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605B1 -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 Google Patents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605B1
KR101473605B1 KR20140007858A KR20140007858A KR101473605B1 KR 101473605 B1 KR101473605 B1 KR 101473605B1 KR 20140007858 A KR20140007858 A KR 20140007858A KR 20140007858 A KR20140007858 A KR 20140007858A KR 101473605 B1 KR101473605 B1 KR 101473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weight
lactobacillus
probiotics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달호
Original Assignee
강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달호 filed Critical 강달호
Priority to KR2014000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부산물을 수분함량 10~20%될 때 까지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양파부산물을 분쇄기로 80~150 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양파분을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및 종균미생물과 함께 발효배양기에 넣어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된 발효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Preparation Method of Onion Probiotics and The Probiotics Produc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버려지던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경제적이 안정적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생균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육시 사료첨가물로 급이할 경우 사료섭취량은 감소되면서 증체량을 개선함으로써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 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파는 백합과에 속하는 채소로 약용성분이 많고 향신료로서 독특한 향과 매운맛으로 예부터 조리시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독특한 매운 맛을 내는 함황화합물과 함께 항균성, 항산화성, 혈압강하, 혈전용해능, 항통풍성 및 중금속 제거능 등 다양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와 같이 양파를 이용한 다양한 식품조리방법 내지 가공방법 등이 개발되어 왔으나, 양파의 껍질을 제거한 양파속만을 재료로 사용하고 양파 또는 썩은 양파의 껍질, 겉껍질, 양파 비늘꼴 줄기의 상부 및 하부로 구성된 양파 부산물(이하, 통칭하여 양파부산물로 정의함)이 매년 엄청난 양으로 생성되고 있다. 이들 양파 부산물들은 별도로 재활용되지 않은 채 현재에는 주로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하여 폐기처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들 양파 부산물에는 여전히 유용한 항산화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에도 전량 폐기처분되어지고 있음은 심각한 자원의 낭비이자 폐기물 처리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수반되어지는 등의 경제적 손실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자원의 경제적인 재활용 측면과 국민생활건강의 증진을 도모하고 양파재배 농가 및 관련 산업기술의 발전 내지 환경보호차원에서도 이들 양파부산물에 대한 재활용방안이 시급히 연구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에 버려지던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경제적이고 안정적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생균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육시 사료첨가물로 급이할 경우 사료섭취량은 감소되면서 증체량을 개선함으로써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 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양파부산물을 수분함량 10~20%될 때 까지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양파부산물을 분쇄기로 80~150 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양파분을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및 종균미생물과 함께 발효배양기에 넣어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된 발효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2) 상기 (1)에 있어서,
종균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 Bacillus Putrificus),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아스페길르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3) 상기 (1)에 있어서,
배양은 수분함량 35~40% 하에, 30~40℃에서 36~48 시간 동안 수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4) 상기 (1)에 있어서,
발효물의 건조는 24~48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5) 상기 (1)에 있어서,
양파분 20~30 중량%, 옥분 20~30 중량%, 미강 40~50 중량%, 단백피 2~5 중량%, 대두박 2~5 중량%, 종균미생물 0.01~0.05 중량%, 및 잔여량의 당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6) 상기 (1)에 있어서,
패각 열수추출물 1~5 중량%, 주정박 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7) 상기 (1) 내지 (6)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파생균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버려지던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경제적이 안정적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생균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육시 사료첨가물로 급이할 경우 사료섭취량은 감소되면서 증체량을 개선함으로써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 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균제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그림.
본 발명에 따른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은
양파부산물을 수분함량 10~20%될 때까지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양파를 분쇄기로 80~150 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양파분을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및 종균미생물과 함께 발효배양기에 넣어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된 발효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파부산물의 수분함량을 10~20%로 한정하는 이유는 양파의 분쇄를 용이하게 하면서 양파의 유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후속하는 발효과정에 요구되는 수분함량의 조절이 용이하고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양파부산물의 건조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발효와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발효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양파부산물은 건조된 양파부산물을 통상적인 분쇄기를 이용하여 80~150 메쉬로 분쇄한다(이하 "양파분"으로 부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크기로 양파부산물을 분쇄하는 것은 후속하는 발효과정에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넓은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양파부산물이 자체내 함유한 영양성분 내지 생리활성물질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양파부산물은 각종 곡류 성분과 함께 종균미생물을 혼합하여 발효과정에 제공되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곡류 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및 필요에 따라 당밀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성분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양파분 20~30 중량%, 옥분 20~30 중량%, 미강 40~50 중량%, 단백피 2~5 중량%, 대두박 2~5 중량%, 종균미생물 0.01~0.05 중량%, 및 잔여량의 당밀로 조성되어진다.
이때, 생균제의 생리활성 내지 무기성분, 혹은 각종 영양성분의 보충을 위해 패각 열수추출물 1~5 중량%, 주정박 1~5 중량%가 더 포함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균미생물로는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 Bacillus Putrificus),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아스페길르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미생물 균주에서 적어도 1종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 Bacillus Putrificus), 및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복합미생물제이다. 이때, 각 미생물의 함량은 중량비로 동량으로 조성하여도 무방하며, 균주의 총수가 1×105~1×1012 cfu/g 정도 함유하도록 첨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본 발명에서 배양과정은 통상적인 발효배양기, 예를 들어 앞의 양파부산물의 건조과정에 사용된 발효건조기가 그대로 이용되어질 수 있으며, 최적의 발효과정을 위해 수분함량 35~40% 정도로 조절하고, 30~40℃에서 36~48 시간 동안 수행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발효과정이 완료되면, 얻어진 발효물을 24~48 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여 최종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육을 위한 생균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양파를 수분함량 15%가 될 때까지 발효건조기에 넣어 건조하였다. 건조된 양파를 배출하여 분쇄기로 80 메쉬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양파분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성분들을 배합하여 수분 35~40%, 온도 40℃로 조절하여 48시간 동안 발효한 후, 2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원 료 배 합 량
양파건조분 200kg
옥 분 235kg
미 강 500kg
대두박&단백피 50kg
종균미생물* 5kg
당 밀 10kg
합 계 1000kg
*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 Bacillus Putrificus), 및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각 균주가 동량으로 조성된 복합미생물제.
[실시예 2]
양파를 150 메쉬로 분쇄하고 발효물을 48시간 동안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 양파생균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성분배합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 양파생균제를 제조하였다.
원 료 배 합 량
양파건조분 300kg
옥 분 235kg
미 강 400kg
대두박&단백피 50kg
종균미생물 5kg
당 밀 10kg
합 계 1000kg
[실시예 4]
성분배합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 양파생균제를 제조하였다.
원 료 배 합 량
양파건조분 200kg
옥 분 235kg
미 강 450kg
대두박&단백피 50kg
종균미생물 5kg
당 밀 10kg
패각추출물 50kg
합 계 1000kg
[실시예 5]
성분배합을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 양파생균제를 제조하였다.
원 료 배 합 량
양파건조분 200kg
옥 분 235kg
미 강 450kg
대두박&단백피 50kg
종균미생물 5kg
당 밀 10kg
주 정 박(막걸리 박) 50kg
합 계 1000kg
[실시예 6]
성분배합을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 양파생균제를 제조하였다.
원 료 배 합 량
양파건조분 200kg
옥 분 235kg
미 강 400kg
대두박&단백피 50kg
종균미생물 5kg
당 밀 10kg
패각추출물 50kg
주 정 박(막걸리 박) 50kg
합 계 1000kg
[실시예 7]
상기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균제를 돼지 일반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배합하여 돼지 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균제를 산란계 일반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배합하여 산란계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동일한 체중의 돼지를 대상으로 실시예 7에서 조성한 각 돼지 사료를 급이하고 평균체중이 115kg에 이르기까지의 사육기간, 사료계수 및 1일당 증체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사육기간(일) 사료계수 1일당 증체량(kg)
대조군 120 2.89 0.95
실시예1 114 2.54 1.01
실시예2 114 2.53 1.01
실시예3 112 2.53 1.03
실시예4 110 2.45 1.05
실시예5 108 2.41 1.06
실시예6 106 2.38 1.08
상기 표 6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육 중인 돼지에게 본 발명에 따른 생균제를 급이한 결과 영양공급원 내지 사료흡수율 개선제로써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자원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동일한 체중의 산란계를 대상으로 실시예 8에서 조성한 각 산란계 사료를 급이하고 평균체중이 1.5kg에 이르기까지의 사육기간, 사료계수 및 1일당 증체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사육기간(일) 사료계수 1일당 증체량(g)
대조군 40 2.14 37.5
실시예1 38 1.88 39.5
실시예2 38 1.76 39.5
실시예3 38 1.70 39.5
실시예4 37 1.63 40.5
실시예5 36 1.60 41.7
실시예6 35 1.58 42.9
상기 표 7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육 중인 닭에게 본 발명에 따른 생균제를 급이한 결과 영양공급원 내지 사료흡수율 개선제로써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자원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양파부산물을 수분함량 10~20%될 때 까지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양파부산물을 분쇄기로 80~150 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양파분 20~30 중량%를 옥분 20~30 중량%, 미강 40~50 중량%, 단백피 2~5 중량%, 대두박 2~5 중량%, 당밀 1 중량%, 패각 열수추출물 1~5 중량%, 주정박 1~5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 Bacillus Putrificus),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아스페길르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 이루어진 종균미생물 0.01~0.05 중량%와 함께 발효배양기에 넣어 수분함량 35~40% 하에, 30~40℃에서 36~48 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된 발효물을 24~4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파생균제.
KR20140007858A 2014-01-22 2014-01-22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KR10147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858A KR101473605B1 (ko) 2014-01-22 2014-01-22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858A KR101473605B1 (ko) 2014-01-22 2014-01-22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605B1 true KR101473605B1 (ko) 2014-12-16

Family

ID=5267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858A KR101473605B1 (ko) 2014-01-22 2014-01-22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5365A (zh) * 2017-05-09 2017-09-01 黑龙江省兽医科学研究所 一种防治猪腹泻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95021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슈퍼바이오 칼슘 강화된 내열성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2522260B1 (ko) * 2022-07-18 2023-04-14 박석권 수질 또는 토질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5365A (zh) * 2017-05-09 2017-09-01 黑龙江省兽医科学研究所 一种防治猪腹泻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95021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슈퍼바이오 칼슘 강화된 내열성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2210145B1 (ko) * 2019-01-31 2021-02-01 주식회사 슈퍼바이오 칼슘 강화된 내열성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2522260B1 (ko) * 2022-07-18 2023-04-14 박석권 수질 또는 토질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892B1 (ko) 양파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조성물
CN101912056B (zh) 生猪饲养无药物残留的饲料配制方法
KR101216669B1 (ko) 흑운모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생육촉진용 가축사료 첨가제
CN101720853A (zh) 益生菌两步法酵解蛋白饲料技术
CN102972635A (zh) 一种利用益生菌和杂粕生产微生物饲料添加剂的方法
CN102283315A (zh) 复合菌发酵高纤维农副产品生产动物益生菌饲料的方法
CN105613944A (zh) 一种发酵豆粕与生产方法及其在制备猪配合饲料中的应用
CN104855686A (zh) 一种红薯渣发酵生产蛋白质饲料、延长保存期的方法
CN105876082A (zh) 一种肽蛋白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449893B1 (ko) 양파비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비료조성물
KR101473605B1 (ko) 양파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KR20200087388A (ko) 농업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803687A (zh) 一种利用食用菌下脚料生产猪饲料的方法
JP2010029125A (ja) 飼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4410B1 (ko) 계란을 이용한 기능성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5613945A (zh) 低水分含量发酵饲料原料,制备方法及其在饲料中的应用
KR101476107B1 (ko) Em 균을 이용한 복합균주 발효사료 제조방법
KR101138934B1 (ko) 폐 버섯배지를 사용하여 돼지사료를 제조하는 방법
CN103621794A (zh) 采用食品加工边角料生产蛋白酶防治畜禽污染的方法
CN113414226A (zh) 一种厨余垃圾发酵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746850A (zh) 一种低温发酵饲料原料及其在制备猪配合饲料中的应用
CN112205542A (zh) 一种发酵型功能性精养草鱼膨化饲料及其生产工艺
KR102040012B1 (ko) 버섯 및 황토규산염을 이용한 저콜레스테롤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509681A (zh) 一种以甘蔗尾叶为主要原料组成的生物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05053A (ko) 스테비아 추출물과 대두박을 원료로 하는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동물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