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190B1 - 유모차 겸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유모차 겸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190B1
KR101478190B1 KR1020130030343A KR20130030343A KR101478190B1 KR 101478190 B1 KR101478190 B1 KR 101478190B1 KR 1020130030343 A KR1020130030343 A KR 1020130030343A KR 20130030343 A KR20130030343 A KR 20130030343A KR 101478190 B1 KR101478190 B1 KR 10147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ear wheel
fixed
ba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601A (ko
Inventor
온순건
Original Assignee
온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순건 filed Critical 온순건
Priority to KR102013003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19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4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ri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아이의 성장기에 맞추어 유모차, 자립형 3륜 자전거 및 목마 형태의 2륜형 자전거를 하나로 모두 구현하여, 각각의 완구 구입에 따른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구의 보관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모차 겸용 자전거{BABY CARRIAGE USING BIKE}
본 발명은 유모차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아이의 성장기에 따라 유모차, 3륜형 자전거 및 2륜형 자전거로 적절히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유아의 성장 과정에 따라 유모차, 3륜 자전거, 2륜 자전거 등의 완구들을 성장시기에 맞춰 순차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완구들은 기능성 및 성능이 보강되면서 각각의 완구 제품에 대한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상기한 완구들을 유아의 성장시기에 맞춰 순차적으로 구하는 것이 가계 지출의 부담을 주게 된다.
더욱이, 유아의 성장 시기에 맞추어 구입한 완구들은 대부분 보관을 위한 많은 수납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관상의 문제를 가질 뿐만 아니라 유아가 성장해 나감에 따라 이들의 활용도가 점차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7-0009974호(공개일자 1987년07월09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943호(등록일자 2004년03월1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0870호(공개일자 2009년09월24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의 성장기에 따라 유모차, 3륜형 자전거 및 2륜형 자전거로 변형하여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는, 1개의 전륜과 2개의 후륜을 가지는 자전거 유닛; 및 상기 자전거 유닛의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유모 시트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자전거 유닛은 상기 2개의 후륜을 연장 고정하는 각각의 후륜 고정바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을 이루며 펼쳐져 3륜형을 이루거나 또는 중심부에 서로 나란하게 접혀 2륜형을 이루도록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전거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안장축 후측에 상기 후륜 고정바들의 전단부를 상기 3륜형 또는 상기 2륜형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체결하는 후륜 고정바 접철부; 및 상기 후륜 고정바들의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후륜 고정바들이 상기 3륜형 또는 2륜형으로 접고 펼침시 상기 후륜 고정바들의 후단부에 체결되는 상기 후륜의 체결 각도를 상기 지지 프레임과 나란하게 조정하도록 하는 후륜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륜 고정바 접철부는 상기 안장축의 후측 원주면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2쌍의 상,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 상기 후륜 고정바의 전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상,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들 사이에서 접철 조절 볼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의 상면과 치형 결합되어 상기 후륜 고정바들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바 가동 원통부;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의 하측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바 가압 스프링: 및 상기 상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과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접철 조절 볼트 상측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접철 조절 볼트의 나선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치형 결합된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과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바 접철 조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 각도 조절부는 상기 후륜의 회전축 일측 단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상,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 상기 후륜 고정바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들 사이에서 각도 조절 볼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 상면과 치형 결합되어 상기 후륜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는 후륜 가동 원통부;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 하측에 형성되는 삽입홈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후륜 가압 스프링; 및 상기 상측 후륜 고정 돌기판와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각도 조절 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후륜의 각도 조절 및 유지를 위해 치형 결합된 상기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와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후륜 각도 조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 고정바는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가 구비된 후륜 고정바의 전단 고정부로부터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가 구비된 후륜 고정바의 후단 연장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인, 입출되며 고정바 연장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기 후륜 고정바의 상기 전단 고정부와 상기 후단 연장부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핸들축 내부 상, 하측에 각각 핸들 가동축과 전륜 가동축이 분리된 상태로 서로 자유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핸들 가동축과 상기 전륜 가동축이 서로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 가동축 상단으로부터 및 상기 전륜 가동축 내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키홈 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연동키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키의 상측에 구비된 연동키 헤드부에 대응되게 상기 핸들 가동축 상단에 단차지게 헤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삽입홈 내주면 상에 돌출되게 탄성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볼들에 의해 상기 핸들 가동축과 상기 전륜 가동축이 서로 자유 회전 또는 연동 가능하게 상기 연동키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전거 유닛은 상기 페달을 상기 전륜 회전축에 연결하는 페달 연결바가 상기 전륜 회전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달 연결바가 상기 페달로부터 접철 가능하게 일체로 연장 결합되고, 상기 페달 연결바가 접힌 상태로 상기 페달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페달 고정구가 전륜을 고정하는 전륜 고정 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안장축과 핸들축 사이를 프레임 연장바로 연결하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연장바에는 상기 자전거 유닛의 전륜이 후륜에 포개어져 접히도록 접철 가능하게 접이식 힌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모 시트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안장축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시트 고정 프레임;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에 의해 고정된 상기 유모 시트를 상기 자전거의 핸들에 안착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시트 고정바; 및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운전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모 시트가 체결된 자전거를 운전하도록 하는 유모차 조정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더 안장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안장 고정축; 상기 안장 고정축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안장축에 대응되게 유모 시트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는 안장 시트; 및 상기 안장 시트 상측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은 상기 안장 시트의 유모 시트 고정홈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게 유모 시트 고정축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과 상기 유모 시트 고정축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 고정바는 상기 유모 시트의 전단 중심부를 상기 자전거의 핸들 가동축에 안착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가동축 고정바; 및 상기 핸들 가동축 고정바 양측에서 상기 유모 시트를 상기 자전거의 핸들바에 양측에 각각 안착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 고정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모차 조정 핸들은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며 연장 형성되는 유모차 핸들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유모차 핸들 연장부가 인, 입출되며, 핸들 연장 고정핀에 의해 연장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모차 핸들 고정부 및 상기 유모차 핸들 연장부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에 따르면, 아이의 성장기에 맞추어 유모차, 자립형 3륜 자전거 및 목마 형태의 2륜형 자전거를 하나로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완구 구입에 따른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구의 활용성 및 보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자전거의 유모차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의 유모 시트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의 3륜형 자전거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의 2륜형 자전거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자전거 유닛의 프레임 연장바 접철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자전거 유닛의 후륜 고정바에 의한 후륜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자전거 유닛의 후륜을 3륜형 상태로 펼침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자전거 유닛의 후륜을 2륜형 상태로 접철시킨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을 확대 도시한 후륜 고정바 접철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후륜 고정바 접철부에 대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ⅩⅠ-ⅩⅠ선을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자전거 유닛의 전륜 가동축과 핸들 가동축이 연동키에 의해 서로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핸들축의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자전거 유닛의 전륜 가동축과 핸들 가동축이 서로 분리되어 자유 회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핸들축의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자전거 유닛의 페달 부분을 분리 및 보관 상태를 도시한 전륜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5는 자전거 유닛의 안장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유모차 유닛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자전거의 유모차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의 유모 시트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1)는 크게 자전거 유닛(100)과, 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유모 시트 유닛(20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1)는 아이의 수유기에 유모 시트 유닛(200)을 자전거 유닛(100)에 일체로 체결 고정하여 유모차 모드로 사용하다가, 이후 아이가 성장하여 자전거 완구가 필요한 시기에는 유모 시트 유닛을 분리하여 자전거 유닛 만을 이용해 자전거 모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의 3륜형 자전거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의 2륜형 자전거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자전거 유닛(100)은 특히 아이의 연령에 따라 2개의 후륜(130)을 양측으로 펼쳐 자립이 가능한 3륜형 자전거 모드로 사용하거나, 2개의 후륜(130)을 중심부로 나란하게 접어 아이가 양발로 자립하며 목마 형태로 탈 수 있는 2륜형 자전거 모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1)는 아이의 성장기에 맞추어 유모차, 자립형의 3륜형 자전거 및 목마형의 2륜형 자전거를 하나로 모두 구현하여, 각각의 완구 구입에 따른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구의 보관성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한 유모차 겸용 자전거(1)의 세부 구성들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전거 유닛(100)은 지지 프레임(110), 전륜(120), 후륜(130), 후륜 고정바(160), 후륜 고정바 접철부(140), 후륜 각도 조절부(150), 핸들(170), 전륜 프레임(180) 및 안장(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110)은 자전거 유닛(100)의 주요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 프레임 연장바(111), 안장축(112) 및 핸들축(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연장바(111)는 아동들이 자전거 유닛(100)을 자전거 완구로 활용시 탑승이 용이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핸들(170)과 전륜 프레임(170)이 고정되는 핸들축(113)과 안장(190)이 고정되는 안장축(112)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단일 프레임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핸들축(113)과 안장축(112) 사이를 연결하며 자전거 유닛(100)을 지지하는 주요 뼈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프레임 연장바(111)는 자전거 유닛(100)를 접어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이식 힌지(115)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5는 자전거 유닛의 프레임 연장바 접철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이식 힌지(115)는 프레임 연장바(111)의 연장 선상에서 안장축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프레임 연장바(111)가 상하로 접철되며 자전거 유닛(111)의 전륜부가 후륜부로 포개지며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프레임 연장바(111)에 접이식 힌지(115)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유모 시트 유닛(200)이 분리된 상태로 자전거 유닛(100)을 접어 자동차의 트렁크에 좀더 쉽게 접어 수납 가능하도록 하거나 보관시 수납장 등에 부피를 줄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자전거 유닛(100)은 1개의 전륜(120)과 2개의 후륜(130)을 가지고 형성되고, 전륜(120)은 전륜 프레임(180)에 의해 상기 핸들축(113)에 끼워져 고정되며, 2개의 후륜(130)은 각각 후륜 고정바(160)들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을 이루며 펼쳐져 3륜형을 이루거나 또는 중심부에 서로 나란하게 접혀 2륜형을 이루도록 접철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은 자전거 유닛의 후륜 고정바에 의한 후륜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상기 안장축(112) 후측에는 각각의 후륜(130)이 고정된 상기 후륜 고정바들(160)의 전단부를 상기 3륜형 또는 상기 2륜형으로 접철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는 후륜 고정바 접철부(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륜 고정바들(160)의 후단부에는, 상기 후륜 고정바들(160)이 상기 3륜형 또는 2륜형으로 접철시, 상기 후륜(130)의 체결 각도를 구름 가능하게 상기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조정하도록 하는 후륜 각도 조절부(150)가 구비된다.
한편, 후륜 고정바들(160)은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 도 8 참조)가 구비된 전단 고정부(161)로부터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153: 도 10 참조)가 구비된 후단 연장부(162)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인, 입출되며 고정바 연장 고정핀(163)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전거 유닛(100)을 유모차, 3륜형 자전거 및 2륜형 자전거로 사용시 후륜 고정바(160)를 적당한 길이로 연장시켜 사용하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전거 유닛(100)를 접어 수납 및 보관시 후륜 고정바(160)의 길이를 줄여 전륜부를 접철시 후륜과 전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후륜 고정바(160)의 상기 전단 고정부(161)와 상기 후단 연장부(162)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161a) 및 가이드 홈(162a)이 구비되어, 후륜 고정바(16)를 통한 길이 조절시 후륜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자전거 유닛의 후륜을 3륜형 상태로 펼침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도 8은 자전거 유닛의 후륜을 2륜형 상태로 접철시킨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 고정바 접철부(140)를 통해 후륜(130)이 고정된 후륜 고정바들(160)이 자립 가능한 3륜형으로 대략 30° 내지 60°범위 이내의 사이각(θ)을 가지고 펼쳐질 경우, 후륜 각도 조절부(150)를 통해 후륜 고정바(160) 후단부에 체결 고정된 후륜(130)도 상기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도록 후륜 고정바(160)과 동일한 사이각(θ)을 이루도록 후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 고정바 접철부(140)를 통해 후륜(130)이 고정된 후륜 고정바들(160)을 중심부로 모아 2륜형으로 접철된 경우, 후륜 각도 조절부(150)를 통해 후륜 고정바(160) 후단부에 체결 고정된 후륜들(130)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은 도 6의 Ⅸ-Ⅸ분을 확대 도시한 후륜 고정바 접철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9의 후륜 고정바 접철부에 대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와 함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후륜 고정바 접철부(140)는 2쌍의 상,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1, 142), 접철 조절 볼트(143),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 고정바 가압 스프링(145), 고정바 접철 조정판(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1, 142)은 상기 안장축(112)의 후측 원주면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2쌍의 돌출 형성된다.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는 상기 후륜 고정바(160)의 전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상,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1, 142)들 사이에서 접철 조절 볼트(1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2)의 상면에 구비된 치구(142b)와 치형 결합되게 하면에 치형(144b)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륜 고정바들(160)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조정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바 가압 스프링(145)은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의 하측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44a) 내에 삽입되며,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2)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바 접철 조정판(146)은 상기 상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1)과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접철 조절 볼트(143) 상측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접철 조절 볼트(143)의 나선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치형 결합된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2)과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후륜 고정바들(160)을 3륜형으로 펼치거나 또는 2륜형으로 접고자 하는 경우 접철 조절 볼트(143)를 돌려 고정바 접철 조정판(146)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가 고정바 가압 스프링(145)에 의해 들려 올려지며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의 하단에 형성된 치형(144b)이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2)의 상면에 구비된 치구(142b)로부터 빠져나와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후륜 고정바들(160)을 3륜형으로 펼쳐 고정하거나 또는 2륜형으로 접히도록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고정바 접철 조정판(146)이 접철 조절 볼트(143)와 함께 회전하며 상하 이동 없이 자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1)의 하면으로부터 고정바 접철 조정판(146)을 관통하도록 자전 방지 돌기(147)를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륜 고정바들(160)을 3륜형으로 펼치거나 또는 2륜형으로 접은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접철 조절 볼트(143)를 돌려 고정바 접철 조정판(146)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바 가압 스프링(145)에 탄성 지지된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를 눌러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의 하면에 형성된 치형(144b)이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2)의 상면에 구비된 치구(142b)에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후륜 고정바 접철부(140)가 한 쌍의 상,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41, 142), 고정바 가동 원통부(144), 고정바 가압 스프링(145), 고정바 접철 조정판(1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륜(130)이 고정된 후륜 고정바(160)들을 3륜형 또는 2륜형으로 접철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1은 도 6의 ⅩⅠ-ⅩⅠ선을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6와 함께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후륜 각도 조절부(150)는 상기한 후륜 고정바 접철부(140)와 유사하게 한 쌍의 상,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151, 152), 각도 조절 볼트(153), 후륜 가동 원통부(154), 후륜 가압 스프링(155) 및 후륜 각도 조정판(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151, 152)은 상기 후륜(130)의 후륜 회전축(131) 일측 단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돌출되며 연장 형성된다.
후륜 가동 원통부(154)는 상기 후륜 고정바(160)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151, 152)들 사이에서 각도 조절 볼트(1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152) 상면에 형성된 치구들과 치형 결합되어 상기 후륜(130)의 꺽임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도록 한다.
후륜 가압 스프링(155)는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154)의 하측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52)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후륜 각도 조정판(156)은 상기 상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151)과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154)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각도 조절 볼트(153) 상측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후륜(130)의 각도 조절 및 유지를 위해 치형 결합된 상기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132)와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15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륜 각도 조절부(150)가 상기한 후륜 고정바 접철부(140)와 유사하게 한 쌍의 상,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151, 152), 후륜 가동 원통부(154), 후륜 가압 스프링(155) 및 후륜 각도 조정판(156)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륜 고정바들(160)이 3륜 형태로 펼쳐지거나 2륜 형태로 접혀진 상태에 따라 좀더 원활하게 후륜들이 구를 수 있도록 후륜(130)의 체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들이 적용 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륜(120)은 전륜 프레임(180)에 의해 지지 프레임(110)의 핸들축(113)에 고정 설치된다.
전륜 프레임(180)은 핸들축(1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전륜 가동축(181)과, 전륜 가동축(18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분지되며 전륜 회전축(121) 양단을 잡아 고정하는 전륜 고정 프레임(18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핸들(170)은 핸들축(113)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핸들 가동축(171)과, 핸드 가동축(171)으로부터 양측으로 분지되어 양손으로 파지하여 자전거 유닛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바(17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자전거 유닛(100)의 전륜(120)은 유모차 모드에서는 핸들(170)과 분리되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3륜형 또는 2륜형 자전거 모드에서는 핸들(170)과 연동하며 조향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2는 자전거 유닛의 전륜 가동축과 핸들 가동축이 연동키에 의해 서로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핸들축의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자전거 유닛의 전륜 가동축과 핸들 가동축이 서로 분리되어 자유 회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핸들축의 정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핸들축(113) 내부 상, 하측에 각각 상기한 핸들 가동축(171)과 전륜 가동축(181)이 분리된 상태로 서로 자유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113)들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가동축(171)과 상기 전륜 가동축(181)이 서로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 가동축(171) 상단으로부터 및 상기 전륜 가동축(181) 내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키홈(176, 186) 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연동키(17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동키(175)의 상측에 구비된 연동키 헤드부(175a)에 대응되게 상기 핸들 가동축(171) 상단에 단차지게 헤드 삽입홈(171b)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삽입홈(171b) 내주면 상에 돌출되게 탄성 스프링(171c)에 의해 탄성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볼(171d)들에 의해 상기 핸들 가동축(171)과 상기 전륜 가동축(181)이 서로 자유 회전하거나 또는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동키(175)의 삽입 깊이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동키 고리(176)를 잡고 연동키(175)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상기 핸들 가동축(171)과 상기 전륜 가동축(181)이 서로 자유 회전하거나 또는 연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모차 모드에서는 전륜(120)이 핸들(170)과 분리되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3륜형 또는 2륜형 자전거 모드에서는 핸들(170)과 연동하며 조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자전거 유닛의 페달 부분을 분리 및 보관 상태를 도시한 전륜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페달(125)은 상기 전륜 회전축(121)에 연결하는 페달 연결바(126)가 상기 전륜 회전축(121)의 단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페달(125)을 사용하는 3륜형 또는 2륜형의 자전거 모드에서는 페달 연결바(126)를 상기 전륜 회전축(121)의 양단부에 나사 체결하여 사용하고, 페달(125)을 사용하지 않는 유모차 모드에서는 페달 연결바(126)를 전륜 회전축(121)으로부터 분리하여 페달(125)을 별도로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상기 페달(125)은 보관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 연결바(126)가 상기 페달(125)로부터 접철 가능하게 연장 결합되고, 상기 페달 연결바(126)가 접힌 상태로 상기 페달(125)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페달 고정구(185)가 전륜을 고정하는 전륜 고정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유모차 모드에서는 분리된 페달(125)은 페달 연결바(126)가 접혀진 상태로 전륜 고정 프레임(182) 일측에 구비된 페달 고정구(185)에 끼워져 보관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된 페달(125)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페달 고정구(185)가 지지 프레임(100)의 프레임 연장바(111)를 포함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는 자전거 유닛의 안장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장(19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안장축(11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어, 자전거 유닛(100)을 3륜형 또는 2륜형 자전거로 활용시 사용하는 유아의 둔부가 올려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장(190)은 안장 시트(191), 안장 고정축(192) 및 등받이대(1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 고정축(192)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안장축(112) 상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안장 시트(191)는 상기 안장 고정축(192)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안장축(112)에 대응되게 유모 시트 고정홈(194)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유모 시트 고정홈(194)은 후술하는 유모차 유닛(200)의 시트 고정 프레임(220)의 유모 시트 고정축(221; 도 15 참조)을 안장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안장축(112)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안장축(112)과 안장 고정축(192) 상에는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전술한 후륜 고정바(160)의 전단 고정바(161)와 후단 고정바(162)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안장축에 고정된 안장의 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등받이대(193)는 상기 안장 시트(191) 상측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하는 유아가 안장 시트(191)에 앉은 상태에서 등을 기대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유모차 유닛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모 시트 유닛(200)은 유모 시트(210), 시트 고정 프레임(220), 시트 고정바(230) 및 유모차 조정 핸들(240)로 구성되어, 도 1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전거 유닛(100)의 지지 프레임(110)의 안장축(112) 상측에 체결 고정되어 유모차를 완성하도록 한다.
시트 고정 프레임(2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안장축(11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며, 상측에 유모 시트(210)를 지지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장 시트(191)의 유모 시트 고정홈(194)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안장축(11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게 유모 시트 고정축(221)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110)의 안장축(112)으로부터 안장(190)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안장(190)의 등받이대(193) 만을 접은 상태로 유모 시트 유닛(200)을 체결하여 유모차 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안장축(112)과 상기 유모 시트 고정축(221)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시트 고정바(230)는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 고정된 상기 유모 시트(210)의 전단부를 상기 자전거 유닛(100)의 핸들(170)에 안착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고정바(230)는 하나의 가동축 고정바(231)와 2개의 핸들 고정바(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가동축 고정바(231)는 상기 유모 시트(210)의 전단 중심부를 상기 자전거 유닛(100)의 핸들 가동축(171)에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핸들 고정바(232)는 가동축 고정바(231) 양측에서 상기 유모 시트(210)를 상기 자전거 유닛(100)의 핸들바(172)에 양측에 각각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가동축 고정바(231) 및 핸들 고정바(232)는 단차지며 연장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연장 단부에는 핸들 가동축(171) 및 핸들바(172)에 걸려 탄성 고정되도록 "C"자형 탄성 걸림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모차 조정 핸들(240)은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22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모 시트 유닛(200)이 체결되어 완성된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유모차 조정 핸들(240)은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220)에 고정되며 연장 형성되는 유모차 핸들 고정부(241)의 단부로부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유모차 핸들 연장부(242)가 연장 가능하게 인, 입출되며 핸들 연장 고정핀(24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유모차 조정 핸들의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모차 핸들 고정부(241) 및 상기 유모차 핸들 연장부(242)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242a) 및 가이드 홈(241a)이 구비되어, 유모차 조정 핸들의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모차 겸용 자전거(1)는 아이의 성장기에 맞추어 유모차, 자립형 3륜 자전거 및 목마 형태의 2륜형 자전거를 하나로 모두 구현하여, 각각의 완구 구입에 따른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구의 보관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유모차 겸용 자전거 100: 자전거 유닛
110: 지지 프레임 111: 프레임 연결바
112: 안장축 113: 핸들축
115: 접이식 힌지 120: 전륜
121: 전륜 회전축 125: 페달
126: 페달 연결바 130: 후륜
131: 후륜 회전축 140: 후륜 고정바 접철부
141: 상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 142: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
143: 접철 고정 볼트 144: 고정바 가동 원통부
145: 고정바 가압 스프링 146: 고정바 접철 조정판
147: 자전 방지 돌기 150: 후륜 각도 조절부
151: 상측 후륜 고정 돌기판 152: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
153: 각도 조절 볼트 154: 후륜 가동 원통부
155: 후륜 가압 스프링 156: 후륜 각도 조정판
157: 자전 방지 돌기 160: 후륜 고정바
161: 전단 고정부 161a: 가이드 돌기
162: 후단 연장부 162a: 가이드 홈
163: 고정바 연장 고정핀 170: 핸들
171: 핸들 가동축 171b: 헤드 삽입홈
171c: 탄성 스프링 171d: 고정볼
172: 핸들바 175: 연동키
175a: 연동키 헤드부 176, 186: 키홈
180: 전륜 프레임 181: 전륜 가동축
182: 전륜 고정 프레임 185: 페달 고정구
190: 안장 191: 안장 시트
192: 안장 고정축 193: 등받이대
194: 유모 시트 고정홈 200: 유모차 유닛
210: 유모 시트 220: 시트 고정 프레임
221: 유모 시트 고정축 230: 시트 고정바
231: 가동축 고정바 232: 핸들 고정바
240: 유모차 조정 핸들 241: 유모차 핸들 고정부
241a: 가이드 돌기 242: 유모차 핸들 연장부
242a: 가이드 홈 243: 핸들 연장 고정핀

Claims (18)

1개의 전륜과 2개의 후륜을 가지는 자전거 유닛; 및
상기 자전거 유닛의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유모 시트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자전거 유닛은,
상기 2개의 후륜을 연장 고정하는 각각의 후륜 고정바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을 이루며 펼쳐져 3륜형을 이루거나 또는 중심부에 서로 나란하게 접혀 2륜형을 이루도록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안장축 후측에 상기 후륜 고정바들의 전단부를 체결하는 후륜 고정바 접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륜 고정바 접철부는,
상기 안장축의 후측 원주면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2쌍의 상,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
상기 후륜 고정바의 전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상,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들 사이에서 접철 조절 볼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의 상면과 치형 결합되어 상기 후륜 고정바들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바 가동 원통부;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의 하측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바 가압 스프링: 및
상기 상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과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접철 조절 볼트 상측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접철 조절 볼트의 나선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치형 결합된 상기 하측 고정바 고정 돌기판과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바 접철 조정판;을 포함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항에서,
상기 자전거 유닛은,
상기 후륜 고정바들의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후륜 고정바들이 상기 3륜형 또는 2륜형으로 접고 펼침시 상기 후륜 고정바들의 후단부에 체결되는 상기 후륜의 체결 각도를 상기 지지 프레임과 나란하게 조정하도록 하는 후륜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삭제
제2항에서,
상기 후륜 각도 조절부는,
상기 후륜의 회전축 일측 단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상,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
상기 후륜 고정바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들 사이에서 각도 조절 볼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 상면과 치형 결합되어 상기 후륜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는 후륜 가동 원통부;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 하측에 형성되는 삽입홈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후륜 가압 스프링; 및
상기 상측 후륜 고정 돌기판와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각도 조절 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후륜의 각도 조절 및 유지를 위해 치형 결합된 상기 하측 후륜 고정 돌기판와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후륜 각도 조정판;을 포함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4항에서,
상기 후륜 고정바는,
상기 고정바 가동 원통부가 구비된 후륜 고정바의 전단 고정부로부터 상기 후륜 가동 원통부가 구비된 후륜 고정바의 후단 연장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인, 입출되며 고정바 연장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5항에서,
상기 후륜 고정바의 상기 전단 고정부와 상기 후단 연장부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항에서,
상기 자전거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핸들축 내부 상, 하측에 각각 핸들 가동축과 전륜 가동축이 분리된 상태로 서로 자유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핸들 가동축과 상기 전륜 가동축이 서로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 가동축 상단으로부터 및 상기 전륜 가동축 내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키홈 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연동키가 구비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7항에서,
상기 연동키의 상측에 구비된 연동키 헤드부에 대응되게 상기 핸들 가동축 상단에 단차지게 헤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삽입홈 내주면 상에 돌출되게 탄성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볼들에 의해 상기 핸들 가동축과 상기 전륜 가동축이 서로 자유 회전 또는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동키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항에서,
상기 자전거 유닛은,
페달을 상기 전륜 회전축에 연결하는 페달 연결바가 상기 전륜 회전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9항에서,
상기 페달 연결바가 상기 페달로부터 접철 가능하게 일체로 연장 결합되고,

상기 페달 연결바가 접힌 상태로 상기 페달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페달 고정구가 전륜을 고정하는 전륜 고정 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항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안장축과 핸들축 사이를 프레임 연장바로 연결하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연장바에는 상기 자전거 유닛의 전륜이 후륜에 포개어져 접히도록 접철 가능하게 접이식 힌지가 구비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항에서,
상기 유모 시트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안장축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시트 고정 프레임;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에 의해 고정된 상기 유모 시트를 상기 자전거 유닛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핸들축에 끼워 고정되는 핸들에 걸어 안착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시트 고정바; 및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운전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모 시트가 체결된 자전거를 운전하도록 하는 유모차 조정 핸들;을 포함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2항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안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장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안장 고정축;
상기 안장 고정축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안장축에 대응되게 유모 시트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는 안장 시트; 및
상기 안장 시트 상측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대;를 포함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3항에서,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은,
상기 안장 시트의 유모 시트 고정홈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유모 시트 고정축이 연장 형성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4항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장축과 상기 유모 시트 고정축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2항에서,
상기 시트 고정바는,
상기 유모 시트의 전단 중심부를 상기 헨들축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핸들의 핸들 가동축 상에 안착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가동축 고정바; 및
상기 핸들 가동축 고정바 양측에서 상기 유모 시트를 상기 핸들의 상기 핸들 가동축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핸들바에 각각 안착 고정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3항에서,
상기 유모차 조정 핸들은,
상기 시트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며 연장 형성되는 유모차 핸들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유모차 핸들 연장부가 인, 입출되며, 핸들 연장 고정핀에 의해 연장 고정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제17항에서,
상기 유모차 핸들 고정부 및 상기 유모차 핸들 연장부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유모차 겸용 자전거.
KR1020130030343A 2013-03-21 2013-03-21 유모차 겸용 자전거 KR10147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343A KR101478190B1 (ko) 2013-03-21 2013-03-21 유모차 겸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343A KR101478190B1 (ko) 2013-03-21 2013-03-21 유모차 겸용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601A KR20140115601A (ko) 2014-10-01
KR101478190B1 true KR101478190B1 (ko) 2014-12-31

Family

ID=5198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343A KR101478190B1 (ko) 2013-03-21 2013-03-21 유모차 겸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093A1 (ko) * 2015-03-24 2016-09-29 릴레이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운송 장치 및 이것에 구비된 조인트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09867U (zh) * 2014-12-24 2015-05-06 嘉兴小虎子车业有限公司 一种童车车轮的折叠装置
CN105172869A (zh) * 2015-08-10 2015-12-23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可转换成童车的婴儿车
CN105480342B (zh) * 2016-01-19 2018-03-02 嘉兴小虎子车业有限公司 可折叠的儿童三轮车及其折叠方法
IL249515B (en) 2016-12-12 2019-08-29 Doona Holdings Ltd A private foldable vehicle
CN107336737A (zh) * 2017-07-17 2017-11-10 上海童歌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三轮婴儿车
CN108327826B (zh) * 2018-02-13 2024-03-22 平湖市贝斯特童车有限公司 后轮可变换的蹬蹬车
CN110723192A (zh) * 2019-07-23 2020-01-24 浙江海洋大学 一种多功能婴儿车
CN114590351A (zh) * 2022-03-04 2022-06-07 福建省贝思瑞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折叠式儿童三轮车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8606A (ja) * 2003-09-12 2005-04-07 Yoshiyuki Nakazaw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KR20090100870A (ko) * 2008-03-21 2009-09-24 이영우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100002082U (ko) * 2008-08-19 2010-03-02 유찬웅 단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자전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8606A (ja) * 2003-09-12 2005-04-07 Yoshiyuki Nakazaw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KR20090100870A (ko) * 2008-03-21 2009-09-24 이영우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100002082U (ko) * 2008-08-19 2010-03-02 유찬웅 단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093A1 (ko) * 2015-03-24 2016-09-29 릴레이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운송 장치 및 이것에 구비된 조인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601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190B1 (ko) 유모차 겸용 자전거
AU2022204179B2 (en) Foldable personal vehicle
KR101268358B1 (ko)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KR101319481B1 (ko) 자전거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이륜 및 삼륜 변환이 가능한 자전거
JP5335544B2 (ja) 子供用乗用車両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170018187A (ko) 세발자전거 겸용 유모차
CN215553685U (zh) 一种便于调控的儿童车支撑架
KR200448196Y1 (ko) 어린이용 삼륜 자전거
CN202089167U (zh) 可折叠、变形的脚踏车
US20110057484A1 (en) Ride-on children's toy
KR200228448Y1 (ko) 분리 조립식 어린이용 다용도 세발 자전거
KR102158937B1 (ko) 전환 가능한 승용물
CN205554283U (zh) 可转换婴幼儿车
WO2012043435A1 (ja) 育児器具
CN207292260U (zh) 一种多功能儿童折叠车
KR101527293B1 (ko) 장애인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네발자전거
CN205971432U (zh) 多功能婴儿推车
CN211592674U (zh) 学步期婴童出行用推车
CN216166522U (zh) 一种学步车
KR20140122158A (ko) 자전거 프레임을 이용한 유모차
CN210912718U (zh) 一种婴儿车、滑板车及其稳定型车体
CN108100136B (zh) 一种婴儿背带助力车及其使用和收纳方法
CN215944673U (zh) 一种折叠式儿童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