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93824A1 - Usb 링크락 장치 - Google Patents

Usb 링크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93824A1
WO2015093824A1 PCT/KR2014/012410 KR2014012410W WO2015093824A1 WO 2015093824 A1 WO2015093824 A1 WO 2015093824A1 KR 2014012410 W KR2014012410 W KR 2014012410W WO 2015093824 A1 WO2015093824 A1 WO 20150938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usb port
port
blocking
external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24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창훈
Original Assignee
안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590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59529B1/ko
Application filed by 안창훈 filed Critical 안창훈
Priority to EP14871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73410B1/en
Priority to CN201480068607.1A priority patent/CN105830088B/zh
Publication of WO20150938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93824A1/ko
Priority to US14/815,674 priority patent/US963971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Abstract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전자기기의 USB포트에 삽입 결합되어 외부기기의 접근을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차단부재에 인접되도록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의 USB 연결포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장형 USB 포트부와, 차단결합부가 삽입되는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의 단자와 외장형 USB 포트부에 삽입되는 외부의 USB 연결포트 간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호 연결부, 차단부재가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강제로 빠지지 않도록 전자기기에 선택적으로 로킹되는 로킹부재와,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며 외장형 USB 포트부로 비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걸림부재, 차단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위치에 따라서 로킹부재를 간섭하여 로킹부재의 로킹동작을 제어하고 걸림부재를 지지하여 이동위치에 따라 걸림부재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걸림부재의 차단동작을 제어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가 게시된다.

Description

USB 링크락 장치
본 발명은 USB 링크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USB 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유출 및 바이러스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해 물리적 방법으로 USB 포트를 잠그고 해제할 수 있는 USB 링크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회사나 관공서 등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개인용 컴퓨터(노트 PC 포함)를 이용하여 관련업무를 처리하고 있으며, 기계 및 공장설비, 산업시설, 군사 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도 컴퓨터를 이용한 통제 및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를 이용한 업무 위주로 산업이 개편되다시피 하다 보니, 악의적으로 상대방의 컴퓨터에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 등을 침투시켜 피해를 일으키거나, 중요한 정보의 유출이 빈번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정보 관공서나, 회사, 정부 기관, 군사시설 등에서 정보의 유출을 막고, 바이러스 등의 침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 메모리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짧은 시간 내에 컴퓨터와의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범용화된 USB 포트의 적용으로 인하여 제3자가 주요 컴퓨터에 쉽게 접속하여 바이러스를 침투시키거나, 중요한 정보를 빼내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현재 대부분 시중에 나와 있는 컴퓨터에는 범용으로 접속할 수 있는 USB 포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으며, 그 USB 포트에 USB 메모리를 접속시킴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부자이던 외부자 이던 손쉽게 컴퓨터에 USB 메모리를 연결하여 바이러스를 침투시키거나, 주요 정보를 빼낼 수 있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방지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USB 포트뿐만 아니라, 키보드 및 마우스 연결포트의 경우에도 사전에 인가된 USB 이외의 다른 USB가 삽입될 경우, 이를 적극적으로 차단하여 미리 인가된 USB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차단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3364호(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컴퓨터 기기의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USB 메모리를 통한 바이러스 침투는 물론 정보 유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USB 링크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USB 링크락 장치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전자기기의 USB포트에 삽입 결합되어 외부기기의 접근을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에 인접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의 USB 연결포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장형 USB 포트부와; 상기 차단결합부가 삽입되는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의 단자와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에 삽입되는 외부의 USB 연결포트 간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호 연결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강제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전자기기에 선택적으로 로킹되는 로킹부재와;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로 비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걸림부재; 상기 차단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로킹부재 를 간섭하여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걸림부재를 지지하여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상기 걸림부재의 차단동작을 제어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포트 삽입부와; 상기 포트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타단으로 상기 잠금부재가 출몰되도록 그 내부에서 상기 잠금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는 상기 차단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로 진입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편을 가지며,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내부로 진입 가능한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차단부재에 상기 로킹부재가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포트 삽입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이동에 의해 간섭되어 변형되면서 상기 포트 삽입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에 형성되는 로킹홀에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이 상기 잠금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동작시 자세 변형되면서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로 삽입되는 비인가 외부 USB 연결포트의 삽입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부재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쪽으로 절곡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로 진입 가능한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핀; 및 상기 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핀을 상기 가이드관에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신호 연결부는, 상기 차단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제1내부구조물;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에 설치되는 제2내부구조물; 상기 제1 및 제2내부구조물 각각에 내장된 제1 및 제2접속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접속단자를 연결하도록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에서 상기 차단부재 내부로 연결되는 단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단자 연결부재는 FPC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차단부재 내외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부 구조물; 및 일단부가 상기 내부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차단부재 내부로 삽입시 상기 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부에 로킹결합되도록 간섭하는 로킹부재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의 내부구조물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를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며,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는 걸림부재가 통과하는 가이드공을 가지는 가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차단부재 내부로 삽입시 상기 가이드공의 테두리인 가이드부에 접촉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USB 포트부 내부로 진입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USB 링크락 장치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침입자에 의해 바이러스 침투 및 주요 정보의 유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USB 포트에 삽입되어 차단하는 잠금부재를 빼내기 위한 해제키유닛을 이용하지 않으면 잠금부재를 해제할 수 없으므로,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서 분리할 수 없게 되며, 링크락 장치에 마련된 외장형 USB 포트부에 허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를 미리 연결한 상태로 전자기기에 연결잠금하게 되면, 허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를 분리한 후에, 비 허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를 연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유지보수와 외부 개발인력들이 기밀문서 등이 있는 전자기기나 서버 등에 접속하여 작업할 때, 인가된 포트(외장형 USB 포트)만을 통해서 외부의 USB 단자를 연결시켜준 뒤 잠금 상태로 전환하면, 고유의 해제키유닛이 없이는 분리가 불가능해서 외부인원의 통제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보호장비의 PC나 서버에 외부 USB단자를 본 발명의 USB 링크락 장치를 통해서 연결시켜주고, 반대편에 연결되는 노트북이나 기타 이동매체 USB 포트에도 본 발명의 USB 링크락 장치로 연결하면, 관리자가 해제키유닛으로 해제해주어야만 USB 포트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인이 외장형 USB 포트에 연결된 인가된 외부 USB 연결포트를 전자기기로부터 분리한 뒤, 외장형 USB 포트부에 외부 USB 연결포트(비인가 USB 메모리 등)를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링크락 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SB 링크락 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장치 본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USB 링크락 장치가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상태에서의 USB 링크락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a의 상태에서 잠금부재를 차단부재에서 빼낸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외부의 USB 연결포트가 연결된 상태로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결합된 USB 링크락 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잠금키 유닛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링크락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링크락장치(300)는 차단부재(310)와, 외장형 USB 포트부(320)와, 신호 연결부(330)와, 로킹부재(340)와, 걸림부재(350)와, 잠금부재(360) 및 장치 본체(3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370)는 서로 분리 및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371,37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케이스(371,372) 사이에 차단부재(310), 외장형 USB 포트부(320)와, 신호 연결부(330)와, 로킹부재(340)와, 걸림부재(350)와, 잠금부재(36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장치 본체(370)의 전면에는 상하로 제1 및 제2관통공(370a,370b)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370a)으로는 차단부재(310)가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관통공(370b)으로는 외장형 USB 포트부(3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 및 제2관통공(370a,370b)은 서로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장치 본체(370)의 후면에는 상기 차단부재(310)가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게 결합되는 제3관통공(370c)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장치 본체(370)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 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310)는 도 4와 같이,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에 삽입결합되어 외부 기기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4각 틀 형상을 가지고, 양단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차단부재(310)는 하면(311)과 상면(312) 및 양측면(313)을 가지며,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면(312)의 일부분이 개방된 개방부(314)를 통해 차단부재(310) 내부에 잠금부재(3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면(311)에 상기 로킹부재(3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하면(311)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로킹부재(340)를 탄성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로킹부재(340)는 일부분이 절곡되어 있고,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로킹돌기(341)를 가진다. 상기 로킹돌기(341)는 차단부재(310)를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에 삽입시, USB 포트(10) 내측에 형성되는 로킹홀(11)에 삽입되어 로킹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부재(340)의 로킹동작과 해제동작은 상기 잠금부재(360)에 의해 제어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하면(311)에는 잠금부재(360)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공(311a)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차단부재(310)는 장치 본체(370)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로 장치본체(370)로부터 돌출되도록 일단부에 마련되어 전자기기의 USB 포트(10) 내부에 삽입되는 포트 삽입부(310a)와, 포트 삽입부(310a)에 연장되어 하우징(301) 내부에 위치하여 잠금부재(36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310b)를 가진다. 포트 삽입부(310a)는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에 대응되는 사이즈 및 형상을 갖는다.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320)는 차단부재(310)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외부의 USB 메모리나 USB 연결포트(410)가 삽입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연결을 위한 USB 포트일 수 있다. 이러한 외장형 USB 포트부(320)는 차단부재(310)와 적층되어 배치되도록 장치 본체(370) 내부에 장착된다. 외장형 USB 포트부(320)는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가 진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4각 틀 구조를 가지고, 금속재질로서 차단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로 적층된 구조로서, 장치 본체(370)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외장형 USB 포트부(320)는 복수의 탄성지지편(321)을 구비하여, 그 내부로 진입되는 외부의 USB 연결포트(4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외장형 USB 포트부(320)의 차단부재(310)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걸림부재(350)가 통과하는 통과공(323)이 형성된다.
상기 신호 연결부(330)는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 내의 단자(13)와, 외장형 USB 포트부(320)에 삽입되는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간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신호 연결부(330)는 차단부재(310) 내부에 설치되는 제1내부구조물(331)과, 외장형 USB 포트부(320) 내부에 설치되는 제2내부구조물(332), 제1 및 제2내부구조물(331,332) 각각에 내장된 제1 및 제2접속단자(333)(334) 및 상기 제1 및 제2접속단자(333)(334)를 연결하는 단자 연결부재(335)를 구비한다.
상기 제1내부구조물(331)은 차단부재(310)의 포트 삽입부(310a)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333)가 내장되어 설치된다. 제2내부구조물(332)은 외장형 USB 포트부(3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접속단자(334)가 내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335)는 일단이 상기 제1접속단자(33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접속단자(334)에 신호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FPC 케이블인 것이 좋다. 따라서,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내부구조물(331,332)을 위치나 거리 및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킹부재(340)는 도 4 및 도 5a와 같이, 차단부재(310)가 상기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강제로 빠지지 않도록 전자기기(1)에 선택적으로 로킹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로킹부재(340)는 차단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부재(310)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 측 자유단부는 차단부재(310) 내부에 위치하다가, 이동되는 잠금부재(360)에 의해 간섭되어 이동되어 USB 포트(10) 내부벽(로킹홀 또는 로킹홈 등 다양한 구조 가능)(11)에 걸리도록 하는 로킹돌기(341)를 가진다. 이러한 로킹부재(340)는 잠금부재(3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간섭 및 간섭해제되어 로킹동작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도 6과 같이, 잠금부재(360)를 차단부재(310) 내부에서 외부로 빼내면, 잠금부재(360)에 의해 간섭되어 외측으로 밀려났던 로킹부재(340)의 자유단부 측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차단부재(310) 내부로 삽입되고, 전자기기(1)의 내부벽(11)에서는 로킹해제됨으로써, 차단부재(310)를 USB 포트(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350)는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320)로 비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사전에 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는 차단부재(310)를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에 삽입한 뒤, 잠금부재(360)를 눌러서 로킹부재(340)와 걸림부재(350)가 각각 로킹위치와 잠금위치에 위치되기 전에 미리 외장형 USB 포트부(320)에 결합한 외부의 USB 연결포트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USB 포트부(320)에 결합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가 인가된 USB 연결포트이다.
따라서 미리 외장형 USB 포트부(320)에 결합하지 않고 차후에(잠금부재를 도 5a와 같이 차단부재 내부로 밀어 넣어 결합한 이후에) 결합하고자 하는 외부의 USB 연결포트(420)는 비인가된 것으로 간주되어 도 5a와 같이, 걸림부재(350)에 의해 외장형 USB 포트부(320)로의 진입이 차단된다.
상기 걸림부재(350)는 잠금부재(360)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외장형 USB 포트부(320) 쪽으로 절곡된 회동부재(351)와, 회동부재(351)의 타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353)를 구비한다. 회동부재(351)이 타단에는 상기 가동부재(35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351a)이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부재(353)는 결합홀(351a)에 삽입되는 가이드관(353a)과, 가이드관(353a)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핀(353b)과, 차단핀(353b)을 가이드관(353a)에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353c)을 구비한다. 스프링(353c)은 가이드관(353a)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핀(353b)이 외부로 돌출되게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동부재(353)가 회동부재(351)의 결합홀(35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차단핀(353b)만이 도 5a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외장형 USB 포트부(320)에 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를 삽입한 상태에서, 잠금부재(360)를 차단부재(310) 내부로 밀어 넣으면, 도 7과 같이, 회동부재(351)가 가이드커버(380)의 가이드공(382)의 테두리 즉, 가이드부(383)에 접촉되어 회동된다. 이때, 가동부재(353)의 차단핀(353b)은 외장형 USB 포트부(320)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에 접촉되어 회동부재(351)의 결합홀(351a) 내부로 밀려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를 사용하다가, 외장형 USB 포트부(320)로부터 빼내면, 도 5a와 같이, 차단핀(353b)이 스프링(353c)에 밀려서 돌출되어 외장형 USB 포트부(320) 내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비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20)를 외장형 USB 포트부(320) 내부에 집어넣게 되면, 차단핀(353b)에 걸려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게 되어, 비인가된 USB 연결포트(420)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커버(380)는 차단부재(310)의 가이드부(310b)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분 덮도록 차단부재(310)에 고정 결합된다. 즉, 가이드부(310b)에 상기 잠금부재(360)를 장착한 후에, 그 상부를 덮도록 가이드커버(380)를 차단부재(310)에 고정 결합한다. 이때, 잠금부재(360)의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351)가 차단부재(3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동위치에 따라서 회동부재(351)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하기 위해서, 가이드커버(380)에는 통과공(382)이 형성되고, 그 통과공(382)의 일측 테두리 즉, 가이드부(383)에 의해 회동부재(351)가 이동위치에 따라 가이드되어 회동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커버(380)를 차단부재(310)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가이드커버(380)에는 복수의 로킹홀(383)이 형성되고, 차단부재(310)의 측면(313)에는 로킹돌기(315)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잠금부재(360)는 차단부재(310)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단부재(310) 내부로 삽입시 로킹부재(340) 및 걸림부재(350)가 연동하도록 하여, 로킹부재(340)의 로킹동작 및 걸림부재(350)의 차단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잠금부재(360)는 차단부재(310) 내외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되게 설치되는 프레임(361)과, 프레임(36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35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부 구조물(363) 및 내부구조물(363)과 프레임(361) 사이에 지지되는 로킹부재 간섭부재(365)를 구비한다.
프레임(361)은 양단이 개방된 4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 프레임(361) 내부에 내부 구조물(363)이 결합된다. 내부구조물(363)에 상기 간섭부재(351)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축(363a)이 형성된다. 내부 구조물(363)과 프레임(361) 사이에 로킹부재 간섭부재(365)의 일단부가 설치된다. 이 로킹부재 간섭부재(365)는 프레임(361)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이 잠금부재(360)의 이동시 상기 로킹부재(340)를 간섭하여 도 5a와 같이 로킹동작을 제어한다.
프레임(361)은 간섭부재(310)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가이드커버(380)에 의해 덮인다. 프레임(361)에는 회동부재(351)가 통과하는 통과홀(361a)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361)의 일면 즉, 상기 차단부재(310)의 하면(311)에 형성된 가이드공(311a)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361b)가 돌출형성된다. 가이드돌기(361b)가 가이드공(3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361)이 왕복 이동되면, 가이드공(311a)을 따라서 가이드돌기(361b)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며, 결국 프레임(361)이 차단부재(310)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구조물(363)은 프레임(361)의 내부에 일정 공간을 차지하도록 결합된다. 내부구조물(363)의 전면으로 키홀(363b)이 형성되며, 키홀(363b)의 내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제키 유닛(120)의 고정키(123) 및 걸쇠키(124)가 삽입되어 결합 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내부구조물(363)의 측면에는 간섭부재(351)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축(363a)이 형성된다.
상기 로킹부재 간섭부재(365)는 내부구조물(363)과 프레임(361) 사이에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부는 프레임(361) 외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로킹부재 간섭부재(36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360)가 차단부재(310) 외부로 돌출되게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로킹부재(340)를 간섭하지 않게 되어, 로킹부재(340)는 로킹홀(11)에서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도 6의 상태에서, 잠금부재(360)를 밀어 도 5a와 같은 상태가 되면, 로킹부재 간섭부재(365)가 로킹부재(340)를 간섭하게 되고, 로킹부재(340)는 로킹부재 간섭부재(365)에 밀려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로킹돌기(341)가 로킹홀(11)에 삽입되어 로킹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차단부재(310)가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5a의 상태에서 잠금부재(360)를 외부로 빼내서 로킹부재(340)를 로킹해제시킬려면, 허가된 해제키유닛(120)을 이용해야만 하므로, 외부인이 잠금부재(360)를 빼내서 로킹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링크락 장치의 작용효과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과 같이, 외장형 USB 포트부(320)에 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를 삽입한 상태에서, 차단부재(310)를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에 삽입하여 가결합 한다. 이 상태에서, 잠금부재(360)를 차단부재(310) 내부로 밀어 넣으면, 로킹부재 간섭부재(365)에 의해 로킹부재(340)가 간섭되어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에 로킹결합된 상태가 되어 전자기기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잠금부재(360)가 차단부재(310) 내부로 삽입되면서, 회동부재(351)가 가이드커버(380)의 가이드부(383)에 접촉되어 회동된다. 이때, 가동부재(353)의 차단핀(353b)은 외장형 USB 포트부(320)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에 접촉되어 회동부재(351)의 결합홀(351a) 내부로 밀려 들어가서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10)를 사용하다가, 외장형 USB 포트부(320)로부터 빼내면, 도 5a와 같이, 차단핀(353b)이 스프링(353c)에 밀려서 돌출되어 외장형 USB 포트부(320) 내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비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420)를 외장형 USB 포트부(320) 내부에 집어넣게 되면, 차단핀(353b)에 걸려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게 되어, 비인가된 USB 연결포트(420)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과 같이, 잠금부재(360)를 밀어 넣는 동작에 의해서, 차단부재(310)를 강제로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되고, 비 인가된 외부 USB 연결포트(메모리 또는 USB 케이블 등)를 삽입하게 되면, 걸림부재(350)에 의해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결국 전자기기(1)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접속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310)를 전자기기(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잠금부재(360)를 초기위치 즉, 차단부재(31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해제키 유닛(120)을 사용하여 잠금부재(360)를 빼낼 수 있으며, 다른 도구를 이용해서는 잠금부재(360)를 빼낼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USB 링크락 장치(300)에 따르면, 유지보수와 외부 개발인력들이 기밀문서 등이 있는 서버 등에 접속하여 작업을 할 때, 인가된 포트만 삽입한 후에는 고유의 해제키유닛이 없이는 분리가 불가능해서 외부인원의 통제가 가능하다. 즉, 보호장비의 PC나 서버에 외부 USB 단자를 본 발명의 USB 링크락 장치(300)를 이용하여 연결시켜주고, 연결되는 노트북이나 기타 이동매체 USB 포트에도 USB 링크락 장치를 연결하면, 관리자가 해제키유닛으로 동시에 해제해주어야만 USB 포트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장형 USB 포트부에 키보드나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사전에 인가된 키보드나 마우스를 빼낸 곳에, 비 인가된 외부 USB 연결포트를 사용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자기기(1)의 보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서로 가깝게 인접된 복수의 USB 포트를 차단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USB 링크락 장치는 그 두께를 최소화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잠금키 유닛(120)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상기 잠금키 유닛(120)을 이용하여 USB 링크락 장치(300)를 전자기기(1)의 USB 포트(10)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잠금부재(360)를 차단부재(310)에서 빼내는 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잠금부재(360)에 잠금키 유닛(120)을 끼워서 빼내기 위한 구조, 즉, 키홀(363b)과 잠금키 유닛(120)의 고정키(123) 및 걸쇠키(124)의 구조 및 형상의 다양하게 선택되어 설계될 수 있으며, 그러한 구조 및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300..USB 링크락 장치 310..차단부재
320..USB 포트부 330..신호 연결부
340..로킹부재 350..걸림부재
360..잠금부재

Claims (12)

  1.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전자기기의 USB포트에 삽입 결합되어 외부기기의 접근을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에 인접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의 USB 연결포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장형 USB 포트부와;
    상기 차단결합부가 삽입되는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의 단자와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에 삽입되는 외부의 USB 연결포트 간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호 연결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강제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전자기기에 선택적으로 로킹되는 로킹부재와;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로 비인가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걸림부재;
    상기 차단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로킹부재 를 간섭하여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걸림부재를 지지하여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상기 걸림부재의 차단동작을 제어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포트 삽입부와;
    상기 포트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타단으로 상기 잠금부재가 출몰되도록 그 내부에서 상기 잠금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는 상기 차단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로 진입된 외부의 USB 연결포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편을 가지며,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내부로 진입 가능한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차단부재에 상기 로킹부재가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포트 삽입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이동에 의해 간섭되어 변형되면서 상기 포트 삽입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에 형성되는 로킹홀에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이 상기 잠금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동작시 자세 변형되면서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로 삽입되는 비인가 외부 USB 연결포트의 삽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부재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쪽으로 절곡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로 진입 가능한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핀; 및
    상기 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핀을 상기 가이드관에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부는,
    상기 차단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제1내부구조물;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 내부에 설치되는 제2내부구조물;
    상기 제1 및 제2내부구조물 각각에 내장된 제1 및 제2접속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접속단자를 연결하도록 상기 외장형 USB 포트부에서 상기 차단부재 내부로 연결되는 단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재는 FPC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차단부재 내외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부 구조물; 및
    일단부가 상기 내부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차단부재 내부로 삽입시 상기 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 내부에 로킹결합되도록 간섭하는 로킹부재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내부구조물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를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며,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는 걸림부재가 통과하는 가이드공을 가지는 가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차단부재 내부로 삽입시 상기 가이드공의 테두리인 가이드부에 접촉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USB 포트부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링크락 장치.
PCT/KR2014/012410 2013-12-17 2014-12-16 Usb 링크락 장치 WO20150938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71412.4A EP3073410B1 (en) 2013-12-17 2014-12-16 Usb link lock device
CN201480068607.1A CN105830088B (zh) 2013-12-17 2014-12-16 Usb连接锁定装置
US14/815,674 US9639718B2 (en) 2013-12-17 2015-07-31 USB link lo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13 2013-12-17
KR20130157613 2013-12-17
KR10-2014-0059066 2014-05-16
KR1020140059066A KR101559529B1 (ko) 2013-12-17 2014-05-16 Usb 링크락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815,674 Continuation US9639718B2 (en) 2013-12-17 2015-07-31 USB link lock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824A1 true WO2015093824A1 (ko) 2015-06-25

Family

ID=5340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2410 WO2015093824A1 (ko) 2013-12-17 2014-12-16 Usb 링크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0938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7231A (zh) * 2019-01-29 2019-04-26 深圳融安网络科技有限公司 端口封锁装置
EP3506146A1 (en) * 2018-01-02 2019-07-03 Comxi Co., Ltd. Apparatus for locking usb por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235A (ko) * 2009-12-30 2011-07-07 하나 마이크론(주) 다중 통합 제어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US20130029505A1 (en) * 2011-07-27 2013-01-31 Panduit Corp. Blockout Device for USB Port
KR20130005401U (ko) * 2012-03-06 2013-09-16 강성우 보안 유에스비 젠더
KR101323364B1 (ko) 2011-10-24 2013-10-30 안창훈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235A (ko) * 2009-12-30 2011-07-07 하나 마이크론(주) 다중 통합 제어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US20130029505A1 (en) * 2011-07-27 2013-01-31 Panduit Corp. Blockout Device for USB Port
KR101323364B1 (ko) 2011-10-24 2013-10-30 안창훈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20130005401U (ko) * 2012-03-06 2013-09-16 강성우 보안 유에스비 젠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6146A1 (en) * 2018-01-02 2019-07-03 Comxi Co., Ltd. Apparatus for locking usb port
CN109687231A (zh) * 2019-01-29 2019-04-26 深圳融安网络科技有限公司 端口封锁装置
CN109687231B (zh) * 2019-01-29 2024-04-23 深圳融安网络科技有限公司 端口封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3410B1 (en) Usb link lock device
WO2014119916A1 (ko) Usb 포트 잠금장치
WO2016006841A1 (ko) 랜 포트락장치
CN101646987A (zh) 缆线管理系统
KR101391975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961922B1 (ko)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WO2015093824A1 (ko) Usb 링크락 장치
EP3687005A1 (en) Locking apparatus for lan cable
US10135191B1 (en) Apparatus for locking USB port
KR102008867B1 (ko) Usb 케이블 잠금장치
US6851957B1 (en) All-in-one network cable and security cable
KR101714425B1 (ko) Usb 보안장치
JP4435700B2 (ja) 電子機器又は情報通信機器の保護方法及びジャックセキュリティ装置
WO2022014915A1 (ko) 전자기기의 포트락 해제키
WO2022014917A1 (ko)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TWM563722U (zh) 用於電子裝置連接埠之可快速開啟閉合防水防塵掀蓋
WO2012057412A1 (ko) 금고
AU600989B2 (en) Circuit board extractor arrangement
WO2014185656A1 (ko) 유에스비 소켓 보안용 잠금장치
CN210090747U (zh) 一种端口锁具及网络系统
KR101724624B1 (ko) 광모듈 락 장치
WO2017155127A1 (ko) 보안 키패드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739978B1 (ko) 링크 락 허브
WO2023043192A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WO2022092331A1 (ko) 카드 키를 이용해 수동으로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714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714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71412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