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296B1 -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 Google Patents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296B1
KR101475296B1 KR1020130001570A KR20130001570A KR101475296B1 KR 101475296 B1 KR101475296 B1 KR 101475296B1 KR 1020130001570 A KR1020130001570 A KR 1020130001570A KR 20130001570 A KR20130001570 A KR 20130001570A KR 101475296 B1 KR101475296 B1 KR 101475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mesh
water
ceramic
ceramic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755A (ko
Inventor
박준규
여신춘
한춘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람과길
지보 구오메이 빌딩 매터리얼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람과길, 지보 구오메이 빌딩 매터리얼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람과길
Priority to KR102013000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2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100 mesh 이하의 입경을 갖는 세라믹 폐기물 분말 90 ∼ 95wt% 및 결합제 5 ∼ 10wt%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8 mesh 이하의 분말이 5wt%이하, 8 ∼ 30 mesh의 분말이 80 ∼ 90wt%, 30 ∼ 100 mesh의 분말이 5 ∼ 15wt%로 포함되어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8 ∼ 30 mesh의 분말은 8 ∼ 12 mesh의 분말이 65 ∼ 75wt%, 12 ∼ 30 mesh의 분말이 25 ∼ 35wt%로 포함되어 형성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을 개시한다. .

Description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Ceramic Block Reinforced Water Permeability}
본 발명은 물을 투과시키는 투수성과 물을 유지하는 보수성이 향상된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에 관한 것이다.
현대 도시,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는 철근 콘크리트 주택, 대형 인프라 또는 콘크리트 도로 및 인도와 같은 각종 비투수(waterproof) 장소와 도로에 의해 덮혀져 있다. 상기 비투수의 장소와 도로는 축열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빗물 투수성과 보수성이 결여됨으로 인하여 지표면의 빗물 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표면의 흐름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없어 도심에서의 홍수를 쉽게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침투조치를 취함으로써 빗물의 투수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투수성 재료를 각종 장소와 도로에 대량으로 부설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사회 경제 및 세라믹 산업의 고속 발전과 더불어, 세라믹 산업 폐기물도 점점 증가되고 있다. 세라믹 산업 폐기물은 도시 환경을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세라믹 산업 폐기물의 매립은 토지를 점거하고, 공기의 분진 함량에 영향을 미치며 인력 및 물력을 소모하고 지하 수질도 오염시킨다. 또한 도시 경제의 발전 및 세라믹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세라믹 산업 폐기물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문제는 과학기술 및 환경보호 부문에서 해결해야 할 급선무로 되고 있다. 따라서, 세라믹 산업 폐기물의 처리와 이용이 극히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투수성과 보수성이 향상된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100 mesh 이하의 입경을 갖는 세라믹 폐기물 분말 90 ∼ 95wt% 및 결합제 5 ∼ 10wt%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8 mesh 이하의 분말이 0.1 ∼ 5wt%, 8 ∼ 30 mesh의 분말이 80 ∼ 90wt%, 30 ∼ 100 mesh의 분말이 5 ∼ 15wt%로 포함되어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8 ∼ 30 mesh의 분말은 8 ∼ 12 mesh의 분말이 65 ∼ 75wt%, 12 ∼ 30 mesh의 분말이 25 ∼ 35wt%로 포함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하면에 복수 개의 홈 또는 트렌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하,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상면의 네개의 모서리에 상면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수 강화 블록은 도심의 인도, 공원의 산책로와 같이 보행자가 다니는 길에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면에 떨어지는 빗물과 같은 물을 내부로 흡수하여 유지하며, 물을 하부의 지표면으로 흐르게 하여 홍수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바닥재의 상면에서 물이 제거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불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바닥재로 시공될 때 하면의 홈 또는 트렌치에 모래가 유입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시공후 밀림이 방지되고 안착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상부의 모서리부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시공후에 외부로 노출되는 블록 상면 모서리의 깨짐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세라믹 산업 폐기물을 이용하게 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은 100 mesh를 통과하지 않는 입경을 갖는 세라믹 폐기물 분말 90 ∼ 95wt% 및 결합제 5 ∼ 10wt%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은 세라믹 폐기물 분말과 결합제가 혼합 및 성형되고 소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은 하면에 홈 또는 트렌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바닥재로 시공시, 하부에 위치하는 모래가 유입되도록 채워진다. 상기 지지부(110)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시공후 안착되는 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부(110)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홈은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소정 높이와 직경 또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은 수평 단면이 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가 트렌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소정 높이와 소정 폭을 가지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하면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직경 또는 폭과 높이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바람직하게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하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 또는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110)는 수직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10)는 내부로 모래가 잘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은 상면에서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20)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상면에 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20)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상면의 네 개의 모서리가 전체적으로 제거되어 날카로운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부(120)는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상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120)는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측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20)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상면에서 네개의 모서리에 전체적으로 모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은 시공 과정 또는 시공 후에 모서리 부분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경사부(120)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직각 부분이 제거되도록 적정한 높이와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120)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의 높이와 상면의 면적에 따라 적정한 높이과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은 세라믹 폐기물 분말을 주 재료로 사용하므로 제조 원가가 낮으면서도 투수성과 보수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100)은 도로의 인도, 공원의 산책로와 같은 장소에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전체 중량에서 90 ∼ 95wt%가 포함되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주성분을 이루게 된다.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의 함량이 90%보다 작게 되면 결합제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결합제가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공극을 메우게 되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투수성과 보수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의 함량이 95%보다 많게 되면 상대적으로 결합제의 함량이 감소되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강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100 mesh 이하로 분쇄되어 형성된다.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8 mesh를 통과하지 않는 입경을 갖는 분말이 0.1 ∼ 5wt%, 8 ∼ 30 mesh의 분말이 80 ∼ 90wt%, 30 ∼ 100 mesh의 분말이 5 ∼ 15wt%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8 ∼ 30 mesh의 분말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12 mesh의 분말이 65 ∼ 75wt%, 12 ∼ 30 mesh의 분말이 25 ∼ 35wt%로 포함되어 형성된다. 한편, 여기서 분말의 크기는 체질에 사용된 씨브(sieve)의 크기 명을 사용하여 정의하며, 표현상의 편의를 위하여, mesh의 수치를 기준으로 이하 및 크기 구간을 정의한다. 예를 들면, 분말의 크기가 100mesh 이하라는 의미는 100 mesh에 의하여 통과하지 않고 남은 분말을 의미하며, 수치상으로 100 mesh 를 포함하며 100 mesh보다 큰 분말을 의미한다. 또한, 8 ∼ 12 mesh의 분말은 8 mesh를 통과하고 12 mesh에 남은 분말을 의미한다. 또한, 200 mesh 이상이라는 의미는 200 mesh를 통과하여 200 mesh보다 작은 분말을 의미한다.
상기 8 mesh를 통과하지 않는 입경을 갖는 분말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체질에 분리되어 혼합되므로 8 mesh를 통과하지 않는 입경을 갖는 분말이 소량이라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8 ∼ 30 mesh의 분말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은 분말이 더 많이 포함되므로 공극이 감소되어 투수성과 보수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8 ∼ 30 mesh의 분말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30 ∼ 100 mesh의 분말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0 ∼ 100 mesh의 분말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공극이 감소되어 투수성과 보수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세라믹 폐기물을 파쇄한 후에 체질(sieving)을 통하여 상기의 크기 구간으로 분말을 분리한 후에 다시 각 크기 구간별로 분말의 중량을 칭량 및 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입경이 서로 다른 분말이 혼합되는 혼합 계층 분말로 형성되므로 공극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에 양호한 투수성과 보수성뿐만 아니라 높은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세라믹 폐기물은 기존의 세라믹 벽돌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일반적인 세라믹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강화 세라믹 폐기물로서 세라믹 제품의 소성 과정을 경과하여 생성된 소성 폐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폐기물은 세라믹 제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토갑(sagger), 내화로에 사용되고 폐기되는 폐 내화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폐기물은 송전 시설에 사용되는 애자의 폐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 내화 세라믹은 수차례의 고온 상승 과정에서 열 응력 작용을 받게 되어 강도가 높은 반면, 파쇄가 용이하게 되는 측면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폐 내화 세라믹 분말은 고온 소결을 거쳐 제작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분발이 투수성과 높은 강도를 가지게 한다.
또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분말은 사용되는 세라믹 폐기물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벤토나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몬모릴로나이트가 주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점토로 형성된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주요 성분으로 SiO2, Al2O3, Fe2O3, MgO, CaO를 포함하고 있으며, 가공성이 양호하고 결합력이 강하며, 비표면적이 크게 되어 세라믹 폐기물 분말에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벤토나이트는 세라믹 폐기물 분말과 혼합되어 소성되는 과정에서 세라믹 폐기물 분말과 반응 상을 형성하여 세라믹 폐기물 분말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높은 강도와 양호한 투수성 및 보수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결합제는 5 ∼ 10wt%로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제의 함량이 5%보다 적게 되면 상대적으로 결합제의 함량이 감소되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강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제의 함량이 10%보다 크게 되면 결합제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결합제가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공극을 메우게 되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투수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제는 150 ∼ 200 mesh의 분말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제는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게 되면, 즉, 200 mesh 이상이 되면, 세라믹 폐기물 분말 사이의 공극에 너무 많이 위치하게 되어 투사 강화 세라믹 블록에서 공극을 막게 되어 투수성과 보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제는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크게 되면, 즉 150 mesh 이하가 되면, 세라믹 폐기물 분말과 혼합이 균일하게 되지 않아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분말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세라믹 폐기물을 100 mesh 이하의 분말로 파쇄하고, 파쇄된 분말을 체질(sieving)를 이용하여 8 mesh 이하의 분말과 8 ∼ 30 mesh의 분말 및 30 ∼ 100 mesh의 분말로 분리한다. 또한, 상기 8 ∼ 30 mesh의 분말은 필요한 경우에 8 ∼ 12 mesh의 분말 및 12 ∼ 30 mesh의 분말로 분리할 수 있다. 즉, 8 ∼ 30 mesh의 분말은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기계적 강도와 투수성 및 보수성을 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범위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8 ∼ 12 mesh의 분말 및 12 ∼ 30 mesh의 분말로 분리되어 함량을 달리하여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크기 별로 분리된 세라믹 폐기 분말은 각 크기 별로 함량을 칭량하여 세라믹 폐기물 분말로 혼합한다.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결합제인 벤토나이트 및 물과 혼합되어 슬러리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러리는 세라믹 폐기물 분말이 90 ∼ 95wt%로 혼합되며, 벤토나이트가 5 ∼ 10wt%로 혼합되며, 물이 세라믹 폐기물 분말과 벤토나이트의 전체 중량 대비 3 ∼ 5wt%로 추가 혼합된다. 상기 슬러리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폐기물 분말을 95wt%, 벤토나이트를 5wt%로 혼합하고 물은 3wt%로 혼합한다. 상기 슬러리를 몰드에 충진하여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크기의 성형체로 성형한다. 이때, 상기 슬러리는 90 ∼ 110 pa/mm2의 압력으로 성형한다. 상기 성형체는 1,100 ∼ 1,300℃의 온도에서 20 ∼ 35 시간 동안 소결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이 표면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몰드에 먼저 표면층을 형성하는 슬러리를 충진하고 그 위에 본체부를 형성하는 슬러리를 충진하여 성형체를 제조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100 mesh 이하의 세라믹 폐기물 분말 90wt%와 150 ∼ 200 mesh의 벤토나이트 10wt%를 혼합하고, 그 총량에 5wt%의 물을 추가하고 교반기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슬러리를 몰드에 장입하고 300톤의 가압기를 이용하여 200x100x40 크기의 성형체를 성형하였다. 성형체를 몰드에서 이탈시켜 1100℃의 온도 범위에서 29시간 동안 소결하여 투수 강화 세라믹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00 mesh 이하의 세라믹 폐기물 분말 95wt%와 150 ∼ 200 mesh의 벤토나이트 5wt%를 혼합하고, 그 총량에 3wt%의 물을 추가하고 교반기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8 mesh 이하의 분말 2wt%, 8 ∼ 30 mesh의 분말 84wt%, 30 ∼ 100 mesh의 분말 14wt%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00 mesh 이하의 세라믹 폐기물 분말 92wt%와 150 ∼ 200 mesh의 벤토나이트 8wt%를 혼합하고, 그 총량에 4wt%의 물을 추가하고 교반기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8mesh 이하의 분말 2wt%, 8 ∼ 30mesh의 분말 84wt%, 30 ∼ 100mesh의 분말 14wt%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실시예 3에서 8 ∼ 30 mesh의 분말은 8 ∼ 12 mesh의 분말이 65wt%와 12 ∼ 30 mesh의 분말이 35wt%로 포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실시예 3에서 8 ∼ 30 mesh의 분말은 8 ∼ 12 mesh의 분말이 75wt%와 12 ∼ 30 mesh의 분말이 25wt%로 포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본체부와 표면층을 포함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으로 제조하였다. 본체부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슬러리로 제조하였으며, 표면층은 실시예 1의 세라믹 폐기물 분말에서 20wt%를 유색 세라믹 폐기물 분말로 대체하여 제조된 슬러리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본체부와 표면층을 포함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으로 제조하였다. 본체부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슬러리로 제조하였으며, 표면층은 실시예 3의 세라믹 폐기물 분말에서 20wt%를 유색 세라믹 폐기물 분말로 대체하여 제조된 슬러리로 형성하였다.
표 1은 실시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물성 평가는 항압 강도와 파단 강도, 투수 계수와 보수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항목에 대한 물성 평가는 건축 토목 분야에서 실시되는 표준 규격에 기초하여 실시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항압 강도
(MPa)
57 60 65 66 66 60 54
파단 강도
(N)
8400 8600 8800 9000 8900 8450 8800
투수 계수
(cm/sec)
1.8x10-2 1.9x10-2 2.0x10-2 2.3x10-2 2.5x10-2 1.8x10-2 1.8x10-2
보수성
(g/cm3)
2.0 2.1 2.1 2.0 2.1 2.0 1.9
표 1에 따르면, 항압 강도와 파단 강도는 보도 블록에서 요구되는 평가 기준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항압 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은 30MPa이며, 파단 강도는 6000N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투수 계수는 1.8x10-2 ∼ 2.5x10-2cm/sec 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투수 계수는 지층의 투수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일정 단위의 단면적으로 단위 시간에 통과하는 수량을 의미한다. 모래의 투수 계수는 10-1 ∼ 10-3이며, 점토의 투수 계수는 10-5 ∼ 10-7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모래층 수준의 투수 계수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보수성은 1.9 ∼ 2.1 g/cm3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보수성은 블록이 수분을 흡수 보유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단위 체적당 보유하는 수분의 함량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보수성 벽돌은 0.2정도의 보수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의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일반적인 보수성 블록의 10배 수준의 보수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높은 강도와 함께 양호한 투수 계수와 보수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도로의 인도, 공원의 보행자가 다니는 산책로, 도심의 광장등에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강우로 인하여 발생되는 물이 바닥재의 하부로 흐르도록 하여 배수 시스템의 부담을 경감하고 도심의 홍수 범람을 방지하며, 공공 수역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바닥재의 표면에서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여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세라믹 폐기물 분말을 사용하게 되므로 세라믹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100: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110: 지지부 120: 경사부

Claims (8)

100 mesh를 통과하지 않는 입경을 갖는 세라믹 폐기물 분말 90 ∼ 95wt% 및
결합제 5 ∼ 10wt%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 폐기물 분말은 8 mesh를 통과하지 않는 입경을 갖는 분말이 0.1 ∼ 5wt%, 8 ∼ 30 mesh의 분말이 80 ∼ 90wt%, 30 ∼ 100 mesh의 분말이 5 ∼ 15wt%로 포함되며,
상기 결합제는 150 ∼ 200 mesh의 분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 ∼ 30 mesh의 분말은 8 ∼ 12 mesh의 분말이 65 ∼ 75wt%, 12 ∼ 30 mesh의 분말이 25 ∼ 35wt%로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몬모릴로나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1.6x10-2 ∼ 2.5x10-2cm/sec의 투수 계수와 1.9 ∼ 2.1 g/cm3의 보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하면에 복수 개의 홈 또는 트렌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은 상면의 네개의 모서리에 상면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KR1020130001570A 2013-01-07 2013-01-07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KR10147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570A KR101475296B1 (ko) 2013-01-07 2013-01-07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570A KR101475296B1 (ko) 2013-01-07 2013-01-07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755A KR20140089755A (ko) 2014-07-16
KR101475296B1 true KR101475296B1 (ko) 2014-12-22

Family

ID=5173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570A KR101475296B1 (ko) 2013-01-07 2013-01-07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2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268A (ja) * 1995-10-26 1997-07-29 Toray Ind Inc 透水性セラミックス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100111478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규사블록 투수 규사 블록
KR101091011B1 (ko) * 2011-06-03 2011-12-09 송성완 투수 및 저수 가능 보도 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268A (ja) * 1995-10-26 1997-07-29 Toray Ind Inc 透水性セラミックス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100111478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규사블록 투수 규사 블록
KR101091011B1 (ko) * 2011-06-03 2011-12-09 송성완 투수 및 저수 가능 보도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755A (ko)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96B1 (ko)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CN101956357A (zh) 一种双层免烧透水砖及其制造方法
EP2617696A1 (en) Porous ceramic sintered body
KR102154024B1 (ko)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KR101518443B1 (ko) 산업폐기물을 골재로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933387B1 (ko) 다공질 세라믹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2617B1 (ko) 석재슬러지를 이용한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KR101879195B1 (ko) 인터록킹 블록
CN108532407A (zh) 一种防堵快渗透水砖及防堵表层中骨料粒径选择方法
KR101902799B1 (ko) 스포츠용 바닥재 및 그 시공 방법
JP2007145669A (ja) 保水性ブロックとその製造方法
JP2005060159A (ja) 無機系廃棄物を活用した保水、透水性セラミックス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75296B1 (ko)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KR20180127562A (ko) 투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보도 블럭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보도 블럭의 제조방법
KR100821491B1 (ko) 폐기물 매립지용 고화토
KR101760216B1 (ko) 강도가 향상된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도가 향상된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
KR101221709B1 (ko) 투수 강화 세라믹 블록
KR100597706B1 (ko) 석재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740262B1 (ko) 어린이 놀이터 바닥 시공방법
KR101298697B1 (ko) 투수성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투수블록
KR101616273B1 (ko) 바텀 애쉬를 주원료로 하는 친환경 투수성 블록 조성물
JP6586898B2 (ja) 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
JP2012092542A (ja) 多孔質セラミック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15204A (ja) 一般廃棄物の溶融スラグを用いた透水性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法
KR102097590B1 (ko) 제강 슬래그를 포함하는 개량 준설토 및 이를 이용한 가설 도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