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695B1 -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695B1
KR101479695B1 KR20130128842A KR20130128842A KR101479695B1 KR 101479695 B1 KR101479695 B1 KR 101479695B1 KR 20130128842 A KR20130128842 A KR 20130128842A KR 20130128842 A KR20130128842 A KR 20130128842A KR 101479695 B1 KR101479695 B1 KR 101479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design
screen member
fibers
absor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순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2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디자인 홀이 구비된 스크린 부재가 섬유 상에 배치되는 s1단계를 포함한다. 변형방지제가 스크린 부재 상에 도포되고, 변형방지제가 디자인 홀을 통해 섬유에 흡수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스크린부재가 제거된 후, 섬유가 제1차 건조되는 s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차 건조 후, 섬유가 적어도 한번 세탁처리되어 변형방지제가 흡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수축되는 s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처리된 섬유가 제2차 건조되는 s5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METHOD OF PROCESSING FIBER USING SCREEN PRINT MEMBER FOR FIBER DESIGN}
본 발명은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털 섬유의 가공 시 스크린 부재를 이용해 부분적으로 섬유 디자인(패턴 디자인)을 형성한 후 변형을 방지하고, 섬유 디자인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축융성에 의해 변형되는 성질을 이용해 다양한 패턴이 섬유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 고도의 산업화 등으로 인해 패션분야와 디자인 분야에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인테리어 분야를 포함하는 디자인 분야와 패션 분야에서 사용되는 섬유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으며 섬유의 가공 기술도 점차 발달되고 있다. 패션분야와 디자인 분야는 발전하고 변화하는 주기가 짧고, 유행에 민감하기 때문에 소비자 및 사용자가 가지는 새로운 욕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욕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소재 개발,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패션분야와 디자인 분야에서 주로 이용되는 소재는 섬유이다. 섬유는 가공이 용이하고 형태의 변형 및 응용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주로 사용된다. 섬유는 보온성, 탄력성, 표면의 부드러움, 미관의 효과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패션분야와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소재라고 할 수 있다.
섬유 디자인을 포함한 섬유의 가공은 사용되는 기후, 장소, 용도 등에 의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선택되어 진다. 섬유는 가공되는 과정에서 습기, 열, 압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진다. 특히, 양모(wool)과 같은 털 섬유는 습기, 열, 압력에 의해 변형이 심하게 이루어지는 축융성(縮絨性)으로 인해 가공이 어렵다. 또한, 털 섬유는 가공이 완료된 상태라고 하여도, 사용되는 동안 형상 및 성질 등이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일반적인 털 섬유에 디자인을 포함한 섬유 가공이 어렵다. 또한, 털 섬유에 디자인 및 가공이 이루어진 후의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털 섬유의 용이한 가공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1-0039042호의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섬유의 가공 시 부분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축융성에 의해 섬유가 변형되는 성질을 함께 이용하여, 다양한 섬유 디자인이 털 섬유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섬유 가공 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될 수 있도록 양모와 같은 섬유가 습기, 열,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은 복수의 디자인 홀이 구비된 스크린 부재가 섬유 상에 배치되는 s1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변형방지제가 스크린 부재 상에 도포되고, 상기 변형방지제가 상기 디자인 홀을 통해 섬유에 흡수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스크린부재가 제거된 후, 섬유가 제1차 건조되는 s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차 건조 후, 섬유가 적어도 한번 세탁처리되어 변형방지제가 흡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수축되는 s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처리된 섬유가 제2차 건조되는 s5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s5단계는 제2차 건조된 섬유의 구김이 제거되는 s5-1단계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는 섬유와 접하는 섬유 접합부가 하부에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입구 및 출구를 통해 몸체부를 관통하는 디자인 홀을 포함한다.
또한, 섬유 접합부에 구비되며, 디자인 홀에서 출구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단부가 더 포함하여, 출구의 외측에 턱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스크린 부재에서 패턴을 이루는 디자인 홀을 통해 변형방지제가 섬유에 부분적으로 도포 되도록 하여 변형을 방지하고, 세탁 및 건조과정을 거쳐 변형방지제가 도포되지 않은 섬유부분은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섬유의 가공 시 부분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축융성에 의해 섬유가 변형되는 성질을 함께 이용하여, 다양한 섬유 디자인이 섬유에 구비될 수 있다.
둘째, 복수의 바가 교차되게 배치되어 격벽을 형성하여 디자인 홀을 구성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하여 섬유에 변형방지제를 도포한 후 건조 및 세탁과정을 거치므로, 섬유 가공 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될 수 있도록 양모와 같은 섬유가 습기, 열,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섬유를 가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모와 같은 털 섬유에 적용되어 섬유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은 양모와 같은 털 섬유에 디자인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축융성을 가지는 다양한 섬유에 모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100)는 섬유(200)와 접하는 섬유 접합부(111)가 하부에 형성된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110)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몸체부(110)를 관통하는 디자인 홀(120)을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110)와 섬유(200)가 접할 때, 디자인 홀(12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의 섬유(200)가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몸체부(110)는 틀을 구성하고, 틀의 내부에서 복수의 바(bar)가 교차되게 배치되어 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격벽 간의 공간에 디자인 홀(120)을 구성한다.
스크린 부재(100)에서 몸체부(110)는 복수의 바(bar)로 구성되거나, 단일 구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가 복수의 바로 구성된 경우, 몸체부는 복수의 바에 의해 전체적인 틀이 구성된다. 또한, 틀의 내부에 복수의 바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된다. 이때, 몸체부(110)는 복수의 바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된 바는 서로 간격을 형성한다. 복수의 바 간의 공간이 디자인 홀(120)이 된다.
몸체부(110)가 단일 구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디자인 홀(120)은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개구와 같은 방식으로 구비된다. 이때, 디자인 홀(120)은 몸체부(110)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며, 형상 및 크기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몸체부(110)는 나무,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린 부재(100)의 몸체부(110)의 크기 및 형상 등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100)는 몸체부(110)의 하부에 섬유 접합부(111)를 형성한다. 섬유 접합부(111)는 섬유 디자인을 위해 스크린 부재(100)를 섬유(200) 상에 배치시킬 때, 섬유(200)와 스크린 부재(100)가 서로 접하는 부분이다. 디자인 홀(12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입구(121)를 형성하며, 하부에 출구(122)를 형하고, 입구(121)와 출구(122)가 통로(123)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디자인 홀(12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자인 홀(120)은 섬유에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또는 가공 등을 위해 약품, 페인트 등이 통과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디자인 홀(120)은 섬유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제가 통과되는 부분이다. 디자인 홀(120)을 통해 변형방지제가 통과되면, 변형방지제는 디자인 홀(120)의 입구(121), 통로(123) 및 출구(1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섬유(200)에 도포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100)는 섬유(200)에 변형방지제가 도포될 때, 변형방지제가 도포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섬유(200)에 변형방지제가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130)는 섬유 접합부(111)에 구비되며, 디자인 홀(120)에서 출구(122)의 외측에 구비된다. 차단부(130)는 섬유 접합부(111) 상에서 출구(122)의 외측에 턱을 형성한다. 차단부(130)는 출구(122)의 외측에서 출구(122)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변형방지제가 출구(122)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부(130)는 출구(122)의 횡단면 형상에 따라 상이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122)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 또는 원 형상인 경우 차단부(13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출구(122)의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이루진 경우 차단부(13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고,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링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 아니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출구(122)와 연통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형태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은 복수의 디자인 홀(120)이 구비된 스크린 부재(100)가 섬유 상에 배치되는 s1단계를 포함한다. s1단계는 섬유에 배치될 스크린 부재의 위치인 리피트 표식(300)이 섬유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피트 표식(3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부재(100)의 틀과 같은 형상으로 섬유에 표시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별 형상 등의 다양한 도형으로 표시되어 스크린 부재(1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형방지제가 스크린 부재 상에 도포되고, 상기 변형방지제가 상기 디자인 홀(120)을 통해 섬유에 흡수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s2단계에서 디자인 홀(120)을 통해 변형방지제가 흡수되는 섬유의 부분은 스크린 부재가 섬유와 접했을 때, 디자인 홀(12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의 섬유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스크린부재가 제거된 후, 섬유가 제1차 건조되는 s3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s3단계는 제1차 건조된 섬유에 세탁전 수분이 흡수되는 s3-1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차 건조 후, 섬유가 적어도 한번 세탁처리되어 변형방지제가 흡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수축되는 s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처리된 섬유가 제2차 건조되는 s5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s5단계는 제2차 건조된 섬유의 세탁처리에 의한 구김이 제거되는 s5-1단계를 더 포함한다.
s1단계는 섬유에 변형방지제를 도포하여, 변형방지제가 도포된 부분과 도포되지 않은 부분의 축융성 차이를 이용해 디자인을 하기 위하여,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를 섬유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다. s1단계는 섬유의 축융성 차이를 이용한 디자인의 위해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를 제작하는 단계도 포함된다. 섬유 상에 도포되는 위치에 따라 섬유 디자인이 결정되므로, 생성하려는 디자인에 따라 디자인 홀(120)이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스크린 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bar)로 외형 틀을 제조하고, 외형 틀 내부에서 바를 교차되도록 결합하여, 교차된 바와 바 사이 공간에 디자인 홀(120)이 구비되도록 한다. s1단계는 섬유를 PVC(PolyVinyl Chloride)판 상에 깔고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s1단계에서 스크린 부재는 PVC판에 고정된 섬유 상에 배치된다.
s1-1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에 스크린 부재의 위치를 의미하는 리피트 표식(300)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리피트 표식(300)은 하나의 섬유에 스크린 부재를 여러번 배치시키기 위해 표시한다. 즉, s1-1단계는 하나의 스크린 부재를 이용해 하나의 섬유 전체에 변형방지제를 여러 부분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s1-1단계에서 하나의 섬유가 제1구역 내지 제3구역으로 구분될 경우, 스크린 부재는 제1구역에 우선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구역에 배치된 스크린 부재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후에 스크린 부재는 제2구역에 배치된다. 이때, 제2구역에 배치되는 스크린 부재는 제1구역에 스크린 부재가 배치되는 위치와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스크린 부재가 제2구역에 배치될 때, 제1구역에 표시된 리피트 표식(300)을 기준으로 제1구역에서 스크린 부재의 위치와 순차적으로, 제2구역에 스크린 부재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제3구역에 스크린 부재가 배치될 때도 반복된다. s1-1단계에서 리피트 표식은 잉크 등을 이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 가능하다. 또한, 리피트 표식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s2단계는 스퀴지(queegee)를 통한 스크린 프린트(screen print) 방식에 의해, 스크린 부재 상에 도포된 변형방지제가 디자인 홀(120)을 통과해, 디자인 홀(120)의 면적과 대응되는 섬유의 면적에 부분적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s2단계에서 섬유에 도포되는 변형방지제는 방축성(shrink-resistant) 나염잉크 및 고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이다. 또한, s2단계에서 변형방지제에 지연제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축성 나염잉크는 섬유의 성질 등에 따라 상이한 비율로 고착제와 혼합되어 변형방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모와 같은 섬유의 가공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실험을 토대로 방축성 나염잉크와 고착제의 혼합비율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축성 나염잉크와 고착제의 혼합비율은 적어도 양모와 같은 섬유의 축융성을 이용한 가공에 있어서 바람직한 혼합비율이다.
본 발명에서 방축성 나염잉크는 섬유의 방축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나염잉크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고착제는 염료용 고착제와 안료용 고착제 중 안료용 고착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고착제는 안료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고착제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s2단계는 1회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고, 2회 내지 3회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s2단계의 반복 횟수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s2단계에서 변형방지제는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형방지제는 방축성 나염잉크가 10 중량부일 때, 고착제가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다. 본 발명에서 변형방지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방축성 나염잉크가 10 중량부일 때, 고착제가 2 중량부 내지 3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다. 본 발명에서 변형방지제의 중량부 단위는 ‘g’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변형방지제는 방축성 나염잉크가 10g일 때 고착제가 3g으로 서로 혼합되거나, 방축성 나염잉크가 10g일 때 고착제가 2g으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분 방축성
나염잉크
(g)
고착제
(g)
세탁온도
(℃)
제1차
세탁시간
(분)
제1차
건조시간
(분)
제2차
세탁시간
(분)
제2차
건조시간
(분)
제1step 10 0 60 60 0
제2step 10 1 60 60 0
제3step 10 2 60 60 0 60 10
제4step 10 3 60 60 10 60 10
제5step 10 4 60 60 10 60 10
제6step 10 5 60 60 0 60 10
제7step 10 8 60 60 10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s2단계는 제3step 및 제4step에 해당되는 조건으로 변형방지제를 구현하였다. 변형방지제를 제1step과 같이 방축성 나염잉크가 10g만으로 구현한 경우, 변형방지제가 도포된 부분에 변형이 발생된다. 또한 제2step과 같이 방축성 나염잉크가 10g일때 고착제 1g을 서로 혼합한 경우, 정도의 차이는 미세하게 존재하지만 변형방지제가 도포된 부분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2단계에서 제3step 및 제4step에 해당되는 조건으로 변형방지제를 구현한 경우, 섬유에서 변형방지제가 도포된 부분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5step 내지 제7step에 해당되는 조건으로 변형방지제를 구현한 경우, 섬유에서 변형방지제가 도포된 부분의 변형은 일어나지 않지만 섬유의 촉감이 딱딱해지고, 섬유의 세탁 및 건조 후도 섬유에 변형방지제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됐다.
따라서, s2단계에서 변형방지제는 제3step 및 제4step에 해당되는 조건인 방축성 나염잉크가 10g일 때 고착제가 3g으로 서로 혼합되거나, 방축성 나염잉크가 10g일 때 고착제가 2g으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단계는 변형방지제가 도포에 의해 흡수된 섬유를 제1차 건조시킨 후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s3단계는 s3-1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1차 건조된 섬유에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수분이 세탁전 흡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온(常溫)은 사전적인 의미인 가열하거나 냉각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기온을 의미하며, 15℃를 가리킨다. s3단계에서 상온 대비 높은 온도의 수분은 가열에 의해 온도가 15℃이상인 물을 포함한다.
s3단계는 섬유에서 변형방지제가 흡수된 부분과 흡수되지 않은 부분의 축융성에 의한 변형 정도의 차이를 크게 하기 위해, 섬유를 다림질 등의 방법으로 주름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4단계는 수분이 흡수된 섬유를 1회 이상 세탁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s4단계에서 섬유는 50℃ 내지 70℃의 물로 50분 내지 70분 동안 세탁처리된다. 본 발명에서 세탁처리에 대한 조건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나, 세탁시 세탁온도(물의 온도)를 60℃로 설정하고 세탁시간은 60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단계는 표1에 제시된 바와 같이, s2단계에서 제4step의 조건으로 구현된 변형방지제가 도포된 상태의 섬유를 s3단계에서 건조한 후 60℃의 물로 60분간 세탁처리한다. 이러한 경우, 아래의 표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섬유의 수축율이 나타난다.
구분 30분 1회 세탁 30분 2회 세탁 30분 3회 세탁 60분 1회 세탁
섬유 폭 30% 축소 46% 축소 58.5% 축소 26~34% 축소
섬유 길이 22% 축소 39% 축소 52% 축소 20~39% 축소
표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세탁 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과도한 섬유의 수축이 일어나며, 섬유의 수축은 세탁의 횟수가 많아 질수록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4단계에서 세탁의 시간은 60분이 바람직하며, 세탁횟수는 적어도 1회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단계에서 섬유의 세탁처리는 일반적인 세탁기(드럼세탁기)를 이용할 수 있다.
s5단계는 세탁처리된 섬유를 제2차 건조되도록 하고, s5-1단계는 제2차 건조된 섬유의 구김이 제거되도록 한다. s5-1단계는 스팀 다림질 처리에 의해 구김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스팀다림질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s5-1단계는 스팀 처리를 통해 제2차 건조된 섬유의 주름자국, 구김자국 등이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변형방지제가 도포된 부분과 도포되지 않은 부분의 축융성의 차이에 따른 변형 정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은 복수의 바가 교차되게 배치되어 격벽을 형성하여 디자인 홀을 구성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하여 섬유에 변형방지제를 도포한 후 건조 및 세탁과정을 거치므로, 섬유 가공 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될 수 있도록 양모와 같은 섬유가 습기, 열,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크린 부재에서 패턴을 이루는 디자인 홀을 통해 변형방지제가 섬유에 부분적으로 도포 되도록 하여 변형을 방지하고, 세탁 및 건조과정을 거쳐 변형방지제가 도포되지 않은 섬유부분은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섬유의 가공 시 부분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축융성에 의해 섬유가 변형되는 성질을 함께 이용하여, 다양한 섬유 디자인이 섬유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10: 몸체부 111: 섬유 접합부
120: 디자인 홀 121: 입구
122: 출구 123: 통로
130: 차단부 200: 섬유
300: 리피트 표식 100: 스크린 부재

Claims (12)

  1. 복수의 디자인 홀이 구비된 스크린 부재가 섬유 상에 배치되는 s1단계;
    변형방지제가 스크린 부재 상에 도포되고, 상기 변형방지제가 상기 디자인 홀을 통해 섬유에 흡수되는 s2단계;
    상기 스크린부재가 제거된 후, 섬유가 제1차 건조되는 s3단계;
    제1차 건조 후, 섬유가 적어도 한번 세탁처리되어 변형방지제가 흡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수축되는 s4단계; 및
    세탁처리된 섬유가 제2차 건조되는 s5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2단계는
    스퀴지(queegee)를 통한 스크린 프린트(screen print) 방식에 의해, 변형방지제가 섬유에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변형방지제는
    방축성 나염잉크가 10 중량부일 때, 고착제가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변형방지제는
    방축성 나염잉크가 10 중량부일 때, 고착제가 2 중량부 내지 3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제1차 건조된 섬유에 세탁전 수분이 흡수되는 s3-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s3-1단계는
    제1차 건조된 섬유에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에서 세탁처리는
    50℃ 내지 70℃의 물로 50분 내지 70분 동안 세탁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5단계는
    제2차 건조된 섬유의 구김이 제거되는 s5-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s5-1단계는
    스팀 다림질 처리에 의해 구김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섬유 디자인을 위한 스크린 부재는
    섬유와 접하는 섬유 접합부가 하부에 형성된 몸체부; 및
    몸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입구 및 출구를 통해 몸체부를 관통하는 디자인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섬유 접합부에 구비되며, 디자인 홀에서 출구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단부가 더 포함하여, 출구의 외측에 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몸체부는
    틀을 구성하고, 상기 틀의 내부에서 복수의 바(bar)가 교차되게 배치되어 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격벽 간의 공간에 디자인 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KR20130128842A 2013-10-28 2013-10-28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KR101479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842A KR101479695B1 (ko) 2013-10-28 2013-10-28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842A KR101479695B1 (ko) 2013-10-28 2013-10-28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695B1 true KR101479695B1 (ko) 2015-01-07

Family

ID=5258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8842A KR101479695B1 (ko) 2013-10-28 2013-10-28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6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374A (ja) * 1993-03-07 1994-09-20 Teikoku Ink Seizo Kk スクリーンを用いた印刷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型紙
JPH07319166A (ja) * 1994-05-23 1995-12-08 Komura Seihan Kk スクリーン印刷版の製造方法
JPH0939365A (ja) * 1995-07-25 1997-02-10 Konishi Mark Kk プリント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22782A (ja) * 1998-02-06 1999-08-17 Nisshin Kankou:Kk スクリーン捺染用厚膜印刷版の製版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374A (ja) * 1993-03-07 1994-09-20 Teikoku Ink Seizo Kk スクリーンを用いた印刷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型紙
JPH07319166A (ja) * 1994-05-23 1995-12-08 Komura Seihan Kk スクリーン印刷版の製造方法
JPH0939365A (ja) * 1995-07-25 1997-02-10 Konishi Mark Kk プリント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22782A (ja) * 1998-02-06 1999-08-17 Nisshin Kankou:Kk スクリーン捺染用厚膜印刷版の製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077B1 (ko) 방염, 방수, 투습 및 형광 특성이 우수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3173910B (zh) 一种涤腈面料及其加工方法
KR100924069B1 (ko) 폴리에스터 담요 제조방법
CN104178873A (zh) 一种高色牢度的助剂改性绒类阻燃面料的生产工艺
CN106087484A (zh) 一种智能温致变色面料加工工艺
KR101479695B1 (ko) 스크린 부재를 이용한 섬유 디자인이 구비된 섬유의 가공방법
Maryan et al. One pot denim washing and finishing using organo-montmorillonite: introducing nano mineral washing and finishing
KR101651252B1 (ko) 난연성 면직물의 제조방법
EP2998423B1 (en) 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fabric
CN104404733A (zh) 精纺针织羊绒衫缩绒柔软处理工艺
KR100389283B1 (ko) 수축주름과 직선주름이 교차 형성되게 한 주름의류 및원단의 제조방법
KR101070649B1 (ko) 신축성 있는 난연성 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Choudhury Process control in finishing of textiles
KR101277808B1 (ko) 도비형 주름직물
DE112019001970T5 (de) Strickgewebe mit Lamellen, und Fasererzeugnis
CN106801352A (zh) 一种雪纺面料的染色整理方法
JP6715662B2 (ja) 捺染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28158B1 (ko) 문양 직물 및 그 문양의 부각방법
KR101010644B1 (ko) 환편소재 의류 제작용 패턴 및 그 제작 방법
Fergusson Garment-finishing techniques
KR101866540B1 (ko) 레이스 원단 제조 방법
KR101375164B1 (ko) 유연제 처리 공정이 구비된 편직물의 제조방법
KR20010064673A (ko) 다수의 엠보싱 돌기에 의해 탄력성을 갖는 직물 및 그의처리방법
KR101718875B1 (ko) 의복 제조용 직물 제조방법
EP1621665B1 (en) Mehod of manufacturing pleate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