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34B1 -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34B1
KR101474134B1 KR1020130060839A KR20130060839A KR101474134B1 KR 101474134 B1 KR101474134 B1 KR 101474134B1 KR 1020130060839 A KR1020130060839 A KR 1020130060839A KR 20130060839 A KR20130060839 A KR 20130060839A KR 101474134 B1 KR101474134 B1 KR 10147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decorative
button
mal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259A (ko
Inventor
미츠하루 요네오
Original Assignee
미츠하루 요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하루 요네오 filed Critical 미츠하루 요네오
Priority to KR102013006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13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with snap-action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29Press-button fasteners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과제] 장식부를 수부재에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그에 의해, 장식부의 부착이 용이하며, 또한, 장식부의 사양 변경도 용이한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수부재와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의 후크 단추에 있어서, 수부재(11)로서, 후크의 부착 수단이 되는 기반부(12)를 가지고, 기반부(12)와 직교하는 돌출축(13, 14)을 기반부(12)의 양면에 1개씩 가짐과 더불어, 상기 2개의 돌출축은 양방이 각각 암부재(20)와 걸어맞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PLASTIC HOOK BUTTON}
본 발명은,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수(雄)부재와 암(雌)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그 중에서도 나일론제의 후크 그 자체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으며, 각종 의료품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나일론 후크는, 예를 들어 실용 신안 공개소 61-136915호에 후크의 암체로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소(空所)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끼워맞춤편부를 가지고 있고, 끼워맞춤편부는 끼워맞춤을 위해 수체에 의해 밀리면, 수체 밀어넣음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수체의 두(頭)부를 통과시킨다.
종래의 나일론 후크에서는, 부재의 밀어넣음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스프링(임시로 이를 상하 스프링이라 칭한다)이었기 때문에, 온도, 습도의 차에 의해 암부재의 끼워맞춤편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영향을 받아, 풀기 어려워지거나,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건조한 계절에 끼워맞춤이 꽉 끼게 되면, 간단히 풀리지 않아, 잘못 잡아당기면 천이 찢어져 버릴 수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온,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안정된 끼워맞춤, 분리 조작이 가능한 플라스틱제 후크를 개발했다(특허 공개 2005-6840호).
상기의 발명은 후크 단추 그 자체로, 그 자체의 기능에 대해서는 나무랄 데 없으나, 그 이상의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장식성에 관한 것 등의 가능성은 시사되어 있지 않다. 이런 종류의 단추에는 싸개 단추를 칭하는 장식성이 높은 단추가 있으나, 상기의 발명을 싸개 단추에 적용하는 경우, 장식성을 어떻게 하여 구비시킬지가 문제가 된다. 장식부를 수부재의 부착부에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그러면 장식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고, 허비가 많아질 우려가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5-6840호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착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과제는, 장식부를 수부재에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장식부의 부착이 용이하고, 또한, 장식부의 사양 변경도 용이한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의류 등에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를 붙인 후에도, 장식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수부재와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에 있어서, 수부재로서, 후크의 부착 수단이 되는 기반부를 가지고, 또한, 기반부와 직교하는 돌출축을 기반부의 양면에 1개씩 가짐과 더불어, 상기 2개의 돌출축은 양방이 각각 암부재와 걸어맞춤 가능한 것으로 한다고 하는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부재와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후크 단추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부재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수부재는 후크의 부착 수단이 되는 기반부를 가지고, 그 기반부와 직교하는 돌출축을 기반부의 양면에 1개씩 가지고 있다. 즉, 수부재는 양면에 돌출축을 가진 양돌출축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 구성에 의해, 기반부 양면에 1개씩 가지고 있는 각각 돌출축이 암부재와의 걸어맞춤 수단이 되고, 2개의 돌출축 중 한쪽이 암부재와 걸어맞춤 가능하며, 상기 돌출축의 다른 쪽은 수부재의 장식부와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돌출축은, 더불어 암부재와도 걸어맞춤 가능하기 때문에, 1개를 후크 단추로서 의류나 물품의 접합부 등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고, 또, 다른 1개를 수부재의 장식부를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암부재는 부차적인 존재이나, 그 암부재로서는, 수부재와의 끼워맞춤시에 수부재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접촉 가능한 축형의 스프링을, 암부재의 끼워맞춤구에 복수 개 가지고, 상기 축형의 스프링은, 수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수부재의 밀어넣음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암부재는 수부재의 2개의 돌출축과 걸어맞추는 2개를 가지고, 그 중 한쪽의 암부재에 후크 단추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식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단추가 싸개 단추이며, 수부재는, 그 외면을 감싼 싸개재의 외주 가장자리를 배치하기 위해, 간극을 형성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감육부를 외주 부분에 가지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장식부로서의 싸개재의 단말 처리가 용이해지고, 싸개재 등의 발지(拔止)의 효과도 있다.
또, 장식부는, 그것이 설치되어 있는 암부재와, 수부재의 돌출축의 걸어맞춤 부분에서, 착탈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의류 등에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를 붙인 후에도 장식부의 교환이 가능해지고, 단추에 의한 장식성 및 편리성이 현저히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또한 작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식부를 수부재에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장식부의 부착이 용이하고, 또한, 장식부의 사양 변경도 용이한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 등에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를 붙인 후에도, 장식부의 교환이 가능하고, 종래의 단추류에서는 전혀 기대할 수 없었던 현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에 있어서의 수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 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 수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수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에 있어서의 암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암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암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플라스틱 단추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도시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10)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며, 그 수부재(11)는, 후크의 부착 수단이 되는 기반부(12)를 가짐과 더불어, 기반부(12)의 양면에, 기반부(12)와 직교하는 돌출축(13, 14)을 1개씩 가지고 있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의 수부재(11)의 기반부(12)는 거의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 기반부(12)와 직교하는 돌출축(13, 14)을 설치하며, 또한, 돌출축(13, 14)에는 각각의 상단에 팽출 머리부(15, 16)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 머리부(15, 16)는, 원통형상의 돌출축(13, 14)의 단부에 그 축경보다 큰 직경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이 암부재(20)와 걸어맞춰지는 부분이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 팽출 머리부(15, 16)는 약간 두께가 두꺼운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예를 들어 말하면 버섯의 갓이나 플랜지와 같이 얇게 형성되는 것도 있다. 또, 암부재(20)에 끼워맞춘 후 탈거할 필요가 없는 케이스에서는, 수부재(11)와 암부재(20)가 이른바 붙박이식으로 결합한 상태가 되도록 설계하기도 한다.
또, 상기 기반부(12)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감육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감육부(17)는 거의 테이퍼형상의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고, 수부재(11)의 외면을 감싼 싸개재(31)의 외주 부분(33)을 배치하기 위해, 도시의 예에서는, 싸개재 부착측(돌출축(13)측)으로부터 암부재(20)와의 걸어맞춤측(돌출축(14)측)을 향해 작은 직경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감육부(17)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 부분(33)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단형상, 오목형상 등도 채용할 수 있다. 18은 적당 복수개의 부착 구멍이며, 수부재(11)를, 실로 꿰매어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암부재(20)는 거의 원반형상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면을 관통하는 끼워맞춤구(21)를 중앙에 가지고 있다. 암부재(20)는, 수부재(11)와의 끼워맞춤시에 수부재(11)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접촉 가능한 축형의 스프링(22, 23)을, 암부재(20)의 끼워맞춤구(21)에, 사이에 공소를 설치하여 2개 병행해 설치하고 있다. 축형의 스프링(22, 23)은, 수부재(11)의 돌출축(13, 14)과의 접촉에 의해 그 수부재(11)의 팽출 머리부(15, 16)에 의해 가압되고, 측방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형의 스프링(22, 23)은, 수부재(11)의 밀어넣음 방향에 대해 세로 길이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축형의 스프링(22, 23)의 외방에는 각각이 외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스페이스(22a, 23a)가 준비되어 있다. 또, 축형의 스프링(22, 23)은, 양단부에 있어서 경사부(22m, 22n, 23m, 23n)를 거쳐 암부재 본체에 연락하고 있다(도 5 참조). 경사부(22m, 22n, 23m, 23n)는 보다 변형되기 어렵고, 중간부는 보다 변형되기 쉬우므로 수부재(11)의 밀어넣음, 탈거가 보다 용이해진다.
2개의 축형의 스프링(22, 23)의 사이의 공소의 양측에, 수부재(11)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24, 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24, 25)는, 수부재(11)의 팽출 머리부(15, 16)를 무리없이 통과시키나, 수부재(11)가 기울어지면 걸어맞춰져 빠져나가기 어려워지는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26은 암부재 뒤측의 오목부이며, 수부재(11)를 끼워맞추면 그 팽출 머리부측이 위치한다. 27은 암부재(20)의 부착 구멍이고, 28은 실을 빼내기 위한 오목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암부재(20)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도 7에는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부재(11)의 외주 가장자리와 마찬가지로, 감육부(29)를 설치할 수 있다. 암부재에는, 경사 방향이 상이한 감육부(29')를 가지는 것(20')도 있으며, 이것은 후크측에 이용된다.
상기의 수부재(11)와 암부재(20, 20')로 이루어지는 후크 단추(10)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형(型) 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서로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부재(11)로서, 상기와 같이 기반부(12)의 양면에 1개씩 설치한 돌출축(13, 14)을, 2개의 암부재(20, 20')와 각각 걸어맞추고, 그 중 한쪽의 암부재(20)에, 후크 단추(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식부(30)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후크 단추(10)는, 싸개 단추 등의 장식성이 높은 단추에 적용함으로써 그 진가를 발휘하는 것이므로, 다음의 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싸개 단추에 관한 예시이며, 상기 수부재(11)는, 우선, 내부의 싸개재(31)와 그 부착 부재(32)에 의해 그 외면을 감싸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수부재(11)에 후술하는 장식부(35)를 직접 부착하고, 내부의 싸개재(31)로 감싸는 구조를 생략해도 되지만, 도 7과 같이 함으로써, 보다 장식성이 높아진다.
부착 부재(32)는, 강성이 있는 알루미늄재 등을 소재로 하여 가장자리가 좁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 부재(32)의 외측에는 싸개재(31)를 배치하고, 그 외주 부분(33)을 내측으로 말려들게 하며, 중심 구멍(34)에서 돌출축(13)에 통과함과 더불어, 부착 부재(32)의 외주 가장자리를 코킹 가공하여, 상기 외주 부분(33)을 감육부(17)에 고착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 수부재(11)의 돌출축(13)을 사용하는, 한쪽의 암부재(20)에, 후크 단추(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식체(35)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장식체(35)는, 외부의 싸개재(36)와, 강성이 있는 알루미늄재 등을 소재로 하여 가장자리가 넓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착 부재(37)를 가지며, 그들 중앙부에 열린 장식구(38)의 내방에, 장식용의 포(布)재(39)를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재(39)는, 도 8에 있어서, 팽출 머리부(15)에 의해 밀어 올려질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포재(39)가 평탄해지도록, 팽출 머리부(15)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더욱 얇게 형성하는 것도 전혀 문제없이 실시 가능하다.
상기 장식부(35)의 외주 부분(40)도 내측으로 말려들게 하고, 사이에 장식용의 포재(39)를 배치한 다음, 한쪽의 암부재(20)의 외주면에 씌우고, 부착 부재(36)의 외주 가장자리를 코킹 가공하여, 상기 외주 부분(40)을 경사면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육부(29)에 고착시키는 것으로 한다. 조립 후의 수부재(11)를 암부재(20)와 함께 도시한 도 8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암부재(20)는 일면측이 볼록 렌즈형상의 곡면으로 되어, 후크를 풀 때에 손끝을 삽입하기 쉽게 하는 간극(S)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암부재(20)의 타면측은 평탄해도 되지만, 거기에 설치한 오목부(26)에는 팽출 머리부(15, 16)가 들어간다. 또한, 도 8에서는 장식부(35)의 외주 부분(40) 등에 대해서는, 그 부분이 감육부(29)에 끼워맞춰져 끝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외주 부분(40) 등을 길게 설치하여 간극(S)에 접하는 측에 접어 구부린 처리를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10)에 의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부재(11)를 천(41)에 실(43)을 이용하여 부착하고, 그 한쪽의 돌출축(13)을 장식부(30)와 일체의 암부재(20)의 끼워맞춤구(21)에 밀어넣으며, 팽출 머리부(15)를 축형의 스프링(22, 23)과 걸어맞춤으로써, 장식부(30)를 가지는 수부재(11)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장식부(30)를 일체로 가지는 수부재(11)는, 한쪽의 천(42)에 실(43)을 이용하여 부착한 암부재(20')에, 한쪽의 돌출축(14)을 끼워맞춤구(21)에 밀어넣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팽출 머리부(16)를 축형의 스프링(22, 23)과 걸어맞춤으로써, 후크로 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장식부(30)를 수부재(11)로부터 탈거하고, 다른 장식체(44)를 수부재(11)에 부착하며, 장식의 교환이 가능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점은, 후크 단추(10)의 제조자에 있어서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의류 등에 본 발명의 후크 단추(10)를 붙인 다음에도, 그 의류 등을 착용하고 있는 자의 의사에 의해 장식체(44)의 교환이 가능한 것을 도시하고 있어, 종래의 단추류에서는 전혀 기대할 수 없었던 신규 특징이다.
10: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11: 수부재
12: 기반부
13, 14: 돌출축
15, 16: 팽출 머리부
17, 29, 29': 경사면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육부
18, 27: 부착 구멍
20, 20': 암부재
21: 끼워맞춤구
22, 23: 축형의 스프링
24, 25: 돌기
26: 오목부
28: 실을 빼내기 위한 오목부
30: 장식부
31: 내부의 싸개재
32: 링
33, 40: 외주 부분
34: 중심 구멍
35, 44: 장식체
36: 외부의 싸개재
37: 부착 부재의 링
38: 장식구
39: 장식의 포(布)재
41, 42: 포재
43: 실

Claims (4)

  1.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수(雄)부재와 암(雌)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에 있어서,
    수부재로서, 후크의 부착 수단이 되는 기반부를 가지고, 또한, 기반부와 직교하는 돌출축을 기반부의 양면에 1개씩 가짐과 더불어, 상기 2개의 돌출축은 양방이 각각 암부재와 걸어맞춤 가능하고,
    암부재는, 수부재와의 끼워맞춤시에 수부재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접촉 가능한 축형의 스프링을, 암부재의 끼워맞춤구에 복수개 가지고, 상기 축형의 스프링은, 수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수부재의 밀어넣음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암부재는 수부재의 2개의 돌출축과 걸어맞추는 2개를 가지고, 그 중 한쪽의 암부재에 후크 단추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식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장식부는, 이것이 설치되어 있는 암부재와, 수부재의 돌출축의 걸어맞춤 부분에서, 착탈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후크 단추가 싸개 단추이며, 수부재는, 그 외면을 감싼 싸개재의 외주 부분을 배치하기 위해, 간극을 형성하는 감육부를 외주 가장자리에 가지고 있는,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4. 삭제
KR1020130060839A 2013-05-29 2013-05-29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KR10147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39A KR101474134B1 (ko) 2013-05-29 2013-05-29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39A KR101474134B1 (ko) 2013-05-29 2013-05-29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259A KR20140140259A (ko) 2014-12-09
KR101474134B1 true KR101474134B1 (ko) 2014-12-17

Family

ID=5245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839A KR101474134B1 (ko) 2013-05-29 2013-05-29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6394A1 (it) * 2019-09-16 2021-03-16 Riri Sa Bottone a pressione perfezionato, e componente femmina per un tale bottone a pressi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840A (ja) 2003-06-18 2005-01-13 Mitsuharu Beibi プラスチック製ホック
JP2009028182A (ja) 2007-07-25 2009-02-12 Samkyung Co Ltd スナップボタンにおけるプラスチック製雌型留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840A (ja) 2003-06-18 2005-01-13 Mitsuharu Beibi プラスチック製ホック
JP2009028182A (ja) 2007-07-25 2009-02-12 Samkyung Co Ltd スナップボタンにおけるプラスチック製雌型留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259A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241A (en) Sock mates
JP7085769B2 (ja) スナップボタン
US10021935B2 (en) Interchangeable strap closure system for footwear
KR101474134B1 (ko) 플라스틱제 후크 단추
US20150335103A1 (en) Ornament holder
US3414949A (en) Snap fastener with removable ornamental button
US6298527B1 (en) Button fastener
JP5670299B2 (ja) プラスチック製ホックボタンを用いたクルミボタン
KR20130002210U (ko) 틀니용 어태치먼트
WO2018079654A1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の雄部材及びスナップファスナー
EP1444913A1 (en) Button fastener
KR200459195Y1 (ko) 회전방지된 밀착형 싸개 스냅단추
JP6035476B1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
JP3174902U (ja) 生地付きスナップ
JP5667598B2 (ja) 小判ハトメ及び小判ハトメ取付方法
US1549806A (en) Trimming
ITMI20100321A1 (it) Elemento attivo maschio per bottone a pressione di tipo perfezionato e bottone a pressione provvisto di questo elemento attivo maschio.
JP5970352B2 (ja) スナップの製造方法
US20220378155A1 (en) Snap fastener and snap strap fastener for clothing
JP6196260B2 (ja) 可撓環及びエプロン
US1896866A (en) Hair dressing appliance
KR20180075165A (ko) 스냅 버튼 장치
JP2016077882A (ja) 係合具
US1656040A (en) Fastener
ITUB20152665A1 (it) Bottone a pressione, particolarmente per capi di abbigliamento e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