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861B1 - 랜 포트락장치 - Google Patents

랜 포트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861B1
KR101475861B1 KR1020140086186A KR20140086186A KR101475861B1 KR 101475861 B1 KR101475861 B1 KR 101475861B1 KR 1020140086186 A KR1020140086186 A KR 1020140086186A KR 20140086186 A KR20140086186 A KR 20140086186A KR 101475861 B1 KR101475861 B1 KR 10147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 port
elastic hook
mounting portion
port conn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훈
Original Assignee
안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훈 filed Critical 안창훈
Priority to KR102014008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861B1/ko
Priority to EP15818583.5A priority patent/EP3073411B1/en
Priority to PCT/KR2015/006315 priority patent/WO2016006841A1/ko
Priority to CN201580004185.6A priority patent/CN105900107B/zh
Priority to US15/163,999 priority patent/US960837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자기기의 랜포트에 삽입시 상기 랜포트의 내부에 로킹결합되는 탄성후크를 가지는 랜포트 커넥터를 상기 랜포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로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랜포트 커넥터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랜포트 커넥터의 단자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장치 본체,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이동위치에 따라서 장치 본체에 결합된 랜포트 커넥터의 탄성후크를 간섭하거나 분리되어 탄성후크의 탄성변형을 선택적으로 억제 및 허용하는 잠금유닛, 장치 본체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후크가 잠금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 내부로 진입시 상기 탄성후크를 간섭하여 탄성변형시키는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포트락 장치가 게시된다.

Description

랜 포트락장치{LAN PORT ROCK APPARATUS}
본 발명은 랜 포트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랜 케이블(랜선)에 연결되는 랜포트 커넥터를 랜포트부에 결합시 안전하게 잠글 수 있는 랜 포트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회사나 관공서 등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서버컴퓨터, 개인용 컴퓨터(노트 PC 포함), 태블릿 PC,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관련업무를 처리하고 있으며, 기계 및 공장설비, 산업시설, 군사 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도 전자기기를 이용한 통제 및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이용한 업무 위주로 산업이 개편되다시피 하다 보니, 악의적으로 상대방의 전자기기에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 등을 침투시켜 피해를 일으키거나, 중요한 정보의 유출이 빈번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정보 관공서나, 회사, 정부 기관, 군사시설 등에서 정보의 유출을 막고, 바이러스 등의 침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 메모리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짧은 시간 내에 컴퓨터와의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범용화된 USB 포트의 적용으로 인하여 제3자가 주요 컴퓨터에 쉽게 접속하여 바이러스를 침투시키거나, 중요한 정보를 빼내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현재 대부분 시중에 나와 있는 컴퓨터에는 범용으로 접속할 수 있는 USB 포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으며, 그 USB 포트에 USB 메모리를 접속시킴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부자이던 외부자 이던 손쉽게 컴퓨터에 USB 메모리를 연결하여 바이러스를 침투시키거나, 주요 정보를 빼낼 수 있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방지 대책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USB 포트에 USB 메모리를 연결시 비 허가된 메모리를 연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USB 잠금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런데 전자기기에는 메모리뿐만 아니라, 인터넷, 전화 등의 유선망을 연결하기 위한 랜포트가 구비되어 있고, 그 랜포트에는 랜 케이블에 연결되는 랜 커넥터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랜포트를 통해서도 외부 전자기기나 메모리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랜포트에 대해서도 안전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9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랜포트에 연결된 랜 커넥터를 록킹시킬 수 있는 랜포트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랜포트락 장치는, 전자기기의 랜포트에 삽입시 상기 랜포트의 내부에 로킹결합되는 탄성후크를 가지는 랜포트 커넥터를 상기 랜포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로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랜포트 커넥터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랜포트 커넥터의 단자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된 랜포트 커넥터의 탄성후크를 간섭하거나 분리되어 상기 탄성후크의 탄성변형을 선택적으로 억제 및 허용하는 잠금유닛; 상기 장치 본체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후크가 상기 잠금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진입시 상기 탄성후크를 간섭하여 탄성변형시키는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잠금유닛이 결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연통되며 상기 랜포트 커넥터가 관통 결합되는 제2장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제1장착부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양단이 개방된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 상기 탄성후크를 간섭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 외부로 돌출이동시 상기 탄성후크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격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선단에는 키홈이 형성되는 내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구조물의 후단과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는 상기 탄성후크가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제1장착부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장착부 사이에는 한 쌍의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은 상기 장치 본체 내벽의 서로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서로 간격을 갖도록 마주하여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장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랜포트 커넥터의 외측에 형성되는 인입홈에 대응하여 돌출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장착부 내부로 진입된 랜포트 커넥터를 위치 고정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랜포트락 장치에 따르면, 랜포트 커넥터를 랜포트에 연결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보유한 특정 해제키를 이용하여 랜포트 커넥터의 탄성후크의 간섭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되어, 허가된 사람 이외에는 랜포트 커넥터를 랜포트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랜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침입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포트락 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랜포트락 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랜포트락 장치와 랜포트 커넥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랜포트락 장치를 이용하여 랜포트 커넥터를 랜포트에 결합 및 분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반적인 랜포트 커넥터와 랜포트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해제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포트락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포트락 장치(100)는, 랜 케이블(10)이 선단에 설치되는 랜포트 커넥터(20)를 전자기기(30)에 구비되는 랜포트(40)에 연결된 상태에서 허가된 해제키()를 사용하기 전에는 분리할 수 없도록 잠그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랜포트 커넥터(20)는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랜포트(40)에 삽입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형태를 가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포트 커넥터(20)는 케이블(50)이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연결되는 커넥터 몸체(21)와, 커넥터 몸체(21)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연결단자부(23)와, 커넥터 몸체(21)에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후크(25)를 가진다.
상기 탄성후크(25)는 일단이 커넥터 몸체(21)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의 자유단부(25a)를 사용자가 커넥터 몸체(21) 쪽으로 눌렀다가 놓으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가진다. 이러한 탄성후크(25)의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랜포트(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41)에 걸리는 후크부(26)가 탄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랜포트 커넥터(20)를 랜포트(40)에 밀어 넣어서 결합할 경우, 진입 초기에는 탄성후크(25)가 랜포트(40) 내측면에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다가,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다시 탄성 복원되어 랜포트(40) 내측의 걸림턱(41)에 후크부(26)가 걸리게 됨으로써, 랜포트 커넥터(20)가 랜포트(20)에서 자유롭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랜포트 커넥터(20)를 랜포트(4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탄성후크(25)의 자유단부(25a)를 커넥터 몸체(21) 쪽으로 눌러준 상태에서, 랜포트 커넥터(25)를 랜포트(40)로부터 잡아당겨 빼낼 수 있다. 즉, 탄성후크(25)의 자유단부(25a)를 커넥터 몸체(21) 쪽으로 눌러서 탄성 변형시키면, 탄성후크(25)의 후크부(26)가 랜포트(40) 내의 걸림턱(41)에 걸리지 않는 위치가 됨으로써 랜포트 커넥터(20)를 랜포트(40)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포트락 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장치 본체(100)에 설치되는 잠금유닛(120)과,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해제버튼(130)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110)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구조로서, 그 내부가 격벽(113)에 의해 제1장착부(111)와 제2장착부(112)로 구분된다. 제1장착부(111)에는 상기 잠금유닛(120)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제2장착부(112)에는 랜포트(40)에 결합될 랜포트 커넥터(20)가 관통하여 삽입결합된다. 상기 격벽(113)은 장치 본체(110) 내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 각각으로부터 서로 간격을 갖도록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한 쌍의 격벽(113) 사이의 공간에 의해 제1 및 제2장착부(111,113)가 서로 연통 될 수 있으며, 그 연통된 부분으로 랜포트 커넥터(20)의 탄성후크(25)가 간섭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110)에는 제1장착부(111)에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해제버튼(130)을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버튼 장착공(115)이 형성된다.
또한, 제2장착부(112)의 내부 바닥면에는 랜포트 커넥터(20)의 외측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인입홈(2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출턱(116)이 돌출 형성된다. 이 돌출턱(116)은 랜포트 커넥터(20)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턱(116)은 상기 인입홈(27)에 상보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도 5와 같이, 랜포트 커넥터(20)가 제2장착부(112)에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랜포트 커넥터(20)가 제2장착부(112)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면, 탄성후크(25)의 자유단부(25a)는 제1장착부(111)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제버튼(130)의 하부에 탄성후크(25)가 위치하고, 자유단부(25a)는 잠금유닛(12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잠금유닛(120)은 제1장착부(111)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하우징(121)과, 상기 고정하우징(121)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 이동 가능한 잠금부재(123)를 구비한다.
고정하우징(121)은 양단이 개방된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제1장착부(111)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하우징(121)에는 일부분을 절개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장착부(111)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빠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는 고정편(121a)이 복수 형성된다. 또한, 고정하우징(121)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123)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고,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리브(121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21a)이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고정하우징(121)이 제1장착부(111)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제1장착부(111)의 내부의 천정벽에는 고정홈(117)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재(123)는 외측의 프레임부재(123a)와, 프레임부재(123a)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구조물(123b)을 가진다. 프레임부재(123a)에는 상기 돌출리브(121b)에 대응되는 가이드공(h1)이 돌출리브(121b)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내부구조물(123b)을 고정 결합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부(123c)가 형성된다. 내부구조물(123b)은 선단이 프레임부재(123a)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부재(123a)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내부구조물(123b)의 외측으로 노출된 단부에는 키홈(h2)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잠금부재(123)를 고정하우징(121) 내부로 밀어서 삽입한 상태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제키(60)를 이용하여야만 잠금부재(123)를 고정하우징(121)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즉, 해제키(60)의 키 부분(61)을 키홈(h2)에 집어넣은 상태에서, 잡아당겨야만 잠금부재(123)를 고정하우징(121)으로부터 일정거리 빼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키(60)를 이용하여 잠금부재(123)를 고정하우징(121)으로부터 빼내는 구체적인 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975호에 기재된 구성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해제버튼(130)은 상기 장치 본체(110)의 제1장착부(111)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치 본체(110)에 결합된 랜포트 커넥터(20)의 탄성후크(25)의 상부에 위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해제버튼(130)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별도의 스프링(미도시)이 장치 본체(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5와 같이, 잠금부재(123)가 고정하우징(121)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해제버튼(130)을 누르면, 해제버튼(130)에 의해 탄성후크(25)가 도 7과 같이, 눌리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되고, 랜포트(30)에서 랜포트 커넥터(2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잠금부재(123)가 도 6과 같이, 고정하우징(121)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잠금부재(123)의 내부구조물(123b)과 프레임부재(123a) 사이의 공간(123c)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탄성후크(25)가 해제버튼(130)에 의해 눌리는 것을 차단된다. 즉, 탄성후크(25)의 자유단부(25a)가 내부구조물(123b)에 지지되어 해제버튼(130)에 의해 눌림 변형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랜포트(30)에 결합된 랜포트 커넥터(20)를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즉, 랜포트 커넥터(20)를 랜포트(3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해제키(60)를 이용하여 잠금부재(123)를 고정하우징(121)에서 일정 부분 빼내서 탄성후크(25)가 변형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해주어야만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포트락 장치(100)의 작용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랜포트락 장치(100)를 랜포트(30)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잠금부재(123)는 선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랜포트 커넥터(20)를 장치 본체(110)의 제2장착부(112)를 통과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그 랜포트 커넥터(20)를 도 5과 같이 랜포트(30) 내부로 삽입하여 연결한다. 그러면, 랜포트 커넥터(20)의 탄성후크(25)가 랜포트(30) 내부에서 로킹결합된다.
이와 같이, 랜포트 커넥터(20)를 랜포트(30)에 연결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잠금부재(123)를 밀어서 고정하우징(121) 내부로 집어넣는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부재(123)의 내부구조물(123b)이 탄성후크(25)의 자유단부(25a)를 지지한 상태가 되어, 해제버튼(130)을 누르더라도 탄성후크(25)가 눌리지 않게 됨으로써, 랜포트 커넥터(20)를 랜포트(30)로부터 분리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랜포트 커넥터(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해제키(60)를 소유한 관리자가 해제키(60)를 이용하여 잠금부재(123)를 도 7과 같이 고정하우징(121)으로부터 빼낸다. 이 상태에서, 해제버튼(130)을 누르면 탄성후크(25)가 해제버튼(130)에 의해 눌리게 되어, 랜포트(30)와의 로킹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해제버튼(130)을 누른 상태로 장치본체(110)를 잡아당기면, 도 8과 같이, 랜포트 커넥터(20)가 랜포트(3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랜포트락 장치(100)를 이용하여 랜포트 커넥터(20)를 전자기기 등의 랜포트(30)에 연결하게 되면, 관리자가 해제키(60)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랜포트 커넥터(20)를 랜포트(30)에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외부 침입자나 비인가된 자가 비인가된 랜포트 커넥터를 랜포트(30)에 연결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전자기기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랜포트 커텍터 21..커넥터 몸체
25..탄성후크 30..랜포트
60..해제키 100..랜포트락 장치
110..장치 본체 120..잠금유닛
121..고정하우징 123..잠금부재
130..해제버튼

Claims (7)

  1. 전자기기의 랜포트에 삽입시 상기 랜포트의 내부에 로킹결합되는 탄성후크를 가지는 랜포트 커넥터를 상기 랜포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로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랜포트 커넥터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랜포트 커넥터의 단자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된 랜포트 커넥터의 탄성후크를 간섭하거나 분리되어 상기 탄성후크의 탄성변형을 선택적으로 억제 및 허용하는 잠금유닛;
    상기 장치 본체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후크가 상기 잠금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진입시 상기 탄성후크를 간섭하여 탄성변형시키는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포트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잠금유닛이 결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연통되며 상기 랜포트 커넥터가 관통 결합되는 제2장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포트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제1장착부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양단이 개방된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 상기 탄성후크를 간섭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 외부로 돌출이동시 상기 탄성후크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격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포트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선단에는 키홈이 형성되는 내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구조물의 후단과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는 상기 탄성후크가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포트락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제1장착부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포트락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장착부 사이에는 한 쌍의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은 상기 장치 본체 내벽의 서로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서로 간격을 갖도록 마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포트락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랜포트 커넥터의 외측에 형성되는 인입홈에 대응하여 돌출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장착부 내부로 진입된 랜포트 커넥터를 위치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포트락 장치.
KR1020140086186A 2014-07-09 2014-07-09 랜 포트락장치 KR101475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86A KR101475861B1 (ko) 2014-07-09 2014-07-09 랜 포트락장치
EP15818583.5A EP3073411B1 (en) 2014-07-09 2015-06-22 Lan port lock device
PCT/KR2015/006315 WO2016006841A1 (ko) 2014-07-09 2015-06-22 랜 포트락장치
CN201580004185.6A CN105900107B (zh) 2014-07-09 2015-06-22 局域网络接口锁定装置
US15/163,999 US9608375B2 (en) 2014-07-09 2016-05-25 LAN port lo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86A KR101475861B1 (ko) 2014-07-09 2014-07-09 랜 포트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861B1 true KR101475861B1 (ko) 2014-12-23

Family

ID=5267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186A KR101475861B1 (ko) 2014-07-09 2014-07-09 랜 포트락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08375B2 (ko)
EP (1) EP3073411B1 (ko)
KR (1) KR101475861B1 (ko)
CN (1) CN105900107B (ko)
WO (1) WO20160068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747B1 (ko) * 2019-01-28 2020-01-17 (주)컴엑스아이 랜 케이블 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5844B2 (en) * 2015-01-19 2019-0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ity device for data component
CN108123303B (zh) * 2016-11-29 2020-08-18 宇纮国际有限公司 网络插头的微嵌孔适用于锁体的微扣的方法
CN109269691A (zh) * 2017-07-18 2019-01-25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济南特种结构研究所 一种应变测量用应变片接线结构
EP3613025A4 (en) 2017-07-20 2020-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QUIPMENT DETECTION
US20220069525A1 (en) * 2019-01-15 2022-03-03 Electronic Stock Ltd. Electric-port security device
WO2020172661A2 (en) * 2019-02-22 2020-08-2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Adapter assembly having a return spring with a push-pull tab
US11181696B2 (en) 2019-02-22 2021-11-23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Adapter assembly having a return spring with a push-pull tab
CN113518268B (zh) * 2021-04-20 2024-02-27 深圳市四海众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局域网接口装置
CN113517623B (zh) * 2021-04-25 2022-11-11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接插件装卸工装及电池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061A (ja) * 2001-04-06 2002-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モジュラプラグ
JP2006236719A (ja) * 2005-02-23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an端子台
JP3178693U (ja) * 2012-06-08 2012-09-27 梁宇泰 コネクタポートのロ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679Y2 (ja) * 1993-12-29 1999-02-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分岐接続用コネクタ
US5951317A (en) * 1998-04-13 1999-09-14 Motorola, Inc. Accessory connector assembly
JP3767779B2 (ja) * 1999-06-16 2006-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6450830B1 (en) * 2001-06-25 2002-09-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 means
US6457987B1 (en) * 2001-09-14 2002-10-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lug connector with latch mechanism
JP4133922B2 (ja) * 2004-04-28 2008-08-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ハウジング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一対の電気コネクタ
US7354291B2 (en) * 2006-03-01 2008-04-08 Panduit Corp. Plug locking assembly
US7311544B1 (en) * 2007-03-07 2007-12-25 Alcatel Lucent Connector locking device
TW200914704A (en) * 2007-09-20 2009-04-01 Aba Ufo Int Corp Lock for USB port
US7510412B1 (en) * 2008-02-07 2009-03-31 Hubbell Incorporated Tamper resistant assembly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US7452221B1 (en) * 2008-03-07 2008-11-18 Hubbell Incorporated Tamper resistant assembly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JP4988636B2 (ja) * 2008-03-24 2012-08-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一対の電気コネクタ
TWI378611B (en) * 2008-10-31 2012-12-01 Ibm An electrical adapter for a connector having a retention latch
US8038456B1 (en) * 2010-04-23 2011-10-1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Tamper prevention system having a shroud to partially cover a release mechanism
JP3162596U (ja) * 2010-06-25 2010-09-09 梁宇泰 コネクタロックの構造
US8632352B2 (en) * 2010-10-07 2014-01-21 Sentinel Connecto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network cable in a j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061A (ja) * 2001-04-06 2002-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モジュラプラグ
JP2006236719A (ja) * 2005-02-23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an端子台
JP3178693U (ja) * 2012-06-08 2012-09-27 梁宇泰 コネクタポートのロック構造
KR200469556Y1 (ko) * 2012-06-08 2013-10-18 유 타이 리앙 개선된 커넥터 소켓 잠금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747B1 (ko) * 2019-01-28 2020-01-17 (주)컴엑스아이 랜 케이블 락장치
US10637189B1 (en) 2019-01-28 2020-04-28 Comxi Co., Ltd. Locking apparatus for LAN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68734A1 (en) 2016-09-15
CN105900107A (zh) 2016-08-24
EP3073411A1 (en) 2016-09-28
EP3073411B1 (en) 2020-01-08
US9608375B2 (en) 2017-03-28
WO2016006841A1 (ko) 2016-01-14
CN105900107B (zh) 2019-02-19
EP3073411A4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861B1 (ko) 랜 포트락장치
US9553408B2 (en) USB port locking device
KR101391975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323364B1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US9639718B2 (en) USB link lock device
KR101961922B1 (ko)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KR101883661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621454B1 (ko)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EP3687005A1 (en) Locking apparatus for lan cable
KR20160067723A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101579470B1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20180032157A (ko) Usb 케이블 잠금장치
KR101412724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2292313B1 (ko) 랜 포트 잠금 장치
KR101724624B1 (ko) 광모듈 락 장치
KR101739978B1 (ko) 링크 락 허브
KR20170102455A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의 키유닛
JP2019502231A (ja) Rj45シャッター付きジャック及びこれに関連する通信システム
KR20170141330A (ko) 랜포트 락장치
JP7057409B1 (ja) 中継コネクタ
EP3342963A1 (en) A device comprising a casing and a cover releasably connected to the casing by a latching mechanism, and a method for releasing a cover from a casing
KR20160123139A (ko) 유에스비 폐쇄락 장치
TWM626213U (zh) 資料傳輸孔用之遮擋工具
TW201637540A (zh) 晶片卡鎖合裝置及應用該晶片卡鎖合裝置的電子裝置
JP2006146658A (ja) セキュリティ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