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592B1 -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 - Google Patents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592B1
KR101479592B1 KR1020107008249A KR20107008249A KR101479592B1 KR 101479592 B1 KR101479592 B1 KR 101479592B1 KR 1020107008249 A KR1020107008249 A KR 1020107008249A KR 20107008249 A KR20107008249 A KR 20107008249A KR 101479592 B1 KR101479592 B1 KR 10147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oating
conductive
window
transpar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517A (ko
Inventor
귄터 샬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3282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795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0008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투명 윈도우(1)는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데, 이러한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은 윈도우(1)의 영역의 상당 부분에 걸쳐, 특히 조망 영역(A)에 걸쳐 확장한다. 더욱이, 코팅은, 전기 공급 전압이 버스 바에 인가된 후에, 전류가 버스 바 사이에서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가열 영역(21)에 걸쳐 흐르는 방식으로 적어도 2개의 상호 대항 저-임피던스 버스 바에 전기적 연결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버스 바와 가열 영역(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투과 전이 영역(15)이 존재하고, 이러한 광-투과 전이 영역(15)의 유효 표면 저항은 코팅의 표면 저항보다 더 낮다. 밴드 필터의 시각적 외관을 갖는 전이 영역(15)을 얻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15)에서의 표면 저항이 할당된 버스 바로부터 가열 영역(21)으로의 방향으로 증가한다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TRANSPARENT WINDOW WITH AN ELECTRICALLY HEATABLE COATING}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기적으로 가열가능 코팅은 윈도우의 영역의 상당 부분에 걸쳐, 특히 조망 영역(A)에 걸쳐 확장하고, 전기 공급 전압이 버스 바들에 인가된 후에, 전류가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가열 영역에 걸쳐 버스 바들 사이에 흐르는 방식으로 적어도 2개의 상호 대항 저-임피던스 버스 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버스 바들과 가열 영역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투과 전이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광-투과 전이 영역의 유효 표면 저항은 코팅의 표면 저항보다 더 낮다.
자동차 분야에서, 전면 윈도우가 특히 또한 가열 영역이 어떠한 와이어 또는 다른 눈에 띄는 전도체도 갖지 않는 가열가능 형태를 구비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법적인 규제는, 윈도우를 통해 시야를 딴 데로 돌리는 시각적 요소가 특히 전면 유리(windscreen)의 매우 상당한 조망 영역(viewing area)(A)에서 허용되지 않는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가열 영역은 윈도우의 가열가능 투명 코팅의 형태로 점점 더 제공되고 있다.
낮은 광 흡수를 갖는 가열가능 코팅의 일반적인 문제점은 여전히 비교적 높은 표면 저항이다. 특히 큰 치수의 윈도우가 가열되는 경우에 또는 긴 흐름 경로의 경우에, 이것은 상당히 높은 동작 전압에 대한 요건을 초래한다. 그러나, 전형적인 여객용 차량의 표준 12 내지 14 볼트 전기 시스템을 통해, 적절한 가열 전력은 전형적인 가열 코팅의 전형적인 전면 유리 치수 및 표면 저항에 대해 달성될 수 없다. 지금까지, 사용된 층 시스템의 경우에서 표면 저항을 낮추는 것은 가시광의 투과에서의 감소에 의해 항상 수행되는데, 이는, 이 경우에 전도층의 두께가 증가되어야 한다는 것이 가정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문제점은 또한 예를 들어 개시부에 설명된 유형의 가열가능 전면 유리를 개시하는 DE 20 2005 016 384 U1에 의해 다루어지는데, 이러한 가열 가능 전면 유리에서, 각 버스 바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투명 전이 영역이 하나 또는 양쪽 버스 바를 따라 제공된다. 스트립 형태의 2개의 전이 영역은 이 경우에 한 편으로 중앙 조망 영역(A)의 위에,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 아래에 위치되고, 그러므로 조망 영역의 광학 특성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전이 영역에 비해). 전이 영역에서 표면 저항을 낮추는 것은, 알려진 전면 유리의 경우에, 추가 전도체 또는 그리드 요소가 이들에 대해 수직으로 2개의 버스 바로부터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가열 영역쪽으로 연장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들 요소는 윈도우의 조망 영역(B)에 위치하지만, 조망 영역(A) 앞에서 끝난다. 또한 "콤 전극(comb electrodes)"이라 불리는 추가 그리드 요소의 증가된 전도도로 인해, 이에 따라 그리드 요소를 구비한 2개의 전이 영역은 증가된 유효 전기 전도도, 즉 감소된 유효 전기 표면 저항을 갖는 영역을 형성한다. 이들 영역에서, 코팅 자체와 그리드 요소의 병렬 연결이 생성된다.
더욱이, DE 1 256 812는, 또한 버스 바가 윈도우의 좁은 면 상에서, 즉 본 경우에 후방 차량 윈도우의 대략 수직으로 이어지는 좁은 면 상에서 연장하는 가열가능 차량 윈도우를 기재한다. 2개의 버스 바로부터, 투명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가열 영역으로 연장하는 수평으로 이어지는 콤 전극이 연장된다. 대항 버스 바의 콤 전극은 수직 간격(spacing)의 절반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 배치되어, 하나의 버스 바 상의 콤 전극은 다른 버스 바의 인접한 콤 전극 사이의 중간에 이어진다. 반대 극성으로 된 전극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류가 전기적 전도성 코팅을 통해 커버해야 하는 거리는 감소되는데,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한 한 크고 또한 균등 분배되는 전체 윈도우 위의 가열 전력을 심지어 낮은 전압을 통해 얻기 위함이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어두울 수 있는 조망 영역을 갖는 투명 윈도우는 DE 10 2004 005 611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2개의 표면 전극 사이에 수용되는 전기 변색 작용 층의 도움으로 가역적으로 변화되는 다층 복합물의 형태로 제공된 윈도우의 투과 특성에 의해 어두워짐이 달성된다. 차량의 전기 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급 전압은 저-임피던스 커넥터를 통해 표면 저항에 공급될 수 있다. DE 10 2004 005 611 A1의 경우에, 표면 전극 및 그 커넥터는 서로 매칭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 인가된 전압을 통해, 윈도우의 하나의 에지에서 어두워짐이 시작되고, 증가하는 전압을 통해, 대항 에지에서 작용 요소의 완전히 균일한 변형(transformation)이 있을 때까지 계속해서 윈도우의 표면 영역 위에서 어두워짐이 계속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전면 유리의 상부 에지로부터 시작하는 수평 스트립의 형태로 제공되는 작용 요소를 어둡게 할 때 일종의 "롤러 블라인드 효과(roller blind effect)"가 달성된다.
투명 코팅의 형태로 제공된 가열 영역의 도움으로 윈도우를 가열시키기 위한 모든 알려진 시스템은, 달성가능한 가열 전력에 대해 차량의 12 볼트 전기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공급 전압을 사용하고, - 동시에 충분히 우수한 투과 특성을 보장할 때, - 문제가 있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가열가능하고 가열 영역을 형성하는 투명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를 제공하는 문제점을 다루는데, 이러한 투명 코팅을 통해 충분히 큰 가열 전력은 심지어 비교적 낮은 공급 전압의 경우에서도 제공되며, 윈도우의 전기 특성은 심지어 조망 영역(A) 및 조망 영역(B) 외부에서도 우수하고, 윈도우는 만족스러운 설계를 갖는다.
개시에 설명된 유형의 윈도우에 기초하여, 이 문제는 할당된 버스 바로부터 가열 영역으로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에서의 표면 저항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은, 전이 영역이 일반적으로 - 또한 DE 10 2005 016 384 U1의 경우에서와 같이 - 불투명 전기적 전도성 영역(예를 들어 전기적 전도성의 은-함유 스크린 프린팅 페이스트 또는 얇은 전기적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함) 및 전기적 비전도성 또는 적어도 상당히 불량한 전도성 영역(다른 한 편으로 가시광 범위에 대해 우수한 투과 특성을 가짐)을 포함한다는 결과에 기초한다. 대안적으로, 윈도우의 전도도는 또한 전도성 코팅 - 자체적으로 투명함 -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투과 계수는 코팅의 증가하는 두께에 따라 감소하여, 큰 층 두께의 의사-불투명(quasi-opaque)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이 영역이 전체 높이에 걸쳐 균일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갖지 않는 윈도우를 제공한다. 광학적 투명도 및 전도도가 일반적으로 서로 반비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각 버스 바에 매우 가까운 영역에서 전도도가 높지만 투명도가 낮은 구조를 제공하는 반면, 버스 바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하고, 중앙 조망 영역(A)에 더 근접한 영역에서, 전기적 전도도 특성은 윈도우의 광학 특성을 위해 더 많이 희생된다. 그 결과, 투명도가 윈도우의 중간쪽으로 증가하면서, 윈도우에 일체화된 차광판(sun visor)과 같은 광학 특성을 갖는 윈도우의 전이 영역이 이에 따라 얻어진다. 차량 윈도우 분야에서, 그러한 설계는 더욱이 또한 소위 밴드 필터(band filters)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밴드 필터는 적층된 안전 윈도우의 경우에 사용된 PVB 중간 필름을 채색함으로써 생성된다. 더욱이, 윈도우를 바디에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의 비드(beads)를 덮기 위해, 윈도우의 표면 상에 블랙 잉크를 프린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려진 블랙 프린트는 어떠한 전기적 전도도를 갖지 않는 종래의 블랙 스크린 프린팅 잉크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한 편으로, 블랙 프린트 구조는 감소하는 크기로 된 도트를 갖는 도트 패턴으로서 종종 마무리되어, 심지어 스크린 프린팅 페이스트의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면, 프린팅-온(printed-on) 구조의 점착력의 부족은, 바로 하부 에지까지 전도도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이 영역은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전기적 전도성 전도 영역 및 투명한 전기적 비전도성 자유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전이 영역 상에 투명 전도성 코팅이 있는 경우 투명한 전기적 비전도성 자유 영역은 특정 전도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한 조망 영역(A)쪽으로 증가하는 유효 표면 저항은 전기적 전도체 가열 코팅의 두께가 변함으로써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망 영역(A)에 인접하는 코팅의 두께가 조망 영역(A)에서의 두께에 대응하지만, 즉 비교적 매우 작지만, 엄밀히 말하면, 버스 바 근처에서, 사실상 더 이상 어떠한 투명도도 없는 정도로 각 버스 바쪽으로 계속해서 증가한다. 전기적 전도성 층의 큰 도포 두께는, 전도도 특성이 향상되어, 전이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저항이 조망 영역(A)에서의 코팅 두께에 비해 크게 감소하게 되는 결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의 유리한 개선점에 따라, 전도 영역은 복수의 전도체 경로를 갖는데, 이러한 복수의 전도체 경로는 일단부에서 버스 바에 그리고 적어도 대항 단부에서 코팅에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 경우에 "차광판"의 광학 특성을 가능한 한 멀리 전이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투명도가 윈도우의 중간쪽으로 증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횡단 경로는 인접한 전도체 경로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이들에 연결되어, 또한 실제 전도체 경로에 대해 횡단하는 전류의 가능한 흐름에 의해, 실제 전도체 경로의 중단이 전기적 양상에서 브리징(bridged)되도록 한다.
윈도우의 중간쪽으로 증가하는 광학 투명도의 바람직한 광학 특성은 또한 특히 전도체 경로의 폭이 각 버스 바로부터 코팅으로 감소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감소는 이 경우에 일정하게(전도체 경로는 예를 들어 예각 삼각형을 형성함)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방식으로 불규칙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전도체 경로의 면 한정 라인은 임의의 바람직한 곡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전도성 영역 또는 전도체 경로에 의해 모든 면 상에 수용되는 아일랜드(islands)로서 자유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것은, 전도체 경로 전체가 그 형태로 유지되고, 아일랜드가 인접한 전도체 경로의 뚜렷한 간격을 한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아일랜드에 인접하는 인접 전도체 경로 사이에 위치한 영역은 이를 통해 횡단 경로를 형성하고, 인접 전도체 경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로 인해, 이중 안전성(fail safety)이 증가하게 된다.
전도체 경로는 예를 들어 구불구불하게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어질 수 있고, 피크 또는 꼭대기(crest) 부분에서,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각각 인접하고 미러 이미지 경로를 뒤따르는 전도체 경로의 피크 또는 꼭대기 부분에 연결된다.
더욱이, 전이 영역의 아일랜드의 크기는 연속적으로 버스 바로부터 증가하는 거리로 버스 바와의 경계에서 0으로부터 증가할 수 있고, 가열 영역과의 경계에서 인접한 아일랜드 사이에 남아있는 전도체 경로 부분은 0.2mm 내지 1.0mm의 폭을 갖는다. 가열 영역쪽으로의 전도체 경로 폭의 감소는, 전이 영역에서의 광학 투명도가 버스 바로부터 점점 더 커져서, 시각적으로 매우 만족스러운 외관을 초래하는 결과를 갖는다.
더욱이, 가열 영역에 대한 경계에서의 전도체 경로 부분의 폭은 인접한 아일랜드의 폭의 최대 3% 내지 20%이다. 이러한 조치는 또한 시각적으로 매우 매력적인 외관을 생성하는 동시에, 전이 영역에서의 우수한 전도도 특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개선은,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에서(가열 영역에서와 같이) 마찬가지로 전기적 전도성 투명 코팅이 제공한다. 사실상 조망 영역(A)에서의 가열 영역에 비해 전이 영역에서 특정한 가열 전력을 낮게 유지할 가능성이 있지만, 대안적으로, 실제 중앙 가열 영역에서의 가열 전력에 필적하는 가열 전력은 또한 이미 전이 영역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수한 경우에, 전이 영역은 가열 영역의 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의 2가지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아래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도체 경로 전체가 그 형태로 유지되고, 아일랜드가 인접한 전도체 경로의 뚜렷한 간격을 한정하는 효과를 갖고, 또한 시각적으로 매우 매력적인 외관을 생성하는 동시에, 전이 영역에서의 우수한 전도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여객용 차량의 전면 유리의 형태로 제공된 윈도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윈도우의 상부 전이 영역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대안적인 윈도우의 상부 전이 영역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여객용 차량의 전면 유리의 형태로 제공된 윈도우의 평면도.
도 5는 여객용 차량의 전면 유리의 형태로 제공된 윈도우의 평면도.
여객용 차량의 도 1에 도시된 윈도우(1)는 상부 에지(2)와, 보닛을 향하는 하부 에지(3)와, 측면 A 필러(pillars)를 향하는 2개의 에지(4 및 5)를 갖는다. 모든 에지(2 내지 5)에서 시작하여, 윈도우(1)는 각 경우에 각각 폭(10, 11, 12, 13)을 갖는 에지 스트립(6, 7, 8, 9)을 갖고, 폭(11)은 중심 라인(14)의 영역에서 가장 크고, 에지 스트립(8 및 9)의 방향으로 감소한다(도 1을 참조).
스트립(6, 7, 8, 9)은 블랙 스크린 프린팅 페이스트로 제작되며, 이러한 블랙 스크린 프린팅 페이스트는,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 및 그 사이에 놓인 PVB 접착 필름으로 만들어진 윈도우(1)의 "두 번째 면" 상에 도포된다. 블랙 프린트의 에지 스트립(6, 7, 8, 9)은 종래 기술에 대응하고, 특히 그 아래에 위치한 접착제의 비드를 덮기 위한 것이고, 이를 통해 윈도우(1), 즉 그 "네 번째 면"은 둘러싸는 바디의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된다.
상부 에지 스트립(6) 아래에, 상기 상부 스트립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상부 전이 영역(15)이 존재한다. 하부 에지 스트립(7) 위에,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스트립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부 전이 영역(16)이 존재한다. 상부 전이 영역(15)은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한 폭(17)을 갖는다. 이는 폭이 18로 표시된 하부 에지 스트립(16)에 적용된다.
상부 전이 영역(15)의 하부 에지(19)에 인접하고 하부 전이 영역(16)의 상부 에지(20)에 인접하면, 초기에 조망 영역(B)이 존재하고, 윈도우(1)의 더 중심쪽으로, 중심 조망 영역(A), 본 경우에 조망 영역(A 및 B) 모두와 유사하게 전이 영역(15 및 16)은 윈도우의 "세 번째 면" 상의 투명한 전기적 전도성 코팅을 구비한다. 실제 가열 영역(21)은 2개의 전이 영역(15 및 16)의 서로 향하는 에지(19 및 20) 사이에 위치한다.
전이 영역(15)의 세부사항은 도 2에 따른 확대된 도면으로부터 더 잘 알 수 있다. 윈도우의 "세 번째 면" 상에 도포되고 도면에 검은 색으로 도시되고 또한 실제로 불투명한(예를 들어 은-함유 스크린 프린팅 페이스트로 구성됨) 전이 영역(15)의 전도 영역은, 투명하고 백색으로 도시된 다수의 자유 영역에 의해 차단된다. 자유 영역은 서로 평행하게 행으로 배치되는 대략 원형의 아일랜드(22)의 형태로 제공된다. 에지(2)로부터 윈도우의 에지(2)에 각각 평행하게 이어지는 행의 증가하는 거리를 통해, 아일랜드(22)의 크기는 엄밀히 말하면, 각 원의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증가한다. 행당 아일랜드의 개수가 일정하지만(상부의 3개의 행과 별도로, 여기서 전이 영역은 아치형 형태로 외부 상에서 둥글게 된다), 자유 영역으로 구성된 비율은 가열 영역 또는 조망 영역(A)의 방향으로 아일랜드(22)의 증가하는 크기의 결과로서 증가한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전이 영역(15)의 투명도는 불투명한 에지 스트립(6)으로부터 조망 영역(A)쪽으로 계속해서 증가한다. 유효 전기 표면 저항은 동일한 정도로 증가하는데, 이는 전도성 전도 영역이 그러한 표면 영역에서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이 영역(15)에서의 전도도는, 엄밀히 말하면 전이 영역(15)이 상부 에지에 연결되는 매우 낮은-임피던스 버스 바의 전도도에 대해, 하부 에지(19)에서 감소한다. 그러나, 유효 표면 저항은 또한 조망 영역(A)의 영역에서 가열 영역 코팅의 표면 저항보다 전이 영역(15)의 에지(19)에서 여전히 더 낮다. 그 결과,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블랙 프린트의 형태로 제공된 에지 스트립(6 및 7) 아래에 위치한 버스 바의 유효 전기 간격은 전이 영역(15 및 16)에 의해 감소하고, 전이 영역(15 및 16)에서 프린팅되는 전도체 구조로 발생하는 감소는 상부 전이 영역(15)에 배치된 알려진 차광판 또는 이 부분에서 통상적인 소위 밴드 필터의 외관을 가지므로, 자동차의 구매자 및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다.
전이 영역(15 및 16)에서의 프린팅된 전도 영역의 구조는 또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고 중심 라인(1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다수의 전도체 부분으로 구성되는 이들 영역으로서 구상될 수 있다. 전도체 부분은 구불구불한 형태를 갖고, 각각 아일랜드의 폭의 절반만큼 오프셋 배치되는, 우측 상의 행의 하나의 아일랜드(2) 및 좌측 상의 인접 행에서의 하나의 아일랜드(22)를 교대로 한정한다. 인접한 전도체 부분은 하나의 행에서 2개의 아일랜드(22) 사이의 영역에 중첩하고, 그런 후에, 서로 멀어지게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인접한 행에서 벌지(bulge){아일랜드(22)}를 형성하여, 그런 후에 다음 행에서 다시 가장 크게 중첩한다. 전이 영역(15)에서의 프린트 패턴은 또한 반전된 도트 패턴으로서 구상될 수 있고, 본 경우에 도트는 아일랜드(22)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아일랜드(22)는 하부 에지(19)쪽으로, 즉 조망 영역(B 및 A)쪽으로 그 크기를 연속적으로 증가시키고, 마지막 행에서, 단지 약 0.3mm의 폭을 갖는 전도체 경로를 남겨둔다.
대안적인 전도성 구조는 도 3에 그래픽적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아일랜드(22')는 등변 육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들 육각형의 크기는 전이 영역(15')의 하부 에지(19)로부터 블랙 프린트에 생성된 상부 에지 스트립(6)쪽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인접한 아일랜드(22') 사이에 남아있는 전도체 경로는 지그재그 라인의 형태를 갖고, 지그재그 라인의 피크는 양쪽 면 상에서 평평하게 되고, 전도체 경로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부품(straight pieces)으로 대체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1) 내의 전류 흐름은, 윈도우의 "세 번째 면" 상에 위치된, 상부 버스 바로의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연결 지점으로부터 전이 영역(15, 15')에서의 상기 버스 바와 전기적 접촉된 전도 영역을 통해 조망 영역(B 및 A)에서 가열 코팅으로 발생한다. 전이 영역(15, 15')에서의 전도성 구조 및 조망 영역(B 및 A)에서의 코팅 모두는 윈도우(1, 1')의 "두 번째 면" 상에 위치한다. 가열 영역(21)의 대항하는 하부 면 상에서, 전류 흐름은 하부 전이 영역(16)의 전도성 구조를 통해 그로부터 하부 에지 스트립(7)에서의 블랙 프린트에 의해 커버된 "세 번째 면" 상의 하부 버스 바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접촉 지점을 통해 전압 공급부로 다시 발생한다.
설계 이유때문에, 조망 영역(B 및 A)쪽으로 "가늘어지는(thinning out)" 전기적 전도성 스크린 프린팅 페이스트를 이용한 윈도우의 프린팅은 또한 각각 에지 스트립(8, 9)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2개의 에지 스트립(23, 24)에서 발생할 수 있다. 조망 영역(B 및 A)에서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가열 영역(21)을 통하는 충분한 전류 흐름을 방지하는 이들 영역에서 단락 가능성을 제거하여, 에지 스트립(23, 24)에서의 전도성 프린트는 코팅의 "두 번째 면" 상에 있어서, PVB 필름에 의한 분리로 인해 전이 영역(15, 16)에 대한 에지 스트립(23, 24)의 전기적 전도성 연결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4 및 5에 도시된 윈도우(1)는 도 1에 도시된 윈도우(1)와 유사하다. 여객용 차량의 윈도우는 상부 에지(2)와, 보닛을 향하는 하부 에지(3)와, 측면 A 필러를 향하는 2개의 에지(4, 5)를 갖는다. 모든 에지(2 내지 5)에서 시작하여, 윈도우(1)는 각 경우에 각각 폭(10, 11, 12, 13)을 갖는 에지 스트립(6, 7, 8, 9)을 갖고, 폭(11)은 중심 라인(14)의 영역에서 가장 크고, 에지 스트립(8 및 9) 방향으로 감소한다.
자유 영역은 서로 평행하게 행으로 배치되는 대략 원형의 아일랜드(22)의 형태로 제공된다. 중심 라인(14)으로부터 윈도우(1)의 에지(4 미 5)로 각각 이어지는 행의 증가하는 거리에 대한 도 4에서, 아일랜드(22)의 크기는 엄밀히 말하면 각 원의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증가한다. 행당 아일랜드의 개수가 일정하지만, 자유 영역으로 구성된 비율은 에지(4 및 5)의 방향으로 아일랜드(22)의 증가하는 크기의 결과로서 증가한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전이 영역(15)의 투명도는 중심 라인(14)으로부터 에지(4 및 5)로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유효 전기 표면 저항은 동일한 정도로 증가하는데, 이는 전도성 전도 영역이 그 표면적에서 감소하기 때문에다. 전이 영역(15)에서의 전도도는 이에 따라 에지(4 및 5)에서 감소한다.
중심 라인(14)으로부터 윈도우(1)의 에지(4 및 5)로 각각 이어지는 행의 증가하는 거리에 대한 도 5에서, 아일랜드(22)의 크기는 엄밀히 말하면 각 원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감소한다. 행당 아일랜드의 개수가 일정하지만, 자유 영역으로 구성된 비율은 에지(4 및 5)의 방향으로 아일랜드(22)의 감소하는 크기의 결과로서 감소한다. 아일랜드(22)의 크기의 감소는 중심 라인(14)과 에지(4 및 5) 사이의 절반 거리에서 최대치에 도달한다. 그런 후에, 아일랜드(22)의 크기는 엄밀히 말하면 각 원의 직경이 윈도우(1)의 에지(4 및 5)로 증가하는 형태로 증가한다. 유효 전기 표면 저항은 동일한 정도로 증가하는데, 이는 전도성 전도 영역이 그 표면적에서 감소하기 때문이다.

Claims (12)

  1.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1, 1')로서,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은 윈도우(1, 1')의 영역의 조망 영역(viewing area)(A)에 걸쳐 확장하고, 전기 공급 전압이 버스 바에 인가된 후에, 전류가 그들 사이에서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가열 영역(21)에 걸쳐 흐르는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상호 대항 저-임피던스 버스 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15, 15', 16)은 버스 바와 가열 영역(21) 사이에 존재하고, 전이 영역(15, 15', 16)의 유효 표면 저항은 코팅의 표면 저항보다 더 낮은, 투명 윈도우(1,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15, 15', 16)에서의 표면 저항은 할당된 버스 바로부터 가열 영역(21)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2. 제 1항에 있어서, 전도 영역은 복수의 전도성 경로를 갖고, 복수의 전도성 경로는 각각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일단부에서는 버스 바에 연결되고 대항 단부에서는 코팅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3.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횡단 경로는 각각 인접한 전도체 경로 사이에 배치되고,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이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전도성 경로의 폭은 버스 바로부터 가열 영역(21)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유 영역은 전도성 영역 또는 전도성 경로에 의해 모든 면 상에 수용되는 아일랜드(islands)(22, 2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6. 제 4항에 있어서, 자유 영역은 전도성 영역 또는 전도성 경로에 의해 모든 면 상에 수용되는 아일랜드(22, 2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전도성 경로는 꾸불꾸불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이어지고, 피크 또는 꼭대기(crest) 부분에서,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각각 미러 이미지 경로에 인접하고 이에 뒤따르는 전도성 경로의 피크 또는 꼭대기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8. 제 5항에 있어서, 전이 영역(15, 15', 16)의 아일랜드(22, 22')의 크기는 할당된 버스 바로부터의 증가하는 거리로 연속적으로 할당된 버스 바와의 경계에서 0으로부터 증가하고, 가열 영역(21)과의 경계에서 인접하는 아일랜드(22, 22') 사이에 남아있는 전도체 경로 부분은 0.2mm 내지 10mm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9. 제 8항에 있어서, 가열 영역(21)과의 경계에서 전도성 경로 부분의 폭은 인접한 아일랜드(22, 22')의 폭의 최대 3%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영역(21)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15, 15', 16)에서, 전기적 전도성 투명 코팅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11.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1, 1')로서,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은 윈도우(1, 1')의 영역의 조망 영역(A)에 걸쳐 확장하고, 전기 공급 전압이 버스 바에 인가된 후에, 전류가 그들 사이에서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가열 영역(21)에 걸쳐 흐르는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상호 대항 저-임피던스 버스 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15, 15', 16)은 버스 바와 가열 영역(21) 사이에 존재하고, 전이 영역(15, 15', 16)의 유효 표면 저항은 코팅의 표면 저항보다 더 낮은, 투명 윈도우(1,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15, 15', 16)에서의 표면 저항은 중심 라인(14)으로부터 에지(4 및 5)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12.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1, 1')로서,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은 윈도우(1, 1')의 영역의 조망 영역(A)에 걸쳐 확장하고, 전기 공급 전압이 버스 바에 인가된 후에, 전류가 그들 사이에서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가열 영역(21)에 걸쳐 흐르는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상호 대항 저-임피던스 버스 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15, 15', 16)은 버스 바와 가열 영역(21) 사이에 존재하고, 전이 영역(15, 15', 16)의 유효 표면 저항은 코팅의 표면 저항보다 더 낮은, 투명 윈도우(1,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15, 15', 16)에서의 표면 저항은 중심 라인(14) 주위의 중앙에서 그리고 에지(4 또는 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우.
KR1020107008249A 2007-10-18 2008-10-16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 KR101479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0286A DE102007050286A1 (de) 2007-10-18 2007-10-18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elektrisch heizbaren Beschichtung
DE102007050286.0 2007-10-18
PCT/EP2008/008775 WO2009049890A1 (en) 2007-10-18 2008-10-16 Transparent window with an electrically heatable co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517A KR20100084517A (ko) 2010-07-26
KR101479592B1 true KR101479592B1 (ko) 2015-01-07

Family

ID=4032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249A KR101479592B1 (ko) 2007-10-18 2008-10-16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307579B2 (ko)
EP (1) EP2201817B2 (ko)
JP (1) JP5416701B2 (ko)
KR (1) KR101479592B1 (ko)
CN (1) CN201860471U (ko)
AT (1) ATE528957T1 (ko)
BR (1) BRPI0818761B1 (ko)
DE (1) DE102007050286A1 (ko)
ES (1) ES2375248T5 (ko)
MX (1) MX2010003827A (ko)
PL (1) PL2201817T5 (ko)
WO (1) WO2009049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17848U1 (de) 2008-04-10 2010-09-2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und niederohmigen leitenden Schichten
KR20090129927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12788B2 (en) 2008-06-13 2019-09-10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21842B2 (ja) * 2008-06-13 2012-09-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T2569189T (pt) 2010-05-10 2017-02-08 Saint Gobain Placa de vidro transparente com revestimento passível de ser aquecido, bem como processo de fabrico para a mesma
CN102812777B (zh) 2011-02-16 2015-11-25 法国圣戈班玻璃厂 带有电加热层的透明板及其制造方法
CN103444259B (zh) 2011-03-22 2016-06-22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利用电气加热装置给透明玻璃除冰的方法和组件
WO2013141629A1 (ko) * 2012-03-21 2013-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05408A (ko) * 2013-02-22 2014-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LU92345B1 (en) * 2013-12-23 2015-06-24 Iee Sarl Heating element with a layer of resistive materiallocally configured to obtain predetermined sheet resistance
EP3013119A1 (en) * 2014-10-24 2016-04-27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Transparent heating device with graphene film
MA52345A (fr) * 2018-04-25 2021-03-03 Saint Gobain Procédé d'impression d'un revêtement structuré en argent présentant une intensité maximale admissible de courant améliorée
US11337311B2 (en) * 2018-07-06 2022-05-17 Ppg Industries Ohio, Inc. Aircraft window with variable power density heater film
CN112356642B (zh) * 2020-11-06 2022-05-10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加热夹层玻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243A (ja) * 1995-02-21 1996-09-17 Saint Gobain Vitrage 自動車用窓ガラス
JP2002020142A (ja) 2000-06-29 2002-01-23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30165A1 (fr) 2004-09-17 2006-03-23 Saint-Gobain Glass France Structure chauffante electrique
WO2006040498A1 (fr) 2004-10-15 2006-04-20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transparent avec un revetement chauffant resisti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7983A (en) * 1949-03-22 1951-06-26 Pittsburgh Plate Glass Co 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article
FR1408162A (fr) 1963-08-30 1965-08-13 Saint Gobain Vitrage chauffant
DE2703688A1 (de) * 1977-01-29 1978-08-10 Bosch Gmbh Robert Schutzvorrichtung fuer lichtdurchlaessig abgeschlossene, insbesondere verglaste, raumoeffnungen, als schutz gegen uebermaessigen waermedurchgang
DE2936398A1 (de) * 1979-09-08 1981-03-26 Ver Glaswerke Gmbh Elektrisch beheizbare glasscheibe
GB2186769A (en) 1985-12-26 1987-08-19 Nippon Sheet Glass Co Ltd Conductive glass plate
DE3708577A1 (de) 1987-03-17 1988-09-29 Ver Glaswerke Gmbh Mit einer elektrisch leitenden und waermestrahlen reflektierenden schicht versehene autoglasscheibe
DE3828526A1 (de) * 1988-08-23 1990-03-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heizbare fensterscheibe insbesondere eines kraftwagens
DE4019703A1 (de) * 1990-01-15 1991-07-25 Renker Gmbh & Co Kg Zweigniede Heizbare scheibe
FR2672180A1 (fr) 1991-01-30 1992-07-31 Vtf Ind Sarl Panneau chauffant en verre.
US5496989A (en) * 1994-05-05 1996-03-05 United Technology Corporation Windshield temperature control system
DE10323557B3 (de) * 2003-05-26 2004-07-08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Fahrzeugantenne
US20060011596A1 (en) * 2003-10-28 2006-01-19 Sharp Larry L Screen printed heater for vehicle elements
DE102004005611B4 (de) 2004-02-05 2006-04-2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partiell abdunkelbarem Sichtfeld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elektrochrom verfärbbaren Flächenelements in einer transparenten Scheibe, insbesondere einer Windschutzscheibe
DE202005016384U1 (de) 2005-10-19 2007-02-2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243A (ja) * 1995-02-21 1996-09-17 Saint Gobain Vitrage 自動車用窓ガラス
JP2002020142A (ja) 2000-06-29 2002-01-23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30165A1 (fr) 2004-09-17 2006-03-23 Saint-Gobain Glass France Structure chauffante electrique
WO2006040498A1 (fr) 2004-10-15 2006-04-20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transparent avec un revetement chauffant resis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75248T5 (es) 2014-11-12
EP2201817B2 (en) 2014-09-24
PL2201817T5 (pl) 2015-01-30
US20100213183A1 (en) 2010-08-26
JP5416701B2 (ja) 2014-02-12
BRPI0818761B1 (pt) 2019-12-03
PL2201817T3 (pl) 2012-03-30
KR20100084517A (ko) 2010-07-26
DE102007050286A1 (de) 2009-04-23
ES2375248T3 (es) 2012-02-28
ATE528957T1 (de) 2011-10-15
BRPI0818761A2 (pt) 2015-04-07
WO2009049890A1 (en) 2009-04-23
CN201860471U (zh) 2011-06-08
MX2010003827A (es) 2010-04-21
EP2201817B1 (en) 2011-10-12
JP2011501715A (ja) 2011-01-13
US9307579B2 (en) 2016-04-05
EP2201817A1 (en)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592B1 (ko) 전기적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윈도우
JP5372372B2 (ja) 抵抗性加熱コーティングを備える透明窓ガラス
JP6203164B2 (ja) 透明電極
US8431867B2 (en) Transparent glazing provided with laminated heating system
CN111386194A (zh) 包括具有可电控光学性能的可区段状切换的功能元件的复合玻璃板
CN111386193B (zh) 包括具有可电控光学性能的可区段状切换的功能元件的复合玻璃板
DE102008018147A1 (de)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und niederohmigen leitenden Strukturen
KR20030081494A (ko) 가변 광 및/또는 에너지 특성을 갖는 전기 제어가능한디바이스
JP2008056225A (ja) 加熱可能な車両用窓
WO2006041644A1 (en) Vehicle window having bus bar(s) of conductive black frit
JP7182011B2 (ja) 電気光学機能的要素を有する積層ペイン配置
EP2146548A2 (de)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und niederohmigen leitenden Strukturen
CN105357784B (zh) 雨刷静止位置均匀电加热的汽车夹层玻璃
KR20220165757A (ko)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기능 요소
CN115643802A (zh) 具有多个独立切换区域的具有可电控光学性质的装配玻璃单元
CN116194291A (zh) 具有可电控光学性能的功能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