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000B1 -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000B1
KR101477000B1 KR20130164724A KR20130164724A KR101477000B1 KR 101477000 B1 KR101477000 B1 KR 101477000B1 KR 20130164724 A KR20130164724 A KR 20130164724A KR 20130164724 A KR20130164724 A KR 20130164724A KR 101477000 B1 KR101477000 B1 KR 101477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luting
water
liquid
communication hol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후권
Original Assignee
김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후권 filed Critical 김후권
Priority to KR2013016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38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 B23Q11/106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ly selected composition or state of aggre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 B01F35/833Flow control by valves, e.g. opening intermittent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 B23Q11/1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using a jet of gas or cutting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3/00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ore than 10%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는, 절삭유를 보관 및 공급하는 원액탱크와, 원액탱크와 용수를 혼합하여 희석하는 희석수단과, 희석된 희석액을 저장 및 공급하는 희석탱크와, 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희석탱크의 희석액을 다수의 기계가공장치로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희석수단과 분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Coolant dilution and supplying apparatus for machinetools}
본 발명은 수용성 절삭유를 희석하여 일정한 농도의 희석액을 생성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희석액 교환 주기의 연장으로 인한 유류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배기를 구비하여 다수의 기계가공장치로 희석액의 공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절삭유와 희석액의 잔존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유는 기계가공장치의 절삭가공시 절삭공구 및 피가공물의 온도를 낮추고, 피가공물 및 절삭공구에 윤활성을 주어 원활한 절삭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절삭가공에서는 필수적인 첨가요소이다.
이러한 절삭유는 대부분 절삭 작업자가 절삭유와 물을 눈 대중으로 혼합한 후, 하나의 공작기계에 설치된 절삭유 저장소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즉, 종래의 절삭유 희석 방법은 원액통에 저장된 절삭유 원액을 소정량 희석용기에 담은 다음, 혼합수통에 저장된 물을 희석용기에 눈 대중으로 넣으면서 절삭유 원액과 희석시키면 희석된 절삭유가 만들어지며, 이와 같이 만들어진 희석액은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절삭유의 희석은 물과 절삭유 원액의 혼합비율이 일정치 않으므로, 절삭공구의 파손 및 피가공물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 특허공개번호 제10-2003-0093374호에는 "절삭유 혼합 및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절삭유 혼합 및 공급장치는 절삭유와 물의 혼합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물과 혼합된 절삭유는 농도가 불규칙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2801호에는 자동 공급된 물과 절삭유를 혼합한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절삭유 혼합부를 구비한 "절삭유 희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물과 절삭유의 자동 공급은 가능하나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희석액의 잔존량을 감지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희석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절삭유를 희석하여 일정한 농도의 희석액을 생성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희석액 교환 주기의 연장으로 인한 유류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분배기를 구비하여 다수의 기계가공장치로 희석액의 공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절삭유와 희석액의 잔존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는, 절삭유를 보관 및 공급하는 원액탱크와, 원액탱크와 용수를 혼합하여 희석하는 희석수단과, 희석된 희석액을 저장 및 공급하는 희석탱크와, 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희석탱크의 희석액을 다수의 기계가공장치로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희석수단과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희석수단은, 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용수유로와, 원액의 유로를 형성하는 원액유로와, 상기 용수유로 및 원액유로와 내부가 연통하여 원액과 용수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원액 및 용수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로와, 상기 공기와 용수 및 원액이 혼합된 희석액을 희석탱크로 안내하는 안내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수유로와 원액유로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내유로 일측은 절곡되어 난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부 내부에는, 상기 원액유로와 용수유로가 연통하게 하는 제1연통홀과, 상기 제1연통홀과 공기유로와 연통하게 하는 제2연통홀과, 상기 공기유로와 안내유로가 연통되게 하는 제3연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연통홀은 희석액의 흐름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통홀과 제3연통홀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액유로와 공기유로의 일단부에는 유체의 일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액탱크와 희석탱크 일측에는, 원액과 희석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수유로 일측에는 감지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따라 용수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량제어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절삭유를 희석하여 일정한 농도의 희석액을 생성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희석액 교환 주기의 연장으로 인해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배기를 구비하여 다수의 기계가공장치로 희석액의 공급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절삭유와 희석액의 잔존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잔존량에 따라 절삭유와 용수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희석수단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에서 수위 변화에 따른 희석수단의 동작 상태 변화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는 도면과 같이 원액 상태의 절삭유(O)를 용수와 혼합하여 희석액(D)을 만들고 저장했다가 다수의 기계가공장치(2)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는 절삭유(O)와 용수의 혼합량을 제어하여 일정한 비율로 희석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되며, 상기 기계가공장치(2) 는 절삭유(O)의 공급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삭유(O)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희석이 요구되는 세정유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는, 절삭유(O)를 보관 및 공급하는 원액탱크(100)와, 원액탱크(100)와 용수를 혼합하여 희석하는 희석수단(200)과, 희석된 희석액(D)을 저장 및 공급하는 희석탱크(300)와, 상기 희석탱크(300)의 희석액(D)을 다수의 기계가공장치(2) 로 공급하는 분배기(400)와, 상기 희석수단(200)과 펌프(4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액탱크(100)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여 절삭유(O)의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원액탱크(100) 상측에는 희석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희석수단(200)은 절삭유(O)와 용수를 내부에 수용한 다음 유동 경로를 절곡하여 난류를 발생함으로써 절삭유(O)와 용수가 보다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원액탱크(100) 우측에는 희석탱크(300)가 구비된다. 상기 희석탱크(300)는 희석수단(200) 내부에서 희석된 희석액(D)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분배기(400)와 내부가 연통하여 기계가공장치(2) 로 희석액(D)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원액탱크(100)와 희석탱크(300) 및 희석수단(200)의 결합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의 세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는 좌측에 하부에 위치한 원액탱크(100) 내부에 희석되지 않은 절삭유(O)를 보관하고 있다가 상방향으로 유동시켜 희석수단(200) 내부로 유입시키게 되며, 희석수단(200)의 좌측으로는 용수가 유입되어 희석수단(200) 내부에서 용수와 절삭유(O)의 혼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희석액(D)은 다시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희석수단(20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 혼합되고, 공기와 혼합된 희석액(D)은 다시 우측 방향으로 안내된 후 희석탱크(300) 내부로 유입 및 보관된다.
상기와 같은 유동 방향은 희석수단(200)과 원액탱크(100) 및 희석탱크(300)의 결합 구조에 의해 가능하며, 희석액(D)의 유로를 다수 회 절곡함으로써 난류 발생을 야기하여 보다 균일한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희석탱크(300)의 우측에는 분배기(400)가 구비된다. 상기 분배기(400)는 기계가공장치(2) 와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분배관(420)과 상기 희석탱크(300) 내부와 분배관(420)을 연결하고 희석액(D)의 강제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440)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유량제어밸브(210)가 개방된 상태일 때 동작하여 희석액(D)을 분배관(420)으로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4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압펌프가 채택되었다.
상기 제어기(500)는 용수의 유량과 펌프(4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감지기(6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유량제어밸브(210) 및 펌프(44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원액탱크(100) 내부의 절삭유(O)와 희석탱크(300) 내부의 희석액(D)은 감지기(600)에 의해 잔존량이 감지되며, 잔존량이 최저 또는 최고일 때 유량제어밸브(210)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펌프(440)의 동작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원액탱크(100)에는 제1감지기(620)가 설치되고 희석탱크(300)에는 제2감지기(6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감지기(620)와 제2감지기(640)는 부력을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감지기(620)는 절삭유(O)의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제1부레(622)와, 제1부레(622)의 상방향으로 곧게 뻗어있고 제1부레(622)의 위상 변화에 따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승강바(624)와, 상기 승강바(624)에 고정되어 제1부레(622)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된 게이지(626)와, 상기 승강바(624) 및 게이지(626)의 직선 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6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628)는 게이지(626)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라면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상기 제2감지기(640)는 희석액(D)의 수면에 부상하고 있는 제2부레(642)와, 상기 희석액(D) 내부의 일정 위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부(6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부레(642)는 희석액(D)의 수위에 따라 고정부(644)와 근접시에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기(50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기(500)에 의한 펌프(440)의 동작 제어를 유도하며, 고정부(644)와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유량제어밸브(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용수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희석수단(2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희석수단(2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희석수단(200)은 용수와 절삭유(O) 및 외부 공기를 내부에서 혼합하여 희석액(D)을 만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희석수단(200)은, 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용수유로(220)와, 원액의 유로를 형성하는 원액유로(230)와, 상기 용수유로(220) 및 원액유로(230)와 내부가 연통하여 원액과 용수를 혼합하는 혼합부(240)와, 상기 원액의 절삭유(O) 및 용수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로(250)와, 상기 공기와 용수 및 원액이 혼합된 희석액(D)을 희석탱크(300)로 안내하는 안내유로(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수유로(22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우측 방향으로 용수를 안내하며, 상기 용수유로(220)의 우측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용수유로(220)와 혼합부(240) 사이에는 유량제어밸브(210)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제어밸브(210)는 용수유로(220)의 내부 개도를 조절하여 용수의 흐름량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액유로(230)는 원액탱크(100)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노출되어 절삭유(O)를 상방향으로 안내하고, 상단부는 혼합부(240) 내부와 연결되어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액유로(230)의 하단부에는 내부로 유입된 절삭유(O)가 다시 원액탱크(100)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232)가 구비된다.
상기 혼합부(240)의 우측 상부에는 공기유로(25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유로(250)는 혼합부(240) 외측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절삭유(O) 및 용수에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공기유로(250)의 상단부에는 제2체크밸브(25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252)는 혼합부(240) 내부에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유속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체크밸브(252)는 후드체크밸브가 채택되었다.
상기 혼합부(240)의 우측부에서 하방향으로는 안내유로(260)가 결합된다. 상기 안내유로(260)는 혼합부(240)를 거쳐 희석된 희석액(D)을 희석탱크(3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용수와 절삭유(O)에 난류를 발생함으로써 보다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서 상기 용수유로(220)와 원액유로(23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1차로 섞인 용수와 절삭유(O)는 우측 방향으로 유동 후 하측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바뀌어 난류 발생 효과에 의해 희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부(240)는 내부 좌/우측이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희석액(D)의 하측 방향 토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혼합부(240) 내부에는, 상기 원액유로(230)와 용수유로(220)가 연통하게 하는 제1연통홀(242)과, 상기 제1연통홀(242)과 공기유로(250)와 연통하게 하는 제2연통홀(244)과, 상기 공기유로(250)와 안내유로(260)가 연통되게 하는 제3연통홀(246)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통홀(242)은 혼합부(240)의 좌측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함몰되어 원액유로(230)와 용수유로(220)가 연통하도록 안내하게 되며, 제2연통홀(244)은 제1연통홀(242)의 상단에서 우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함몰되어 공기유로(250)와 용수유로(220) 및 원액유로(230)를 연통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연통홀(246)은 공기유로(250)와 안내유로(260) 및 제2연통홀(244)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통홀(242), 제2연통홀(244) 및 제3연통홀(246)은 대략 "
Figure 112013119337541-pat00001
"형상을 갖게 되며, 제2연통홀(244)은 희석액(D)의 흐름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여 희석액(D)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희석액(D)의 보관량 감소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의 동작 상태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에서 수위 변화에 따른 희석수단(200)의 동작 상태 변화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희석탱크(300) 내부에 보존된 희석액(D)의 양이 줄어든 경우 상기 제2부레(642)와 고정부(644)는 서로 근접하여 제어기(500)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제어기(500)는 제2감지기(640)로부터 받은 신호에 따라 유량제어밸브(210)를 개방시켜 용수의 흐름을 강제하게 되며, 이때 원액탱크(100) 내부의 절삭유(O) 역시 원액유로(230)를 통해 혼합부(24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혼합부(240) 내부로 유입된 절삭유(O)와 용수는 제3연통홀(246)과 만나면서 난류 발생 효과에 의해 섞이게 되며, 상기 안내유로(260)를 따라 유동하면서 다수 회 절곡되어 난류 발생 효과에 의한 희석이 완료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제조된 희석액(D)은 희석탱크(300)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되며, 이때 상기 제2부레(642)는 희석액(D)의 수위 변화에 따라 연동하여 고정부(644)로부터 점차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2. 기계가공장치 100. 원액탱크
200. 희석수단 210. 유량제어밸브
220. 용수유로 230. 원액유로
232. 제1체크밸브 240. 혼합부
242. 제1연통홀 244. 제2연통홀
246. 제3연통홀 250. 공기유로
252. 제2체크밸브 260. 안내유로
300. 희석탱크 400. 분배기
420. 분배관 440. 펌프
500. 제어기 600. 감지기
620. 제1감지기 622. 제1부레
624. 승강바 626. 게이지
628. 가이드 640. 제2감지기
642. 제2부레 644. 고정부
D. 희석액 O. 절삭유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절삭유를 보관 및 공급하는 원액탱크와, 원액탱크와 용수를 혼합하여 희석하는 희석수단과, 희석된 희석액을 저장 및 공급하는 희석탱크와, 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희석탱크의 희석액을 다수의 기계가공장치로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원액탱크와 희석탱크 일측에서 원액과 희석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와, 상기 희석수단과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희석수단은,
    상기 원액을 내부로 수용하는 제1연통홀과, 상기 용수를 수용하여 제1연통홀을 경유한 원액을 용수와 희석한 후 희석액의 유속을 증가시켜 유동시키는 제2연통홀과, 제2연통홀의 일단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 방향을 안내하여 희석액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제3연통홀이 구비된 혼합부와,
    상기 제2연통홀 내부로 용수를 안내하는 용수유로와,
    상기 제2연통홀과 교차하는 제1연통홀 내부로 원액을 안내하는 원액유로와,
    상기 제3연통홀 내부로 외부 공기를 안내하여 희석액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공기유로와,
    상기 혼합부를 빠져나온 공기와 용수 및 원액이 혼합된 희석액을 희석탱크로 안내하며 다수회 절곡되어 난류를 발생하는 안내유로와,
    상기 원액유로와 공기유로의 일단부에서 유체의 일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홀은 희석액의 흐름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원액탱크 내부의 절삭유 수위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와,
    상기 희석탱크 내부의 희석액 수위를 감지하는 제2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희석 및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기는,
    상기 희석액의 수면에 부상하고 있는 제2부레와, 상기 희석액 내부의 일정 위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기는,
    상기 절삭유의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제1부레와, 상기 제1부레의 상방향으로 곧게 뻗어있고 제1부레의 위상 변화에 따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에 고정되어 제1부레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된 게이지와, 상기 승강바 및 게이지의 직선 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유로 일측에는,
    상기 감지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따라 용수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량제어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KR20130164724A 2013-12-27 2013-12-27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KR10147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4724A KR101477000B1 (ko) 2013-12-27 2013-12-27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4724A KR101477000B1 (ko) 2013-12-27 2013-12-27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000B1 true KR101477000B1 (ko) 2014-12-29

Family

ID=5268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4724A KR101477000B1 (ko) 2013-12-27 2013-12-27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0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1965A1 (ko) * 2015-09-22 2017-03-30 그린루브 주식회사 절삭유 희석장치
KR101892043B1 (ko) * 2017-10-31 2018-08-27 손인호 절삭유 혼합장치
KR101925021B1 (ko) 2018-01-02 2018-12-05 손인호 희석 절삭유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357A (ko) * 2008-10-27 2010-05-07 김재근 중앙집중식 절삭유 자동보충시스템
KR20100102433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영일인덱스 절삭유 자동 희석 및 공급장치
KR101183221B1 (ko) * 2012-01-10 2012-09-14 (주)셀텍 절삭유 공급 제어 시스템
KR101262801B1 (ko) * 2012-10-08 2013-05-10 이엔지테크 주식회사 절삭유 희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357A (ko) * 2008-10-27 2010-05-07 김재근 중앙집중식 절삭유 자동보충시스템
KR20100102433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영일인덱스 절삭유 자동 희석 및 공급장치
KR101183221B1 (ko) * 2012-01-10 2012-09-14 (주)셀텍 절삭유 공급 제어 시스템
KR101262801B1 (ko) * 2012-10-08 2013-05-10 이엔지테크 주식회사 절삭유 희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1965A1 (ko) * 2015-09-22 2017-03-30 그린루브 주식회사 절삭유 희석장치
KR101892043B1 (ko) * 2017-10-31 2018-08-27 손인호 절삭유 혼합장치
KR101925021B1 (ko) 2018-01-02 2018-12-05 손인호 희석 절삭유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000B1 (ko) 절삭유 희석 및 공급 장치
JP6541543B2 (ja) 中和処理装置
KR101987590B1 (ko) 탈산소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1183220B1 (ko) 절삭유 자동 공급장치
JP6233644B2 (ja) 耐候性試験機および希釈溶液供給装置
KR101051795B1 (ko) 절삭유 자동 희석 및 공급장치
KR101748936B1 (ko) 자동 결선시에 가공액의 액면 위치를 조정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KR20200004249A (ko) 액류식 직물 처리 장치
JP3196061U (ja) 混合装置
CN203936491U (zh) 一种冷却水循环装置
JP2019141958A (ja) クーラント補給システム
US9839932B2 (en) Surface chemical treatment apparatus for drawing predetermined pattern by carrying out a chemical treatment
JP2012091156A (ja) 凝集剤溶解装置
KR101745660B1 (ko) 유량 및 유압 조절 기능을 이용한 다항목 자동수질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494105B1 (ko) 희석장치
JP6377575B2 (ja) 流体吹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化学反応装置
KR101183221B1 (ko) 절삭유 공급 제어 시스템
JP5899101B2 (ja) アルカリ水の中和処理装置
CN205617149U (zh) 低浓除渣器阵列
JP5504093B2 (ja) ミスト生成装置
CN204533556U (zh) 一种进液分散调节器
CN102199848B (zh) 用于间断处理织物绳的机器
SE530120C2 (sv) Tankanordning för att tillverka fiberprodukter av massa
CN205225393U (zh) 车用尿素溶液的供液设备及包含其的车用尿素的生产系统
JP6746255B2 (ja) 中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