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624B1 - 광모듈 락 장치 - Google Patents

광모듈 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624B1
KR101724624B1 KR1020150156854A KR20150156854A KR101724624B1 KR 101724624 B1 KR101724624 B1 KR 101724624B1 KR 1020150156854 A KR1020150156854 A KR 1020150156854A KR 20150156854 A KR20150156854 A KR 20150156854A KR 101724624 B1 KR101724624 B1 KR 101724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optical module
release key
k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훈
Original Assignee
(주)컴엑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엑스아이 filed Critical (주)컴엑스아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6Secure or tamper-resistant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로킹부를 가지는 탄성편이 내부공간으로 편향되게 설치된 광모듈에 삽입되며 삽입시 로킹부에 걸리는 잠금유닛과, 잠금유닛을 로킹부에서 로킹해제시킨 후 잠금유닛을 광모듈로부터 인출하는 해제키를 가지는 해제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락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광모듈 락 장치{AN APPARATUS FOR LOCKING OPTICAL MODULE}
본 발명은 광모듈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의 연결커넥터가 연결되는 광포트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광모듈 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회사나 관공서 등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개인용 컴퓨터(노트 PC 포함)를 이용하여 관련업무를 처리하고 있으며, 기계 및 공장설비, 산업시설, 군사 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도 컴퓨터를 이용한 통제 및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를 이용한 업무 위주로 산업이 개편되다시피 하다 보니, 악의적으로 상대방의 컴퓨터에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 등을 침투시켜 피해를 일으키거나, 중요한 정보의 유출이 빈번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정보 관공서나, 회사, 정부 기관, 군사시설 등에서 정보의 유출을 막고, 바이러스 등의 침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 메모리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짧은 시간 내에 컴퓨터와의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범용화된 USB 포트, 광포트 등의 적용으로 인하여 제3자가 주요 컴퓨터에 쉽게 접속하여 바이러스를 침투시키거나, 중요한 정보를 빼내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대부분 시중에 나와 있는 컴퓨터에는 범용으로 접속할 수 있는 USB 포트가 복수 구비되어 있으며, 그 USB 포트들에 USB 메모리를 접속시킴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부자이던 외부자 이던 손쉽게 컴퓨터에 USB 메모리를 연결하여 바이러스를 침투시키거나, 주요 정보를 빼낼 수 있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USB 포트를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개방할 수 있는 'USB 포트 잠금장치'에 관한 기술이 다수 출원한 바 있다.
한편,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 등에는 USB 포트는 물론, 광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광포트도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광포트는 USB 포트와는 그 구조와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USB 포트를 가지고는 광포트를 잠글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광포트 즉, 광모듈을 물리적으로 잠글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3364호(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글 수 있는 광모듈 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모듈 락 장치는, 로킹부를 가지는 탄성편이 내부공간으로 편향되게 설치된 광모듈에 삽입되며, 삽입시 상기 로킹부에 걸리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을 상기 로킹부에서 로킹해제시킨 후 상기 잠금유닛을 상기 광모듈로부터 인출하는 해제키를 가지는 해제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광모듈 내부로 삽입시 상기 광모듈의 로킹부에 걸리는 걸림돌기; 상기 광모듈 내부로 삽입시, 상기 광모듈의 탄성편에 접촉되어 변형되는 가압부; 및 상기 해제키가 삽입되는 해제키 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로 삽입된 해제키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간섭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광모듈의 로킹부를 변형시켜 상기 걸림돌기의 상기 로킹부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광모듈에 대응되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를 가지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와 상기 걸림돌기를 가지는 내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의 내부에 상기 잠금부재의 가압부가 위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상부벽과 하부벽 및 양측의 측면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상부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제1탄성편과, 상기 하부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며 상기 광모듈의 탄성편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벽 내측의 상기 해제키 삽입부로 진입되게 변형되는 제2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이 조다.
또한, 상기 내부 구조물은, 상기 잠금부재와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를 가지는 구조물 몸체; 및 상기 구조물 몸체의 전면에 확장 형성되며, 상기 광모듈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는, 상기 구조물 몸체의 외측에 상기 잠금부재의 가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 형성되며, 상기 해제키에 대응되는 패턴홈부 및 걸림홈부가 형성된 키홈; 및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서 상기 키홈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해제키가 삽입 가능한 키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부 구조물은, 상기 잠금부재의 상부벽과 하부벽 및 측면벽들 사이에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물 몸체; 및 상기 잠금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조물 몸체의 전면에 확장 형성되며, 상기 광모듈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는, 상기 구조물 몸체의 하부에 상기 잠금부재의 가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 형성되며, 상기 해제키에 대응되는 키 패턴이 형성된 키홈; 및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서 상기 키홈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해제키가 삽입 가능한 키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내부 구조물의 분리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내부 구조물의 외측면에는 상기 로킹돌기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광모듈에 삽입시, 상기 로킹부에 대응되게 상기 로킹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광모듈 락 장치에 따르면, 광모듈에 삽입결합되어 허용된 해제키를 사용하지 않고는 광모듈에서 분리할 수 없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광모듈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외부인이 인위적으로 데이터의 빼내거나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 등의 침투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표준화된 구성을 가지는 광모듈의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여 광모듈을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광모듈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본 발명의 광모듈 락 장치를 사용하여 광모듈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모듈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락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잠금부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잠금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잠금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내부 구조물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내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내부 구조물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광모듈에 잠금유닛을 삽입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광모듈에 삽입된 잠금유닛을 해제키를 이용하여 잠금해제 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락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락 장치(100)는, 전자제품(10)의 광모듈(20)에 삽입 결합되어, 광모듈(20)을 물리적으로 잠그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광모듈(20)은 규격화된 사이즈 및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광모듈(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10)의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4각 틀 형상의 프레임에 의해 이루어진 하우징 몸체(21) 내부에 접속단자(미도시)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하우징 몸체(21)는 상부벽(22)과, 하부벽(23) 및 양측벽(24)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이 개방된 사각 틀 구조를 가진다. 이 중에서 상부벽(22)과 하부벽(23)및 양측벽(24) 각각에는 제1탄성편(25)이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삽입되는 광포트 커넥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탄성편(25)은 하우징 몸체(21)의 입구에서 안쪽 내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벽(23)의 중앙부분에는 내부 안쪽에서부터 입구로 나올수록 내부 공간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탄성편(25)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탄성편(26)이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제2탄성편(26)에는 로킹부(26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이 로킹부(26a)는 제2탄성편(26)에 형성되는 로킹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로킹부(26a)는 홈, 돌기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돕기 위해, 광모듈(20)을 '광포트'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광포트(20)를 물리적으로 폐쇄하여 잠그기 위한 본 발명의 광모듈 락 장치(100)는, 광포트(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잠금유닛(200)과, 잠금유닛(200)과 광포트(20) 간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해제키 유닛(300)을 구비한다.
상기 잠금유닛(200)은 잠금부재(210)와, 잠금부재(210)와 결합되는 내부 구조물(220)을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부재(210)는 광포트(20)의 하우징 몸체(21)에 대응되는 형성 즉,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사각 틀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잠금부재(2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상부벽(211), 하부벽(212) 및 양측의 측면벽(213)을 가진다.
상부벽(211)과 하부벽(212) 각각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가압부 즉, 제1 및 제2탄성편(219,2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벽 (211) 및 하부벽(212) 각각에는 내부구조물(220)의 로킹홈(224,226)에 걸리는 로킹돌기(215,216)가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잠금부재(210) 내부로 내부 구조물(220)을 삽입하여 결합시, 로킹홈(224,226)에 로킹돌기(215,216)가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벽(212)의 전방측 하부에는 내부 구조물(220)에 설치된 걸림돌기(228)가 통과하도록 통과홀(217)이 형성되며, 통과홀(217)은 제2탄성편들(214)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벽(212)의 제2탄성편(214)은 통과홀(217)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이웃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탄성편(26)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탄성편(26)은 한 쌍의 제2탄성편(214)에 모두 접촉될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2탄성편(214)은 하부벽(212)에 연결되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는 내부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끝단부(214a)는 외측방향(도면상에서 하방향으로)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210)를 광포트(20)에 삽입시, 광포트(20)의 제2탄성편(26)의 탄성이 잠금부재(210)의 제2탄성편(214)보다 크기 때문에 제2탄성편(214)이 변형되어 잠금부재(210) 내부로 돌출되게 변형되고, 후술할 걸림돌기(228)는 로킹홀(26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 구조물(220)은 구조물 몸체(221)와, 구조물 몸체(221)의 전면에 연결되는 커버부(223)를 구비한다. 구조물 몸체(221)는 잠금부재(21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부에는 잠금부재(210)의 로킹돌기(215)가 걸리는 걸림홈(224)에 의한 걸림턱(225)이 형성된다. 내부 구조물(220)에는 상기 해제키 유닛(300)의 해제키(310)가 삽입되어 걸리는 해제키 삽입부가 구비된다. 상기 해제키 삽입부는 후술할 키홈(227) 및 해제키 삽입홀(h)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물 몸체(221)의 하면에는 잠금부재(210)의 로킹돌기(216)가 걸리를 걸림홈(226)이 형성되며, 해제키 유닛(300)의 해제키(310)가 수용되는 키홈(227)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227)의 내측벽에는 해제키(310)가 걸리를 걸림홈부(227a)와, 해제키(310)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홈부(227b)가 측면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키홈(227)의 천정에는 상기 제2탄성편(214)의 끝단부(214a)가 제2탄성편(26)에 가압되어 밀려 올라간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홈부(227c)가 더 형성된다.
또한, 구조물 몸체(221)의 하부에는 광포트(20)의 제2탄성편(26)에 형성된 로킹부 즉, 로킹홀(26a)에 걸리는 걸림돌기(22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돌기(228)는 구조물 몸체(22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키홈(227)이 형성된 부분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키홈(227)은 커버부(223)에 형성된 키 삽입홀(h)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잠금유닛(200)을 광포트(20)에 삽입하면, 광포트(20)의 탄성편(26)에 가압되어 변형된 탄성편(214)이 잠금부재(210) 내부의 키홈(227)으로 진입되어 수용홈부(227c)에 수용되도록 변형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23)는 구조물 몸체(221)의 전면에 형성되며, 구조물 몸체(221)의 전면 면적보다 크게 확장되며, 바람직하게는 광포트(20)의 입구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유닛(200)을 광포트(20)에 삽입하면, 커버부(223)에 의해 광포트(20)가 완전히 가려지게 되므로, 잠금부재(210)와 광포트(20) 사이의 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제키 유닛(300) 이외의 도구를 가지고 잠금부재(210)와 광포트(20) 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잠금유닛(200)의 로킹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제키 유닛(300)은 해제키(310)와, 해제키(310)가 연결되는 유닛 본체(320)와, 키 조작레버(330)를 구비한다. 상기 해제키(310)는 한 쌍의 키부재(311)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며, 키 조작레버(330)의 조작에 의해 동작된다. 해제키(310)에는 키홈(227)에 형성된 키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패턴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해제키 유닛(300)은 해제키(310)를 키부재들(31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잠금유닛(200)의 키 삽입홀(h)로 삽입한 후 키 조작레버(330)를 조작하여 펼쳐지게 하면, 키 부재들(311)의 패턴이 키홈(227)의 패턴홈부(227b)와 일치하게 되면, 해제키(311)의 끝단의 걸림턱이 키홈(227a)의 걸림홈부(227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광포트(20)에 삽입된 잠금유닛(200)을 잡아당겨서 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제키(310)를 키 삽입홀(h)에 삽입할 때, 삽입되는 해제키(310)가 키홈(227)으로 이동되어 수용홈부(227c)에 그 끝단부(214a)가 위치된 탄성편(214)을 간섭하여 강제로 가압하여(도면상에서는 탄성편의 끝단부(214a)의 절곡된 상부면을 눌러서 이동시킴)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해제키(310)에 눌린 탄성편(214)이 잠금부재(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광포트(20)의 탄성편(26)을 도 10과 같이 가압하여(눌러서) 변형시킴으로써, 로킹홀(26a)에서 걸림돌기(227)가 분리되어 로킹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잠금유닛(200)을 광포트(20)에서 빼내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0과 같이 잠금유닛(200)을 광포트(20)에 삽입하게 되면, 사용하지 않는 광포트(20)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해제키 유닛(300)을 사용하지 않고는 다른 도구를 이용하거나 손을 이용하여 잠금유닛(200)을 광포트(20)에서 분리할 수 없으므로, 광포트(20)를 통한 데이터 손실이나 악성코드 유입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광포트(2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키 유닛(30)의 해제키(310)를 키 삽입홀(h)에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잠금유닛(200)의 로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해제한 상태에서 해제키 유닛(300)을 잡아당기면 해제된 잠금유닛(200)을 광포트(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락 장치(100)에 의하면, 광포트(20)의 특정 구조에 대응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잠금유닛(200)을 광포트(20)에 삽입하여 완전히 폐쇄하여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침입자나 비 관리자가 악의적으로 광포트(20)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여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잠금유닛(200)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해제키 유닛(300)을 이용하여 로킹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해제된 상태의 잠금유닛(200)을 광포트(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빼낼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제키 유닛(300)은 해제키(310)에 형성된 키 패턴 등이 다양하게 설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한 형상이나 크기, 디자인 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해제키 유닛(300)은 종래의 USB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공지의 해제키 유닛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설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자세한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재(210')에 의하면, 잠금부재(210')의 하부벽(212)에 걸림돌기(218)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경우 내부 구조물(220')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지 않으며, 잠금부재(210')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218)가 광포트(20)의 로킹홀(26a)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걸리게 된다. 이러한 걸림돌기(218)는 하부벽(212)의 전면단부를 일부 절개한 뒤 외측으로 돌출되게 변형시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부재 또는 내부 구조물 중 어느 쪽에라도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광포트(20)의 로킹부 즉, 로킹홀에 대응되로고 하여 걸리도록(로킹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210,210')는 금속재질을 틀 형상으로 제작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내부 구조물(220,220')은 플라스틱, 금속을 포함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광포트 21..하우징 몸체
25..제1탄성편 26..제2탄성편
100..광모듈 락 장치 200..잠금유닛
210..잠금부재 220..내부 구조물
300..해제키 유닛 310..해제키
320..유닛 몸체 330..조작 레버

Claims (8)

  1. 로킹부를 가지는 탄성편이 내부공간으로 편향되게 설치된 광모듈에 삽입되며, 삽입시 상기 로킹부에 걸리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을 상기 로킹부에서 로킹해제시킨 후 상기 잠금유닛을 상기 광모듈로부터 인출하는 해제키를 가지는 해제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광모듈에 대응되는 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모듈의 탄성편에 접촉되어 변형되는 가압부를 가지는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해제키가 삽입되는 해제키 삽입부와, 상기 광모듈의 내부로 삽입시 상기 로킹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내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로 삽입된 해제키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간섭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광모듈의 로킹부를 변형시켜 상기 걸림돌기의 상기 로킹부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부벽과 하부벽 및 양측의 측면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상부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제1탄성편과, 상기 하부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며 상기 광모듈의 탄성편에 접촉되어 상기 해제키 삽입부로 진입되게 변형되는 제2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조물은,
    상기 잠금부재와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를 가지는 구조물 몸체; 및
    상기 구조물 몸체의 전면에 확장 형성되며, 상기 광모듈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는,
    상기 구조물 몸체의 외측에 상기 잠금부재의 가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 형성되며, 상기 해제키에 대응되는 패턴홈부 및 걸림홈부가 형성된 키홈; 및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서 상기 키홈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해제키가 삽입 가능한 키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락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조물은,
    상기 잠금부재의 상부벽과 하부벽 및 측면벽들 사이에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물 몸체; 및
    상기 잠금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조물 몸체의 전면에 확장 형성되며, 상기 광모듈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는,
    상기 구조물 몸체의 하부에 상기 잠금부재의 가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 형성되며, 상기 해제키에 대응되는 키 패턴이 형성된 키홈; 및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서 상기 키홈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해제키가 삽입 가능한 키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내부 구조물의 분리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내부 구조물의 외측면에는 상기 로킹돌기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락 장치.
  8. 로킹부를 가지는 탄성편이 내부공간으로 편향되게 설치된 광모듈에 삽입되며, 삽입시 상기 로킹부에 걸리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을 상기 로킹부에서 로킹해제시킨 후 상기 잠금유닛을 상기 광모듈로부터 인출하는 해제키를 가지는 해제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광모듈에 대응되는 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모듈의 탄성편에 접촉되어 변형되는 가압부와, 상기 광모듈 내부로 삽입시 상기 로킹부에 걸리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로킹돌기를 가지는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해제키가 삽입되는 해제키 삽입부를 가지는 내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키 삽입부로 삽입된 해제키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간섭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광모듈의 로킹부를 변형시켜 걸림돌기의 상기 로킹부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락 장치.

KR1020150156854A 2015-10-20 2015-11-09 광모듈 락 장치 KR101724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028 2015-10-20
KR20150146028 2015-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624B1 true KR101724624B1 (ko) 2017-04-18

Family

ID=5870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54A KR101724624B1 (ko) 2015-10-20 2015-11-09 광모듈 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1422A (ja) 2007-02-05 2008-08-2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光コネクタの解除可能なロック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1422A (ja) 2007-02-05 2008-08-2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光コネクタの解除可能なロック機構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랜포트(RJ-45/LAN)는 안전한가요? 보안을 위해서 잠금/폐쇄 해주세요.", http://moricable.blog.me/220098873612, 2014.08.21.
보안뉴스, "컴엑스아이, 랜케이블 보안통제장치 개발", 2014.09.24.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3110&kind=3#
이상수, "TWDM-PON ONT 광트랜시버용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기술", 2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3408B2 (en) USB port locking device
KR101391975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559529B1 (ko) Usb 링크락 장치
KR101323364B1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101475861B1 (ko) 랜 포트락장치
KR101961922B1 (ko)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US8845355B2 (en) Blockout device for USB port
US10637189B1 (en) Locking apparatus for LAN cable
KR101883661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2016580B1 (ko) Qsfp 포트 락장치
KR101925837B1 (ko) 설치가 편리한 랜포트 잠금장치
KR102008867B1 (ko) Usb 케이블 잠금장치
KR101412724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724624B1 (ko) 광모듈 락 장치
KR101739978B1 (ko) 링크 락 허브
TWM563722U (zh) 用於電子裝置連接埠之可快速開啟閉合防水防塵掀蓋
US20170300340A1 (en) Secure computer access using removable bootable drives
KR102292313B1 (ko) 랜 포트 잠금 장치
JP2007059252A (ja) プラグ抜き取り防止ユニット及び送受信用コード
KR20170141330A (ko) 랜포트 락장치
WO2015093824A1 (ko) Usb 링크락 장치
KR20160123139A (ko) 유에스비 폐쇄락 장치
CN110941055B (zh) 双工适配器
KR20170102455A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의 키유닛
TWM626213U (zh) 資料傳輸孔用之遮擋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