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071B1 -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유닛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071B1
KR101477071B1 KR1020137009693A KR20137009693A KR101477071B1 KR 101477071 B1 KR101477071 B1 KR 101477071B1 KR 1020137009693 A KR1020137009693 A KR 1020137009693A KR 20137009693 A KR20137009693 A KR 20137009693A KR 101477071 B1 KR101477071 B1 KR 10147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overlapping
protocol
super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805A (ko
Inventor
다다시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38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469582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64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071B1/ko

Links

Images

Abstract

전송 유닛은,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하는 중첩 가능 기간이 상이한 고유의 프로토콜끼리 중복되지 않도록, 각 고유의 프로토콜에 각각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부는,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에 따라,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를 중첩 송신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통신 허가를 받고나서 단말기 간 통신을 개시한다. 이로써,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각각 조정부에 의해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에 중첩 신호가 중첩되도록 한 타이밍에서, 신호 송출부로부터 중첩 신호를 송출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유닛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은 전송 유닛으로부터 전송로에 반복 송출되는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와,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가 전송로에 접속되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송로에 대하여 전송 유닛(부모 기기) 및 복수대의 단말 장치(자식 기기)가 접속되고, 각 단말 장치와 전송 유닛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종류의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전송 유닛이 정기적으로 단말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단말 장치의 상태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 그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전송 유닛으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에 신호를 보내는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1180690호, 일본 특허공보 제1195362호, 및 일본 특허공보 제1144477호 공보).
단, 상기 구성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끼리가 항상 전송 유닛을 경유하여 통신을 행하고, 전송 유닛이 단말 장치에 대하여 폴링을 행하므로, 통신 속도가 느려, 예를 들면, 아날로그 양과 같이 비교적 데이터량이 많은 정보의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전송 유닛의 고장 시 등에 시스템 전체가 정지하기 때문에, 시스템으로서의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전송 유닛을 통하여 단말 장치끼리 통신을 행하는 이미 설치된 통신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끼리가 피어·투·피어(P2P)로 직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혼재시킨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25328호 참조).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 유닛(부모 기기)을 통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와, 서로 직접 통신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가 전송로를 공용하므로, 이미 설치된 통신 시스템에 중첩 통신 단말기를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전송 유닛으로부터 전송로에 반복 송출되는 전송 신호(제1 프로토콜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고, 중첩 통신 단말기는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제2 프로토콜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여기서,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기간으로 분할되고, 일부 기간이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기간으로서 할당되는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다. 즉, 중첩 통신 단말기(통신 장치)는, 전송 신호의 스테이트(state)를 해석하고, 전송 신호의 일부에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통신 적합 기간)에, 전송 신호와 공통의 전송로(신호선)를 통하여 전송되는 중첩 신호(패킷)를 사용하여 통신한다(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08/117722호 참조).
이 구성에 있어서는, 중첩 통신 단말기는,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이 1회의 중첩 가능 기간 내에 송신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송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로 분할하여 중첩 가능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즉, 전송 데이터가 복수의 중첩 가능 기간에 걸쳐 전송되게 되므로, 중첩 통신 단말기는,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아지면, 전송 신호의 1프레임으로는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고, 복수 프레임의 전송 신호에 걸쳐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마스터(master)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슬레이브(slave)로서의 다른 중첩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폴링을 행하고,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에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복수대 존재하는 경우, 마스터로서의 각 중첩 통신 단말기는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에 의해, 각각과 세트를 이루는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전송 신호의 중첩 가능 기간에 행해지므로, 마스터로서의 복수대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중첩 신호끼리의 충돌이 발생하고, 통신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라도 통신 에러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전송로에 전송 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전송 유닛과,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신호로서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송로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기간으로 분할되고, 일부 기간이 상기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기간이 되고, 나머지 기간이 상기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되지 않는 중첩 불가능 기간이 되는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이한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끼리 상기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하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 각각에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는, 전송 유닛이, 고유의 프로토콜 각각에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이한 고유의 프로토콜끼리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하는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라도 통신 에러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서의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와, 적어도 1개의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세트에 속하는 상기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에 따라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서의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 통신 허가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 허가를 받고나서 상기 단말기 간 통신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간 통신이 종료하면 종료 통지를 상기 조정부에 송신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종료 통지를 받고나서 다음의 상기 통신 허가를 송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중 1개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인터럽트 요구를 받으면, 상기 인터럽트 요구를 출력한 상기 1개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의 상기 통신 허가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서의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로의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사이의 동기를 취하는 동기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상기 조정부로부터 미리 수신한 상기 할당 정보와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각각의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에 할당된 상기 중첩 가능 기간에 상기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단말기 간 통신에 관한 통신 정보를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중 1개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하나의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를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에 송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하나의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기 하나의 고유의 프로토콜 다음에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이 할당되어 있는 상기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첩 신호의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은 3종류 이상 있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 종류의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중첩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에 송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에는, 변환처가 되는 고유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송 유닛은, 전송로에 전송 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전송 유닛과,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신호로서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송로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기간으로 분할되고, 일부 기간이 상기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기간이 되고, 나머지 기간이 상기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되지 않는 중첩 불가능 기간이 되는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고, 상이한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끼리 상기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하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 각각에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 전송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중 1개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하나의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를,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로 변환된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에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기술 및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한층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실시예 1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b는 실시예 1의 전송 유닛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c는 실시예 1의 중첩 통신 단말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전송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동작을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도 5a는 실시예 1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도 5b는 실시예 1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동작을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구성을 나타낸 전송 유닛의 개략 블록도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선식의 전송로(2)에 접속되는 전송 유닛(1)을 구비한 통신 시스템이다.
이 통신 시스템은 전송로(2)에 접속되고 전송 유닛(1)과 통신하는 복수대의 단말 장치(301, 302)와, 전송로(2)에 접속되고 서로 직접 통신하는 복수대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 411, 4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로(2)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송 신호와,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중첩 신호는 전송 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신호이다.
이하에서는, 각 단말 장치(301, 302)를 구별하지 않을 때는 이들을 일괄하여 단말 장치(3)라고 하고, 각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 411, 412)를 구별하지 않을 때는 이들을 일괄하여 중첩 통신 단말기(4)라고 한다. 도 1a의 예에서는 전송로(2)에는 단말 장치(3)가 2대, 중첩 통신 단말기(4)가 4대 접속되어 있지만, 단말 장치(3)는 3대 이상, 중첩 통신 단말기(4)는 5대 이상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대의 단말 장치(3)는 전송 유닛(1)에 대하여 전송로(2)를 통하여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전송 유닛(1) 및 단말 장치(3)는 전송 유닛(1)에서 단말 장치(3)로의 데이터 전송과 단말 장치(3)에서 전송 유닛(1)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시분할로 행해지는 시분할 다중 전송 시스템(이하, "기본 시스템"이라고 함)을 구축한다.
기본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장치(3)는, 스위치나 센서 등(도시하지 않음)을 부설한 감시 단말기와 부하(도시하지 않음)를 부설한 제어 단말기, 2종류로 분류된다. 이로써, 감시 단말기에 부설한 스위치나 센서 등으로부터의 감시 입력에 따라, 제어 단말기에 부설한 부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단말 장치(3)는 미리 할당된 자신의 어드레스를 각각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하고 있다.
감시 단말기는 감시 입력을 받으면 전송 유닛(1)에 대하여 감시 입력에 대응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 유닛(1)은, 제어 정보를 수취하면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감시 단말기과 대응되어 있는 제어 단말기를 향해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 단말기는 제어 정보를 수취하면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부하를 제어한다. 제어 정보는 스위치 등의 감시 입력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스위치 등의 감시 입력이 부하의 제어에 반영되게 된다.
전송 유닛(1)은 전송로(2)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기간으로 분할된 형식의 전압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시분할 방식의 전송 신호를 송신한다. 즉, 전송 신호는 예비 인터럽트 기간(31), 예비 기간(32), 송신 기간(33), 반송(返送) 기간(34), 인터럽트 기간(35), 단락(短絡) 검출 기간(36), 및 휴지 기간(37)으로 이루어지는 복극(複極)(±24V)의 시분할 다중 신호이다. 예비 인터럽트 기간(31)은 2차 인터럽트를 검출하기 위한 기간이고, 예비 기간(32)은 인터럽트 기간(35) 및 단락 검출 기간(36)에 맞추어 설정된 기간이며, 송신 기간(33)은 단말 장치(3)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간이다. 반송 기간(34)은 단말 장치(3)로부터의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time slot)이고, 인터럽트 기간(35)은 후술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기간이며, 단락 검출 기간(36)은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기간이다. 휴지 기간(37)은 처리가 그 시간에 끝나지 않을 때를 위한 기간이다. 전송 신호는 펄스열로 이루어지는 캐리어를 변조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이다.
전송 유닛(1)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로(2)에 접속되는 송신부(11) 및 수신부(12)와, 송신부(11) 및 수신부(12)에 접속된 전송 처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부(11)는 전송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수신부(12)는 전송 신호의 반송 기간(34)에 반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예비 인터럽트 기간(31)에 2차 인터럽트를 검출하거나, 인터럽트 기간(35)에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거나 한다. 전송 처리부(13)는 송신부(11) 및 수신부(12)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기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단말 장치(3)에서는, 전송로(2)를 통하여 수신한 전송 신호의 송신 기간(33)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데이터가 각각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전송 신호로부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입수한다. 또한, 단말 장치(3)는 전송 신호의 반송 기간(34)에 동기하여 제어 정보를 전류 모드의 신호(적당한 저임피던스를 통하여 전송로(2)를 단락함으로써 송출되는 신호)로서 반송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3)의 내부 회로의 전원은, 전송로(2)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정류하고 안정화시킴으로써 공급된다.
전송 유닛(1)은 평상시는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단말 장치(3)에 순차적으로 액세스하는 상시(常時) 폴링을 행한다. 상시 폴링 시에는,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데이터가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한 단말 장치(3)는, 전송 신호에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 정보를 입수하여 동작하고, 자신의 동작 상태를 전송 유닛(1)에 반송한다.
또한, 전송 유닛(1)은, 어느 하나의 감시 단말기(단말 장치(3))에 있어서 스위치 등의 감시 입력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단말 장치(3)를 검색하고, 그 단말 장치(3)에 액세스하여 인터럽트 폴링도 행한다.
즉, 전송 유닛(1)은, 평상시는 모드 데이터를 통상 모드로 한 전송 신호를 송출하고, 감시 단말기(단말 장치(3))에 의해 발생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 신호의 인터럽트 기간(35)에 동기하여 검출하면, 모드 데이터를 인터럽트 폴링 모드로 한 전송 신호를 송출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단말 장치(3)는, 인터럽트 폴링 모드의 전송 신호의 어드레스 데이터의 상위 비트가 자신의 어드레스의 상위 비트와 일치하면, 그 전송 신호의 반송 기간(34)에 동기하여 자신의 어드레스의 하위 비트를 반송 데이터로서 반송한다. 이로써, 전송 유닛(1)에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단말 장치(3)의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단말 장치(3)의 어드레스가 전송 유닛(1)에 의해 취득되면, 전송 유닛(1)은 그 단말 장치(3)에 대하여 제어 정보의 반송을 요구하는 전송 신호를 송출하고, 단말 장치(3)는 스위치 등의 감시 입력에 대응한 제어 정보를 전송 유닛(1)에 반송한다. 전송 유닛(1)은 제어 정보를 수취하면, 해당하는 단말 장치(3)의 감시 입력을 클리어하도록 지시를 주고, 그 단말 장치(3)에서는 감시 입력의 클리어를 반송한다.
제어 정보를 수취한 전송 유닛(1)은, 그 제어 정보의 발신원의 단말 장치(감시 단말기)(3)와 어드레스의 대응 관계에 의해 대응되어 있는 단말 장치(제어 단말기)(3)에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전송 유닛(1)은 이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전송로(2)에 송출하여, 단말 장치(제어 단말기)(3)에 부설한 부하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 시스템에서는, 폴링·셀렉팅(selecting)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 유닛(1)을 통하여 단말 장치(감시 단말기, 제어 단말기)(3)끼리 통신을 행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대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상기 기본 시스템과 전송로(2)를 공용하면서,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로(2)에 접속된 복수대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 411, 412) 중,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가 마스터로서 기능하고, 나머지의 중첩 통신 단말기(402, 412)가 슬레이브로서 기능한다.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와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2)는 세트를 이루고,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중첩 신호에 의해 서로 통신한다. 한편,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11)와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12)는 세트를 이루고, 제1 프로토콜과는 다른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중첩 신호에 의해 서로 통신한다. 이하에서는,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끼리, 각각에 고유한 프로토콜(제1 프로토콜 또는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행하는 통신을, 단말기 간 통신이라고 한다.
마스터로서의 각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는, 각각과 세트를 이루는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2, 412)에 대하여 중첩 신호를 송신하여 폴링을 행하고, 이 폴링에 대한 응답으로서 중첩 통신 단말기(402, 412)로부터 각각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 각각과 세트를 이루는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복수대씩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는, 각각과 세트를 이루는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폴링을 행한다.
여기서,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에는 감시 장치(6)가 각각 접속되고,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2, 412)에는 피감시 기기(7)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피감시 기기(7)는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에서 전송되는 감시 정보를 중첩 통신 단말기(402, 412)에 출력하고, 감시 장치(6)는 상기 감시 정보를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로부터 취득한다. 피감시 기기(7)나 감시 장치(6)는, 정기적으로 통신을 행함으로써 중첩 통신 단말기(4)와 데이터의 수수(授受)를 행한다.
즉, 전송로(2)를 통한 통신(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것은 중첩 통신 단말기(4)이지만, 전송하는 데이터(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피감시 기기(7)이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은 감시 장치(6)이다. 여기에, 중첩 통신 단말기(4)는, 각각에 접속된 피감시 기기(7) 또는 감시 장치(6)로부터의 데이터를 변환하고 전송로(2) 상에 송출함으로써 통신을 행하는 어댑터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피감시 기기(7)가 출력하는 감시 정보에는, 예를 들면,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이나, 온도·습도 등의 정보가 있다. 여기서는, 중첩 통신 단말기(402)에 접속된 피감시 기기(7)는 소비 전력을 계측하고, 중첩 통신 단말기(412)에 접속된 피감시 기기(7)는 온도·습도를 계측하여, 각각의 계측 결과를 감시 정보로서 중첩 통신 단말기(4)를 경유하여 감시 장치(6)에 출력한다.
중첩 통신 단말기(4)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로(2)에 접속되는 신호 송출부(41) 및 신호 수신부(42)와, 신호 송출부(41) 및 신호 수신부(42)에 접속된 처리부(43)와, 처리부(43)에 접속된 인터페이스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송출부(41)는 중첩 신호의 송출을 행하고, 신호 수신부(42)는 중첩 신호의 수신을 행한다. 인터페이스부(44)는 감시 장치(6) 또는 피감시 기기(7)에 접속된다.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2, 412)에 있어서는, 처리부(43)는 인터페이스부(44)를 통하여 피감시 기기(7)로부터 감시 정보를 취득하고, 이 감시 정보를 중첩 신호에 의해 신호 송출부(41)로부터 전송로(2)에 송출한다.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에 있어서는, 처리부(43)는 신호 수신부(42)가 수신한 중첩 신호로부터 감시 정보를 취득하고, 이 감시 정보를 감시 장치(6)에 인터페이스부(44)를 통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중첩 통신 단말기(4)는 다른 중첩 통신 단말기(4)에 전송해야 할 데이터를 포함한 패킷을 전송로(2)에 송출하고, 또한 다른 중첩 통신 단말기(4)가 송신한 패킷을 수신한다.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은, 전송 유닛(1)으로부터 송출되고 있는 전송 신호에 중첩된다. 요컨대, 단말 장치(3)끼리의 통신은 전송 유닛(1)을 경유하여 행해지는 것에 대하여, 중첩 통신 단말기(4)끼리의 단말기 간 통신은 전송 유닛(1)을 경유하지 않고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에서 직접 행해진다. 그러므로, 중첩 통신 단말기(4)끼리의 단말기 간 통신은, 단말 장치(3)끼리의 통신에 비해 통신 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아날로그 양(소비 전력 등)과 같이 비교적 데이터량이 많은 정보의 전송에 적합하다.
또한, 중첩 통신 단말기(4)는, 기본 시스템의 전송 유닛(1)과 단말 장치(3) 사이에서 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감시하는 신호 감시부(45)(도 1c) 참조)를 구비하고, 신호 감시부(45)에서는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전송 상황(이하, "스테이트"라고 함)을 해석한다. 신호 송출부(41)는 신호 감시부(45)에 의해 해석된 스테이트가 중첩 신호의 중첩에 적절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전송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한 타이밍에서 중첩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전송 신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 포맷을 채용하고 있다. 예비 인터럽트 기간(31)이나 예비 기간(32)이나 휴지 기간(37)은, 중첩 신호가 중첩되어도 전송 신호에 의한 통신에 영향이 없고, 중첩 신호에 의한 단말기 간 통신 도 전송 신호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으므로,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기간(이하, "중첩 가능 기간"이라고 함)이 된다.
그 외의 기간(송신 기간(33)과 반송 기간(34)과 인터럽트 기간(35)과 단락 검출 기간(36))은, 전송 신호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로 안정되어 있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중첩 신호가 중첩되면 전송 신호에 의한 통신에 영향을 주기 쉽다. 또한, 상기 다른 기간에 중첩 신호가 중첩되면 중첩 신호에 의한 단말기 간 통신도 전송 유닛(1)과 단말 장치(3) 사이에서 수수되는 신호(인터럽트 신호나 반송 데이터)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므로, 상기 다른 기간은, 중첩 신호의 중첩에는 사용되지 않는 기간(이하, "중첩 불가능 기간"이라고 함)이 된다.
또한, 전송 신호의 상승 및 하강 기간도, 고조파 노이즈의 영향이나 신호의 전압 반전에 따른 과도 응답의 영향 등에 의해, 중첩 신호를 중첩되는 데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전송 신호는, 예비 인터럽트 기간(31)과 예비 기간(32)과 휴지 기간(37) 중에서도, 기간의 전환(상승 또는 하강) 후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0μs)에 대해서는, 중첩 불가능 기간이 된다.
그래서, 신호 송출부(41)는 전송 신호의 스테이트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중첩 가능 기간인지 중첩 불가능 기간인지의 판정을 행하고, 중첩 가능 기간이라고 판정했을 때에 한해 중첩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첩 통신 단말기(4)는, 이와 같이 전송 신호에 동기시켜 전송 신호의 중첩 가능 기간에만 중첩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공통의 전송로(2)를 사용하는 전송 신호에 의한 통신과 중첩 신호에 의한 단말기 간 통신의 간섭을 회피한다.
여기서, 중첩 통신 단말기(4)는,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아 한 번의 중첩 가능 기간 내에 송신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중첩 가능 기간의 종료에 맞추어 단말기 간 통신을 중단하고, 다음번의 중첩 가능 기간에 나머지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중첩 통신 단말기(4)의 각 부로의 전원 공급은, 기본 시스템의 단말 장치(3)와 마찬가지로 전송 유닛(1)으로부터 전송로(2)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정류하고 안정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방식(집중 급전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중첩 통신 단말기(4)의 각 부로의 전원 공급은,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안정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방식(로컬 급전 방식)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가 복수대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마스터로서의 각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는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에 의해, 각각과 세트를 이루는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2, 412)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게 된다. 중첩 신호의 송출 및 수신에 사용되는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의 고유의 프로토콜은, 각 중첩 통신 단말기(4)의 기억부(46)(도 1c 참조)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단, 프로토콜의 상이한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각각 독립적으로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고 있으면, 프로토콜이 상이한 중첩 신호끼리 사용하는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된 경우에, 중첩 신호끼리의 충돌이 발생하여 통신 에러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유닛(1)이, 상이한 프로토콜끼리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하는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각 프로토콜에 각각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조정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송 유닛(1)은 전송로(2)에 접속되고 중첩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중첩 송신부(15)와, 전송로(2)에 접속되고 중첩 신호의 수신을 행하는 중첩 수신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부(14)는 중첩 송신부(15)와 중첩 수신부(16)와 전송 처리부(13)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각 중첩 통신 단말기(4)는, 각각에 고유한 프로토콜에 조정부(14)에 의해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에 중첩 신호가 중첩되도록 한 타이밍에서, 신호 송출부(41)로부터 중첩 신호를 송출한다. 요컨대, 각 중첩 통신 단말기(4)는, 각각의 기억부(46)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의 중첩을, 조정부(14)에 의해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에 행하게 된다.
이하, 조정부(14)에 의한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정부(14)는, 전송 신호의 1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하는 중첩 가능 기간(예비 인터럽트 기간(31)과 예비 기간(32)과 휴지 기간(37))을 할당한다. 여기에서는, 전송 신호는 예비 인터럽트 기간(31)에서부터 휴지 기간(37)까지를 1프레임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부(14)가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에 교대로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조정부(14)는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에 따라,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에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를 중첩 송신부(15)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중첩 통신 단말기(4)는 통신 허가를 받고나서 단말기 간 통신을 개시한다. 즉, 중첩 통신 단말기(4)는 조정부(14)로부터 통신 허가가 나올 때까지는,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일은 없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도 3의 흐름도에 따라 동작한다. 즉, 통신 시스템이 기동 하면(S1), 조정부(14)는 먼저,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에 대하여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를 낸다(S2). 통신 허가를 받은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는,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경우(S3: Yes), 개시 통지를 조정부(14)에 송신하고(S4), 단말기 간 통신을 개시한다(S5).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는 단말기 간 통신을 종료하면, 조정부(14)에 종료 통지를 송신한다(S6).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로부터 종료 통지를 받으면, 다음의 통신 허가, 즉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를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에 대하여 출력한다(S7). 또한,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가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S3: No), 즉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로부터 개시 통지의 회신이 없었던 경우에도,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에 통신 허가를 낸다(S7).
통신 허가를 받은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는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경우(S8: Yes), 개시 통지를 조정부(14)에 송신하고(S9), 단말기 간 통신을 개시한다(S10).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는 단말기 간 통신을 종료하면, 조정부(14)에 종료 통지를 송신한다(S11).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로부터 종료 통지를 받으면, 다음의 통신 허가, 즉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에 통신 허가를 내는 처리 S2로 돌아간다. 또한,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가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S8: No), 즉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로부터 개시 통지의 회신이 없었던 경우에도, 조정부(14)는 처리 S2로 돌아간다.
그리고, 전송 유닛(1)과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의 통신 허가, 개시 통지, 종료 통지의 교환은, 중첩 송신부(15)와 신호 수신부(42) 사이, 또는 중첩 수신부(16)와 신호 송출부(41) 사이에서, 전송 신호의 중첩 가능 기간에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전송 유닛(1)과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의 교환은, 각 중첩 통신 단말기(4)에 고유한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이루어져도 되고, 통신 시스템 내의 모든 중첩 통신 단말기(4)에 공통인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이루어져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부(14)가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에 교대로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함으로써, 전송 신호와 중첩 신호와의 관계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4에서는, 전송 신호의 신호 파형을 상단에 나타내고,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의 내용을 하단에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전송 신호의 제1 프레임(F1)에 있어서, 조정부(14)로부터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가 행해지고, 제2 프레임(F2)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 통지가 행해지고 있다.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는 제3, 제4 프레임(F3, F4)의 중첩 가능 기간에,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고, 제5 프레임(F5)에는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통지를 송신하고 있다.
도 4의 전송 신호의 제6 프레임(F6)에 있어서는, 조정부(14)로부터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가 행해지고, 제7 프레임(F7)에 있어서,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 통지가 행해지고 있다.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는, 제8 프레임(F8)의 중첩 가능 기간에,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고, 제9 프레임(F9)에는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통지를 송신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음의 제10 프레임(F10)에는, 조정부(14)로부터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가 행해지고 있다.
단, 도 4의 예에서는, 제11 프레임(F11)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 통지의 회신이 없다. 그러므로, 조정부(14)는 제12 프레임(F12)에는,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4의 예에서는,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와,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에, 단말기 간 통신의 기회가 교대로 주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송 유닛(1)과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의 통신 허가, 개시 통지, 종료 통지의 교환은, 도 4의 예와 같이 각각 전송 신호의 1프레임을 전유(專有)하여 행해져도 되고, 1프레임 내의 중첩 가능 기간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행해져도 된다. 후자의 경우, 중첩 통신 단말기(4)는, 통신 허가, 개시 통지, 종료 통지의 교환과 동일한 프레임 내이더라도, 비어 있는 중첩 가능 기간에는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부(14)는, 각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의 기회가 거의 평등하게 부여되도록, 프로토콜이 상이한 중첩 통신 단말기(4)의 세트 수에 따라 자동으로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즉, 조정부(14)는, 전송로(2)에 접속되어 있는 중첩 통신 단말기(4)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미리 취득하고, 이들의 프로토콜에 중첩 가능 기간이 거의 평등하게 할당되도록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1, 제2 프로토콜에 더하여, 제3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조정부(4)는,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제3 프로토콜의 순서로 통신 허가를 내고, 단말기 간 통신의 기회를 부여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의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전송 유닛(1)이, 각 프로토콜에 각각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조정부(1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중첩 신호끼리 사용하는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면서도, 조정부(14)에 의해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에 각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이 행함으로써, 중첩 신호끼리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라도, 통신 에러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전송 유닛(1)은,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조정부(14)에 의해 일원적으로 행하고 있으므로,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가 많아져도, 상이한 프로토콜끼리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 2종류의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가 혼재한 통신 시스템을 예시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3종류 이상의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가 혼재한 통신 시스템에서도, 충돌의 발생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조정부(14)는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에 따라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에 통신 허가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있으므로, 중첩 통신 단말기(4)는, 이 통신 허가를 받고나서 단말기 간 통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만으로, 중첩 신호끼리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중첩 통신 단말기(4)는, 조정부(14)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통신 허가에 따라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것 뿐인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른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와의 단말기 간 통신의 타이밍을 변화(shift)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로부터 단말기 간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통지를 받고나서 다음의 통신 허가를 송신하므로, 프로토콜마다 단말기 간 통신에 필요한 시간이 상이한 경우라도, 각각의 단말기 간 통신이 종료하는 것을 기다려 다음의 통신 허가를 낼 수가 있다. 따라서,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과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과의 시간 간격을 짧게 억제하면서도, 중첩 신호끼리의 충돌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조정부(14)는, 통신 허가를 낸 중첩 통신 단말기(4)로부터 단말기 간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 통지의 회신이 없는 경우에도, 다음의 통신 허가를 송신하므로,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지 않는 중첩 통신 단말기(4)를 건너뛰고 중첩 가능 기간을 유효하게 할당할 수 있다.
그런데,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로부터의 인터럽트 요구를 받으면, 이 인터럽트 요구를 낸 중첩 통신 단말기(4)로의 통신 허가를, 다른 중첩 통신 단말기(4)로의 통신 허가보다 우선하여 송신하도록 인터럽트 기능이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인터럽트 기능이 부가된 조정부(14)의 동작을, 도 5a 및 도 5b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조정부(14)는 원래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신호의 중첩 가능 기간을 3프레임씩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에 교대로 할당하고 있다. 여기서, 도 5a의 예에서는,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 각각과 세트를 이루는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2대씩 설치되고, 각 중첩 통신 단말기(401, 411)는, 각각과 세트를 이루는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폴링을 행한다. 그리고, 이하,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와 세트를 이루는 2개의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를 제1 및 제2 슬레이브(도시하지 않음)라고 하고,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11)와 세트를 이루는 2개의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를 제3 및 제4 슬레이브(도시하지 않음)라고 하여 설명한다.
즉, 중첩 통신 단말기(401)는, 제1 프로토콜에 할당된 중첩 통신 단말기 중 제1∼제3, 제13 ∼15프레임(F1∼F3, F13∼F15)에 제1 슬레이브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고, 제7∼제9 프레임(F7∼F9)에 제2 슬레이브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한다. 중첩 통신 단말기(411)는 제2 프로토콜에 할당된 중첩 통신 단말기 중 제4∼제6 프레임(F4∼F6)에 제3 슬레이브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고, 제10∼제12 프레임(F10∼F12)에 제4 슬레이브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한다.
도 5b에서는, 도 5a의 예에서 중첩 통신 단말기(401)와 제1 슬레이브와의 단말기 간 통신 중에 있는 제3 프레임(F3)에, 중첩 통신 단말기(401)와 세트를 이루는 제2 슬레이브로부터 인터럽트 요구가 있었을 경우를 예로 나타낸다. 여기서, 인터럽트 요구는 전송 신호의 인터럽트 기간(35)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에 의해 행해지고, 적어도 조정부(14)가 송신원의 중첩 통신 단말기(4)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5b에서는, 전송 신호에 중첩된 중첩 신호를 "P"로 나타내고 있다.
도 5b와 같이 제3 프레임에 제2 슬레이브로부터 인터럽트 요구가 있으면, 조정부(14)는, 다음의 프레임(제4 프레임(F4))에 의해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를 낸다. 요컨대, 조정부(14)는 본래라면 제4 프레임(F4)에는 중첩 통신 단말기(4)에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를 내는 상황에, 중첩 통신 단말기(4)에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을 허가하는 통신 허가를 낸다.
이로써, 인터럽트 요구를 낸 제2 슬레이브는, 제4 프레임(F4) 이후,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와 단말기 간 통신이 가능해진다. 제4∼제6 프레임(F4∼F6)에 중첩 통신 단말기(401)와 제2 슬레이브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한 후는, 조정부(14)는, 인터럽트 요구가 발생하기 전의 상태에서부터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재개한다. 즉, 제7∼제9 프레임(F7∼F9)에는 중첩 통신 단말기(411)가 제3 슬레이브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고, 제10∼제12 프레임(F10∼F12)에는 중첩 통신 단말기(401)가 제2 슬레이브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정부(14)에 인터럽트 기능이 부가된 구성에 의하면, 중첩 통신 단말기(4)는, 통상 시에는 조정부(14)에 의해 결정된 할당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면서도, 인터럽트 요구를 출력함으로써 우선적으로 통신 허가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중첩 통신 단말기(4)는, 예를 들면,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조속히 행할 필요가 생긴 그런 경우에, 조정부(14)로부터 통신 허가를 우선적으로 송신 받아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조정부(14)에 의한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 방법이 실시예 1의 통신 시스템과는 상위하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에 통신 허가를 순차적으로 송신하여 할당을 행하였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에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중첩 통신 단말기(4)에 미리 송신함으로써 할당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조정부(14)는, 통신 시스템의 기동 후의 소정의 설정 기간에, 각 프로토콜에의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하고, 이 할당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모든 중첩 통신 단말기(4)에 송신한다. 여기서 말하는 할당 정보는, 적어도 그 정보의 송신처가 되는 중첩 통신 단말기(4)에 고유한 프로토콜에의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그 정보의 송신처를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에의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나타낸 정보라도 된다. 중첩 통신 단말기(4)는, 수신한 할당 정보를 기억부(46)에 기억한다.
또한, 조정부(14)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든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중첩 통신 단말기(4)는, 동기 신호로와 동기를 취함으로써, 미리 수신한 할당 정보에 따라, 각각에 고유한 프로토콜에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의 타이밍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이 타이밍에서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전송 유닛(1)과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의 할당 정보, 동기 신호의 교환은, 중첩 송신부(15)와 신호 수신부(42) 사이에서, 전송 신호의 중첩 가능 기간에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조정부(14)는 각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단말기 간 통신의 기회가 거의 평등하게 부여되도록 할당을 결정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할당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와의 통신에 의해 중첩 통신 단말기(4)로부터 수집되는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통신 정보는,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에 고유한 프로토콜에 따른 단말기 간 통신에 관한 정보이며, 예를 들면, 단말기 간 통신에 의해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에서 수수되는 데이터량이나, 단말기 간 통신의 빈도 등이 있다.
그리고, 전송 유닛(1)과 중첩 통신 단말기(4) 사이의 통신 정보의 교환은, 중첩 송신부(15)와 신호 수신부(42) 사이, 또는 중첩 수신부(16)와 신호 송출부(41) 사이에서, 전송 신호의 중첩 가능 기간에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조정부(14)는, 통신 시스템의 기동 후에 송신되는 전송 신호의 최초의 1프레임의 중첩 가능 기간에, 통신 시스템 내의 각 중첩 통신 단말기(4)와 통신을 행하고, 통신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는, 조정부(14)는,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각각에 고유한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수수하는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즉, 조정부(14)는,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각각에 고유한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수수하는 데이터량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량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 사이에서 수수되는 데이터량과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 사이에서 수수되는 데이터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 사이에서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이,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 사이에서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경우를 예로 나타낸다. 이 경우, 조정부(14)는, 데이터량이 많은 제2 프로토콜에는 상대적으로 긴 중첩 가능 기간이 우선적으로 할당되도록,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이로써, 중첩 통신 단말기(4)는, 각각의 수수하는 데이터량에 적절한 길이의 중첩 가능 기간에 중첩 신호에 의한 통신이 가능해지고, 통신 시스템 전체로서 순조로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예로서, 조정부(14)는,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각각에 고유한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빈도에 기초하여,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즉, 조정부(14)는,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각각에 고유한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빈도로 이루어지는 통신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 빈도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는 빈도와,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는 빈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 사이에서의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통신은 1분 간격으로 행해지고,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 사이에서의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한 통신은 1시간 간격으로 행해지는 경우를 예로 나타낸다. 이 경우, 조정부(14)는, 통신 빈도가 높은 제1 프로토콜에는 중첩 가능 기간이 우선적으로 할당되도록,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한다. 이로써, 중첩 통신 단말기(4)는, 각각의 통신 빈도에 적절한 타이밍의 중첩 가능 기간에 중첩 신호에 의한 통신이 가능해지고, 통신 시스템 전체로서 순조로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도 6의 흐름도에 따라 동작한다. 즉, 통신 시스템이 기동하면(S21), 조정부(14)는, 설정 기간에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와 통신하고,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에 관한 통신 정보를 취득한다(S22). 또한,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와 통신하고,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에 관한 통신 정보를 취득한다(S23).
그리고, 조정부(14)는 수집한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당 각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시간과 타이밍을 결정하고,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S24). 할당이 결정되면, 조정부(14)는 생성한 할당 정보를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에 송신하고(S25), 또한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에 할당 정보를 송신한다(S26).
그 후, 설정 기간이 종료하면, 조정부(14)는 정기적으로 동기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S27). 중첩 통신 단말기(4)는, 조정부(14)로부터 미리 수신한 할당 정보와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동기 신호에 따라, 각각에 고유한 프로토콜에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에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한다(S28).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부(14)가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에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함으로써, 전송 신호와 중첩 신호의 관계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7에서는, 전송 신호의 신호 파형을 상단에 나타내고,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의 내용을 하단에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는, 전송 유닛(1)은, 프레임 주기(T0)가 20ms, 1프레임에 포함되는 중첩 가능 기간에는 중첩 신호에 의해 15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며, 단위 시간(T1=1s) 동안에 50프레임(F1∼F50)의 전송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여기서, 중첩 통신 단말기(4)가,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1초에 1회의 통신 빈도로 행하고, 매회 15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2초에 1회의 통신 빈도로 행하고, 매회 15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7의 예에서는, 할당 정보에 있어서, 1초(=단위 시간 T1)마다 전송 신호의 제2 프레임(F2)이 제1 프로토콜에 할당되고, 2초마다 제50 프레임(F50)가 제2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조정부(14)는, 1초(=단위 시간 T1)마다 제1 프레임 (F1)에 의해 동기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는, 동기 신호에 의해 단위 시간(T1)의 동기를 취하면서, 미리 수신한 할당 정보에 따라, 1초마다 전송 신호의 제2 프레임(F2)의 중첩 가능 기간에,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게 된다. 또한,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는, 동기 신호에 의해 단위 시간(T1)의 동기를 취하면서, 미리 수신한 할당 정보에 따라, 2초마다 전송 신호의 제50 프레임(F50)의 중첩 가능 기간에,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조정부(14)는 중첩 통신 단말기(4)에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중첩 통신 단말기(4)에 미리 송신함으로써 할당을 행하므로, 중첩 가능 기간을 단말기 간 통신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실시예 1의 구성에서는, 중첩 통신 단말기(4)가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할 때마다 통신 허가의 송신에 중첩 가능 기간의 일부가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 부분의 중첩 가능 기간도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기 간 통신의 통신 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부(14)는, 전송 신호의 1프레임 내의 각 기간(예비 인터럽트 기간(31), 예비 기간(32), 휴지 기간(37))을 단위로 하여,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하는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 조정부(14)는, 예를 들면, 전송 신호의 예비 인터럽트 기간(31)과 예비 기간(32)은 제1 프로토콜에 할당하고, 휴지 기간(37)은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에 할당한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정부(14)가 전송 신호의 1프레임 내의 각 기간을 단위로 하여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면, 복수의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에 의한 단말기 간 통신이 비교적 짧은 스팬(span)으로 가능하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실시예 1과 같다.
그리고, 조정부(14)가 중첩 통신 단말기(4)로부터 수집한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조정부(14)가 중첩 통신 단말기(4)에 통신 허가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할당을 행하는 실시예 1의 구성과 조합되어도 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유닛(1)이, 하나의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다른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17)를 구비하는 점이 실시예 1의 통신 시스템과 상위하다.
프로토콜 변환부(17)는, 전송 처리부(13)와 조정부(14)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중첩 수신부(16)가 수신한 중첩 신호를 조정부(14)를 경유하여 취득하고, 프로토콜 변환 후의 중첩 신호를 조정부(14)를 경유하여 중첩 송신부(15)로부터 전송로(2)에 송출한다. 이로써, 동일한 전송로(2) 상에 프로토콜의 상이한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프로토콜의 상이한 중첩 통신 단말기(4)끼리 프로토콜 변환부(17)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해진다.
즉,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와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사용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는 직접 통신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프로토콜 변환부(17)를 개입시킴으로써 서로 통신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01)는 전송 유닛(1)을 통하여 다른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411)와 통신함으로써, 이 중첩 통신 단말기(411)를 경유하여 중첩 통신 단말기(412)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로토콜 변환부(17)에 의해 프로토콜이 변환된 중첩 신호를 전송로(2)에 송출할 때, 조정부(14)는, 전송 신호 중 변환 후의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는 중첩 가능 기간에 중첩 신호가 중첩되도록, 중첩 신호의 송출 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프로토콜 변환부(17)가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로 변환한 경우, 조정부(14)는 제2 프로토콜에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에 맞추어 프로토콜 변환 후의 중첩 신호를 송출한다. 이로써, 전송 유닛(1)은, 프로토콜이 상이한 중첩 통신 단말기(4)끼리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중첩 신호끼리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토콜 변환부(17)는, 상이한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을 가지고 있고, 이 변환 테이블에 따라 프로토콜을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토콜 변환부(17)는, 중첩 수신부(16)가 수신한 하나의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조정부(14)에 의해 상기 하나의 프로토콜의 다음에, 중첩 가능 기간이 할당되어 있는 다른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조정부(14)가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에 교대로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고 있는 경우, 프로토콜 변환부(17)는 제1 프로토콜을 제2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제2 프로토콜을 제1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이하, 상기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가 행하는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이 전력 계측에 사용되고,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가 행하는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이 조명 기구의 조광 제어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한다.
이 경우, 중첩 통신 단말기(402)에 접속된 피감시 기기(7)가 계측한 소비 전력은, 제1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에 의해 중첩 통신 단말기(401)에 송신되고, 또한, 프로토콜 변환부(17)에 의해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로 변환되어 중첩 통신 단말기(411)에도 송신된다. 중첩 통신 단말기(411)에 접속된 감시 장치(6)는, 상기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의 조광 레벨을 결정하고, 이 조광 레벨을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에 의해 중첩 통신 단말기(411)로부터, 중첩 통신 단말기(412)에 송신한다. 이로써,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으로 교환되는 정보(소비 전력)가,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으로 교환되는 정보(조광 레벨)에 반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프로토콜이 상이한 중첩 통신 단말기(4)끼리 프로토콜 변환부(17)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해지므로, 프로토콜이 상이한 중첩 통신 단말기(4)에 접속된 감시 장치(6)와 피감시 기기(7)의 제휴 동작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기기를 동일한 전송로(2)에 중첩 통신 단말기(4)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어 기기 사이의 제휴를 행함으로써, 시스템의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중첩 신호의 프로토콜이 3종류 이상 있는 경우, 프로토콜 변환부(17)는, 중첩 수신부(16)가 수신한 복수 종류의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그 중첩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부가 정보는, 제어 정보나 우선 정보, 긴급 정보 등, 중첩 신호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제3 프로토콜에 대하여 순차로 중첩 가능 기간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통상, 프로토콜 변환부(17)는 제1 프로토콜을 제2 프로토콜로, 제2 프로토콜을 제3 프로토콜로, 제3 프로토콜을 제1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한편, 프로토콜 변환부(17)는, 제1 및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에 제3 프로토콜과의 제휴를 필요로 하는 부가 정보가 부가되어 있을 때는, 제1 및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에 기초하여 제3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를 생성한다.
이하, 상기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중첩 통신 단말기(411, 412)가 행하는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이 테이블 상면의 조도 계측에 사용되고, 다른 중첩 통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가 행하는 제3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이 조명 기구의 조광 제어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한다. 또한, 중첩 통신 단말기(401, 402)가 행하는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은,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전력 계측에 사용된다.
이 경우, 중첩 통신 단말기(402)에 접속된 피감시 기기(7)가 계측한 소비 전력은 제1 프로토콜에 의해 중첩 통신 단말기(401)에 송신되고, 중첩 통신 단말기(412)에 접속된 피감시 기기(7)가 계측한 조도는 제2 프로토콜에 의해 중첩 통신 단말기(411)에 송신된다. 이들 제1 및 제2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는, 변환처가 되는 제3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가 부가되어 있고, 프로토콜 변환부(17)에 의해 제3 프로토콜의 중첩 신호로 변환되어, 제3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중첩 통신 단말기에도 송신된다.
제3 프로토콜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 접속된 감시 장치(6)는, 상기 소비 전력 및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의 조광 레벨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감시 장치(6)는, 소비 전력이 크고 조도가 높은 경우에 조광 레벨을 낮추고, 소비 전력이 크고 조도가 낮은 경우에는 조광 레벨을 유지한다. 또한, 감시 장치(6)는 소비 전력이 작고 조도가 낮은 경우에 조광 레벨을 유지하고, 소비 전력이 작고 조도가 작은 경우에는 조광 레벨을 올린다. 이로써, 제1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으로 교환되는 정보(소비 전력) 및 제2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으로 교환되는 정보(조도)가, 제3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으로 교환되는 정보(조광 레벨)에 반영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로토콜 변환부(17)는, 중첩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토콜의 변환처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어 긴급성을 가지는 데이터 등을 다른 프로토콜의 단말기 간 통신 보다 우선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실시예 1과 같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구성은 실시예 2의 구성과 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의 본래의 정신 및 범위, 즉 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전송로에 전송 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전송 유닛과,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신호로서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송로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기간으로 분할되고, 일부 기간이 상기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기간이 되고, 나머지 기간이 상기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되지 않는 중첩 불가능 기간이 되는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이한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끼리 상기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하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 각각에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에 따라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서의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 통신 허가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 허가를 받고나서 상기 단말기 간 통신을 개시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서의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와, 적어도 1개의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세트에 속하는 상기 슬레이브로서의 중첩 통신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간 통신이 종료하면 종료 통지를 상기 조정부에 송신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종료 통지를 받고나서 다음의 상기 통신 허가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중 1개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인터럽트 요구를 받으면, 상기 인터럽트 요구를 출력한 상기 1개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의 상기 통신 허가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서의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에의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사이의 동기를 취하는 동기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각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는, 상기 조정부로부터 미리 수신한 상기 할당 정보와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각각의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에 할당된 상기 중첩 가능 기간에 상기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단말기 간 통신에 관한 통신 정보를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의 할당을 결정하는, 통신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중 1개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하나의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를,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에 송출하는,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하나의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기 하나의 고유의 프로토콜 다음에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이 할당되어 있는 상기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신호의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은 3종류 이상 있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 종류의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중첩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에 송출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에는, 변환처가 되는 고유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
  12. 전송로에 전송 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전송 유닛과,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신호로서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 통신을 행하는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송로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기간으로 분할되고, 일부 기간이 상기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기간이 되고, 나머지 기간이 상기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되지 않는 중첩 불가능 기간이 되는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고,
    상이한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끼리 상기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하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고유의 프로토콜 각각에 상기 중첩 가능 기간을 할당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 중 1개의 세트의 중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하나의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를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의 상기 중첩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다른 고유의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중첩 가능 기간에 송출하는,
    전송 유닛.
  13. 삭제
KR1020137009693A 2010-10-25 2011-10-25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유닛 KR101477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8882A JP5469582B2 (ja) 2010-10-25 2010-10-25 通信システムおよび伝送ユニット
JPJP-P-2010-238882 2010-10-25
PCT/JP2011/074564 WO2012057147A1 (ja) 2010-10-25 2011-10-25 通信システムおよび伝送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805A KR20130064805A (ko) 2013-06-18
KR101477071B1 true KR101477071B1 (ko) 2014-12-29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080A (ja) 1999-04-09 2000-12-19 Komatsu Ltd 電子装置間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設機械、建設機械の電子回路
WO2009096421A1 (ja) 2008-01-28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080A (ja) 1999-04-09 2000-12-19 Komatsu Ltd 電子装置間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設機械、建設機械の電子回路
WO2009096421A1 (ja) 2008-01-28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通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958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伝送ユニット
JP4996699B2 (ja) 通信システム
KR101541819B1 (ko) 통신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는 전송 유닛
KR20140138316A (ko) 통신 시스템
KR101410409B1 (ko) 통신 시스템 및 중첩 통신 단말기
KR101463490B1 (ko) 통신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는 전송 유닛
KR101477071B1 (ko)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유닛
JP546958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伝送ユニット
KR101510171B1 (ko)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
JP2014099677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US931933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superimposing apparatus
WO2013161301A1 (ja) 通信システム
JP554400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重畳通信端末
JP6041233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WO2013161302A1 (ja) 通信システム
JP2014099678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