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131B1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Pier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P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8131B1 KR101478131B1 KR1020130023678A KR20130023678A KR101478131B1 KR 101478131 B1 KR101478131 B1 KR 101478131B1 KR 1020130023678 A KR1020130023678 A KR 1020130023678A KR 20130023678 A KR20130023678 A KR 20130023678A KR 101478131 B1 KR101478131 B1 KR 1014781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olumn
- blocks
- coping
- outer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구조인 교각을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하여 쌓기식으로 만드는 조립식 교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상하블록간 연결을 위한 별도의 연결장치(커플러 또는 강봉 등)를 없애는 대신, 상하블록의 연결부를 요철형태로 만듦으로서, 하블록위에 상블록을 끼운 뒤 간단히 채움재(예: 무수축콘크리트 등)를 채움으로서 조립식 교각을 완성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에서 단절된 응력 전달은 수평면상 중첩되게 배치된 수직 주철근 사이의 전단마찰력(이는 채움재가 담당)에 의해 응력을 전달하는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dge pier which makes a pier bridge, which is a substructure of a bridge, using a precast block.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connecting device (coupler or steel bar) for connection between precast upper and lower blocks, instead of eliminating the connection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blocks, Shrinkage concrete, etc.) to complete the prefabricated bridge pier. The above-mentioned stress transmission is a structure in which stress is transmitted by the shear frictional force between vertical steel bars arranged in a horizontal plane.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구조인 교각을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하여 쌓기식으로 만드는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which makes a pier bridge, which is a substructure of a bridge, by using precast blocks.
최근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규모화, 고강도화, 초경량화, 장수명화, 기능화 등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prefabricated structures using precast concrete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for large-scale, high-strength, lightweight, long life, and functionalization of concrete structures.
특히 최근 들어 교량 하부구조에 대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기술의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는 프리캐스트 조립식 기술이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시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상당히 해결해 주기 때문이다. Especially in recent years, precast prefabrication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applied to bridge sub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precast prefabricated technology significantly solves the problems that arise due to the construction of conventional on-site concrete.
조립식 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주된 요인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첫째,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은 관리 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환경에서 사전제작 되기 때문에 현장타설시 발생하는 제약사항이 없어 품질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fabricated construction system is actively applied to the following main factors. First, precast prefabricated bridge piers are pre-fabricated in a well-equipped environment,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in the field installation and qua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둘째, 사전에 교량 부재를 제작장에서 제작함으로써 공사 현장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Second,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improved by manufacturing the bridge member in the manufacturing site in advance.
셋째, 환경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데 이는 현장에서의 대형 장비의 사용이나 사용 기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Third, environmental damage can be minimized because it can reduce the use or use period of large equipment in the field.
마지막으로, 품질을 높이고 생애주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n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quality can be increased and life cycle cost can be reduced.
조립식 교각 공법은 각각의 블록을 공장 또는 현장에서 만든 뒤, 현장에서 블록을 쌓아 올려 교각을 완성하게 되는데, 상하 블록간 연결은 철근 또는 강봉 등을 사용하여 연결부를 일체화시키고 있다.
The prefabricated pier construction method is to build each block at the factory or site, and then build up the pier by stacking the blocks in the field.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is made by integrating the joints using steel bars or steel rods.
[문헌1] 10-0099113, 조립식 교각 및 기둥구조물과 그 시공방법[Document 1] 10-0099113, prefabricated pier and column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문헌2] 10-2000-004144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교각구조물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Document 2] 10-2000-0041440, Construction method of pier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block and its structure
[문헌3] 20-0324563, 조립식 교각 구조물[Literature 3] 20-0324563,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문헌4] 10-0549649,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교각 구조물[Patent Document 4] 10-0549649, Pier structure by precast assembly structure
[문헌5] 20-0414671, 콘크리트 충진 조립식 기둥 및 그 조립구조[Literature 5] 20-0414671, Concrete-filled prefabricated column and its assembling structure
[문헌6] 10-0605302, 조립식 교각 구조물[Patent Document 6] 10-0605302,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문헌7] 20-042477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관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교각[Literature 7] 20-0424776, Concrete piers using precast concrete hollow tube formwork
[문헌8] 10-0639255,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Literature 8] 10-0639255, shear resistance duct and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member using the same
[문헌9] 10-0643575, 조립식 프리캐스트 합성 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Patent Document 9] 10-0643575, Prefabricated Precast Composite Pi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문헌10] 10-0704874, 강관으로 전단을 보강한 조립식 콘크리트 교각 구조[10] 10-0704874, A prefabricated concrete pier structure reinforced with steel pipe
[문헌11] 10-0704737, 프리캐스트 수중조립식 교각구조물[Literature 11] 10-0704737, Precast underwater pier structure
[문헌12] 10-0713690,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사용한 조립식교각 및 그 시공방법[Literature 12] 10-0713690, A prefabricated pier using internal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ing uni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문헌13] 10-0738999,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그 연결 조립구조[Patent Document 13] 10-0738999, Precast Concrete Segment Having Assembly Structure Using Steel Duct and Its Connection Assembly Structure
[문헌14] 10-0762166, 프리캐스트 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Literature 14] 10-0762166, Precast pie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문헌15] 10-0776774,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Literature 15] 10-0776774, Manufactur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Pier Segment with Assembly Structure Using Steel Duct
[문헌16] 10-080412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조립식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Literature 16] 10-0804125, Connecting device of precast concrete member,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문헌17] 10-0860591, PC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조물 축조공법[Patent Literature 17] 10-0860591, Construction Method of Vertical Structure Using PC Block
[문헌18] 10-0895033,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Literature 18] 10-0895033, Precast column unit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lumn structure using the same
[문헌19] 10-0909277, 강관이 구비된 교각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각의 조립 구조
[Literature 19] 10-0909277, Pillar foundation with steel pipe and assembly structure of pier using it
조립식 공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블록간 연결이다. 본 과제에서 말하는 블록이란 코핑과 기둥 그리고 기초(현장타설)를 말한다. 즉 블록간 연결이란 코핑과 기둥, 기둥과 기둥, 기둥과 기초의 연결을 의미한다.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is the interblock connection. Blocks referred to in this assignment are copings, pillars, and bases (field castings). That is, the inter-block connection mea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ping and the column, the column and the column, and the column and the foundation.
종래의 조립식 공법은 상하로 블록을 쌓고 블록간 연결은 철근 또는 강봉 등을 사용하며, 커플러를 이용하거나 포스트텐션으로 연결부를 일체화시켰다.In the conventional assembly method, blocks are piled up and down,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blocks is made using reinforcing bars or steel rods, and the connection is integrated using a coupler or post tension.
상기의 공법들은 연결부가 블록과 블록사이의 단면에 집중되어 연결부의 시공시 매우 주의하여야 하며 또한, 커플러 및 포스트텐션 적용시 작업의 번거로움과 정밀성이 요구된다.In the above methods, the connection part is concentrated on the cross section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so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be careful when constructing the connection part. Further, troublesomeness and precision of the operation are required when applying the coupler and post tens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상하블록간 연결을 위한 별도의 연결장치를 없앤 것이 특징이다. 즉, 기초콘크리트만 현장에서 타설하고, 이후는 블록을 그냥 쌓기만 하면 되는데, 이때 블록간 연결부는 간단히 채움재(예: 무수축몰탈 또는 에폭시 또는 무수축콘크리트 등)만 채우는 것으로 블록간 연결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연결부 시공시 번거로움과 시공의 정밀성을 요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precast upper and lower blocks is omitted. In other words, only foundation concrete is laid in the field, and then only the blocks are stacked. In this case, inter-block joints can be connected between blocks by simply filling the filler materials (eg, non-shrinkage mortar or epoxy or shrinkage concrete) , It does not require the troublesome and precise construction of the existing connection part construction.
교각은 상시에 주로 압축력을 받는 구조물이지만, 풍하중 그리고 상부차량에 의한 편심하중, 특히 지진시 횡방향 지진하중 등을 고려하여 압축과 휨을 동시에 받는 구조물로 설계하며, 그 설계는 P-M상관도를 따른다.
The bridge is designed mainly to receive compressive force at all times, but it is designed as a structure that receives compression and bending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eccentric load due to wind load and upper vehicle, especially, seismic load during earthquake.
현장타설에 의해 일체로 만드는 교각과 달리 일반적으로 블록을 쌓아서 만드는 조립식 교각의 블록간 연결부는 반드시 수평전단력과 휨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하며, 연결부 시공은 최대한 단순한 것이 좋다.
Unlike bridge piers which are made integral by site casting, the connection part between blocks of a pier constructed by stacking blocks must be able to withstand the tensile force generated by horizontal shear force and bending, and the connection part construction should be as simple as possible.
본 발명은 상하블록간 연결부를 요철형태로 만들어서 상블록과 하블록이 서로 끼워지게 만들었는데, 수평전단력은 이 요철에 의해 저항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block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is formed into a concave-convex shape so that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 horizontal shearing force is resisted by the unevenness.
인장력에 대하여: 인장력에 저항하는 수직철근(주철근)은 블록간 직접 연결시키지 않는 대신, 블록간 연결부에서 수직철근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하되, 수평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수직철근 사이에 전단마찰력을 도입하여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블록 설치 뒤 그 틈새를 채움재로 채워 넣기만 하면 된다. 보다 확실한 전단마찰력 도입을 위하여는 전단키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블록 제작시 요철부 내부 측면에 홈을 내거나, 전단연결재(예: 철근)를 설치 할 수 있으며, 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For tensile strength: Vertical bars (cast iron bars) that resist tensile forces are not directly connected between blocks, but vertical bars ar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at the interblock joints, while shear frictional forces are introduced between horizontally spaced vertical bars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transmitted. To do this, you only need to fill the gap with filler after installing the block. For more reliable introduction of shear frictional force,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or a shear connection member (for example, reinforcing steel) may be installed to form a block so as to serve as a shear key.
또한, 기초콘크리트 타설 뒤 설치하는 첫 번째 기둥블록도 그 연결방법은 상기와 같지만, 기초와 기둥이 만나는 면은 강성차가 크므로 지진 등을 고려하여 기둥내부에 일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채웠는데, 이는 동시에 상부로부터 기둥을 타고 내려오는 수직하중을 전단마찰에 의해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를 통하여 기초로 전달하는 역할도 하므로, 수직하중을 기초에 고루 분포시키게 된다.
Also, the first pillar block installed after the foundation concrete pouring is the same as above, but since the difference in the stiffness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pillar is large, concrete is filled in the pillar with a certain height in consideration of earthquake etc. The vertical load, which rides down the column from the top, is also transmitted through the concrete filled in by the shear friction, so that the vertical load is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foundation.
그리고 코핑블록과 기둥블록과의 연결방법도 상기와 같이 블록간 채움재에 의해 전단마찰력을 도입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Als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oping block and the column block is the same as that of introducing the shear frictional force by the interblock filler as described above.
T형교각의 경우, 코핑블록은 크레인 등으로 거치시 자중을 줄이기 위하여 코핑 내부가 빈 상태로 제작하는데, 이러한 코핑블록은 거푸집 및 동바리 역할과 함께 주부재로서의 역할도 분담한다. 그 시공순서는 코핑블록을 설치한 뒤 블록간 틈새를 채움재로 채우고, 기 제작된 철근망을 크레인 등으로 코핑 내부에 집어넣은 뒤,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코핑을 완성하게 된다. 코핑블록의 특징은 제작시 코핑 내부면에 전단연결재(예 철근)를 설치한 것으로써, 이후 삽입 설치되는 철근망과 코핑 내부에 있는 철근과의 별도 연결작업이 필요 없게 되는데, 이는 코핑 내부면에 설치된 전단연결재에 의해 코핑블록과 이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In case of T-type bridge pier, the coping block is designed to be empty in order to reduce its weight when it is mounted with a crane or the like. Such a coping block plays a role as a main part as well as a form and a tie. The construction procedure is to install the coping block, fill the gaps between the blocks with filler, put the manufactured reinforcing net into the copping with a crane or the like, and then put the concrete and cure it to complete the coping. The feature of the coping block is that the shear connection material (eg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ping during manufacture, so tha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 to be inserted and the reinforcing bar inside the coping, This is because the installed shear connectors can integrate the coping block with the concrete to be placed thereafter.
그리고 일주식교각의 경우에는 코핑블록의 하중이 크지 않으므로, 코핑블록을 기둥블록 위에 끼워 넣고, 채움재를 채우는 것만으로 교각 시공이 완료된다.
In the case of a single stock pier, the load of the coping block is not large. Therefore, by simply fitting the coping block onto the column block and filling the filler, the pier construction is completed.
본 발명의 조립식 교각은 기둥측면에 노출된 바깥돌기로 인하여 기존 교각 대비 미관은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큰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The prefabricated bridge pi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lightly smaller aesthetic value compared to existing bridge piers due to the outer projections ex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olumns,
본 조립식교각은 블록을 쌓고, 채움재만 채우면 연결부 조립이 완성되므로, 시공이 간단하다. 또한, 별도의 연결장치(커플러 또는 강봉 등)가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이다.This assembly pier is easy to construct because it builds up the connection part by stacking the blocks and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only. In addition, it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nnecting device (such as a coupler or a steel bar).
도1은 조립식 교각의 전체도
도2는 교각 높이가 낮은 조립식 교각의 전체도
도3은 블록간 연결부(TYPE A)
도4는 블록간 연결부(TYPE A) - 주철근 배근 예
도5는 블록간 연결부(TYPE A) - 전단연결재 설치 예
도6은 블록간 연결부(TYPE B)
도7은 블록간 연결부 - 전단홈 설치예
도8은 블록간 연결부(TYPE B) - 전단연결재 설치 예
도9는 코핑블록과 기둥블록간 연결부
도10은 코핑블록의 연결 - 일주식 교각의 경우
도11은 코핑블록의 연결 및 코핑블록 상세
도12는 기초와 기둥블록의 연결
도13은 기초와 기둥블록의 연결 - 전단연결재 설치 예
도14는 블록간 임시고정철근 설치Figure 1 shows the overall view of the prefabricated pier
Fig. 2 shows the overall view of the prefabricated pier with low pier height
3 shows a block-to-block connection (TYPE A)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block connection (TYPE A)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lock-to-block connection (TYPE A)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block connection (TYPE B)
Figure 7 shows an example of a block-to-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block-to-block connection (TYPE B)
FIG. 9 is a cross-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nection-to-
FIG. 1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and a coping block detail of a coping block
12 sh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and the column block
Fig. 13 shows an example of connection between a foundation and a column block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설명을 위하여 조립식교각은 대표적인 원형단면 교각을 선정하였으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설명한다.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prefabricated bridge pier has selected a typical circular bridge pier, and an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립식교각의 전체도로서, 동일한 크기(높이)의 기둥블록(100)을 쌓은 뒤, 크기가 다른 상단 기둥블록(130)을 사용하여 전체 교각 높이를 맞춘 형태를 보여준다.
FIG. 1 is an overall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pi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도2는 도심지에서와 같이 교각 높이가 낮은 경우에 하나의 기둥블록(131)만을 사용하여 만든 조립식교각을 보여준다.
2 shows a prefabricated bridge pier using only one
도3은 타입A형인 블록(100)의 형태 및 블록간 연결방법을 보여준다. FIG. 3 shows the form of the
블록간 연결방법은 크레인 등으로 상블록(100)을 들어 하블록(100)의 삽입구(110)에 삽입한 뒤, 틈새를 채움재로 채움으로서 완성시킨다. 이때 틈새작업은 바깥돌기(111)쪽은 작업자가 밖에서 작업하고, 안쪽돌기(112)쪽은 상블록의 상단 중앙구멍을 통해 작업자가 내려가서 작업한다.
The block-to-block connection method is carried out by inserting the
도4는 타입A형 블록(100)의 연결부인데, 블록 단면의 주철근 배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배근 예에서 보듯이 블록 자체에 발생되는 휨인장력은 수직철근(120)이 저항하고, 블록간 연결부에 발생되는 휨인장력은 바깥수직철근(121)이 저항하게 되는데, 수평적으로 떨어져 있는 수직철근간(120과 121)의 힘의 전달경로는 상하블록간 전달마찰력에 의해 전달되며 그 전단마찰력은 상블록 - 채움재(113) - 하블록을 통하여 전달된다. 그리고 수평전단력에 대하여는 안쪽돌기(112) 및 바깥돌기(111) 그리고 바깥수직철근(121)이 함께 저항한다. 또한 수평철근(122)은 상블록으로부터 발생되는 지압응력과 전단에 저항한다. 또한 한 개의 기둥에서 두 개 이상의 기둥블록을 사용할 때, 기둥에서 상하 위치에 따라 작용하는 휨모멘트값이 다르게 작용하는데, 이때 블록 사전 제작시 각 기둥블록별로 사용하는 수직철근(120)의 직경 및 개수를 달리하여도 블록간 연결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4 is a connecting portion of the type
상기의 상하블록간 연결부에서 보다 확실한 전단마찰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사전 제작시 도5에서와 같이 연결부에서 상하블록간 수평 이격거리를 키우고, 상하블록간 연결부 측면에 철근 등으로 전단연결재(123)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사전 제작시 도7에서와 같이 전단키 역할을 하도록 전단홈(114)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두 방법을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introduce a more reliable shear frictional force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is increased at the connecting portion as shown in FIG. 5 at the time of preliminary manufacturing, and a
도6은 타입B형 블록(130)의 연결부를 보여준다. 타입A형 블록(100)의 안쪽돌기(112)를 없애고, 바깥돌기(111)만을 적용함으로서 블록 제작을 보다 단순화 하였다. 타입A형과 타입B형의 구분 사용은 설계시 구조검토단계에서 택할 수 있다. 타입B형 역시 블록간 연결부에서 전단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전 제작시 상기의 타입A형과 마찬가지로 전단연결재(123, 도8참조)와 전단홈(114, 도7참조)을 설치할 수 있다.
6 shows the connection of the
다음은 도9와 같이 코핑블록(200)과 기둥블록(130)간 연결부에 대한 것으로 연결부의 블록간 모양 및 연결방법은 상기의 타입B형 블록(130)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 9,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ping
도11의 (c)에서와 같이 블록간(130과 200) 연결은 연결부 확인 및 채움재 주입 작업이 가능하도록 코핑블록(200)과 기둥블록(130) 사이에 공간(205)을 확보하였다.As shown in FIG. 11C, the connection between the
도11은 코핑블록(200)의 상세도를 보여준다. 코핑블록 자체가 동바리 겸 거푸집 역할을 함과 동시에 코핑의 주부재 역할을 분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코핑 사전 제작시 코핑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제작하는데, 이때 나중에 현장 타설할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코핑 내부용 전단연결재(210, 철근)를 안쪽면에 설치하여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향후 철근망(220) 삽입시 코핑블록과 별도의 연결작업이 필요 없이 콘크리트만 타설하면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코핑블록이 구조적으로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상기의 목적은 크레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코핑블록의 자중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작업이 빠른 장점이 있다.FIG. 11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도10은 일주식 교각의 코핑블록(230)을 나타낸 것으로 블록(230)을 끼우고, 채움재를 채움으로서 완성한다. 교량받침의 지압을 받는 코핑으로서 손색이 없다.
10 shows a
다음은 도12와 같이 기둥블록(100, 130)과 기초(300)의 연결부에 대한 것으로, 먼저 기초를 현장타설하여 만드는데, 이때 기둥블록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기초(300) 상면에 구멍을 내어 기초를 만든다.
Next, as shown in FIG. 12, the
도13은 기초(300)와 기둥블록(100)간 전단마찰력을 키우고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직하중을 기초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기둥블록(100) 내부에는 지진 등에 대비하여 기둥블록과 기초와의 큰 강성차이를 줄이고자 콘크리트(302)를 타설하였는데, 수직하중은 기둥블록의 하단을 통하여도 기초에 전달되지만, 기둥블록 내부에 타설 된 콘크리트(302)를 통하여도 기초에 수직하중을 전달할 수 있게끔 전단연결재(123)를 설치하여 전단마찰력을 높였다.13 is a view for effectively transferring the vertical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foundation by increasing the shear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ase 300 and the
그리고 수직방향의 내부철근(301)은 기초에 매입된 철근으로서, 내부 콘크리트(302)를 통한 기둥블록과 기초와의 하중 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The vertical reinforcing
그리고 블록간 연결부에서 전단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코핑과 기둥,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기초를 연결시, 각각의 블록간 연결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단연결재(123)와 전단홈(114)을 설치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shear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locks, the
다음은 도14에 대한 설명이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FIG.
기초로부터 코핑까지 블록을 쌓아 나아갈 때, 시공 도중 발생치 모를 강한 풍하중 등 횡력에 대비하고, 블록간 연결부의 틈새에 채워진 채움재가 굳기 전까지 블록들이 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안전과 상관없이 시공중 상하블록간 임시고정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 이때 철근 양 끝에 나사가 나 있는 다수개의 임시고정철근(401)을 사용하여 임시 고정이 가능하다. 먼저 블록 사전 제작시 단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하블록과의 임시고정에 필요한 임시고정철근 삽입용 구멍(410)을 관통시킨다. 그리고 상블록과의 임시고정을 위하여는 블록의 위쪽 요철 아래면(420, 상블록 받침면, 단면A-A의 빗금친 면)에 연결철근(403)을 삽입하여 블록을 제작한다. 이후 현장에서 상기의 블록을 쌓는 방법은 기초에 설치된 연결철근(403)에 커플러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임시고정철근(401)을 수직으로 연결시킨다. 기둥블록내 삽입용 구멍(410)을 통하여 상기철근(401)이 관통되도록, 위에서 기둥블록을 끼운다. 블록을 관통하여 요철 아래면(420) 위로 나온 상기철근(401)을 너트(405)로 조여서 블록간 임시고정을 끝낸다. 블록간 틈새에 채움재를 채운다. 앞의 ,,,를 되풀이하여 다음 블록들을 쌓고, 조립식 교각을 완성시킨다.In order to prevent the blocks from moving in position until the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blocks is hardene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blocks from moving in position, Temporary fixing between upper and lower blocks may be necessary during construction. At this time, provisional fixing is possible by using a plurality of temporary fixing bars (401) having screws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First, the
상기에서 사용한 철근은 구조적 철근이 아니므로 삽입용 구멍(410)과 철근(401)의 빈 공간을 별도로 충진할 필요는 없으며, 임시고정을 위하여 몇 개 정도의 구멍(410)만 내면 충분하므로, 기둥이 받는 압축단면의 손실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Since the reinforcing bar used above is not a structural reinforcing bar,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fill the voids of the reinforcing
상기의 실시예는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위 설명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기둥블록
111 - 바깥돌기
112 - 안쪽돌기
113 - 채움재
114 - 전단홈
120 - 수직철근(주철근)
121 - 바깥수직철근
123 - 전단연결재
200 - 코핑블록
210 - 코핑 내부용 전단연결재
300 - 기초
401 - 임시고정철근
403 - 연결철근100 - Column block
111 - Outer projection
112 - Inward protrusion
113 - Filler
114 - Shear groove
120 - Vertical rebar (cast iron)
121 - Outer vertical reinforcement
123 - Shear connector
200 - coping block
210 - Coping internal shear connector
300 - Foundation
401 - Temporary Fixed Reinforcement
403 - Connecting bars
Claims (6)
상기 기둥블록(100)의 상단은 위쪽에 적층되는 기둥블록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기둥블록(100)의 하단 지름보다 더 큰 단면 크기를 가지는 바깥돌기(111)가 존재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둥블록(100)의 바깥돌기(111)의 측면방향 내면 및 바깥돌기(111)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기둥불록(100)의 하단 측면방향 외면에는 각각 돌출된 전단연결재(123) 또는 오목한 전단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쪽에 위치하게 될 상기둥블록을 인양하여, 상기둥블록의 하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기둥블록의 바깥돌기(111)로 둘러싸인 공간에 끼워지도록 상하 기둥블록을 적층하는 단계; 및
하기둥블록의 바깥돌기(111)로 둘러싸인 공간에 끼워진 상기둥블록의 하부와 하기둥블록의 바깥돌기 내면 사이의 틈새에 채움재를 채워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A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pier by piling up a plurality of column blocks 100,
The upper end of the column block 100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protrusion 111 having a sectional size larger than the lower end diameter of the column block 100 exists so that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block stacked on the upper side can be inserte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lumn block 100 inserted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rotrusion 111 of the column block 100 and the outer protrusion 111 is provided with a protruded shear connection member 123 or a concave shear A groove 114 is formed;
Stacking the upper and lower column blocks so as to fit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protrusion 111 of the lower row block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ow of the upper row block; And
And filling the gap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male block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rojection of the lower block into a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protrusion (111) of the lower block to cure the filler.
상기 기둥블록(100)의 하부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둥블록(100)의 상단에는, 위쪽에 적층되는 기둥블록의 중공 내부에 끼워지는 안쪽돌기(112)가 바깥돌기(111) 측면방향 내면으로부터 기둥블록의 하부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서, 기둥블록(100)의 상단은 안쪽돌기(112)와 바깥돌기(111) 사이의 간격에 오목한 삽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쪽돌기(112)의 측면방향 외면에도 각각 돌출된 전단연결재(123) 또는 오목한 전단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에서는, 하기둥블록의 안쪽돌기(112)의 외면과 상기둥블록의 하부 사이의 틈새에도 채움재를 채워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block 100 has a hollow cross section in which a hollow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block 100, inner protrusions 112 to be inserted into hollows of the column blocks stacked above are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lower thickness of the column blocks from the inner surfa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uter protrusions 111 The upper end of the pillar block 100 has a shape in which a concave insertion hole 110 is formed in an interval between the inner protrusion 112 and the outer protrusion 111;
A front end connecting member 123 or a concave front end groove 114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rotrusion 112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Wherein the fill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rotrusion (112) of the lower bloc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 and is hardened.
상하 기둥블록을 적층하고 채움재를 채워 경화시킨 단계 이후에,
내부가 비어 있고 하단에는 바깥돌기(111)로 둘러싸인 공간에 끼워지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비어 있는 내면에는 전단연결재가 돌출되어 있는 구성의 코핑블록(200)을, 적층된 최상위 위치의 기둥블록(100)의 상부에 위치시켜, 코핑블록(200)의 하단이 최상위 위치의 기둥블록(100)의 바깥돌기(111)로 둘러싸인 공간에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단계;
코핑블록(200)의 비어 있는 내부에 철근망(220)을 삽입 배치하는 단계; 및
코핑블록(2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망(220)이 매립되도록 코핑블록(200)의 내부를 채워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fter the upper and lower column blocks are laminated and filled with filler material and cured,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portion to be fitt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protrusion 111, The coping block 2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hear connection member is protruded on the empty inner surface is placed on the top of the column block 100 at the uppermost position stack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ping block 200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of the column block 100 The outer protrusion 111 of the outer case 111;
Inserting a reinforcing net (220) into the empty interior of the coping block (200);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lacing the concrete in the inside of the coping block (200) and filling the inside of the coping block (200) so that the reinforcing net (220) is embedded.
상하 기둥블록을 적층하는 단계에 앞서,
상면에 기둥블록(1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기초(300)를 제작하는 단계; 및
기초(300)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에 기둥블록(100)의 하단을 삽입하는 단계; 및
기초(300)에 설치된 기둥블록(1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300)와 기둥블록(100)을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Prior to the step of stacking the upper and lower column blocks,
Fabricating the foundation (300) with the pouring concrete so that a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pillar block (100)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block (100) into a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300);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tegrating the foundation (300) and the column block (100) by placing concrete in the column block (100) installed on the foundation (300).
상하 기둥블록을 적층하는 단계에 앞서, 상하 기둥블록에는 단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임시고정철근 삽입용 구멍(410)이 형성되어 있고;
바깥돌기(111)로 둘러싸인 공간에서의 수평한 바닥면(420)에는 연결철근(403)이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구비되어 있고;
상기둥블록의 하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기둥블록의 바깥돌기(111)로 둘러싸인 공간에 끼워지도록 상하 기둥블록을 적층할 때에는,
임시고정철근(401)의 하단을 하기둥블록의 바닥면(420)에 돌출되어 구비된 연결철근(403)과 커플러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임시고정철근(401)이 상기둥블록에 형성된 임시고정철근 삽입용 구멍(410)에 삽입되도록 상기둥블록을 하기둥블록 위에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둥블록에서 상단 위로 돌출된 임시고정철근(401)에 너트(405)를 조여서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적층된 상하 기둥블록을 임시 고정한 후에, 채움재를 채워 경화시킨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Prior to the step of stacking the upper and lower column blocks, the upper and lower column blocks are formed with holes 410 for inserting temporary fixing bar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ection;
A connection reinforcing bar 403 is fixedly installed on a horizontal bottom surface 420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protrusion 111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When the upper and lower pillar blocks are stack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block is fitted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protrusion 111 of the lower pillar block located at the lower side,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temporary fixing bar 401 with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403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420 of the lower block, using a coupler;
Stacking the temporary block on the lower block so that the temporary fixed block 401 is inserted into the temporary fixed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410 formed in the temporary block; And
A step of tightening the nut 405 to the temporarily fixed reinforcing bar 401 protruding from the upper block to the upper end to temporarily fix the stacked upper and lower column blocks and then filling and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of pi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678A KR101478131B1 (en) | 2013-03-06 | 2013-03-06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P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678A KR101478131B1 (en) | 2013-03-06 | 2013-03-06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P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587A KR20140109587A (en) | 2014-09-16 |
KR101478131B1 true KR101478131B1 (en) | 2014-12-31 |
Family
ID=5175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3678A KR101478131B1 (en) | 2013-03-06 | 2013-03-06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P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813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86405A (en) * | 2015-12-09 | 2016-03-09 | 北京工业大学 | Precast segment assembled concrete filled steel tube bridge pier based on bolted connection |
CN105735112A (en) * | 2016-04-14 | 2016-07-06 | 北京工业大学 | Bolt connection-based rapid assembling precast rectangular concrete filled steel tube bridge p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3057B1 (en) * | 2018-02-12 | 2020-08-10 |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A bolck-assembly type eco pillar debris barr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58155B1 (en) * | 2020-05-14 | 2020-09-21 | 주식회사 빌드윈 | Insert type precast concrete pier cap, pier structure with 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1851262B (en) * | 2020-07-15 | 2021-12-21 | 杭州舒睿嘉预制构件有限公司 | Assembled prefabricated component |
CN112030728A (en) * | 2020-08-26 | 2020-12-04 | 绍兴文理学院 | Prefabricated bridge pier connecting system of assembled beam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bridge pier connecting system |
KR102429105B1 (en) * | 2021-09-28 | 2022-08-05 | (주)렉스코 | Pier With Stress Reinforced Steel Composite Memb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575B1 (en) * | 2005-06-13 | 2006-11-10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cast column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20080057108A (en) * | 2006-12-19 | 2008-06-24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Assembling-type pier |
KR20100066691A (en) * | 2008-12-10 | 2010-06-18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Precasr pier unit for footing level control and pier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2013
- 2013-03-06 KR KR1020130023678A patent/KR1014781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575B1 (en) * | 2005-06-13 | 2006-11-10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cast column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20080057108A (en) * | 2006-12-19 | 2008-06-24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Assembling-type pier |
KR20100066691A (en) * | 2008-12-10 | 2010-06-18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Precasr pier unit for footing level control and pier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86405A (en) * | 2015-12-09 | 2016-03-09 | 北京工业大学 | Precast segment assembled concrete filled steel tube bridge pier based on bolted connection |
CN105735112A (en) * | 2016-04-14 | 2016-07-06 | 北京工业大学 | Bolt connection-based rapid assembling precast rectangular concrete filled steel tube bridge p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587A (en) | 2014-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8131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Pier | |
KR100713692B1 (en) | A prestresed connection set bridge post using unit filled concrete with internally confined hollow and a method for construction | |
KR101143310B1 (en) | Precast concrete segments for constructing bridge piers with elongated round holes surrounding reinforcing ba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325245B1 (en) | Bridge Post which is assembled by precasted units | |
CN109252727B (en) | Shock insulation layer rubber support, column, beam and plate system integrated assembly node and method | |
KR101903628B1 (en) | Precast Double Wall Structure with Enhanced Seismic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63557B1 (en) | Prefabricated hollow-segment type pier | |
KR101034185B1 (en) | Bridge for bike-lan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04040B1 (en) | precast concrete member and assembled concrete abutment of bridge | |
KR101328045B1 (en) |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using precast 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 | |
KR20020011706A (en) | Fabricated pier and Fabricated pier construction method | |
KR101458434B1 (en) |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prefabricated PC panel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20110239581A1 (en) | Precast Concrete to Foundation Connection | |
KR101186053B1 (en) | Method of Constructing Insitu Concrete Beam Using Preinstalled Precast Concrete Slab | |
KR101036177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using PRC integrating method | |
CN103967129B (en) | The coupled column assembled beam frame of built-in pipe high-strength concrete stem stem and constructional method thereof | |
CN215977351U (en) | Reinforced framework foundation structure and supporting mechanism | |
KR101458435B1 (en) |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197107B1 (en) | Slab unit implanted with means for pressing pile and the method for carrying out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 using it | |
KR100860592B1 (en) | Temporary system for vertical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at block | |
KR200213564Y1 (en) | Fabricated pier | |
KR100894650B1 (en) | Rahmen bridge with preflexion lo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
KR102213216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recast column structure and precast column structure | |
KR101482523B1 (en) |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2159092B1 (en) | Centrifugal casted rectangular PC column with hollow s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