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965B1 -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 - Google Patents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965B1
KR101475965B1 KR1020097020221A KR20097020221A KR101475965B1 KR 101475965 B1 KR101475965 B1 KR 101475965B1 KR 1020097020221 A KR1020097020221 A KR 1020097020221A KR 20097020221 A KR20097020221 A KR 20097020221A KR 101475965 B1 KR101475965 B1 KR 10147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metholone
prescription
castor oil
container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632A (ko
Inventor
히로유키 아사다
유키코 스기하라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탁형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현탁형 점안제 중에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함으로써,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SUSPENSION-TYPE EYE DROP PREPARATION COMPRISING FLUOROMETHOLONE}
본 발명은,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로서, 이 점안제에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하는 점안제 및 현탁형 점안제에 함유되는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루오로메토론은 항염증성 스테로이드로서 의료에 제공되고 있는 약물이며, 특히 점안제의 형태로 범용되고 있다. 플루오로메토론은 물에 난용인 약물이기 때문에, 현탁 액제의 형태로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현탁 액제는, 약물이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에 점안 용기를 흔들어 침강·응집되어 있는 약물을 균일하게 재분산시켜 이용할 필요가 있고, 플루오로메토론의 현탁형 점안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플루오로메토론의 재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고안이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배합함으로써, 재분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응집덩어리 형성이 거의 없는 플루오로메토론 현탁형 점안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액제의 표면 장력이 저하되기 시작하는 농도로부 터 표면 장력의 저하가 정지하는 농도 범위 내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함유하는, 플루오로메토론 분산 입자의 재분산성을 개선한 수성 현탁 액제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플루오로메토론의 현탁형 점안제에서는, 보존 상태(보존 자세나 보존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 현탁형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 내면에 고착되는 경우가 있다. 용기에 플루오로메토론이 고착되는 일례로서, 정치 보존으로 침강된 현탁형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의 횡전(橫轉)과 같은 보존 자세의 변화에 따라 용기의 공극에 노출되고, 건조됨으로써 용기 내면에 고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은 용기가 정립한 채로의 상태라면 일어나기 어렵지만, 유통 과정 및 사용시의 상황을 고려하면,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은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용기의 보존 상태에 따라서는, 용기의 공극부뿐만 아니라, 용기의 액 접촉부에도 플루오로메토론의 고착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에 고착되면, 플루오로메토론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데 장시간의 진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유통 과정이나 저장 과정에 있어서, 현탁형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에 고착되기 어려운, 즉, 용기에의 고착이 억제된, 플루오로메토론의 현탁형 점안제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현탁 액제 중에 배합함으로써, 용기에 고착된 피레녹신을 액 속에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서는, 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수성 현탁 액제에, 소르브산 또는 그의 염 및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배합함으로써, 침강된 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 입자의 용기에의 고착 및 블록 형성이 억제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3 및 4에는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7905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029463호 공보
특허 문헌 3 : 국제 공개 2006/030851호 팜플렛
특허 문헌 4 : 국제 공개 2005/053708호 팜플렛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로서, 이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한 점안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래서,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안제의 첨가제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함으로써,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로서, 이 점안제가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하는 점안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로서, 이 점안제가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하고, 또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점안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에,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배합함으로써, 이 점안제에 함유되는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에,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배합하고, 또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배합함으로써, 이 점안제에 함유되는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2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농도는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에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는 농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01∼0.01%(W/V)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01%(W/V)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0075%(W/V)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0.005%(W/V)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의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5,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9,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15,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35,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6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의 농도는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에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는 농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01∼0.01%(W/V)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01%(W/V)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0075%(W/V)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0.005%(W/V)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플루오로메토론의 함유량은,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농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5∼0.5%(W/V)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1%(W/V)이다. 현재,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농도는 100 ㎖ 중 0.02 g 또는 0.1 g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메틸셀룰로오스의 농도는,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에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는 농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001∼0.1%(W/V)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5∼0.05%(W/V)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0.01%(W/V)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0.001%(W/V)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농도는,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에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는 농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001∼0.1%(W/V)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5∼0.05%(W/V)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0.01%(W/V)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0.001%(W/V)이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완전 비누화물 또는 부분 비누화물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예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K25, 폴리비닐피롤리돈 K30, 폴리비닐피롤리돈 K9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농도는,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이 용기에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는 농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001∼0.1%(W/V)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5∼0.05%(W/V)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0.01%(W/V)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0.001%(W/V)이다.
본 발명의 점안제를 보존하는 용기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점안제의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재질이면 좋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아크릴수지, 폴리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시판되고 있는 플루오로메토론 현탁형 점안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등장화제, 방부제, pH 조정제, 완충제, 안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 점안제의 제조 방법의 대표예로서, 다음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멸균 정제수에 점안제에서 통상 이용되는 첨가제인 등장화제, 방부제, pH 조정제, 완충제, 안정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용해한다. 이 용액에 플루오로메토론을 첨가한 후, 각종 호모게나이저, 믹서, 밀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현탁화시킨다. 필요하면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pH를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안제의 pH는 점안제에 범용되고 있는 범위의 pH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4∼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등장화제로서는, 예컨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컨대 염화벤잘코늄,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클로로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예컨대 염산, 시트르산, 인산, 아세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서는, 예컨대 인산, 인산염, 붕산, 붕사, 시트르산, 아세트산, ε-아미노카프론산, 트로메타몰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예컨대 에데트산, 에데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발명의 효과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에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실시예의 시험에 있어서,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에,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함유시킴으로써,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제시되었다. 즉, 본 발명은,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로서, 이 점안제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하는 점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하고, 또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점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실시예 1
각종 계면활성제의 배합에 따른 현탁형 점안제 중의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시험 액제의 조제)
피시험 액제로서,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는 처방의 현탁형 점안제를 조제하였다. 처방에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효과를 비교 판정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성분만을 나타내었지만, 그 밖의 첨가물로서 염화벤잘코늄,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염화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을 배합하였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은 니혼 서펙턴트 고교사에서 제조한 것, 메틸셀룰로오스는 신에츠 카가꾸 고교사에서 제조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은 쿠라레사에서 제조한 것, 폴리비닐피롤리돈은 BASF사에서 제조한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표 내의 약기(略記)는 이하와 같다.
FML : 플루오로메토론
HCO60 :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MC : 메틸셀룰로오스
PVP : 폴리비닐피롤리돈
PVA : 폴리비닐알코올
Tw80 : 폴리소르베이트 80
MYS : 스테아르산 폴리옥실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배합량%(W/V)
처방 1 처방 2 처방 3 처방 4 처방 5 처방 6 처방 7
FML 0.1 0.1 0.1 0.1 0.1 0.1 0.1
HCO60 0.005 0.005 0.005 0.005 0.005 0.005 0.005
MC 0.0001 0.001 0.01 - - - -
PVP - - - 0.0001 0.001 0.01 -
PVA - - - - - - 0.0001
폴리소르베이트 80
배합량%(W/V)
비교
처방 1
비교
처방 2
비교
처방 3
비교
처방 4
비교
처방 5
비교
처방 6
비교
처방 7
FML 0.1 0.1 0.1 0.1 0.1 0.1 0.1
Tw80 0.005 0.005 0.005 0.005 0.005 0.005 0.005
MC 0.0001 0.001 0.01 - - - -
PVP - - - 0.0001 0.001 0.01 -
PVA - - - - - - 0.0001
스테아르산 폴리옥실 40

배합량%(W/V)
비교
처방 8
비교
처방 9
비교
처방 10
비교
처방 11
비교
처방 12
비교
처방 13
FML 0.1 0.1 0.1 0.1 0.1 0.1
MYS 0.005 0.005 0.005 0.005 0.005 0.005
MC 0.0001 0.001 0.01 - - -
PVP - - - 0.0001 0.001 0.01
표 1 내지 표 3 내의 피시험 액제의 조제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농후 현탁액(1%)을 약 1시간 스터러(stirrer) 교반에 의해 조제하고, 고속 회전식 교반기에 의해 약 30분간 더 교반하였다. 이 농후 현탁액을 플루오로메토론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기제(상기 처방에서 플루오로메토론을 제외한 것)로 희석하였다.
(효과 판정 방법)
상기에 따라 조제한 처방 1∼7 및 비교 처방 1∼13의 피시험 액제를 5 ㎖ 점안 용기(폴리에틸렌수지제) 각 10개에 충전하였다. 이 용기를 정립시켜 25℃/40% RH의 조건에서 1주일간 보존한 후, 용기를 천천히 도립(倒立)시켜 동 조건에서 2주일간 더 보존하였다. 보존 종료 후, 각 처방에 있어서의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 바닥부로의 고착에 대한 억제 효과에 대해서 검사하였다.
효과 판정 방법(정립; 1주일간→도립; 2주일간)에 따른 처방 1∼7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효과 판정 방법(정립; 1주일간→도립; 2주일간)에 따른 비교 처방 1∼7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효과 판정 방법(정립; 1주일간→도립; 2주일간)에 따른 비교 처방 8∼13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처방 1∼7의 결과
처방 1 처방 2 처방 3 처방 4 처방 5 처방 6 처방 7
3/10 2/10 2/10 5/10 5/10 5/10 0/10
비교 처방 1∼7의 결과
비교
처방 1
비교
처방 2
비교
처방 3
비교
처방 4
비교
처방 5
비교
처방 6
비교
처방 7
10/10 9/10 9/10 10/10 10/10 10/10 10/10
비교 처방 8∼13의 결과
비교
처방 8
비교
처방 9
비교
처방 10
비교
처방 11
비교
처방 12
비교
처방 13
10/10 10/10 9/10 10/10 10/10 10/10
표 4 내지 표 6 내의 숫자는, 시험 개수 10개에 대하여 20회 용기를 회전시킨 후, 손으로 100회 더 용기를 진탕시킨 후에 용기 바닥부에 플루오로메토론이 고착되어 있는 샘플 수를 나타낸다. 플루오로메토론이 고착되어 있는 샘플이란, 플루오로메토론이 입자로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상태인 샘플을 나타낸다.
표 4 내지 표 6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함유하는 처방 1∼7은 다른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비교 처방 1∼13에 비하여 용기 바닥부에 플루오로메토론이 고착되어 있는 샘플 수가 모두 적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안제의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함유함으로써,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이 억제되는 것이 표시되었다.
또한, 표 4 내지 표 6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처방 1∼3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는 처방 7은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처방 4∼6에 비하여 용기 바닥부에 플루오로메토론이 고착되어 있는 샘플의 수가 적었다. 즉,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함유하는 점안제에 있어서,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는 쪽이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제시되었다.
실시예 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배합 농도에 따른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시험 액제의 조제)
피시험 액제로서, 표 7, 표 8에 나타내는 처방의 현탁형 점안제를 조제하였다. 처방에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효과를 비교 판정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성분만을 나타내었지만, 그 밖의 첨가물로서, 염화벤잘코늄,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염화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을 배합하였다. 또한, 표 내의 약기는 표 1 내지 표 3과 동일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은 니혼 서펙턴트 고교사에서 제조한 것, 메틸셀룰로오스는 신에츠 카가꾸 고교사에서 제조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은 쿠라레사에서 제조한 것, 폴리비닐피롤리돈은 BASF사에서 제조한 것을 이용하였다.
0.1%(W/V) FML

배합량%(W/V)
처방 8 처방 9 처방 10 처방 11 처방 12
FML 0.1 0.1 0.1 0.1 0.1
HCO60 0.0025 0.0025 0.0025 0.0075 0.0075
MC 0.0001 0.001 - 0.001 0.01
PVA - - 0.0001 - -
0.02%(W/V) FML
배합량%(W/V)
처방 13 처방 14 처방 15 처방 16 처방 17
FML 0.02 0.02 0.02 0.02 0.02
HCO60 0.0025 0.0025 0.0025 0.0025 0.005
MC 0.0001 0.001 0.01 - 0.01
PVP - - - 0.001 -
표 7, 표 8 내의 피시험 액제의 조제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농후 현탁액(1%)을 약 1시간 스터러 교반에 의해 조제하고, 고속 회전식 교반기에 의해 약 30분간 더 교반하였다. 이 농후 현탁액을 플루오로메토론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기제(상기 처방에서 플루오로메토론을 제외한 것)로 희석하여 플루오로메토론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플루오로메토론의 분산성에 따라 상기 농후 현탁액에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을 적절하게 첨가하였다.
(효과 판정 방법)
상기에 따라 조제한 처방 8∼17의 피시험 액제를 5 ㎖ 점안 용기(폴리에틸렌 수지제) 각 10개에 충전하였다. 이 용기를 정립시켜 25℃/40% RH의 조건에서 1주일간 보존한 후, 용기를 천천히 도립시켜 동 조건에서 2주일간 더 보존하였다. 보존 종료 후, 각 처방에 있어서의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 바닥부로의 고착에 대한 억제 효과에 대해서 검사하였다.
효과 판정 방법(정립; 1주일간→도립; 2주일간)에 따른 처방 8∼12의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효과 판정 방법(정립; 1주일→도립; 2주일)에 따른 처방 13∼17의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처방 8∼12의 결과
처방 8 처방 9 처방 10 처방 11 처방 12
2/10 1/10 0/10 7/10 7/10
처방 13∼17의 결과
처방 13 처방 14 처방 15 처방 16 처방 17
2/10 1/10 2/10 4/10 5/10
표 9, 표 10 내의 숫자는, 시험 개수 10개에 대하여 20회 용기를 회전시킨 후, 손으로 100회 용기를 더 진탕시킨 후에 용기 바닥부에 플루오로메토론이 고착되어 있는 샘플의 수를 나타낸다. 플루오로메토론이 고착되어 있는 샘플이란, 플루오로메토론이 입자로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상태인 샘플을 나타낸다.
표 9, 표 10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처방 8∼17은 비교 처방 1∼13에 비하여 용기 바닥부에 플루오로메토론이 고착되어 있는 샘플의 수가 모두 감소하고, 이번에 시험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모든 농도에 있어서도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 고착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억제 효과는, 배합 농도가 0.0025%(W/V)인 처방이 가장 높았다.
실시예 3
(제제예)
실시예 1에 기재한 조제법에 따라 하기의 제제를 얻었다. 또한, 하기 제제예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배합량은 100 ㎖ 중의 함량으로 기재한다.
제제예 1
성분 함량
플루오로메토론 0.1 g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0.0025 g
메틸셀룰로오스 0.0001 g
염화벤잘코늄 0.005 g
에데트산나트륨 적량
인산수소나트륨 적량
인산이수소나트륨 적량
염화나트륨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상기 처방에 있어서, 플루오로메토론의 배합량을 0.02 g으로 바꾸거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의 배합량을 0.001, 0.005, 0.0075 또는 0.01 g으로, 또한, 메틸셀룰로오스의 배합량을 0.00001, 0.00005, 0.0005, 0.001, 0.005 또는 0.01 g으로 바꾸어도 제제예 1과 동일한 제제를 얻을 수 있다.
제제예 2
성분 함량
플루오로메토론 0.1 g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0.0025 g
폴리비닐알코올 0.0001 g
염화벤잘코늄 0.005 g
에데트산나트륨 적량
인산수소나트륨 적량
인산이수소나트륨 적량
염화나트륨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상기 처방에 있어서, 플루오로메토론의 배합량을 0.02 g으로 바꾸거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의 배합량을 0.001, 0.005, 0.0075 또는 0.01 g으로,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의 배합량을 0.00001, 0.00005, 0.0005, 0.001, 0.005 또는 0.01 g으로 바꾸어도 제제예 2와 동일한 제제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로서, 이 점안제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하는 점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를 함유하고, 또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점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1)

  1. 0.005∼0.5%(W/V)의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로서, 이 점안제는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와 0.0001∼0.01%(W/V)의 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이 억제된 점안제.
  2. 0.005∼0.5%(W/V)의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에 0.0001∼0.01%(W/V)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와 0.0001∼0.01%(W/V)의 메틸셀룰로오스를 배합함으로써, 이 점안제에 함유되는 플루오로메토론의 용기에의 고착을 억제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97020221A 2007-03-29 2008-03-28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 KR101475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87779 2007-03-29
JPJP-P-2007-087779 2007-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632A KR20100014632A (ko) 2010-02-10
KR101475965B1 true KR101475965B1 (ko) 2014-12-23

Family

ID=3983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221A KR101475965B1 (ko) 2007-03-29 2008-03-28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87448B2 (ko)
KR (1) KR101475965B1 (ko)
CN (1) CN101646441B (ko)
TW (1) TWI406663B (ko)
WO (1) WO2008123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3016897A2 (pt) * 2010-12-28 2019-09-24 Rohto Pharma composição oftálmica aquosa
CN103565742A (zh) * 2012-07-25 2014-02-12 天津金耀集团有限公司 氟米龙滴眼液
JP6077860B2 (ja) * 2013-01-16 2017-02-08 東レ株式会社 液剤
US20200121652A1 (en) 2017-06-16 2020-04-23 The Doshisha Compounds having caspase inhibitory activity, pharmaceutical agent containing said compounds and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rneal endothelial symptoms, disorders, or diseases, and application of said pharmaceutical agent
AU2018283250B2 (en) 2017-06-16 2022-09-01 The Doshisha mTOR-inhibitor-containing medicine for treating or preventing ophthalmic symptoms, disorders, or diseases,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356603B1 (ko) * 2021-08-05 2022-02-08 지엘팜텍주식회사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310A (ko) * 1998-01-22 2001-04-25 모리타 다카카즈 플루오로메톨론 현탁형 점안제
KR20030029981A (ko) * 2000-09-13 2003-04-16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안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495B2 (ja) * 1988-02-23 1995-10-18 参天製薬株式会社 水性懸濁点眼剤
JP3402195B2 (ja) * 1997-05-14 2003-04-28 千寿製薬株式会社 再分散性の良い水性懸濁液剤
DE69837664T2 (de) * 1997-05-14 2008-01-03 Senju Pharmaceutical Co., Ltd. Wässrige suspensionspräparationen mit exzellenter redispersibilität
JP3418751B2 (ja) * 1998-01-22 2003-06-23 参天製薬株式会社 フルオロメトロン懸濁型点眼剤
JP3876232B2 (ja) * 2003-04-18 2007-01-31 有限会社ユーワ商事 眼科用製剤、点眼液、人工涙液、コンタクトレンズケアー用品、洗眼液、および眼軟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310A (ko) * 1998-01-22 2001-04-25 모리타 다카카즈 플루오로메톨론 현탁형 점안제
KR20030029981A (ko) * 2000-09-13 2003-04-16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안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66323A (ja) 2008-11-06
WO2008123396A1 (ja) 2008-10-16
JP5087448B2 (ja) 2012-12-05
CN101646441B (zh) 2012-09-12
CN101646441A (zh) 2010-02-10
KR20100014632A (ko) 2010-02-10
TW200846009A (en) 2008-12-01
TWI406663B (zh) 201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965B1 (ko) 플루오로메토론을 함유하는 현탁형 점안제
EP1312366B1 (en) Gelling aqu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U2010325632B2 (en) Process for preparing pharmaceutical ophthalmic compositions
TW200932285A (en) Topical ophthalmic or otic solution formulations containing moxifloxacin hydrochloride and dexamethasone phosphate
JP2023090938A (ja) 非イオン性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用点眼剤
EP1911447A1 (en) Eye drop preparation comprising xanthan gum and terpenoid
JP4188084B2 (ja) トラマドールとジクロフェナクの塩の懸濁液を含有する非経口投与可能な剤形
US10463674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sterile ophthalmic pharmaceutical suspensions
WO2010119942A1 (ja) レボカバスチン懸濁型点眼剤
JP6279395B2 (ja) ブリンゾラミド懸濁性点眼液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519673B1 (ko) 피레녹신을 함유하는 현탁형 수성 액제
EP2827838B1 (en) Ophthalm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carbonic anhydrase inhibito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2006111621A (ja) ピレノキシン懸濁型点眼剤
WO2024071349A1 (ja) ヘテロシクリデンアセトアミド誘導体を含む配合剤
EP4316485A1 (en) Suspension containing heterocyclidene acetamide derivative
JP7169477B2 (ja) 樹脂製容器に充填された銀塩含有眼科用水性組成物
WO2006030851A1 (ja) ピレノキシン懸濁型点眼剤
US20240180827A1 (en) Suspension containing heterocyclidene acetamide derivative
JP7172438B2 (ja) 水性眼科用組成物及び保存効力向上方法
US982099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brinzolamide
CN115397374A (zh) 从滴眼剂中去除防腐剂
Jadhav et al. MICONAZOLE LONG RETENTIVE OPHTHALMIC SUSPENSION DEVELOPED WITH SODIUM ALGINATE AND CARRAGEENAN POLYMER SYSTEM
JP2021521240A (ja) ブリンゾラミドの眼科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