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216B1 -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 Google Patents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216B1
KR101473216B1 KR1020130057353A KR20130057353A KR101473216B1 KR 101473216 B1 KR101473216 B1 KR 101473216B1 KR 1020130057353 A KR1020130057353 A KR 1020130057353A KR 20130057353 A KR20130057353 A KR 20130057353A KR 101473216 B1 KR101473216 B1 KR 10147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ross
lower plates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817A (ko
Inventor
황기수
이병희
Original Assignee
황기수
이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수, 이병희 filed Critical 황기수
Priority to KR102013005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2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 보의 상,하부판을 두 개의 웨브판으로 결합하여 보의 중앙부와 단부의 인장, 압축단면적을 증대하며, 보의 웨브부분을 보강하고, 보의 높이를 절감하며, 보의 단부는 강재와 콘크리트가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강합성 보(30)는 하부판(32)과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원형 개구부(36)가 형성된 상부판(31)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33)과 우측 웨브판(3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16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다이아프램(35)이 설치되되, 상기 원형 개구부(36)로부터 보 중앙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5)은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되고, 상기 원형 개구부(36)로 콘크리트(37)가 충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40)는 상기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에는 상부판(41)과 하부판(42)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41, 4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43)과 우측 웨브판(4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41, 4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17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판과 좌,우측 웨브판의 일측 단부에는 수직판(45)이 용접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박스형 강재 보(47)와,
상기 박스형 강재 보(47) 사이에 설치되는 H형강 보(46)는 상기 수직판(45)과 용접접합되며, 상기 H형강 보(46)의 단면은 상기 박스형 강재 보(47)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A steel composite girder, a variable section hybrid girder and a variable section hybrid composite girder for reducing a floor height}
본 발명은 층고 절감을 위한 강재 보에 관한 것으로, 강재에 두 개의 웨브를 형성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층고를 절감하면서 보의 단부, 중앙부 강성을 증대하고, 보의 처짐과 진동에 대한 단면성능을 향상시키며, 보의 단부에서 강재와 콘크리트가 효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단부 부모멘트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 기둥에 강접합되는 강재 보는 양 단부모멘트가 중앙부모멘트에 비해 1.8 ~ 2배 정도 크게 작용하므로, 강재 보는 양 단부를 기준으로 크기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강재 보의 높이가 커지고, 보의 높이에 따라 웨브부분을 보강해야 하며, 층고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강합성 보의 경우 전 구간에 강재와 콘크리트가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보의 중량이 증대되는 등 비효율적인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인 도 1(a)에서는 강재 보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결합된 강합성 보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강재 보는 단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므로 그 크기가 증대되고, 보의 중앙부에는 강재 보(11)만이 휨모멘트를 지지하며, 강재 보(11)와 콘크리트(12)가 결합되어 강합성 보(10)가 형성되므로 보의 중량이 커지는 등 구조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인 도 1(b)에서는 철판을 절곡하여 보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보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결합한 강합성 보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강합성 보(10)의 단부모멘트는 철판 거푸집(13)과 콘크리트(12)가 지지하므로 철판 거푸집의 강도 또는 두께를 크게 하고, 보 거푸집의 크기도 크게 해야 하므로 보의 중량이 커지며, 콘크리트의 측압을 지지하기 위해 보 거푸집의 강성을 보강해야 하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 보의 상,하부판을 두 개의 웨브판으로 결합하여 보의 중앙부, 단부의 인장, 압축단면적을 증대하며, 보의 웨브부분이 보강되고, 보의 높이를 절감하며, 보의 단부는 강재와 콘크리트가 결합하여 단부모멘트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강합성 보(30)는 하부판(32)과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원형 개구부(36)가 형성된 상부판(31)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33)과 우측 웨브판(3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1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다이아프램(35)이 설치되되, 상기 원형 개구부(36)로부터 보 중앙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5)은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되고, 상기 원형 개구부(36)로 콘크리트(37)가 충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40)는 상기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에는 상부판(41)과 하부판(42)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41, 4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43)과 우측 웨브판(4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41, 4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ㅍ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판과 좌,우측 웨브판의 일측 단부에는 수직판(45)이 용접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박스형 강재 보(47)와,
상기 박스형 강재 보(47) 사이에 설치되는 H형강 보(46)는 상기 수직판(45)과 용접접합되며, 상기 H형강 보(46)의 단면은 상기 박스형 강재 보(47)의 단면 보다 작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층고 절감형 강합성 보는 보의 단부는 강재와 콘크리트가 단부 휨모멘트를 지지하고, 중앙부는 강재가 전담하여 중앙부 휨모멘트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효율적이며, 강재 보에 두 개의 웨브판을 형성하고, 내부는 다이어프램을 설치함으로써 보의 휨성능과 전단성능이 향상되고, 상기 강재 보와 다이아프램에 의해 형성된 박스형 강재 보의 내부는 콘크리트 충전이 용이하여 보 단부의 휨성능이 증대되며, 층고를 절감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층고 절감형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는 보의 중앙부를 단부보다 단면이 작게 변단면으로 형성하여 보의 휨모멘트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며, 보의 단부는 강재 보에 두 개의 웨브판을 설치함으로써 보 단부 압축단면적이 증대되고, 보의 전단보강과 웨브의 좌굴을 방지하며, 상기 강재 보와 다이아프램에 의해 형성된 박스형 강재 보의 내부는 콘크리트 충전이 용이하여 보 단부의 휨성능이 증대되고, 층고를 절감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인 강재 보와 콘크리트가 결합된 강합성 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인 강재 거푸집과 콘크리트가 결합된 강합성 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2
자형 강재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3
자형 강재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c)는 도 2(b)의 A-A'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강합성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강합성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도 3(b)의 B-B'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강합성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강합성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c)는 도 4(b)의 C-C'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강합성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강합성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c)는 도 5(b)의 D-D'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c)는 도 6(b)의 E-E'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c)는 도 7(b)의 F-F'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c)는 도 8(b)의 G-G'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c)는 도 9(b)의 H-H' 단면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4
자형 강재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5
자형 강재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의 A-A' 단면도이다.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6
자형 강재 보(20)는 상,하부판(21, 22) 사이에 두 개의 웨브판(23, 24)을 설치함으로써 강재 보의 단부, 중앙부의 압축, 인장단면적을 증대하고, 웨브의 좌굴을 방지하며, 전단성능을 향상시키고, 보의 춤을 작게 하여 층고를 절감하고, 보의 중앙부 처짐이나 진동에 대해 단면성능이 증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7
자형 강재 보(20)는 상부판(21)과 하부판(22)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21, 2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23)과 우측 웨브판(2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21, 2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ㅍ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강합성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강합성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B-B' 단면도이다.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강합성 보(30)는 상,하부판(31, 32) 사이에 두 개의 웨브판(33, 34)을 설치하고,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다이아프램(diaphragm, 35)을 설치하여 형성된 박스형 강재 보의 내부에 원형 개구부(36)를 통해 콘크리트(37)를 충전함으로써 강재와 콘크리트에 의해 보 단부 휨모멘트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강합성 보(30)는 하부판(32)과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원형 개구부(36)가 형성된 상부판(31)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33)과 우측 웨브판(3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ㅍ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다이아프램(35)이 설치되되, 상기 원형 개구부(36)로부터 보 중앙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5)은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원형 개구부(36)로 콘크리트(37)가 충전되어 이루어진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강합성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강합성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4(b)의 C-C' 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강합성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강합성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D-D' 단면도이다.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강합성 보(30)는 상,하부판(31, 32) 사이에 두 개의 웨브판(33, 34)을 설치하고,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다이아프램(diaphragm, 35)을 설치하여 형성된 박스형 강재 보의 내부에 사각형상 개구부(38, 39)를 통해 콘크리트(37)를 충전함으로써 강재와 콘크리트에 의해 보 단부 휨모멘트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강합성 보(30)는 하부판(32)과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단부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 개구부(38, 39)가 형성된 상부판(31)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33)과 우측 웨브판(3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8
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다이아프램(35)이 설치되되, 상기 사각형상 개구부(38, 39)로부터 보 중앙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5)은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다이아프램(35)에 의해 형성된 박스형 강재 보의 내부에 상기 사각형상 개구부(38, 39)로 콘크리트(37)가 타설되어 충전된다.
상기 단부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 개구부(38, 39)는 상기 상부판(31)의 부모멘트 구간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강재 플레이트의 중앙 또는 단부에 상기 좌,우측 웨브판(33, 34)의 상면이 용접접합되어 형성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c)는 도 6(b)의 E-E' 단면도이다.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40)는 보 단부를 박스형 강재 보(47)로 형성하며, 중앙부는 H형강 보(46)를 설치하고, 상기 박스형 강재 보의 단면을 상기 H형강 보의 단면 보다 크게 형성하여 보의 휨모멘트에 따라 최적의 단면을 형성하고, 보 단부의 전단성능을 증대하며, 층고를 절감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40)는 상기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에는 상부판(41)과 하부판(42)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41, 4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43)과 우측 웨브판(4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41, 4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09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판과 좌,우측 웨브판의 일측 단부에는 수직판(45)이 용접접합되어 박스형 강재 보(47)가 형성되며,
상기 박스형 강재 보(47) 사이에 설치되는 H형강 보(46)는 상기 수직판(45)과 용접접합되며, 상기 H형강 보(46)의 단면은 상기 박스형 강재 보(47)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b)의 F-F' 단면도이다.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50)는 보 단부를 박스형 강재 보(58)로 형성하여 원형의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박스형 강합성 보를 형성하며, 중앙부는 H형강 보(56)를 설치하고,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의 단면은 상기 H형강 보(56)의 단면 보다 크게 형성하여 보의 휨모멘트에 따라 최적의 단면을 형성하고, 보 단부의 전단성능을 증대하며, 층고를 절감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50)는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에는 하부판(52)과 원형 개구부(57)가 형성된 상부판(51)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51, 5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53)과 우측 웨브판(5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51, 5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10
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판(51, 52)과 좌,우측 웨브판(53, 54)의 일측 단부에는 수직판(55)이 용접접합되어 박스형 강재 보(58)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 개구부(57)로 콘크리트(59)가 타설, 충전되어 박스형 강합성 보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 사이에 설치되는 H형강 보(56)는 상기 수직판(55)과 용접접합되며, 상기 H형강 보(56)의 단면은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의 단면 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b)의 G-G' 단면도이며,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하이브리드 합성보가 강재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b)의 H-H' 단면도이다.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50)는 보 단부를 박스형 강재 보(58)로 형성하여 원형의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를 충전하며, 중앙부는 H형강 보(56)를 설치하고,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의 단면은 상기 H형강 보(56)의 단면 보다 크게 형성하여 보의 휨모멘트에 따라 최적의 단면을 형성하고, 보 단부의 전단성능을 증대하며, 층고를 절감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50)는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에는 하부판(52)과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 개구부(60, 61)가 형성된 상부판(51)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51, 5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53)과 우측 웨브판(5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51, 5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11
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판(51, 52)과 좌,우측 웨브판(53, 54)의 일측 단부에는 수직판(55)이 용접접합되어 박스형 강재 보(58)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 개구부(60, 61)로 콘크리트(59)가 타설, 충전되어 박스형 강합성 보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 사이에 설치되는 H형강 보(56)는 상기 수직판(55)과 용접접합되며, 상기 H형강 보(56)의 단면은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의 단면 보다 작게 형성된다.
10 : 강합성 보 11 : 강재 보
12, 37, 59 : 콘크리트 13 : 철판 거푸집
20 :
Figure 112013044865274-pat00012
자형 강재 보 21, 31, 41, 51 : 상부판
22, 32, 42, 52 : 하부판 23, 33, 43, 53 : 좌측 웨브판
24, 34, 44, 54 : 우측 웨브판 30 : 강합성 보
35 : 다이아프램 36, 57 : 원형 개구부
38, 39, 60, 61 : 사각형상 개구부 40 : 하이브리드 보
45, 55 : 수직판 46, 56 : H형강 보
47, 58 : 박스형 강재 보 50 :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100 : 강재 기둥

Claims (4)

  1.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강합성 보(30)에 있어서,
    하부판(32)과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원형 개구부(36)가 형성된 상부판(31)은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33)과 우측 웨브판(3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13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판(31, 32) 사이에는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다이아프램(35)이 설치되되, 상기 원형 개구부(36)로부터 보 중앙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5)은 상기 상,하부판(31, 32)과 용접접합되고, 상기 원형 개구부(36)로 콘크리트(37)가 충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31)은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내에 단부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 개구부(38, 39)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3.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하이브리드 보(40)에 있어서,
    상기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에는 상부판(41)과 하부판(42)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41, 4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43)과 우측 웨브판(4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41, 4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14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판과 좌,우측 웨브판의 일측 단부에는 수직판(45)이 용접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박스형 강재 보(47)와,
    상기 박스형 강재 보(47) 사이에 설치되는 H형강 보(46)는 상기 수직판(45)과 용접접합되며, 상기 H형강 보(46)의 단면은 상기 박스형 강재 보(47)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 절감을 위한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4. 강재 기둥(100) 사이에 강접합되는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50)에 있어서,
    상기 보의 단부 부모멘트 구간에는 하부판(52)과 원형 또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 개구부(57, 60, 61)가 형성된 상부판(51)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판(51, 52) 사이에는 좌측 웨브판(53)과 우측 웨브판(54)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판(51, 52)과 용접접합됨으로써
    Figure 112013044865274-pat00015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판(51, 52)과 좌,우측 웨브판(53, 54)의 일측 단부에는 수직판(55)이 용접접합되어 박스형 강재 보(58)가 형성되며,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의 원형 또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 개구부(57, 59)로 콘크리트(59)가 충전되어 박스형 강합성 보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 사이에 설치되는 H형강 보(56)는 상기 수직판(55)과 용접접합되며, 상기 H형강 보(56)의 단면은 상기 박스형 강재 보(58)의 단면 보다 작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 절감을 위한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KR1020130057353A 2013-05-21 2013-05-21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KR10147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353A KR101473216B1 (ko) 2013-05-21 2013-05-21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353A KR101473216B1 (ko) 2013-05-21 2013-05-21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817A KR20140136817A (ko) 2014-12-01
KR101473216B1 true KR101473216B1 (ko) 2014-12-16

Family

ID=5245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353A KR101473216B1 (ko) 2013-05-21 2013-05-21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2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12B1 (ko) * 2016-01-28 2016-09-30 이은숙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및 보강공법
KR101676841B1 (ko) 2016-04-07 2016-11-17 (주) 제일크로스이앤씨 춤이 큰 데크 슬래브 설치를 위한 비대칭 변단면 철골보
WO2016182278A1 (ko) * 2015-05-14 2016-11-17 토닉스틸 주식회사 모멘트 발생 크기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합성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36746B1 (ko) 2016-07-06 2017-05-17 이은숙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KR101878762B1 (ko) * 2016-06-10 2018-07-16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101890780B1 (ko) * 2018-01-25 2018-08-22 주식회사 한국교량개발연구소 합성 거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045B1 (ko) * 2017-06-21 2019-08-13 주식회사 포스코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KR102104382B1 (ko) * 2017-11-20 2020-04-2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2080594B1 (ko) * 2018-04-17 2020-02-24 염경수 커플거더
CN108756060A (zh) * 2018-08-01 2018-11-06 南京林业大学 一种竹节式空心胶合木梁及其制备方法
CN110056127B (zh) * 2019-04-16 2020-07-10 武汉大学 装配式箱槽型frp型材轻质纤维海砂混凝土梁
CN110056128B (zh) * 2019-04-16 2020-05-26 武汉大学 轻质装配式加劲箱槽型frp型材海砂混凝土梁
KR102210497B1 (ko) * 2020-08-28 2021-01-29 김국현 변단면 빔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KR102459419B1 (ko) * 2021-06-22 2022-10-27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강판형 합성보, 하이브리드 접합골조 및 건축물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23Y1 (ko) 2011-03-08 2011-09-21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하이브리드 철골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23Y1 (ko) 2011-03-08 2011-09-21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하이브리드 철골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278A1 (ko) * 2015-05-14 2016-11-17 토닉스틸 주식회사 모멘트 발생 크기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합성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61512B1 (ko) * 2016-01-28 2016-09-30 이은숙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및 보강공법
KR101676841B1 (ko) 2016-04-07 2016-11-17 (주) 제일크로스이앤씨 춤이 큰 데크 슬래브 설치를 위한 비대칭 변단면 철골보
KR101878762B1 (ko) * 2016-06-10 2018-07-16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101736746B1 (ko) 2016-07-06 2017-05-17 이은숙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KR101890780B1 (ko) * 2018-01-25 2018-08-22 주식회사 한국교량개발연구소 합성 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817A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216B1 (ko) 층고 절감을 위한 강합성 보, 변단면 하이브리드 보 및 변단면 하이브리드 강합성 보
KR101642420B1 (ko)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KR100908507B1 (ko)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JP5406563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819308B1 (ko) 단부 보강형 합성보와 기둥의 접합 구조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20130043324A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JP2014037765A (ja) 鉄骨コンクリート部材
JP6053485B2 (ja) 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KR20190012766A (ko) 탑u형 래티스 합성보
KR101127362B1 (ko)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70068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JP3189826U (ja) 鋼管コンクリートの構造
KR101880492B1 (ko) 단부 h형강이 구성된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20200065966A (ko) 장스팬 합성보
KR102174574B1 (ko)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0830238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JP5953218B2 (ja) 免震建物構造
JP5627972B2 (ja) スリット構造
KR20120053124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JP4405336B2 (ja) 制震ブロック壁構造
KR20160063682A (ko) 상부 중공형 단면을 가지는 강합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다경간 연속구조
JP6248470B2 (ja) 既存躯体の耐震補強構造及び方法
KR101328180B1 (ko) 조립건축 구조물용 용접빔
KR20180126261A (ko) 단면증설형 내진보강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