 전해진 신호가 존재하는지 점검을 하게 된다.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의 무반응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만약 전해진 신호가 존재하면, 마이크로컴퓨터 (91)은 어느 신호가 어느 센서에 의해 발생되었는지 구별하고, 전달된 신호의 개수 (個數)와 미리 입력해 둔 센서의 개수 (個數)를 비교하게 된다. 이처럼 비교한 다음,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반응수단 (95)에게 반응을 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게 된다.
즉, 착석수단에 앉은 착석자가 센서에 접촉한 결과,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된 신호의 수와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센서의 수가 일치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 (95)의 무반응 상태가 유지되도록 그냥 두게 된다.
그 반면 착석수단에 앉은 착석자가 최소한 어느 한 센서에 접촉하지 않은 결과,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된 신호의 수가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내도록 지시하게 된다.
나아가, 반응수단 (95)가 반응신호를 발생할 경우,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가 착석자세를 옳게 고쳐 앉아 그 수가 마이크로컴퓨터 (91)에 미리 입력된 센서 모두에 접촉하게 되면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응수단(RM)(95)는 공지의 스피커 또는 전자음 발생장치처럼 음성신호(auditory signal)를 발생하는 장치, 전구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처럼 시각신호(visible signal)를 발생하는 장치 및/또는 기계적인 진동기구(mechanical vibrator unit)처럼 진동신호(vibratory signal)를 발생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반응수단 (RM) (95)는 마이크로컴퓨터 (91)의 지시에 따라 음성신호(소리),시각신호(빛) 및/또는 진동 신호(진동)를 발생하게 된다.
번호 (93)은 스위치부(switch part ; SP)를 나타낸다. 스위치부 (93)에는 여러 개의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는 바, 그 종류와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번호 (97)은 전원(power supply ; PS)를 나타낸다. 전원 (97)은 컨트롤 유닛(control unit) (90) 내에 배터리를 설치하거나 플러그를 통한 A/C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센서 (23)과 (33), 마이크로컴퓨터 (91), 반응수단 (95), 스위치부 (93), 및 전원 (97)은 전선 및/또는 회로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 (90)은 착석수단에 부착되거나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 도 5, 6 및 7에서 컨트롤 유닛 (90)은 착석부 (21)의 밑면에 부착되어 있고, 도 9 및 10에서 컨트롤 유닛 (90)은 좌석 쿠션 (착석부 (21))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도 7 등에서, 착석부센서 (23)은 좌골결절을 포함한 대퇴골(thigh-bones)이 접촉하는 착석부 (21)의 대퇴부 부위(thigh parts)에 설치되어 있다.
둔부센서 (33)은, 도 5에서 도 16까지 도시한 바처럼, 착석자가 둔부를 등받이부 (31)의 하단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둔부를 뒤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밀착시켰을 때 둔부가 접촉하는 등받이부 (31)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일부 어린이 카 시트는 일반적으로 딱딱한 플라스틱 물질로 압출성형으로 만들어지고, "L" 형태와 비슷한 모양으로 둥굴게 말린 양 옆의 융기부를 지닌 셀(shell)을 구성하게 된다. 이 셀은 대개 그 내부 표면 전부에 완충패드를 부착하게 된다. 이 경우 위에서 기술한 센서는 이 완충패드 부분에 제공되게 된다.
둔부 감지형 모드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착석자가 의자에 앉아 착석부센서 (23)과 둔부센서 (33)에 접촉하게 되면, 각 센서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각각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하게 된다.
착석자가 도 1과 2의 오른쪽 그림의 사람처럼 대퇴부를 착석부센서 (23)에 닿고, 둔부를 둔부센서 (33)에 밀착시키며 올바르게 앉을 경우 센서 (23)의 신호와 센서 (33)의 신호가 모두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된다. 센서 (23)과 (33)의 신호를 모두 수용한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가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착석자가 도 1과 2의 왼쪽 그림의 사람처럼 잘못된 착석자세로 앉을 경우 착석부센서 (23)과 둔부센서 (33) 중에서 어느 한 센서만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되지 않은 센서는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 (91)에 발생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보다 적은 수의 신호를 전달받은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에게 반응신호 (소리, 빛 및/또는 진동)를 내도록 지시하게 된다.따라서 반응수단이 반응신호를 내면 착석자는 자신이 센서 (23) 및/또는 센서 (33)에 닿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반응이 일어난 즉시 착석자는 대퇴부를 착석부센서 (23)에 닿게 하고, 둔부를 등받이부 (31)의 하단부에 닿도록 뒤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위치시켜 둔부센서 (33)에 접촉하는 올바른 착석자세로 고쳐 앉게 된다. 따라서 센서 (23)과 (33) 모두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되었으므로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에게 반응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게 된다.
센서는 추가로 착석수단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 도 13 및 도 18에서는 척추센서(spine sensor;SPS) (37)이 의자 (61)의 등받이부 (31)의 중앙부에 수직 중앙선 (V)를 따라, 착석자가 척주(spinal column)를 곧게 죽 폈을 때 흉추(thoracic vertebrae)가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착석부센서 (23), 둔부센서 (33), 척추센서 (37) 및 컨트롤 유닛 (90)으로 구성된 본실시안 감지장치의 작동모드를 "척추 감지형 모드(spine sensing mode)"로 기술한다.
도 8과 도 20에는 블레이드센서(blade sensor; BLS) (35), (35')가 의자 (65)의 등받이부 (31)의 상측부위에, 허리를 바로 세우고 가슴을 죽 폈을 때 양 견갑골 및/또는 갈비뼈가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처럼, 의자 (69)의 등받이부 (31)에는 착석자의 갈비뼈의 생체적인 곡률에 자연스럽게 적합하도록 그 표면상에 한 쌍의 약간 융기한 부분 (39), (39')를 형성하고, 이 융기한 부분에 블레이드센서 (35), (35')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좌석 68과 비슷한 일부 자동차 좌석의 경우 착석자의 양 옆구리(갈비뼈)를 지지해 주기 위해 한 쌍의 옆구리 받침부(side support members) (40), (40')를 등받이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제공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어린이 카 시트는 대개 둥굴게 말린 양 옆의 융기부를 지니게 된다.
블레이드 센서 (35), (35')는 마찬가지로 이 옆구리 받침부 (40), (40') 또는 어린이 카 시트의 양 옆의 융기된 부위에 제공되어 착석자의 양 갈비뼈 부위를 접촉하게 구성할 수 있다.
착석부센서 (23), 둔부센서 (33), 블레이드센서 (35), (35') 및 컨트롤 유닛 (90)으로 구성된 감지장치의 작동모드를 "블레이드 감지형 모드(blade sensing mode)"로 기술한다.
도 9와 19에는 머리 센서(head sensor; HRS) 38이, 사무의자 (63)의 등받이부 (31)에 설치된 머리받침 (30)의 중앙부에, 착석자가 머리를 기대었을 때 두개골이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머리 센서 38은 착석자의 머리가 무의식적으로 옆으로 기울여지는 것을 예방하고 머리를 기대는 자세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착석부센서 (23), 둔부센서 (33), 머리센서 (38) 및 컨트롤 유닛 (90)으로 구성된 감지장치의 작동모드를 "머리 감지형 모드(head sensing mode)"로 기술한다.
자동차 시트의 경우, 착석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벨트 및/또는 보호대(shield)와 같은 결착수단(restraining means)이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이들 결착수단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 않음).
본 발명 센서가 이 결착수단에 제공될 경우, 이것은 착석자가 올바른 자세로 앉도록 도와 줄 뿐만 착석자가 결착수단을 채우도록 일깨워 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결착수단에 제공된 센서를 "벨트 센서(belt sensor)"로 기술한다.
착석부센서 (23) 및/또는 둔부센서 (33), 벨트센서 및 컨트롤 유닛 (90)으로 구성된 감지장치의 작동모드를 "벨트 감지형 모드(belt sensing mode)"로 기술한다.
센서를 등받이부 (31)에만 제공할 수도 있다.
먼저, 둔부센서 (33) 하나만 등받이부 (31)의 하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둔부센서 (33) 하나와 컨트롤 유닛 (90)으로 구성된 감지장치의 작동모드를 "기본형 감지 모드(basic sensing mode)"로 기술한다. 기본형 감지 모드의 작동과정은 추후 기술한다.
기본적으로 둔부센서 (33)를 포함한 다수 개의 센서가 등받이부 (31)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등받이부 (31)에 제공된 다수 개의 센서와 컨트롤 유닛 (90)으로 구성된 감지장치의 작동모드를 "등 감지형 모드(back sensing mode)"로 기술한다.
원할 경우 이상 기술한 여러 감지모드에 사용된 모든 센서들을 한꺼번에 하나의 착석수단에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위에서 기술한 센서에 더하여, 특정 목적으로 등받이부 및/또는 착석부의 특정부위에 특정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예로, 척추측만증의 환자를 위해 등받이부의 좌,우측 상단부에 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어린이 지지수단(baby holding means)과 결합된 본 발명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 지지수단은 착석자(유아, 어린이, 또는 소아)를 보호하거나 및/또는 편안하게 지지해 주도록 구성된 것으로 앉는 형태이거나 기대어 눕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어린이 지지수단은, 앞에서 기술한 바처럼, 유아용 좌석 (infant seat), 어린이 카 시트 (child car seat), 어린이 차 침대 (child car bed), 유모차 (stroller), 유아 침대 (infant bed), 그물 침대 (hammock), 요람 (cradle), 흔들의자(rocker), 쇼핑 카트(shopping cart), 포장달린 유모차(bassinet), 유아 운반구(infant carrier), 어린이 운반 팩(baby carrying pack), 유아 그네(swing), 울타리 있는 아기 침대(crib), 보행기(walker), 어린이용 높은 의자(high chair), 고정용 유아 지지구 (stationary infant stand) 등등의 어느 하나를 지칭하며, 이 어린이 지지수단은 각각 별도로 된 하나의 도구로 제공되거나 이들 도구가 몇 개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 개개의 어린이 지지수단(baby holding means)은 착석자의 몸체를 수용하거나 및/또는 지지해 주는 평평한 저면 시트부(bottom seat portion)와 등받이부(backrest portion)를 가지고 있다.
나아가, 이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는 착석자의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가 제공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의 여러 센서가 이 저면 시트부 및 등받이부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된다.
실시예로 도 12에는 착석부 센서 (23), 둔부 센서 (33), 척추 센서 (37) 및 해드 센서 (38)이 어린이 지지수단(어린이 카 시트) (131)의 저면 시트부 (133)과 등받이부 (135)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및 머리 부위에 제공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 (90)은 전선으로 이들 센서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 않음).
아기 포대기와 같은 어린이 지지수단에 후드(hood)가 달려 있을 경우, 해드 센서 (38)은 이 후드 중앙부 머리 부위에 제공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인형용의 악세서리 수단 (accessory means for dolls)과 결합된 본 발명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세서리 수단은 그 내부에 앉거나 기대어 눕는 자세로 위치한 착석자(인형)을 지지해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같은 인형용 악세서리 수단으로는, 앞에서 기술한 바처럼, 미니어쳐 형태의 어린이 좌석 (infant seat), 어린이 카 시트 (child car seat), 어린이 차 침대 (child car bed), 유모차 (stroller), 유아 침대 (infant bed), 그물 침대 (hammock), 요람 (cradle), 흔들의자(rocker), 쇼핑 카트(shopping cart), 포장달린 유모차(bassinet), 유아 운반구(infant carrier), 어린이 운반 팩(baby carrying pack), 유아 그네(swing), 울타리 있는 아기 침대(crib), 보행기(walker), 어린이용 높은 의자(high chair), 고정용 유아 지지구 (stationary infant stand) 등 인형을 지지하거나 운반하거나 수용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이 개개의 악세서리 수단도 마찬가지로 착석자(인형과 같은 장난감 수단)의 몸체를 수용하거나 및/또는 지지해 주는 평평한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가지고 있다.
나아가, 이들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는 착석자의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가 제공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의 여러 센서가 마찬가지로 이 악세서리 수단의 저면 시트부 및 등받이부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된다.
도 13은 대체적으로 다각형인 흔들요람 (121)을 도시하고 있는 바, 이것은 합성수지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요람 (121)은 바닥부분에 밖으로 팽창된 바닥부위 (123)이 형성되어 인형을 수용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센서 ((23), (33) 및 (37))이 이 바닥부위 (123)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및 척추 부위에 제공되어 있다.
도 14에서 요람 (121)은 흔들의자 역할을 하고 있는 바, 아기 인형 (101)이바닥부분의 팽창된 부위 (123)에 위치하고 있으며 센서 (23), (33) 및 (37)에 모두 접촉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어린이용 담요수단(담요 및 그와 비슷한 도구 ; blankets and similar articles)과 결합된 본 발명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요수단은 유아, 어린이, 또는 소아와 같은 착석자를 지지해 주며, 온기를 유지하게 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실내에서 사용되거나 카 시트나 어린이 운반용구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담요수단은 면, 나일론, 양털 등의 유연한 직물로 된 평평한 담요, 쿠션 지지대 (cushion support), 패드, 아기 포대기, 패드 또는 시트 용구(sheet article) 등등의 어느 하나를 지칭하며, 앞면, 뒷면, 상단, 하단, 우측단 및 좌측단 가장자리와 일반적으로 어린이를 알맞게 감쌀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일부 담요수단은 포캣이나 부착 주머니를 달아 지지쿠션이나 패드(cushion support or pad)를 넣도록 구성한 것도 잘 알려져 있다. 시중의 일부 랩은 담요나 아기 포대기 또는 패드 형태로 변환될 수 있는 것도 있다.
어린이가 담요수단에 감싸져 눕혀지거나 앉혀질 때, 이 담요수단은 어린이의 몸체를 수용하거나 및/또는 지지해 주는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규정하게 된다.
나아가, 이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는 착석자의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의 여러 센서가 이 담요수단의 저면 시트부 및 등받이부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된다.
실시예로 도 15에는 둔부 센서 (33)과 척추 센서 (37)이 담요수단(담요 141)의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의 둔부 부위와 척추 부위에 각각 제공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 (90)은 전선으로 이들 센서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 않음).
도 16은 본 실시예의 담요수단(담요 141)이 어린이 카 시트 (151) 위에 덮여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숫자 (143)과 (145)는 안전벨트를 수용할 구멍을 나타내고, 숫자 (153)과 (155)는 어린이 카 시트 (151)의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각각 나타낸다.
어린이 카 시트 (151)의 저면 시트부 (153)와 등받이부 (155)의 바로 위에 담요수단 (141)의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유아용 기저귀 및 유아, 어린이, 소아용의 의복수단 (clothing means) (도시 않음)과 결합된 본 발명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수단은 유아, 어린이, 또는 소아와 같은 착용자를 지지해 주며, 온기를 유지하게 하고 보호하는 용도로 제공된다.
의복수단은 유아, 어린이, 또는 소아용의 기저귀, 기저귀 커버, 셔츠, 아래 위가 일체로 된 의복, 어린이용 바지, 위생 내프킨, 허리밴드 등등의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의복수단이 유아에게 제공될 경우, 이것은 유아의 복부,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복부 부위,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규정하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의 여러 센서가 의복수단의 복부 부위, 대퇴골 부위, 둔부 부위, 척주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 등에 제공된다.
센서는 의복수단의 원하는 부위에 함입시키거나 또는 벨크로 파스너로 원하는 부위에 부착할 수도 있다.
기저귀 커버의 둔부 부위에 센서가 제공된 기저귀 커버를 착용한 유아가 침대로부터 이탈했을 경우, 둔부 밑에 눌려져 있던 센서는 눌린 상태에서 풀리게 되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반응신호는 방안에 있지 않던 어머니에게 유아가 잠을 깨어 돌아다니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어린이 및 소아용의 장난감 수단 (toy means) (도시 않음)과 결합된 본 발명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형과 장난감 형상은 전사(戰士), 영웅 등과 같은 인간 형상을 나타낸 인물이거나, 유령, 대모(代母) 요정 또는 유명인물과 같은 만화나 가상 속의 환상적 인물, 또는 개, 고양이, 토끼, 곰 등과 같은 애완 동물 형상으로 제공되어 왔다.
이 장난감 수단은 대부분이 천, 나무, 고무, 합성수지 및/또는 이들이 혼합된 물질로 만들어진다.
장난감 수단은 이들 인간 형상, 상상 속의 인물 또는 애완 동물 형상으로 제공되는 인형과 장난감 형상의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이 개개의 장난감 수단은 복부 부위, 대퇴골 부위, 둔부 부위, 척주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고 있다.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의 여러 센서가 이 장난감 수단의 복부 부위, 대퇴골 부위, 둔부 부위, 척주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되게 된다.
센서는 장난감 수단의 원하는 일정 부위에 함입시키거나 또는 벨크로 파스너, 접착제 등과 같은 공지의 부착수단으로 원하는 부위에 부착할 수도 있다.
센서가 제공된 둔부 부위를 미니어쳐 의자의 등받이부 하단부에 접촉하고 있던 인형이 외부 힘에 의해 앞으로 꾸부려지게 되면 센서는 접촉 상태에서 풀리게 되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반응신호는 보호자 (어린이)에게 인형이 의도하던 위치로부터 벗어났다는 사실을 알려 주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다수 개의 센서를 가진 감지 모드의 작동과정은 위의 둔부 감지형 모드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진행된다.
즉, 착석수단에 앉은 착석자가 제공된 센서 모두에 접촉하면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가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착석자가 이들 센서 중에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센서에 접촉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에게 반응을 하도록 지시하며, 착석자가 착석자세를 고쳐 앉아 다시 센서 모두에 접촉하면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에게 반응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게 된다.
센서 선택 스위치가 스위치부 (93)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착석자로 하여금 착석수단에 제공된 센서 중에서 작동하기를 원하는 센서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센서선택 스위치로 선택된 센서그룹은 최소한 둔부센서 (33)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1. 둔부센서 (33) 2. 착석부센서 (23)과 둔부센서
3. 착석부센서, 둔부센서 및 척추센서 (37)
4. 착석부센서, 둔부센서 및 블레이드센서 (35), (35')
5. 착석부센서, 둔부센서 및 머리센서 (38)
6. 착석부센서,둔부센서 ,블레이드센서 및 머리센서
7. 둔부센서 및 척추센서
8. 둔부센서 및 블레이드센서
9. 둔부센서, 블레이드센서 및 머리센서
나아가, 시트 벨트가 있는 착석수단에 벨트 센서가 제공될 경우에는 이 벨트 센서가 위의 분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안의 센서는 착석부 (21)과 등받이부 (31), 시트 벨트의 천, 가죽,비닐 등 공지의 합성수지 물질로 된 겉커버, 끈 등의 밑이나 내부에 설치되거나, 착석부 (21)과 등받이부 (31) 위에 그대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 이들 센서는 착석자의 신체와의 접촉을 쉽게 하기 위해 착석부 (21)과 등받이부 (31)의 표면보다 약간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설치될 수도 있다.
스위치부 (93)에는 다수 개 유형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바, 이 스위치들은 마이크로컴퓨터 (91)과 연결되어 있다. 첫째 스위치는 전원의 온-오프 모드(on/off mode)를 선택하는 전원 공급 스위치가 될 수 있다. 둘째 스위치는, 위에서 기술한 음성신호, 시각신호 및/또는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는 반응장치 선택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세째 스위치는 센서 선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착석자가 원하는 센서를 선택할 수 있게 해 준다. 네째 스위치는 시간 조절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응수단 (95)의 반응을 연기하게 하는 유예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나아가, 센서들은 이 센서에 가해진 착석자의 누르는 힘(압력; pressing force)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압력측정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첫째, 각 센서에 가해지는 기준 압력(standard degree of pressing force)은 미리 입력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둘째, 각 센서에 가해진 압력이 미리 입력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하도록 구성한다.
셋째, 어느 한 센서(예로, 벨트 센서)에 가해진 압력이 미리 입력된 기준 압력을 초과할 경우 마이크로컴퓨터 (91)가 반응수단 (95)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게 된다.
넷째, 반응수단 (95)가 반응신호를 발생할 경우,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 또는 착석자의 보호자가 (시트 벨트를 느슨하게 하여 시트 벨트의) 센서를 누르는 힘을 완화할 경우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므로서 어린이 카 시트의 경우 어린이의 보호자는 시트 벨트가 너무 꽉 조이지나 않는지 알 수 있으며, 시트 벨트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한 기준시간이 지날 때까지 반응수단 (95)가 아무런 반응이 없는 무반응 상태를 지속하도록 하는 짧은 유예시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 마디로 말해,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에게 일정한 유예시간(standard time) 동안 반응을 정지하도록 지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유예시간이 지난 다음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에게 반응하도록 허용하게 된다. 공지의 시간측정수단(타이머)(도시 않음)이 제공되어 이 유예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이 유예시간은 약 3초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예시간은 1초, 5초, 60초 등등 원하는 다른 시간대로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착석자가 일정한 감지모드에 상응하는 센서 모두에 접촉하는데 일정한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응수단이 임의로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착석자세를 감지하고 통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에는 마이크로컴퓨터 (91)의 처리과정에 대한 흐름도(flow diagram)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 (80)에서, 전원 스위치가 켜지면, 다음 블록 (81)에 표시된 바처럼, 센서에 의해 발생되어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해진 신호의 존재를 점검(detect)하라고 지시하는 것으로 처리 단계의 흐름(flow of the processing step)이 시작된다. 블록 (81)에서는 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존재여부를 점검하고, 센서가 전해 온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반응수단에게 아무런 반응신호도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센서가 전해 온 신호가 최소한 하나라도 있으면 다음의 블록 (83)의 단계로 진행하도록 결정을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아무도 착석수단에 앉아 있지 않으면 신호는 발생되지 않고 마이크로컴퓨터 (91)에도 전달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착석수단에 앉아 거기에 제공된 일정한 감지모드에 상응하는 센서 모두에 접촉하고 있던 착석자가 일어서서 아무런 센서에도 닿지 않을 경우 역시 신호는 발생되지 않고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되지도 않는다. 아무런 신호도 찾아진 것이 없으면 "NO"로 결정되어 블록 (82)의 반응수단 (95)가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해진 신호가 최소한 하나라도 존재하면 블록 (81)은 "YES" 로 응답하면서 그 다음 블록 (83)으로 단계가 옮겨가게 된다. 앞에서 기술한 바처럼, 일정한 감지모드에 합당한 센서의 수와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는 마이크로컴퓨터 (91)가 제 과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미리 입력, 저장되어 있다.
블록 (83)에서는, 센서가 전해 온 신호의 수와 일정한 감지모드에 상응하는 센서의 수로 미리 입력되어 있는 센서의 수를 비교를 하고, 신호의 수가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신호의 수가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게 되면 "YES"로 결정되어 블록 (82)의 반응수단 (95)가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착석자가 어느 한 센서 (또는 센서들)에 접촉하지 않거나 조금 늦게 접촉하게 되면, 신호의 수가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블록 (83)은 "NO" 로 응답하게 되고, 그 다음 블록 (85)로 단계가 옮겨가게 된다. 블록 (85)에서는 타이머 (도시 않음)가 미리 입력된 3초 유예시간을 카운트(count)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 다음, 단계는 블록 (87)로 옮아가 3초의 유예시간이 지났는지 지나지 않았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게 된다. 이 단계에서, 이 유예시간동안 내내 마이크로컴퓨터 (91)에서의 지시는 반복적으로, 이 3초의 유예시간이 끝날 때까지, "NO" 신호를 나타내어 결정을 연기하게 한다.
그 다음, 이 유예시간이 지난 후, 블록 (87)에서는 "YES" 결정이 내려지게 되고, 블록 (87)에서 블록 (89)의 반응수단 (95)에게 반응을 하라는 지시가 주어지게 된다.
카운트가 계속되는 유예시간 사이에 만약 착석자가 처음에는 접촉하지 않았던 센서에 접촉하게 되면 모든 신호가 블록 (81)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블록 (83)에서 신호의 수가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게 되고, 블록 (83)에서 "YES"로 결정되어, 카운팅(counting)은 중지되고 블록 (82)의 반응수단 (95)가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유예시간이 지나 반응수단 (95)가 반응신호를 내기 시작했을 때, 반응수단 (95)의 반응을 인식한 착석자가 처음에는 접촉하지 않았던 센서에 접촉하고, 모든 신호가 블록 (81)에 전달되어, 신호의 수가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게 되면, 블록 (83)에서 "YES"로 결정되어, 반응수단 (95)의 반응은 중지되고 블록 (82)의 반응수단 (95)가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앞에서 기술한 바처럼, 착석수단에 제공된 일정한 감지모드에 상응하는 센서 모두에 접촉하면서 앉아 있는 착석자가 짧은 한 순간 접촉하고 있는 착석수단에서 신체의 일부를 떼어야 할 때도 있으며, 그 때는 착석수단의 접촉하고 있던 부분에 제공된 센서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블록 (81)에 전달된 신호의 수는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보다 적으므로 처리 단계의 흐름은 위에서 기술한 것과 똑같은 양상으로 블록 (83), (85), (87)을 거치며 진행된다.
상기 둔부센서 (33)과 컨트롤 유닛 (90)으로 구성된 "기본형 감지모드"의 경우, 둔부센서 (33) 하나만 착석수단에 제공되어 있거나 또는 착석수단에 제공된 센서들 중에서 선택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컴퓨터 (91)은 아래에 기술한 두 가지 다른 처리단계를 포함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착석자가 착석수단에 앉아 둔부센서 (33)에 접촉하면, 센서 (33)은 신호를 발생해서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하게 된다.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같은 수의 신호를 수용한 마이크로컴퓨터 (91)은, 위의 다른 감지 모드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반응수단 (95)가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착석자가 둔부를 둔부센서 (33)에서 떼면, 센서 (33)은 신호를 발생해서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하는 것을 중지하게 되며, 아무런 신호도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이것은, 다른 감지 모드의 경우, 마이크로컴퓨터 (91)가 반응수단 (95)에게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첫 번째의 다른 처리단계로, 센서 (33)이 처음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중지하였을 때는,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해진 신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컴퓨터 (91)은 반응수단 (95)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여 착석자에게 센서 (33)에 접촉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게 한다. 반응수단 (95)가 반응신호를 내면 착석자는 자신이 센서 (33)에 닿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반응이 일어난 즉시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가 둔부를 뒤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위치시켜 등받이부 (31)의 하단부에 닿는 자세로 고쳐 앉아, 일정한 기준시간 내에 둔부센서 (33)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 (33)의 신호가 다시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되고, 반응수단은 반응을 중지하게 된다.
두 번째의 다른 처리단계로, 착석자가 계속해서 둔부센서 (33)에 접촉하지 않고 일정한 기준시간 동안 아무런 신호도 마이크로컴퓨터 (91)에 전달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 (91)은 이 기준시간이 지난 다음부터는 반응수단 (95)에게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감지장치의 모든 실시예로, 본 발명은 착석자 및/또는 (착석자의) 보호자에게 착석자의 자세를 알려 주는 기능을 하며, 그 결과 본 발명은 어린이가 적절한 위치에 올바른 자세로 앉는 자세를 유지하는데 크게 도움을 주는 동시에 유아나 어린이를 돌보고, 가르치고, 이동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되며, 특히 부모들을 크게 안심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술한 바, 본 발명의 범위는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 권리청구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일부 변경하거나(modifications), 개조하거나(alterations) 또는 부가(additions)할 수 있다.

Claims (21)

  1. 어린이 지지수단(baby holding means), 장난감 수단용 악세서리 수단(accessory means) 또는 담요수단(wrapping means)에 위치한 착석자(occupant)의 자세나, 의복수단(clothing means)의 착용자(wearer)의 자세, 또는 장난감 수단(toy means)의 자세를 착석자나 착용자 및/또는 (착석자, 착용자 또는 장난감 수단의) 보호자(attendant)에게 알려주어,
    착석자나 착용자 및/또는 (착석자, 착용자 또는 장난감 수단의) 보호자로 하여금 착석자나 착용자 또는 장난감 수단의 자세를 고치도록 고무하는, 어린이 지지수단, 장난감용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용 감지장치(sensing device)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또는 담요수단은 착석자를 지지하고 보온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착석자의 몸체를 수용하거나 및/또는 지지해 주는 평평한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규정하고 있으며,
    이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는 착석자의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의복수단은 착용자의 보온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착용자의복부,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복부 부위,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장난감 수단은 그 보호자(예로, 어린이 또는 소아)에게 즐거움과 위안을 주는 것으로 인형과 장난감 형상을 지닌 그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외부 물체가 접촉하게 되는 복부 부위,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로서, 착석자, 착용자 또는 외부 물체가 이 센서에 접촉하거나 센서를 활성화시켰을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 센서는, 착석자나 착용자 또는 외부 물체의 몸체가 접촉하는,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되며;
    마이크로컴퓨터로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센서에 대한 데이터, 각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 및 이 센서의 개수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어느 신호가 어느 센서에서 발생했는지 구분을 하고, 센서가 보내온 신호의 개수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그 수가 설정되어 있는 센서의 개수를 비교하며,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반응수단으로서, 이 반응수단은 음성신호, 시각신호 및/또는 진동신호와 같은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유형의 스위치가 제공된 스위치부(switch part)와;
    배터리 또는 A/C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 마이크로컴퓨터, 반응수단, 스위치부, 및 전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리하는 바;
    마이크로컴퓨터는 센서가 전해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점검하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의 무반응 상태를 유지시키며,
    착석자, 착용자 또는 외부 물체가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에 제공된 센서에 접촉하였을 때, 마이크로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 신호의 수가 일치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를 하고,
    착석자, 착용자 또는 외부 물체가 최소한 어느 한 센서에 접촉하거나 활성화시키지 않아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보다 적은 수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며,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 착용자 또는 (착용자, 착석자 또는 장난감 수단의) 보호자(attendant)가 착석자, 착용자 또는 장난감 수단의 자세를 바르게 고쳐, 착석자, 착용자 또는 외부 물체가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는 수의 모든 센서에 접촉하게 되면 반응수단의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지지수단용, 악세서리 수단용, 담요수단용, 의복수단용, 또는 장난감 수단용 감지장치.
  2. 어린이 지지수단(baby holding means)에 위치한 착석자나 그 착석자의 보호자(attendant)에게 착석자의 자세를 알려주어, 그 착석자나 보호자가 착석자의 자세를 고치도록 촉구하는 감지장치와 어린이 지지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지지수단은 착석자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앉거나 및/또는 기대어 눕을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며, 착석자의 몸체를 수용하거나 및/또는 지지해 주는 알맞은 크기의 평평한 저면 시트부(bottom seat portion)와 등받이부(backrest portion)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는 착석자의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로서, 착석자가 이 센서에 접촉하여 활성화시켰을 때 이 센서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 센서는 상기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되며;
    마이크로컴퓨터로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센서에 대한 데이터, 각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 및 이 센서의 개수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어느 신호가 어느 센서에서 발생했는지 구분을 하고, 센서가 보내온 신호의 개수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그 수가 설정되어 있는 센서의 개수를 비교하여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반응수단으로서, 이 반
    응수단은 음성신호, 시각신호 및/또는 진동신호와 같은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유형의 스위치가 제공된 스위치부(switch part)와;
    배터리 또는 A/C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 마이크로컴퓨터, 반응수단, 스위치부, 및 전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린이 지지수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리하는 바;
    마이크로컴퓨터는 센서가 전해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점검하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의 무반응 상태를 유지시키며, 어린이 지지수단에 위치한 착석자가 센서에 접촉하였을 때,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 신호의 수가 마이크로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를 하고,
    착석자가 최소한 어느 한 센서에 접촉하거나 활성화시키지 않아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보다 적은 수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며,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 또는 착석자의 보호자가 착석자의 자세를 바르게 고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는 수의 모든 센서에 착석자가 접촉하게 되면 반응수단의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와 어린이 지지수단의 결합.
  3. 장난감 수단용 악세서리 수단에 위치한 착석자(예로, 인형)의 보호자에게 착석자의 자세를 알려주어, 그 보호자가 착석자의 자세를 고치도록 촉구하는 감지장치와 장난감 수단용 악세서리 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 수단은 착석자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앉거나 및/또는 기대어 눕을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며, 착석자의 몸체를 수용하거나 및/또는 지지해 주는 알맞은 크기의 평평한 저면 시트부(bottom seat portion)와 등받이부(backrest portion)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는 착석자(예로, 인형)의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로서, 착석자가 이 센서에 접촉하여 활성화시켰을 때 이 센서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 센서는 상기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되며;
    마이크로컴퓨터로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센서에 대한 데이터, 각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 및 이 센서의 개수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어느 신호가 어느 센서에서 발생했는지 구분을 하고, 센서가 보내온 신호의 개수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그 수가 설정되어 있는 센서의 개수를 비교하여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반응수단으로서, 이 반응수단은 음성신호, 시각신호 및/또는 진동신호와 같은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유형의 스위치가 제공된 스위치부(switch part)와;
    배터리 또는 A/C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 마이크로컴퓨터, 반응수단, 스위치부, 및 전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악세서리 수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리하는 바;
    마이크로컴퓨터는 센서가 전해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점검하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의 무반응 상태를 유지시키며,
    악세서리 수단에 위치한 착석자(장난감 수단)가 센서에 접촉하였을 때,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 신호의 수가 마이크로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를 하고,
    착석자가 최소한 어느 한 센서에 접촉하거나 활성화시키지 않아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보다 적은 수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며,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의 보호자가 착석자의 자세를 바르게 고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는 수의 모든 센서에 착석자가 접촉하게 되면 반응수단의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와 장난감 수단용 악세서리 수단의 결합.
  4. 담요수단(wrapping means)에 위치한 착석자나 그 착석자의 보호자에게 착석자의 자세를 알려주어, 그 착석자나 보호자가 착석자의 자세를 고치도록 촉구하는 감지장치와 담요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담요수단은 착석자를 지지하고, 보온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착석자의 몸체를 수용하거나 및/또는 지지해 주는 알맞은 크기의 평평한 저면 시트부(bottom seat portion)와 등받이부(backrest portion)를 규정하게 되며,
    이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는 착석자의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로서, 착석자가 이 센서에 접촉하여 활성화시켰을 때 이 센서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 센서는 상기 저면 시트부와 등받이부의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되며;
    마이크로컴퓨터로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센서에 대한 데이터, 각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 및 이 센서의 개수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어느 신호가 어느 센서에서 발생했는지 구분을 하고, 센서가 보내온 신호의 개수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그 수가 설정되어 있는 센서의 개수를 비교하여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반응수단으로서, 이 반응수단은 음성신호, 시각신호 및/또는 진동신호와 같은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유형의 스위치가 제공된 스위치부(switch part)와;
    배터리 또는 A/C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 마이크로컴퓨터, 반응수단, 스위치부, 및 전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담요수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리하는 바;
    마이크로컴퓨터는 센서가 전해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점검하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의 무반응 상태를 유지시키며,
    담요수단에 위치한 착석자가 센서에 접촉하였을 때,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 신호의 수가 마이크로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를 하고,
    착석자가 최소한 어느 한 센서에 접촉하거나 활성화시키지 않아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보다 적은 수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며,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 또는 착석자의 보호자가 착석자의 자세를 바르게 고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는 수의 모든 센서에 착석자가 접촉하게 되면 반응수단의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와 담요수단의 결합.
  5. 의복수단(clothing means)을 착용한 착용자나 그 착용자의 보호자에게 착용자의 자세를 알려주어, 그 착용자나 보호자가 착용자의 자세를 고치도록 촉구하는 감지장치와 의복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의복수단은 착용자의 보온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착용자의 복부, 대퇴부, 둔부, 척추, 견갑골 및/또는 머리와 각각 접촉하게 되는 복부 부위,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로서, 착용자가 이 센서에 접촉하여 활성화시켰을 때 이 센서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 센서는 상기 복부 부위,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되며;
    마이크로컴퓨터로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센서에 대한 데이터, 각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 및 이 센서의 개수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어느 신호가 어느 센서에서 발생했는지 구분을 하고, 센서가 보내온 신호의 개수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그 수가 설정되어 있는 센서의 개수를 비교하여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반응수단으로서, 이 반응수단은 음성신호, 시각신호 및/또는 진동신호와 같은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유형의 스위치가 제공된 스위치부(switch part)와;
    배터리 또는 A/C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 마이크로컴퓨터, 반응수단, 스위치부, 및 전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의복수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리하는 바;
    마이크로컴퓨터는 센서가 전해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점검하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의 무반응 상태를 유지시키며,
    의복수단을 착용한 착용자가 센서에 접촉하였을 때,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 신호의 수가 마이크로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를 하고,
    착용자가 최소한 어느 한 센서에 접촉하거나 활성화시키지 않아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보다 적은 수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며,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용자 또는 착용자의 보호자가 착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고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는 수의 모든 센서에 착용자가 접촉하게 되면 반응수단의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와 의복수단의 결합.
  6. 장난감 수단의 보호자에게 장난감 수단의 자세를 알려주어, 그 보호자가 장난감 수단의 자세를 고치도록 촉구하는 감지장치와 장난감 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수단은 그 보호자(어린이 또는 소아)에게 즐거움과 위안을 주는것으로, 인간 형상, 상상 속의 인물 형상 또는 애완 동물 형상으로 제공되는 인형과 장난감 형상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외부 물체가 접촉하게 되는 복부 부위,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로서, 외부 물체가 이 센서에 접촉하여 활성화시켰을 때 이 센서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 센서는 상기 복부 부위, 대퇴부 부위, 둔부 부위,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및/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되며;
    마이크로컴퓨터로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센서에 대한 데이터, 각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 및 이 센서의 개수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어느 신호가 어느 센서에서 발생했는지 구분을 하고, 센서가 보내온 신호의 개수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그 수가 설정되어 있는 센서의 개수를 비교하여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를 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반응수단으로서, 이 반응수단은 음성신호, 시각신호 및/또는 진동신호와 같은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유형의 스위치가 제공된 스위치부(switch part)와;
    배터리 또는 A/C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센서, 마이크로컴퓨터, 반응수단, 스위치부, 및 전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난감 수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리하는 바;
    마이크로컴퓨터는 센서가 전해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점검하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의 무반응 상태를 유지시키며,
    외부 물체의 위에 위치한 장난감 수단의 센서가 외부 물체에 접촉되었을 때,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 신호의 수가 마이크로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무반응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를 하고,
    장난감 수단의 센서 중에서 최소한 어느 한 센서가 외부 물체에 접촉되지 않아 활성화되지 못한 결과,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보다 적은 수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며,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장난감 수단의 보호자가 장난감 수단의 자세를 바르게 고쳐, 미리 입력된 센서의 수와 일치하는 수의 모든 센서에 장난감 수단이 접촉하게 되면 반응수단의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와 장난감 수단의 결합.
  7.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착석부 센서 (23)이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대퇴부 부위에 제공되고, 둔부 센서 (33)이 이들 수단의 둔부 부위에 제공되게 구성한 것.
  8.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착석부 센서 (23)이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대퇴부 부위에 제공되고, 둔부 센서 (33)이 이들 수단의 둔부 부위에 제공되며, 척추 센서 (37)이 이들 수단의 척추 부위에 제공되게 구성한 것.
  9.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착석부 센서 (23)이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대퇴부 부위에 제공되고, 둔부 센서 (33)이 이들 수단의 둔부 부위에 제공되며, 두 개의 블레이드 센서 (35), (35')이 이들 수단의 견갑골 부위에 제공되게 구성한 것.
  10.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착석부 센서 (23)이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대퇴부 부위에 제공되고, 둔부 센서 (33)이 이들 수단의 둔부 부위에 제공되며, 머리 센서 (38)이 이들 수단의 머리 부위에 제공되게 구성한 것.
  11.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둔부 센서 (33)이 기본적으로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둔부 부위에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척추 센서 (37), 블레이드 센서 (35), (35') 및 머리 센서 (38) 중에서 최소한 어느 한 센서가 이들 수단의 척추 부위, 견갑골 부위, 또는 머리 부위에 제공되게 구성한 것.
  12.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스위치부(switch part)에 센서 선택 스위치가 제공되어, 어린이 지지수단,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착석자, 착용자 또는 (착석자, 착용자 또는 장난감 수단의) 보호자가 자신이 원하는 센서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한 것.
  13.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둔부 센서 (33) 하나만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둔부 부위에 제공되거나 또는,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의 둔부 부위에 제공된 모든 센서 중에서 둔부 센서 (33) 하나만 센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도록 구성한 것.
  14.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한 기준 유예시간이 지날 때까지 반응수단에게 아무런 반응이 없는 무반응 상태를 지속하도록 하고, 그같은 기준유예시간이 지난 다음 마이크로컴퓨터가 반응수단에게 반응을 허용하도록 프로그램된 것.
  15.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또는 담요수단의 착석자, 의복수단의 착용자, 또는 장난감 수단의 무게 또는 누르는 힘 (압력)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압력측정센서로 구성하고,
    각 센서에 가해지는 기준 압력(standard degree of pressing force)을 미리 메모리에 입력?저장하며, 어느 한 센서에 가해지는 기준 압력은 다른 센서에 가해지는 기준 압력과 동일하거나 다르게 되도록 구성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된 바,
    각 센서에 가해진 압력이 미리 입력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하며, 어느 한 센서에 가해진 압력이 미리 입력된 기준 압력을 초과할 경우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응수단에게 반응신호를 발생하도록 지시하고, 반응수단이 반응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이 반응신호를 인식한 착석자, 착용자 또는 (착석자, 착용자 또는 인형수단의) 보호자가 그 센서를 누르는 힘을 완화할 경우 반응이 중지되도록 구성한 것.
  16.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지지수단, 악세서리 수단, 담요수단, 의복수단, 또는 장난감 수단에 안전벨트 및/또는 보호대(shield)와 같은 결착수단(restraining means)이 제공되고, 이 결착수단에 상기 센서를 제공한 것.
  17.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린이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지지수단이 유아용 좌석 (infant seat), 어린이 카 시트 (child car seat), 어린이 차 침대 (child car bed), 유모차 (stroller), 유아 침대 (infant bed), 그물 침대 (hammock), 요람 (cradle), 흔들의자(rocker), 쇼핑 카트(shopping cart), 포장달린 유모차 (bassinet), 유아 운반구 (infant carrier), 어린이 운반 팩 (baby carrying pack), 유아 그네 (swing), 울타리 있는 아기 침대 (crib), 보행기 (walker), 어린이용 높은 의자 (high chair), 고정용 유아 지지구 (stationary infant stand) 또는 이들 도구 몇 개가 결합된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
  18.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악세서리 수단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 수단이 미니어쳐 형태의 유아용 좌석 (infant seat), 어린이 카 시트 (child car seat), 어린이 차 침대 (child car bed), 유모차 (stroller), 유아 침대 (infant bed), 그물 침대 (hammock), 요람 (cradle), 흔들의자(rocker), 쇼핑 카트(shopping cart), 포장달린 유모차 (bassinet), 유아 운반구 (infant carrier), 어린이 운반 팩 (baby carrying pack), 유아 그네 (swing), 울타리 있는 아기 침대 (crib), 보행기 (walker), 어린이용 높은 의자 (high chair), 고정용 유아 지지구 (stationaryinfant stand) 또는 이들 도구 몇 개가 결합된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
  19. 제 1항 또는 제 4항의 담요수단에 있어서,
    상기 담요수단이 앞면, 뒷면 및 연이은 가장자리와 일반적으로 어린이를 알맞게 감쌀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면, 나일론, 양털 등의 유연한 직물로 된 평평한 담요, 쿠션 지지대 (cushion support), 침대요, 아기 포대기, 패드 또는 시트 용구(sheet article) 중의 어느 하나인 것.
  20. 제 1항 또는 제 5항의 의복수단에 있어서, 상기 의복수단이 유아, 어린이, 또는 소아용의 기저귀, 기저귀 커버, 셔츠, 아래 위가 일체로 된 의복, 어린이용 바지, 위생 내프킨, 허리밴드 중의 어느 하나인 것.
  21. 제 1항 또는 제 6항의 장난감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수단이 전사(戰士), 영웅 등과 같은 인간 형상을 나타낸 인물이거나, 유령, 대모(代母) 요정 또는 유명인물과 같은 만화나 가상 속의 환상적 인물, 또는 개, 고양이, 토끼, 곰 등과 같은 애완 동물 형상으로 제공되는 장난감 형상 및 인형 중의 어느 하나인 것.
KR1020047013105A 2004-08-23 2002-02-27 자세감지도구 KR20040088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3105A KR20040088515A (ko) 2004-08-23 2002-02-27 자세감지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3105A KR20040088515A (ko) 2004-08-23 2002-02-27 자세감지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515A true KR20040088515A (ko) 2004-10-16

Family

ID=3737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105A KR20040088515A (ko) 2004-08-23 2002-02-27 자세감지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851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880B1 (ko) * 2010-12-24 2011-08-12 김낙주 온열 및 안마 의자와 그 제어방법
WO2013055810A1 (en) * 2011-10-10 2013-04-18 Cars-N-Kid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orientation, tensioning, and installation of a child safety restraint
KR101136909B1 (ko) * 2009-06-24 2013-11-28 (주)컴텍코리아 자세감지시트, 자세감지시트가 설치된 의자, 및 그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시스템
KR20140030800A (ko) * 2012-09-03 2014-03-12 한국전력공사 광섬유 센서의 측정 데이터 진단 방법
KR101480026B1 (ko) * 2014-03-31 2015-01-08 (주) 피앤에스프로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KR20190094618A (ko) 2018-02-05 2019-08-1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업증진용 스탠드 조명 및 이를 이용한 학업증진 유도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09B1 (ko) * 2009-06-24 2013-11-28 (주)컴텍코리아 자세감지시트, 자세감지시트가 설치된 의자, 및 그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시스템
KR101056880B1 (ko) * 2010-12-24 2011-08-12 김낙주 온열 및 안마 의자와 그 제어방법
WO2013055810A1 (en) * 2011-10-10 2013-04-18 Cars-N-Kid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orientation, tensioning, and installation of a child safety restraint
KR20140030800A (ko) * 2012-09-03 2014-03-12 한국전력공사 광섬유 센서의 측정 데이터 진단 방법
KR101480026B1 (ko) * 2014-03-31 2015-01-08 (주) 피앤에스프로 자세 교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자세 관리 장치 및 자세 교정 시스템
KR20190094618A (ko) 2018-02-05 2019-08-1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업증진용 스탠드 조명 및 이를 이용한 학업증진 유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37462A1 (en) Posture sensing apparatus
US6944898B2 (en) Multi-use pillow and methods
US5988744A (en) Baby safety seat
US6189169B1 (en)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US20050223492A1 (en) Peripherals for multi-use pillows and methods
US20070138845A1 (en) Infant surround support
US20050278853A1 (en) Back support attachment for nursing pillows
US11490663B2 (en) Infant sleep garment
WO2007103452A2 (en) Multipurpose support pillow
JP2012515271A (ja) 授乳クッション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US6755198B2 (en) Diapering restraint system
US20060075563A1 (en) Nursing aid
US7862115B1 (en) Protective device for developing infants
US20100288803A1 (en) Infant sleep sling
JP2021041160A (ja) 調整可能なボリュームのあるパデッドチェア
KR20040088515A (ko) 자세감지도구
JP2018089280A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447831B1 (ko)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20060085906A (ko) 일정 대상 또는 도구의 위치, 자세 또는 상태의 변화를전해주는 도구, 시스템 및 방법
WO2020214066A1 (ru) Детская переносная кроватка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CN214433099U (zh) 一种智能椅垫装置
NO344045B1 (en) Garment for a baby or an infant
JPH0381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