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270B1 -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270B1
KR101479270B1 KR20130009102A KR20130009102A KR101479270B1 KR 101479270 B1 KR101479270 B1 KR 101479270B1 KR 20130009102 A KR20130009102 A KR 20130009102A KR 20130009102 A KR20130009102 A KR 20130009102A KR 101479270 B1 KR101479270 B1 KR 10147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capacity
fuel supply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515A (ko
Inventor
이일형
이대형
Original Assignee
케이피브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피브이(주) filed Critical 케이피브이(주)
Priority to KR2013000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2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5/00Testing fuel-injection apparatus, e.g. testing injection timing ; Cleaning of fuel-injection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는 연료구동장치의 기 설정된 용량 이상의 연료를 사용하는 연속운전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에 연료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연속운전테스트를 지속시킬 수 있는 양의 예비 연료를 보관하는 대용량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구동장치와 상기 대용량 연료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대용량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공급부의 용량 차이에 의한 압력을 감압하고, 상기 연료구동장치의 연료 사용량에 따라 상기 연료구동장치로 연료를 보충하여 상기 연속운전테스트 시간 동안 상기 연료공급부 내부에 일정 용량의 연료를 유지시키는 보조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Fuel Feeding Device for Continuously Driving Testing of Fuel Cell Driving Device and Fuel Cell Driving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기 등과 같이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의 연료를 이용하는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의 최대 저장 용량 이상의 운전시간에 따른 부하 성능 등과 같은 성능 테스트를 위하여 테스트 시간 동안 연료공급부 내의 연료 저장량을 일정 용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는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구동장치라 함은 발전기와 같인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료구동장치는 일측에 일체로 구비된 연료공급부에 저장된 연료를 소모하여 구동하고, 연료가 모두 소진되면 연료공급부에 연료를 보충하여 다시 구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는 대략 20리터 내지 25리터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연료구동장치의 사용전력이 5kw이면 시간당 연료의 소모량이 약 3리터 정도이므로 6시간 내지 7시간의 운전시간마다 연료를 보충해주어야 한다. 이때, 화재의 위험을 예방하고, 연료를 안정적으로 보충하기 위해서는 연료구동장치의 운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연료를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연료구동장치의 연속 운전에 따른 부하 성능 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연료공급부의 최대 저장용량 이상의 시간 동안 연료고둥장치를 구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구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대 구동시간인 6시간 내지 7시간의 연속 구동에 따른 성능 테스트만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100시간 이상 연속 구동시켰을 경우에 따른 데이터가 필요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연속 운전을 위하여 연료구동장치의 구동 중 연료를 보충하여야 하지만,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우선, 연료구동장치를 운전 중인 상태로 연료공급부의 연료 주입구를 개방한 후, 사용자가 별도의 통에 보관된 연료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연료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른 진동으로 인하여 주유 시 연료의 누수가 발생하거나, 연료공급부 내부의 연료 충전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연료공급부의 최대 연료저장 용량 이상의 연료를 보충하여 연료가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연료가 가솔린인 경우에는 누수 또는 과 보충으로 인해 넘친 연료가 주변 환경에 따라 폭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고, 폭발하지 않더라도 바닥에 고인 연료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연료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의 일측에 별도의 대용량 연료탱크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연료공급부에 연료를 보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대용량 연료탱크와 연료공급부의 연료의 저장용량에 따른 압력차이로 인해 밸브 등을 통해 연료 공급을 제어하지 않으면, 연료구동장치의 연료 소모량 이상의 연료가 공급되어 연료가 과 보충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수동 조작을 통해 연료를 보충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연료 충전상태가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전술한 방법들과 같이 사용자가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거나 대용량 연료탱크를 구비하여 수동으로 밸브를 조작하여 연료공급부에 연료를 보충하는 경우에는 연료공급부의 잔여 연료를 수시로 확인하지 않으면 연료가 모두 소진되어 연료구동장치의 구동이 정지하여 연속구동 테스트의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2006-0064774 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발전기 등과 같이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의 연료를 이용하는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의 최대 저장 용량 이상의 운전시간에 따른 부하 성능 등과 같은 성능 테스트를 위하여 테스트 시간 동안 연료공급부 내의 연료 저장량을 일정 용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는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는 연료구동장치의 기 설정된 용량 이상의 연료를 사용하는 연속운전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에 연료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연속운전테스트를 지속시킬 수 있는 양의 예비 연료를 보관하는 대용량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구동장치와 상기 대용량 연료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대용량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공급부의 용량 차이에 의한 압력을 감압하고, 상기 연료구동장치의 연료 사용량에 따라 상기 연료구동장치로 연료를 보충하여 상기 연속운전테스트 시간 동안 상기 연료공급부 내부에 일정 용량의 연료를 유지시키는 보조탱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용량 탱크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제 1 공급관, 상기 제 1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 및 상기 보조탱크 내부의 잔여 연료의 양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부유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연료구동장치의 연료 사용량에 따른 압력 차에 의해 상기 연료구동장치로 상기 연료 사용량만큼의 연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연료공급부 내의 연료의 수면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연료의 수면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공급부 및 상기 보조탱크는 동일한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동일 단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을 갖는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연료구동장치에 의해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조탱크에서 밸브 및 부유구를 통해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의 사용량에 대응되는 연료를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보조탱크에 구비된 밸브 및 부유구를 통해 대용량 연료탱크에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자동으로 조절됨에 따라서 대용량 연료탱크와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 사이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보조탱크를 통해 연료공급부의 연료 소모량에 따라 자동으로 연료가 보충되기 때문에 연료구동장치는 테스트 시간 동안 정지하지 않고 지속적인 구동이 가능함으로써 연료공급부의 용량 이상의 시간 동안 시행되는 연속운전 테스트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잇다.
넷째, 연료공급부의 연료 소모량에 대응되는 연료만이 보충됨으로써 연료공급부에는 항상 일정량의 연료만이 보충되어 연료의 과 충전으로 인한 연료의 낭비 및 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보조탱크를 통해 보충되는 연료공급부의 연료가 연료공급부의 사용량과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공급됨으로 사용자가 연료 소모량을 수시로 체크하지 않아도 됨으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보조탱크의 높이를 조절하여 연료공급부 내부의 연료 유지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잔여 연료량에 따른 연속운전의 성능 시험도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곱째, 연료구동장치의 고장 등으로 인해 연료구동장치가 정지하여 연료공급부 내의 연료 소모가 발생하지 않으면, 보조탱크에 구비된 부유구가 상승하며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추가적인 연료 공급이 발생하지 않아 연료의 낭비 및 안전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의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300)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대용량 연료탱크(10) 및 보조탱크(200)로 이루어진다.
대용량 연료탱크(10)는 발전기 등과 같은 연료구동장치(300)가 연료구동장치(300)에 구비된 연료공급부(310)에 연료를 지속적으로 보충하기 위해 대용량의 연료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연료구동장치(300)의 연속운전 테스트 시간이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에 저장할 수 있는 연료의 최대 저장용량으로 구동 가능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테스트가 불가능 하기 때문에 연료공급부(310)에 지속적으로 연료를 보충해주어야 한다. 일예로서, 기본 연료공급부(310)의 용량이 20리터인 발전기의 부하 성능 등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100시간 연속운전 테스트를 실시한다. 하지만, 발전기의 사용전력이 5kw인 경우에는 시간당 약 3리터 정도의 연료를 사용하므로 기본 연료공급부(310)의 20리터의 용량으로는 6시간 내지 7시간이 최대 구동시간이기 때문에 6시간 내지 7시간 연속 운전에 따른 부하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지만, 일정 시간마다 연료보충 후 다시 발전기를 구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100시간 연속운전 테스트에 따른 부하 성능의 검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연료보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100시간 연속 운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전기를 100시간 이상 지속시킬 수 있는 약 300리터 이상의 연료가 저장 가능한 대용량 연료탱크(10)를 별도로 구비하여 발전기의 연료공급부(310)로 지속적인 연료보충을 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대용량 연료탱크(10)에서 발전기의 연료공급부(310)로 지속적인 연료보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20리터의 소용량 연료공급부(310)를 가진 발전기를 이용하여 100시간의 연속운전 테스트를 통해 발전기의 부하 성능 등의 성능 검사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보조탱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탱크의 일측에 구비되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료구동장치(300)와 대용량 연료탱크(10) 사이에 구비되어 대용량 탱크와 연료공급부(310)의 용량 차이에 의한 압력을 감소하고,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 사용량에 따라 적정 용량의 연료를 연료공급부(310)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만일, 대용량 연료탱크(10)에서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로 바로 예비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연료공급부(31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연료가 저장된 대용량 연료탱크(10)와의 압력차이로 인하여 밸브의 수동조작과 같은 별도의 제어 과정이 필요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브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연료공급부(310)의 정확한 잔여 연료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료 부족으로 인해 연료구동장치(300)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연료공급부(310)의 최대 저장량 이상의 연료가 공급되어 연료가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재 등의 안전사고 발생 및 연료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용량 연료탱크(10)와 연료공급부(310) 사이의 압력을 감소하고, 연료공급부(310)에서 소모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이를 적절하게 보충해주는 보조탱크(200)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보조탱크(200)는 대용량 연료탱크(10)의 연료 유출구와 제 1 공급관(410)을 통해 연결되어 대용량 연료탱크(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고, 보조탱크(200)의 일측에는 보조탱크(200)에 저장된 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2 공급관(42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공급관(410)의 일측 종단, 바람직하게는 보조탱크(200)와 연결되는 종단에는 대용량 연료탱크(10)로부터 유입되는 연료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210)가 구비된다. 이때, 밸브(210)의 개폐는 밸브(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보조탱크(200) 내부의 잔여 연료의 양에 따라 승강하며 밸브(210)를 개방하는 부유구(220)가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연료구동장치(300)가 구동하며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 내부의 연료를 사용하면 보조탱크(200)에 저장되었던 연료가 제 2 공급관(420)을 통해 공급되어 연료공급부(310)로 연료를 보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탱크(200)에 저장되었던 연료의 수위가 낮아지고, 연료의 수면에 부유 중이던 부유구(220)의 높이 역시 함께 낮아진다. 부유구(220)의 높이가 낮아지면 이와 연결된 제 1 공급관(410)의 종단부에 구비된 밸브(210)의 개폐구를 개방하게 되고, 대용량 연료탱크(10)에 저장되었던 연료가 제 1 공급관(410)을 통해 보조탱크(200)로 공급되며 보조탱크(200) 내부에 연료를 보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의 수면 높이와 부유구(220)의 부유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대용량 연료탱크(10)에 저장되었던 연료가 보조탱크(200)로 공급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탱크(200) 내의 연료의 양이 증가하며, 보조탱크(200)에 저장된 연료의 수면 높이(h1)와 부유구(220)의 부유 높이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밸브(210)의 개폐구가 폐쇄되어 보조탱크(200)로 유입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한다. 하지만, 연료구동장치(300)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에서 지속적으로 연료 소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공급관(410)의 종단에 구비된 밸브(210)는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연료가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탱크(200)를 통해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로 연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대용량 연료탱크(10)와 연료공급부(310) 사이의 용량에 따른 압력차이가 감소되고, 밸브(210) 및 부유구(220)를 통해 연료의 소모량만큼의 연료만을 공급함으로 자동으로 지속적인 연료 공급이 가능하다. 만약, 연료구동장치(300)의 오작동 또는 고장으로 인해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연료공급부(310)에서 소모되는 연료가 없기 때문에 보조탱크(200)에서 연료공급부(310)로 공급되는 연료 역시 없기 때문에 보조탱크(200)에 저장되는 연료의 양이 일정양 이상이 되면 부유구(220)가 완전히 상승하며 밸브(210)를 완전 폐쇄하여 대용량 연료탱크(10)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기 때문에 연료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보조탱크(200)는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의 설치위치보다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만약, 보조탱크(200)가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위치에너지에 의해서 연료공급부(310)에서 소모되는 연료의 양보다 많은 양의 연료가 보조탱크(200)에서 연료공급부(310)로 공급됨에 따라 연료공급부(310)에서 연료가 넘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탱크(200)의 수면 높이(h1)는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의 수면의 높이(h2)보다 항상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보조탱크(200)에서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로 공급되는 연료가 연료공급부(310)의 최대 저장량을 넘지 않는다. 이러한 보조탱크(200)의 높이 조절은 별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설치하여 보조탱크(20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연료구동장치(300)의 설치 위치 또는 구비된 위치에 따라 보조탱크(20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보조탱크(200)는 연료공급부(310)와 동일한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연료공급부(310)와 동일 단면적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료공급부(3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만약, 보조탱크(200)와 연료공급부(310)가 동일 용량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라 하더라도, 보조탱크(200)의 단면적이 연료공급부(31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면 보조탱크(200)에 저장된 연료가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받을 수 있어 연료공급부(310)에 과다한 연료를 보충함으로써 연료공급부(310)에서 연료가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보조탱크(200)의 단면적이 연료공급부(310)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연료공급부(310)에서 소모되는 연료의 양만큼 충분한 연료공급을 공급하지 못하여 연료구동장치(300)의 구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조탱크(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 대용량 연료탱크(10) 및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와 연결되는 제 1 공급관(410) 및 제 2 공급관(420)의 일측에는 연료구동장치(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연료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보조밸브(430)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밸브(430)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밸브를 사용하여도 무관하고, 제 1 공급관(410)의 양측 종단부 및 제 2 공급관(420)의 보조탱크(200)와 연결된 일측 종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료구동장치(300)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10)는 연속운전 테스트뿐만 아니라 연속운전이 필요한 연료구동장치(300)의 구동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연료탱크(10) 및 보조탱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다. 또한, 연료구동장치(300)는 보조탱크(200)의 일측에 연결된 제 2 공급관(420)이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와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에 저장된 연료의 수면 높이(h2)를 보조탱크(200)에 저장된 연료의 수면 높이(h1)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소모량만큼의 연료가 보조탱크(200)에서 실시간으로 공급되어 연료공급부(310)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연료가 유지되며 연료구동장치(300)가 정지하지 않고 구동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보조탱크(200)에 저장된 연료의 수면의 높이(h1)를 조절하면 연료공급부(310)의 잔여 연료 양에 따른 연속운전테스트가 가능하다. 일예로서, 연료구동장치(300)의 연료공급부(310)의 전체 용량의 약 50%에 해당하는 연료의 수면 높이(h2)와 대응되는 높이에 보조탱크(200)의 최대 저장되는 연료의 수면 높이(h1)를 맞추어 설치하면 연료구동장치(300)가 구동되는 연속테스트 시간 동안 연료공급부(310)에는 항상 약 50%의 연료가 유지됨으로써 50%의 연료를 사용한 연속운전 테스트가 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보조탱크(200)의 높이를 낮추어 연료공급부(310)의 약 10%에 해당하는 연료의 수면 높이(h2)와 보조탱크(200)의 최대 저장되는 연료의 수면 높이(h1)를 맞추면 10%의 연료를 사용한 연속운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잔여 연료에 따른 연료구동장치(300)의 연속운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연료공급장치
100 : 대용량 연료탱크
200 : 보조탱크
210 : 밸브
220 : 부유구
300 : 연료구동장치
310 : 연료공급부
410 : 제 1 공급관
420 : 제 2 공급관
430 : 보조밸브
h1 : 보조탱크 내부 연료의 수면 높이
h2 : 연료공급부 내부 연료의 수면 높이

Claims (5)

  1. 연료구동장치의 기 설정된 용량 이상의 연료를 사용하는 연속운전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연료구동장치의 연료공급부에 연료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연속운전테스트를 지속시킬 수 있는 양의 예비 연료를 보관하는 대용량 연료탱크;
    상기 연료구동장치와 상기 대용량 연료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대용량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공급부의 용량 차이에 의한 압력을 감압하고, 상기 연료구동장치의 연료 사용량에 따라 상기 연료구동장치로 연료를 보충하여 상기 연속운전테스트 시간 동안 상기 연료공급부 내부에 일정 용량의 연료를 유지시키는 보조탱크;
    상기 대용량 연료탱크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제 1 공급관;
    상기 제 1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 및
    상기 보조탱크 내부의 잔여 연료의 양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부유구;
    를 포함하는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연료구동장치의 연료 사용량에 따른 압력 차에 의해 상기 연료구동장치로 상기 연료 사용량만큼의 연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연료공급부 내의 연료의 수면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연료의 수면이 위치하도록 하는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 및 상기 보조탱크는 동일한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동일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5.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연료구동장치.
KR20130009102A 2013-01-28 2013-01-28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 KR10147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9102A KR101479270B1 (ko) 2013-01-28 2013-01-28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9102A KR101479270B1 (ko) 2013-01-28 2013-01-28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515A KR20140096515A (ko) 2014-08-06
KR101479270B1 true KR101479270B1 (ko) 2015-01-06

Family

ID=5174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9102A KR101479270B1 (ko) 2013-01-28 2013-01-28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2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281A (ko) * 2004-11-09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테스트용 연료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281A (ko) * 2004-11-09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테스트용 연료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515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276B1 (ko) 원자로의 피동안전계통
KR101047412B1 (ko)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350604B2 (en) Gaseous fuel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CN102792506B (zh) 高压气体供给系统和燃料电池系统
CN104718408B (zh) 用于填充机动车的燃料储存设备的方法
JP2015526850A (ja) 産業用バッテリーの蒸留水充填システム
KR102139594B1 (ko) 차량용 수소 충전 및 방전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EP2046466A2 (en) In-vehicle hydrogen storage apparatus
KR20160060800A (ko) 전해액 저장장치
KR101479270B1 (ko) 연료구동장치 연속운전 테스트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료구동장치
KR100722232B1 (ko) 차량용 엘피엘아이 연료시스템
JP2006302738A (ja) バッテリ式産業車両のバッテリ液補水装置
KR20210104973A (ko) 연료전지차량의 충전 및 방전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KR101352953B1 (ko) 내밀림 특성 테스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12066261B (zh) 调节油系统补油装置
CN211287938U (zh) 一种电喷发动机持续供油机构以及燃油供给装置
CN114251327A (zh) 一种水下机器人浮力调节系统的性能测试装置
JP6946980B2 (ja) 燃料供給装置および燃料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2013023043A (ja) ハイブリッド車用燃料タンク装置
CN207847828U (zh) 一种双层油箱发电系统
KR101545786B1 (ko) 산업용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용 탱크
KR200425938Y1 (ko) 워셔액 주입장치
CN216487335U (zh) 一种非能动调节流量的先进堆芯补水箱
CN208934837U (zh) 一种柴油发电机组燃油箱补油装置
CN110220117B (zh) 加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