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552B1 - 분체도장장치 - Google Patents

분체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552B1
KR101479552B1 KR20130073762A KR20130073762A KR101479552B1 KR 101479552 B1 KR101479552 B1 KR 101479552B1 KR 20130073762 A KR20130073762 A KR 20130073762A KR 20130073762 A KR20130073762 A KR 20130073762A KR 101479552 B1 KR101479552 B1 KR 10147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heat
coating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089A (ko
Inventor
현정혜
Original Assignee
현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정혜 filed Critical 현정혜
Priority to KR2013007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5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using fluids, e.g.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35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with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s by gas flow, e.g. blast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01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실에 투입된 피도장물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실의 열기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건조실의 내부공간을 밀폐한 상태로 대류현상을 유도함과 함께, 열기를 발산하는 가열기의 설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건조실 내에 열기가 고르게 분포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열손실을 줄여 경제성 및 채산성을 확보하기 위한 분체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장실(100)에 투입된 피도장물(S)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실(200)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상기 피도장물(S)에 도막을 형성하는 분체도장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개방부(111)가 형성된 도장부벽체(110)가 제작되어 상기 도장부벽체(110)의 내부로 공급된 피도장물(S)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실(100)과; 상기 도장실(100)과 연계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입,출구(211)가 형성되는 건조부벽체(210)가 제작되며,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내부 양측으로 하부는 조밀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드물게 열기를 발산하는 복수의 가열기(230)가 설치되어 이를 이용해 상기 피도장물(S)에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건조실(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분체도장장치 {Powder Coating Device}
본 발명은 분체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실에 투입된 피도장물의 표면에 정전인력(정전도장:electrostatic painting)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실의 열기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건조실의 내부공간을 밀폐한 상태로 대류현상을 유도함과 함께, 열기를 발산하는 가열기의 설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건조실 내에 열기가 고르게 분포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열손실을 줄여 경제성 및 채산성을 확보하기 위한 분체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0001호(2001.02.26)"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후방이 확개된 함체 형상의 건조로 전방 입구부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공간을 형성하고, 중간측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건조로 내에 순환, 공급시키되, 상기의 열풍이 건조로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체류될 수 있게 구성하여 건조로내의 온도를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정면적의 작업장 내에 전처리 공정인 수세 및 탈지로와 수분건조로가 배치되고, 피도체의 크기에 따라 취사선택되는 분체자동부스 및 분체수동부스로 구성된 도장공정과 열처리를 행하는 건조로가 일정 거리로 유격된채 배치되어 각 공정마다 피도체를 고정한채 일정속도로 이송되는 행거장치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순환하면서 피도체의 표면에 도장처리를 행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는 일정길이를 갖는 직육면체의 함체 형상을 갖고 전방의 입,출구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공간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하가 구분되어 상기 건조로의 후방측 높이가 전방측 보다 높게 수평위치되며, 상기 건조로의 중간측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건조로 내에 공급, 순화시키되, 상기 경사공간에 의해 건조로 내의 열풍이 외기와 차단되어 외부로 발산, 소실되지 않고 함체형상의 건조로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체류될 수 있게 구성된 분체 도장용 건조로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피도장물의 표면에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건조로가 입,출구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공간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짐으로 상승하는 열기의 특성상 건조로 내의 열풍이 경사공간의 상측에 집중되어 열기가 고르게 분포하지 않음에 따라 피도장물에 대한 국부 가열현상이 야기되는 등 피도장물을 내,외부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하지 못함과 더불어, 경유, LPG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열기를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화석연료로 형성되는 열기의 특성상 제품의 표면에 그을음이 생겨 불량이 발생하는 등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로의 경우 전방의 입,출구가 상시 개방된 상태에서 피도체가 걸린 행거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건조로의 입,출구로 연속이송되어 열풍건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로 내에 형성된 열기가 상시 개방된 입,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열손실이 매우 커 과도한 연료 또는 전기를 소모해야 하는 등 경제성 및 채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장실에 투입된 피도장물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실의 열기로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분체도장장치에 대하여, 상기 건조실의 벽체 상부를 돔 형태의 구조로 제작한 상태에서 환풍팬을 이용한 열기 순환에 의해 대류현상을 유도함과 함께, 열기를 발산하는 가열기의 설치 위치를 하부는 조밀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드물게 설치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공기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짐으로 상승하는 열기의 특성으로 건조실의 상부에 집중되는 열기가 건조실 전체에 고르게 분포됨에 따라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의 내,외부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 용해시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분체도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실의 열기로 도료를 가열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건조실이 밀폐되도록 건조실의 벽체로 개방된 입,출구에 개폐도어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건조실 내에 형성된 열기가 입,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등 가열기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연료 또는 전기가 과도하게 소모되지 않게 하여 경제성 및 채산성을 확보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실에 도료를 흡입하는 필터와 흡입된 도료를 모으는 덕트로 구성된 집진수단을 설치함과 더불어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에어커튼을 설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피도장물의 도장과정에서 도료가 도장실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장실에 투입된 피도장물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실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상기 피도장물에 도막을 형성하는 분체도장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도장부벽체가 제작되어 상기 도장부벽체의 내부로 공급된 피도장물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실과; 상기 도장실과 연계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입,출구가 형성되는 건조부벽체가 제작되며, 상기 건조부벽체의 내부 양측으로 하부는 조밀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드물게 열기를 발산하는 복수의 가열기가 설치되어 이를 이용해 상기 피도장물에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건조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실의 벽체 상부가 돔 형태의 구조로 제작된 상태에서 환풍팬을 이용한 열기 순환에 의해 대류현상이 유도됨과 함께, 열기를 발산하는 가열기의 설치 위치가 하부는 조밀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드물게 설치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공기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짐으로 상승하는 열기의 특성으로 건조실의 상부에 집중되는 열기가 건조실 전체에 고르게 분포됨에 따라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의 내,외부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 용해시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실의 벽체로 개방된 입,출구에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밀폐구조의 특성에 의해 건조실 내에 형성된 열기가 입,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등 가열기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연료 또는 전기가 과도하게 소모되지 않게 하여 경제성 및 채산성을 확보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실로 도료를 흡입하는 필터와 흡입된 도료를 모으는 덕트로 구성된 집진수단이 설치됨과 더불어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에어커튼이 설치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피도장물의 도장과정에서 도료가 도장실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의 개략적인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 중 도장실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 중 건조실의 정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분체도장장치(1)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장실(100)에 투입된 피도장물(S)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실(200)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상기 피도장물(S)에 도막을 형성하는 분체도장장치(1)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개방부(11)가 형성된 도장부벽체(110)가 제작되어 상기 도장부벽체(110)의 내부로 공급된 피도장물(S)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실(100)과; 상기 도장실(100)과 연계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입,출구(211)가 형성되는 건조부벽체(210)가 제작되며,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내부 양측으로 하부는 조밀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드물게 열기를 발산하는 복수의 가열기(230)가 설치되어 이를 이용해 상기 피도장물(S)에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건조실(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장부벽체(110) 및 건조부벽체(21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도장실(100)과 건조실(200)을 상호 연계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310) 및 피도장물(S)을 걸기 위한 복수의 행거(320)를 이용해 상기 도장실(100)과 건조실(200)로 피도장물(S)을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수단(30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장실(10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개방부(111)가 형성된 도장부벽체(110)가 제작되어 상기 도장부벽체(110)의 내부로 공급된 피도장물(S)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열변형 및 화재위험이 없는 단열재(유리섬유)가 삽입된 금속 판재(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를 이용해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개방부(111)가 형성되도록 도장부벽체(110)가 제작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장부벽체(110)의 양측으로 개방부(111)가 형성된 것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도장부벽체(110)의 일측과 더불어 도장부벽체(110)의 측벽 3면 및 2면에 개방부(11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장부벽체(110)의 내측으로 상부에는 도료를 흡입하는 복수의 필터(121)와 상기 필터(121)를 통해 흡입된 도료를 모으는 덕트(122)로 구성된 집진수단(120)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121)는 도료의 입자 크기에 대응된 무수한 통기공들이 직물, 부직포, 합성수지 등의 원재료에 형성된 상태에서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어 도료는 흡입하면서 기타 불순물 들은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덕트(122)는 도료의 흡입을 위해 외부 흡입팬(미도시)과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박스 형태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덕트(122)의 하단으로 복수의 필터(121)가 상기 덕트(12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관통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도장실(100)의 개방부(111)에는 압축공기를 분출하여 도료가 도장실(1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커튼(130)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커튼(130)은 위에서 아래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고 흡입구를 아래쪽에 설치하여 공기 유막을 만들어 바깥쪽과 안쪽을 차단하는 설비로, 온습도(溫濕度)를 조정한 공기의 분류(噴流)에 의해 다른 공기의 흐름을 차단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에어커튼(130)의 경우 백화점, 관공서 등 유동인구가 많아 항시 개방되는 출입구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200)은 도장실(100)과 연계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입,출구(211)가 형성되는 건조부벽체(210)가 제작되며,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내부 양측으로 열기를 발산하는 복수의 가열기(230)가 설치되어 이를 이용해 상기 피도장물(S)에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열변형 및 화재위험이 없는 단열재(유리섬유)가 삽입된 금속 판재(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를 이용해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입,출구(211)가 형성되도록 건조부벽체(210)가 제작되며,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내부 양측에는 열기를 발산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기(230)가 건조부벽체(210) 상에 그 설치위치가 하부는 조밀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드물게 이격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열기(230)는 약 2만 가닥의 탄소 열선을 꼬아 약 1800℃의 열처리를 거쳐 발열체인 카본코일을 만든 상태에서 유리관 내부에 카본코일을 삽입한 후 가스를 주입함과 더불어 카본코일 양단에 절연애자로 마감처리한 구조로, 상기 카본코일에 전기를 통하여 빛과 열 및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전열기의 일종이다.
따라서, 상기 가열기(230)는 카본의 화학적 우수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내산성, 내알카리성이 우수하고, 전열기로서 가장 중요한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기능으로 본 발명의 분체도장장치(1)에 적용하여 피도장물(S)에 도포된 도료의 외부를 비롯해 내부까지 원적외선이 침투하도록 함에 따라 가열 용해시키는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 것이고, 상기 가열기(230)의 경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내부 상측에는 열기의 순환을 위한 환풍팬(240)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천장을 라운드 형태의 돔 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환풍팬(240)을 통해 순환되는 열기의 대류현상을 유도하며, 상기 환풍팬(240)은 외부로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구조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심팬(centrifugal fan)의 일종으로 날개차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공기를 흡입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내보내는 과정에 의해 열기가 돔 구조의 건조부벽체(210)를 따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조실(200)의 입,출구(211)에는 가열기(230)의 열기를 이용해 도료를 가열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건조부벽체(210)를 밀폐하기 위한 개폐도어(220)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220)는 사각 판 형태로 일단이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건조부벽체(210)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300)은 상기 도장실(100)과 건조실(200)을 상호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도장부벽체(110) 및 건조부벽체(210)의 내측 상단으로 가이드레일(310) 및 피도장물(S)을 걸기 위한 복수의 행거(32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10)은 'H'자 형태의 금속 빔으로, 상기 도장부벽체(110)와 건조부벽체(210)의 내측 상단에 하나 이상으로 볼트 및 용접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행거(320)는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이송되기 위해 'Y'자 형태로 브라켓(322)이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322)의 상부에 롤러(321)가 결합됨과 동시에 하부로 봉 형태의 파이프(323)가 복수의 가이드레일(310)에 행거(320)가 연계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300)의 가이드레일(310) 상측에는 건조실(200) 내의 열기에 의한 열팽창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10)이 유동되면 이를 고정편(342)에 형성된 장공(342a)과 고정프라켓(341)의 힌지결합을 통해 가이드 하는 레일고정수단(340)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고정수단(340)은 도장실(100)과 건조실(200)의 양단에 상기 가이드레일(310)의 설치된 위치에 대응결합되는 고정브라켓(341)이 볼트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341)의 전면 중앙에는 'ㅛ'자 형태의 결합공간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341)의 결합위치에 대응되어 사각 판 형태로 중앙에 장공(342a)이 관통된 고정편(342)이 가이드레일(310)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341) 측으로 관통된 힌지(미도시)가 상기 장공(342a)에 관통되는 구조로 고정브라켓(341)과 고정편(342)이 상호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310)이 열팽창을 통해 유동되면 상기 장공(342a)에 의해 가이드레일(310)의 유동이 가이드 되어 열팽창에 의한 가이드레일(310)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에 따르면, 도 5는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분체도장장치(1)를 이용해 분체도장을 실시하는 과정 중 도장실(100)에 피도장물(S)을 수용한 상태에서 도장을 실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다양한 형태 및 형상으로 제작된 제품 즉, 복수의 피도장물(S)을 상기 도장실(100)의 도장부벽체(110)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이송수단(300)의 행거(320)에 걸며, 상기 행거(320)에 걸려진 피도장물(S)에는 양극을, 도료의 분무장치(미도시)에는 음극을 형성함에 따라 분사되는 도료 입자가 음 정전기를 갖음으로써 피도장물(S)의 표면에 정전인력에 의해 입자가 도포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피도장물(S)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하면 상기 도장부벽체(110)의 개방부(111) 상측에 설치된 에어커튼(130)을 작동하여 상기 개방부(111) 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출시킴에 따라 도포된 도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도장부벽체(110) 내에 구비된 집진수단(120)을 이용해 도장 후 잔류한 도료를 흡입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정전인력을 이용한 분체도장방식은 보통의 스프레이 방식에 비해 도착 효율이 높고, 도막 품질이 우수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 6은 상기와 같이 피도장물(S)의 표면에 도료가 도포되면 도료의 건조를 위해 상기 피도장물(S)이 이송수단(300)에 의해 건조실(200)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이송수단(300)의 행거(320)에 복수로 각각 걸려진 피도장물(S)은 작업자가 직접 갈고리와 같은 도구를 행거(320)의 파이프(323)에 걸어서 당겨 행거(320)의 롤러(321)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피도장물(S)을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이송시키게 되며, 이때 건조실(200)의 개폐도어(2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접 상기 행거(320)를 건조실(200) 측으로 이송시켜 피도장물(S)을 건조실(200) 내에 수용하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가이드레일(310) 측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무한궤도방식으로 연속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미도시)를 설치하는 등 자동방식으로 상기 피도장물(S)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와 같이 이송수단(300)을 통해 건조실(200) 내로 이송된 피도장물(S)이 가열기(230)의 열기를 통해 건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이송수단(300)에 의해 건조실(200) 내로 피도장물(S)이 수용되면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입,출구(211)에 구비된 개폐도어(220)를 닫아서 건조실(200)을 밀폐하게 되며, 상기 건조실(200)이 밀폐되면 내부에 복수로 구비된 가열기(230)를 작동하여 열기를 발산하게 된다.
이때, 건조실(200) 내의 온도는 가열기(230)에 의해 120℃ ~ 240℃로 피도장물(S)의 제품에 따라 온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피도장물(S)에 도포된 도료를 제품에 따른 적정 온도 및 시간에 노출하여 가열 용해시켜 상기 피도장물(S)에 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건조과정에서 상기 건조실(200)의 건조부벽체(210) 상부가 돔 형태의 구조로 제작된 상태에서 내측 상부에 환풍팬(240)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환풍팬(240)의 작동을 이용한 열기 순환에 의해 건조실(200) 내로 대류현상이 유도됨과 더불어, 열기를 발산하는 가열기(230)의 설치위치가 하부는 조밀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드물게 설치 구성되어 이를 통해 공기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짐으로 상승하는 열기의 특성으로 건조실의 상부에 집중되는 열기가 건조실 전체에 고르게 분포됨에 따라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 용해시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분체도장장치 100.도장실
110.도장부벽체 120.집진수단
121.필터 122.덕트
130.에어커튼 200.건조실
210.건조부벽체 220.개폐도어
230.가열기 240.환풍팬
300.이송수단 310.가이드레일
330.행거

Claims (7)

  1. 도장실(100)에 투입된 피도장물(S)의 표면에 정전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실(200)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상기 피도장물(S)에 도막을 형성하는 분체도장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개방부(111)가 형성된 도장부벽체(110)가 구비되어 상기 도장부벽체(110)의 내부로 공급된 피도장물(S)의 표면에 정전 인력을 이용해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실(100)과;
    상기 도장실(100)과 연계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입,출구(211)가 형성되는 건조부벽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내부 양측으로 하부는 조밀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열기를 발산하는 복수의 가열기(230)가 설치되어 이를 이용해 상기 피도장물(S)에 도포된 도료를 가열 용해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건조실(200)과;
    상기 도장부벽체(110) 및 건조부벽체(21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도장실(100)과 건조실(200)을 상호 연계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310) 및 피도장물(S)을 걸기 위한 복수의 행거(320)를 이용해 상기 도장실(100)과 건조실(200)로 피도장물(S)을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내부 상측에는 열기의 순환을 위한 환풍팬(240)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건조부벽체(210)의 천장을 라운드 형태의 돔 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환풍팬(240)을 통해 순환되는 열기의 대류현상을 유도하고,
    상기 도장실(100)의 내측에는 도료를 흡입하는 복수의 필터(121)와 상기 필터(121)를 통해 흡입된 도료를 모으는 덕트(122)로 구성된 집진수단(1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300)의 가이드레일(310) 상측에는 건조실(200) 내의 열기에 의한 열팽창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10)이 유동되면 이를 고정편(342)에 형성된 장공(342a)과 고정브라켓(341)의 힌지결합을 통해 가이드 하는 레일고정수단(3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200)의 입,출구(211)에는 가열기(230)의 열기를 이용해 도료를 가열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건조부벽체(210)를 밀폐하기 위한 개폐도어(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실(100)의 개방부(111)에는 압축공기를 분출하여 도료가 도장실(1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커튼(1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장치.
KR20130073762A 2013-06-26 2013-06-26 분체도장장치 KR10147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762A KR101479552B1 (ko) 2013-06-26 2013-06-26 분체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762A KR101479552B1 (ko) 2013-06-26 2013-06-26 분체도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89A KR20150001089A (ko) 2015-01-06
KR101479552B1 true KR101479552B1 (ko) 2015-01-07

Family

ID=5247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762A KR101479552B1 (ko) 2013-06-26 2013-06-26 분체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088B1 (ko) * 2019-12-23 2020-07-23 강정모 자동화된 분체도장 방법
KR102176127B1 (ko) * 2020-03-13 2020-11-09 윤산비 도장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213B1 (ko) * 2020-05-22 2021-06-10 장이순 분체도장 시스템
KR102244011B1 (ko) * 2020-09-14 2021-04-22 정현권 도장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708A (ja) * 1998-03-19 1999-09-28 Sanyo Electric Co Ltd 粉体塗装装置
KR100863012B1 (ko) * 2007-05-21 2008-10-13 한국전기연구원 분체 정전 도장용 적외선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708A (ja) * 1998-03-19 1999-09-28 Sanyo Electric Co Ltd 粉体塗装装置
KR100863012B1 (ko) * 2007-05-21 2008-10-13 한국전기연구원 분체 정전 도장용 적외선 가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088B1 (ko) * 2019-12-23 2020-07-23 강정모 자동화된 분체도장 방법
KR102176127B1 (ko) * 2020-03-13 2020-11-09 윤산비 도장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89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552B1 (ko) 분체도장장치
CN205904028U (zh) 一种用于汽车钣金件加工的喷涂烘干设备
KR101320087B1 (ko)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다목적 도장부스
CN211261518U (zh) 一种热风循环高密度干燥箱
CN201815459U (zh) 液压缸表面抛丸喷漆烘干系统
KR101585493B1 (ko) 분체도장방법과 분체도장장치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가드레일
JP2012527343A (ja) 加工品に被膜を設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被膜設備
CN111068966A (zh) 一种涂装喷漆系统
KR100737325B1 (ko) 상부 가열실을 갖는 도장부스
CN206997015U (zh) 一种汽车零部件用烘干装置
CN217560238U (zh) 一种保温装饰一体板烘干装置
CN212092948U (zh) 一种涂装喷漆系统
CN214199590U (zh) 一种挡风干燥的快速干燥窑
US5849053A (en) Energy conservation means for a controlled environment room
CN105521931B (zh) 涂装线组合烘道
CN207391858U (zh) 圆形晾衣机
KR102123648B1 (ko) 냉방기를 갖는 급기장치와 여과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용 도장부스
CN208032965U (zh) 一种车身仿形离子风吹扫系统
CN216936668U (zh) 一种新型的喷柜
CN110976178A (zh) 一种pc外墙挂板自动喷漆装置
CN208620729U (zh) 一种混合加热的红枣烘干机
JP4129756B2 (ja) 粉体塗装ブース
CN208928745U (zh) 一种改进型汽车涂装风淋室
CN213494559U (zh) 一种环保喷涂生产线
CN210718508U (zh) 一种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