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432B1 -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432B1
KR101478432B1 KR20130034003A KR20130034003A KR101478432B1 KR 101478432 B1 KR101478432 B1 KR 101478432B1 KR 20130034003 A KR20130034003 A KR 20130034003A KR 20130034003 A KR20130034003 A KR 20130034003A KR 101478432 B1 KR101478432 B1 KR 10147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ship
mooring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957A (ko
Inventor
김남수
윤동환
Original Assignee
김남수
윤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수, 윤동환 filed Critical 김남수
Priority to KR2013003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43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은 계류 선박 또는 그 인근에 발급 부착되며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 태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 태그를 인식한 후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하여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수집된 계류 선박의 현재 영상 정보가 포함된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갖는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 그리고, 수집된 상기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계류 선박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THE SMART MANAGEMENT APPARATUS OF MOORING SHI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리나 항만 시설을 포함한 일반 계류장에 계류된 선박을 스마트정보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수집된 관리 상태 정보를 선박 관리 요청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선박 관리 상태를 확인시킬 수 있는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의 증가와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 형태의 변화에 의해 해양 레저용 보트나 요트 등의 레저 선박을 구입하여 마리나 항만 시설에 마련된 선박 계류장에 계류하고 여가 시간에 해양 레저를 즐기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종래 선박 계류장에서의 계류 선박 관리 시스템은 계류 관리자가 계류 선박의 상태를 확인 후 수기로 계류 선박 관리 상태를 기록하여 작성 보관하고 선박 소유주의 요청이 있거나 정해진 주기 또는 필요 시 선박 소유주에게 전화나 문서 등을 통해 알려주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선박 계류장으로부터 상당 거리에 떨어진 주거 지역이나 업무 활동지역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선박 소유주는 값비싼 자신의 레저 선박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계류 관리자에게 자신의 선박을 전적으로 믿고 맡길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선박 소유주의 선박 접근성 한계를 악용하여 계류 관리자가 선박의 관리에 소홀해 지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선박 소유주 또한 자신의 값비싼 레저 선박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알 수 없어 불안감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계류 선박 소유주 등 선박 관리 요청자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선박 관리자가 선박의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성실히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선박 관리 요구자가 요구하는 전송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계류 선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은 계류 선박 또는 그 인근에 발급 부착되며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 태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 태그를 인식한 후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하여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수집된 계류 선박의 현재 영상 정보가 포함된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갖는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 그리고, 수집된 상기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계류 선박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는 상기 계류 선박의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 및 계류 선박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수집된 상기 현재 관리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를 갖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정보 저장 태그에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는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제3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는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요청자로부터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 또는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방법은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로 전송 받아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정보 저장 태그에 저장 및 발급하고 태그 저장 및 발급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초기 관리 요청 정보 처리 단계, 초기 또는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에 포함된 관리 요청 스케줄에 따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에 내장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활성화하여 상기 계류 선박 또는 인근에 발급 부착된 상기 정보 저장 태그를 인식한 후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하여 확정된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수집된 계류 선박의 현재 영상 정보가 포함된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에 저장하는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처리 단계, 그리고, 수집된 상기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에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선박 관리 요청자로부터 기 수집된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전송받거나 상기 계류 관리 서버를 경유하여 전송받는 단계, 전송된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 또는 이에 연결된 정보 저장 기기에 설치된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정보 저장 태그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 저장 태그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태그 저장 및 발급 정보를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처리 단계는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가 있으면 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로 전송 받아 저장하는 단계, 초기 또는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 속에 포함된 관리 스케줄에 따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 저장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저장 태그가 인식되면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최신 관리 요청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 또는 이에 연결된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인 계류 선박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획득되었으면 상기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포함된 선박의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계류 선박 영상 정보의 획득에 실패했으면 상기 정보 저장 태그 인식 단계를 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는 상기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의 확인 결과 상기 관리 요청자에게 직접 전송을 하여야 하는 경우이면 요청된 상기 수집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수집된 현재 상태 관리 정보를 상기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에 직접 전송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에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는, 상기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의 확인 결과 상기 관리 요청자에게 직접 전송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에만 수집된 상기 현재 상태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계류 선박 또는 그 인근에 계류 선박의 관리 요청 정보를 손쉽게 저장 처리한 RFID 태그 등의 정보 저장 태그를 발급 부착함으로써, 계류 선박 관리자가 관리 요청 항목을 손쉽게 확인하여 계류 선박을 관리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계류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에 저장된 계류 선박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정보 저장 태그에 저장된 계류 선박의 관리 요청 정보를 실제로 확인하고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와 비교하여 최신 관리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계류 선박 영상 정보, 기타 관리 점검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 등의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어 선박 관리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수집된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 요청자가 요구한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계류 선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관리 요청자가 손쉽게 신뢰성 있는 자신의 계류 선박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그리고
도 2는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구성 블록도 및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은 정보 저장 태그(100),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 및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정보 저장 태그(100)는 관리가 요구되는 계류 선박이나 계류 선박의 인근에발급 부착되며 선박 관리 요청자로부터 요청 받은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 장치이다.
즉 정보 저장 태그(100)는 후술할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나 이에 연결된 정보 기록 기기(미도시)에 저장된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234)의 실행에 의해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가 기록 저장된 후 발급 절차를 거쳐 계류 시설 내에 계류된 관리가 요구되는 계류 선박 별로 계류 선박이나 계류 선박의 인근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저장 태그(100)로 RFID 태그를 사용하였으나, 계류 선박 또는 그 인근에 발급 부착 가능한 다른 간이 정보 저장 장치여도 무방하다
RFID 태그는 수동형(Passive) 태그로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NFC)에 의한 RF 캐리어 신호가 송신되면, 진폭 또는 위상을 변조하여 태그에 기록 저장된 데이터인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캐리어 주파수(13.56Mhz) 신호로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 되돌려 주고, 태그로부터 신호를 되돌려 받은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는 변조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로 태그의 정보를 해독하게 된다.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는 첫째, 각 계류 선박의 관리 요청자의 기본 정보인 고유 ID, 이름, 연락처, 주소, 이메일 및 SNS 계정 등에 관한 정보, 둘째, 계류된 선박의 종류나 상태 및 관리를 요하는 조건 등에 관한 정보, 셋째, 선박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계류 선박의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선박 관리 요청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전송 방법 모드 등에 관한 정보 등을 말한다.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는 계류 선박 관리자가 휴대하는 것으로써 휴대용 통신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태블릿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휴대용 노트북 등일 수 있으며, 제어부(210), 메모리부(230) 및 카메라부(25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스이다. 제어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 저장 태그(100)를 인식하여 이에 저장된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읽어온 후 메모리부(230)의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 저장부(232)에 저장된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최신 관리 요청 정보를 확정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내장 또는 외장된 카메라부(250)를 활성화하여 수집된 계류 선박의 현재 영상 정보가 포함된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사용 가능한 통신 모드인 와이파이/블루투스 또는 3G나 4G 중 어느 하나의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400)로 전송한다.
제어부(210)는 또한,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234)의 실행을 통해 정보 저장 태그(100)에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기록 저장하고 태그(100)를 발급 한 경우, 기록 저장 정보 및 발급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
메모리부(230)는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 저장부(232),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234), 계류 선박 관리 프로그램(236),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저장부(238)를 포함한다.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 저장부(232)는 발급 부착된 정보 저장 태그(100)에 저장된 초기 관리 요청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사항을 저장한다. 변경 사항이란 선박 관리 요청자로부터 전송된 관리 요청 사항의 변경 사항 등일 수 있다.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234)은 정보 저장 태그(100)에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기록 저장하고 이를 조회하는데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계류 선박 관리 프로그램(236)은 계류 선박의 실제 관리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계류 선박 관리 프로그램(236)에 의해 제어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정보 저장 태그(100)에 저장된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읽어 선박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를 획득하고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 저장부(232)에 저장된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와 비교하여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210)는 확정된 회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카메라부(250)를 활성화하여 획득된 계류 선박의 현재 영상 정보가 포함된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저장부(238)에 저장하고 관리 요청자 정보 통신 기기(400)나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는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부터 정보 저장 태그(100)의 기록 저장 및 발급 정보와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 받아 저장하고 필요 시 이를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400)로 전성한다.
한편, 초기 관리 요청 정보 및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는 계류 선박 관리 서버(400)가 선박 관리 요청자로부터 정보 수집 절차를 거친 다음 수집 정보를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선박 관리 요청자로부터 통신 수단을 통해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방법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방법은 초기 관리 요청 정보 처리 단계(S100),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처리 단계(S200) 및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S300)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초기 관리 요청 정보 처리 단계(S100)는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 전송 받아 그 정보를 정보 저장 태그(100)에 저장 및 발급하고 태그 저장 및 발급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본 단계(S100)를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선박 관리 요청자로부터 기 수집된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정보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400)로부터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 직접 전송받거나 계류 관리 서버(300)가 이를 수집 저장하고 정보 통신 수단을 통해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 전송 받는 초기 관리 요청 정보 전송 단계(S110)를 수행한다.
그러면, 제어부(210)가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의 메모리부(230) 또는 이에 연결된 정보 저장 기기(미도시)에 설치된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234)을 실행하게 된다(S120).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234)의 실행을 통해 전송된 초기 관리 요청 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 저장 태그(100)에 기록 저장되며(S140), 저장 처리가 완료된 정보 저장 태그(100)는 소정 발급 절차에 따라 발급된 후(S160) 관리가 요구되는 계류 선박 또는 그 인근에 부착되게 된다.
태그 발급 절차(S160)가 완료되면, 제어부(210)는 태그 저장 및 발급 정보를 전송 가능한 휴대용 정보 통신 수단(와이파이, 블루투스, 3G/4G 등)을 이용하여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부터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180).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처리 단계(S200)는 초기 또는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에 포함된 관리 요청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에 내장된 근거리 무선 통신(NFC) 수단을 활성화하여 발급 부착된 정보 저장 태그(100)를 인식한 후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하여 확정된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수집된 계류 선박의 현재 영상 정보가 포함된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에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본 단계(S200)을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가 있으면 이를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 전송 받아 제어부(210)가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 저장부(232)에 저장하는 단계를 거친다(S210).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란 정보 저장 태그(100)에 기 저장된 초기 관리 요청 정보와 다른 변동 사항이 발생한 새로운 관리 요청 정보를 말한다.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도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400)로부터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로 직접 전송 받거나 계류 관리 서버(300)가 이를 수집 저장하고 정보 통신 수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송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10)는 초기 또는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 속에 포함된 관리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의 계류 선박 관리 프로그램(236)을 실행(S220)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S230)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10)가 활성화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 저장 태그(100)를 인식하는 단계(S240)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저장 태그(100)를 근거리 무선 통신(NFC) 수단을 사용하여 인식하는 이유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정보 저장 태그(100)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약 10 ㎝ 정도 이내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 스케줄에 따라 계류 선박 관리 프로그램(236)을 실행하여 실제 정보 저장 태그(100)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가 정보 저장 태그(100)가 실제 부착된 곳의 근거리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선박 관리자에 의한 계류 선박의 실제적인 접근 및 신뢰성 있는 관리 프로세스 실행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보 저장 태그 인식 결과(S240), 정보 저장 태그(100)가 인식되면 제어부(210)는 최신 관리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거친다(S250).
즉 제어부(210)는 정보 저장 태그(100)에 저장된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하고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 저장부(232)에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실제 선박 관리 요청자가 최근에 요구한 최신 관리 요청 정보를 확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확정된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제어부(210)는 먼저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에 내장 또는 이에 연결된 카메라부(250)를 활성화하여(S260), 확정된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인 계류 선박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70)를 거친다.
카메라부(250)는 정지 영상인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태블릿에 내장된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류 선박 영상 정보란 카메라부(250)에 의해 촬영된 선박의 전체 외관이나 특정 부분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210)는 획득된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최신 관리 요청 정보 속에 포함된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70).
본 실시예에서 소정 시간은 정보 저장 태그 인식 시간으로부터 30분으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선박 관리자가 실제 태그를 인식하고 관리 스케줄에 따른 다른 작업 없이 현재 수집이 요구되는 계류 선박 영상 정보를 신뢰성 있게 성실히 바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30분이란 시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되는 계류 선박 영상 정보의 양 및 난이도에 따라 다른 작업 없이 현재 수집이 요구되는 계류 선박 영상 정보를 바로 획득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이라면 증감 가능할 수 있다.
만일, 판단 결과(S270), 소정 시간 내에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획득되었으면 제어부(210)는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포함된 선박의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저장부(238)에 저장한다(S280).
선박의 현재 관리 상태 정보란 확정된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200)를 통해 수집하여야 하는 정보로써, 선박 영상 정보와 더불어 따로 수집되어 저장 처리된 각종 설치 물품, 전기 장치 또는 구동 장치 등의 기타 선박의 상태나 GPS 등을 이용한 위치 정보나 기상청이나 날씨 정보 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계류장 근처의 환경 정보 등(예를 들어, 위도, 경도, 날짜, 시간, 온도, 습도, 풍향, 풍속, 파고)일 수 있다.
만일, 판단 결과(S270), 소정 시간 내에 계류 선박 영상 정보의 획득에 실패했으면 정보 저장 태그 인식 단계(S240)를 재 수행하여 현재 상태의 선박 영상 정보 획득의 신뢰도를 높이게 된다.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S300)는 수집 저장된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최신 관리 요청 정보의 기 설정된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400)에 직접 전송하거나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는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를 말한다.
본 단계(S300)을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210)가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을 확인한다(S320).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의 확인 결과(S320) 관리 요청자에게 직접 전송을 하여야 하는 경우로 확인(S340)되면, 요청된 수집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수집 저장된 현재 상태 관리 정보를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400)에 직접 전송하고(S360), 이와 별도로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에도 전송하는 단계(S380)를 거친다.
여기서,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이란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이메일이나 별도의 SNS 계정에 업로드하는 방법 등일 수 있다.
한편,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의 확인 결과(S320) 관리 요청자에게 직접 전송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로 확인(S340)되면, 제어부(210)는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에만 수집 저장된 현재 상태 관리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계류 선박 관리 요청자는 직접 계류 선박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집 저장된 자신의 계류 선박의 현재 상태 관리 정보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의 공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정보 저장 태그 200 :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
210 : 제어부 230 : 메모리부
232 :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 저장부
234 :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236 : 계류 선박 관리 프로그램
238 :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저장부 250 : 카메라부
300 : 계류 선박 관리 서버 400 : 관리 요청자 정보 통신 기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첫째, 각 계류 선박의 선박 관리 요청자의 기본 정보인 고유 ID, 이름, 연락처, 주소, 이메일 및 SNS 계정을 포함하는 정보, 둘째, 계류된 선박의 종류나 상태 및 관리를 요하는 조건을 포함하는 정보, 셋째, 계류 선박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계류 선박의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선박 관리 요청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전송 방법 모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계류 선박의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로 전송 받아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정보 저장 태그에 저장 및 발급하고 태그 저장 및 발급 정보를 계류 선박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초기 관리 요청 정보 처리 단계,
    초기 또는 업데이트 관리 요청 정보에 포함된 관리 요청 스케줄에 따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에 내장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활성화하여 상기 계류 선박 또는 인근에 발급 부착된 상기 정보 저장 태그를 인식한 후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하여 확정된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수집된 계류 선박 영상 정보 및 따로 수집되어 저장 처리된 각종 설치 물품, 전기 장치 또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상태나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나 기상청이나 날씨 정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계류장 근처의 위도, 경도, 날짜, 시간, 온도, 습도, 풍향, 풍속, 파고가 포함된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에 저장하는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처리 단계, 그리고,
    수집된 상기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수집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에 문자 메시지, 이메일이나 별도의 SNS 계정에 업로드하는 방법으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선박 관리 요청자로부터 기 수집된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휴대용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전송받거나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를 경유하여 전송받는 단계,
    전송된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 또는 이에 연결된 정보 저장 기기에 설치된 태그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정보 저장 태그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 저장 태그를 발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태그 저장 및 발급 정보를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 관리 상태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계류 선박 관리자의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가 이를 수집 저장하고 정보 통신 수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송한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가 있으면 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로 전송 받아 저장하는 단계,
    초기 또는 업데이트된 관리 요청 정보 속에 포함된 관리 스케줄에 따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 저장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저장 태그가 인식되면 상기 초기 관리 요청 정보의 변동 사항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최신 관리 요청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 또는 이에 연결된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인 계류 선박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획득되었으면 상기 계류 선박 영상 정보가 포함된 선박의 현재 관리 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 통신 기기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계류 선박 영상 정보의 획득에 실패했으면 상기 정보 저장 태그 인식 단계를 재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는
    상기 최신 관리 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의 확인 결과 상기 선박 관리 요청자에게 직접 전송을 하여야 하는 경우이면 요청된 상기 수집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수집된 현재 상태 관리 정보를 상기 선박 관리 요청자의 정보 통신 기기에 직접 전송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에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 정보 전송 처리 단계는,
    상기 수집 정보 전송 방법의 확인 결과 상기 선박 관리 요청자에게 직접 전송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계류 선박 관리 서버에만 수집된 상기 현재 상태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130034003A 2013-03-29 2013-03-29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47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4003A KR101478432B1 (ko) 2013-03-29 2013-03-29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4003A KR101478432B1 (ko) 2013-03-29 2013-03-29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957A KR20140120957A (ko) 2014-10-15
KR101478432B1 true KR101478432B1 (ko) 2015-01-02

Family

ID=5199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4003A KR101478432B1 (ko) 2013-03-29 2013-03-29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631B1 (ko) * 2015-02-04 2016-01-0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4450A (ja) * 2007-03-22 2008-10-02 Universal Shipbuilding Corp 船体保守点検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4450A (ja) * 2007-03-22 2008-10-02 Universal Shipbuilding Corp 船体保守点検支援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2007.4, 492-505 (14 pages) *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2007.4, 492-505 (14 p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957A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70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load transfer in a hybrid monitoring system
US9087245B2 (en)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for locating objects with RFID tags based on stored position and direction data
USRE49713E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close proximity identifica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s
US10775189B2 (en) System for determination of port arrival and departure, port arrival and departure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ort arrival and departure determination program
JP2006266945A (ja) 位置管理システム
CN110678771B (zh) 位置测量用终端装置、存储有计算机程序的记录介质及系统
US201800399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container
KR101478432B1 (ko)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2004297334A (ja) 位置情報測定端末装置、および無線タグによる位置情報測定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8805512B (zh) 一种考勤信息记录方法及其设备、系统
KR20100102285A (ko) Cctv 및 rfid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07766954B (zh) 临时叫车方法及装置、约车订单发送处理方法及服务器
RU117196U1 (ru) Навигационно-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морских и речных судов и бортовой навигационно-связной комплекс
CN114973524A (zh) 共享设备的归还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
KR101639362B1 (ko) 불법조업선박 감시 시스템
EP3550813B1 (en) Matching device, terminal, sensor network system, matching method, and matching program
CN107730780B (zh) 一种基于智慧天线的信息检测方法及设备
CN107226179B (zh) 船舶用电子设备、航海信息记录装置、数据发送方法
KR102045914B1 (ko)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에 기록된 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JP7057468B1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27317B2 (ja) 通信装置、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JP4971631B2 (ja) 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20140126156A (ko) 브로드캐스팅 블루투스 기반 택시안전 식별자 자동스캔 기능의 택시안전귀가 방법
JP7116235B1 (ja) 操作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26499A (ko) 물품의 유통이력 관리시스템 및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