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601B1 - 장기 지속형 혈당 강하제의 투여 방법 - Google Patents

장기 지속형 혈당 강하제의 투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601B1
KR101472601B1 KR1020097007414A KR20097007414A KR101472601B1 KR 101472601 B1 KR101472601 B1 KR 101472601B1 KR 1020097007414 A KR1020097007414 A KR 1020097007414A KR 20097007414 A KR20097007414 A KR 20097007414A KR 101472601 B1 KR101472601 B1 KR 10147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eptide
glp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tivity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155A (ko
Inventor
마크 에이. 부시
제시카 이. 매튜
수잔 이. 워커
Original Assignee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엘엘씨 filed Critical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5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8Albu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 강하제 및/또는 GLP-1 효능제의 투여와 관련된 방법 및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혈당 강하제의 평균 최대 혈장 농도 (Cmax) 및/또는 곡선하 면적 (AUC) 값은 증가되고/거나 지속된다.
혈당, 당뇨병, GLP-1, 인크레틴

Description

장기 지속형 혈당 강하제의 투여 방법 {METHOS FOR ADMINISTERING LONG-LASTING HYPOGLYCEMIC AGENTS}
본 발명은 장기 지속형 혈당 강하제의 투여 방법 및 이를 투여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그리고 GLP-1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또는 GLP-1 효능제를 이용한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당 강하제는 제1형 당뇨병 및 제2형 당뇨병 모두를 치료하는데 사용하여 혈액내의 포도당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인슐린자극 펩티드는 당뇨병 치료를 위한 가능성 있는 치료제로서 연관되어 왔다. 인슐린자극 펩티드에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위 억제성 펩티드 (GIP) 및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GLP-1)와 같은 인크레틴 호르몬 외에도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가 포함된다. 인슐린자극 펩티드에는 또한, 예를 들어 엑센딘 3 및 엑센딘 4가 포함된다. GLP-1은 음식의 섭취에 반응하여 장내 L-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36개 아미노산의 인크레틴 호르몬이다. GLP-1은 생리학적 및 포도당-의존적 방식으로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감소시키고, 위 배출을 억제시키고, 식욕을 감소시키고, β-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비임상적 실험에서, GLP-1은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에 중요한 유전자의 전사를 자극하고 베타-세포 신생을 촉진함 으로써 연속적인 베타 세포 적격성을 촉진한다 (문헌 [Meier, et al. Biodrugs. 2003; 17 (2): 93-102] 참조).
건강한 개인에서, GLP-1은 췌장에 의한 포도당-의존적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말초에서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식후의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GLP-1은 또한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시켜 간에서의 포도당 배출을 억제한다. 또한, GLP-1은 위 배출을 지연시키고, 소장 운동을 늦추어 음식 흡수를 지연시킨다.
제2형 당뇨병 (T2DM) 환자에서는 식후의 정상적인 GLP-1의 상승이 없거나 낮다 (문헌 [Vilsboll T, et al., Diabetes. 2001. 50; 609-613]). 따라서, 외인성 GLP-1, 인크레틴 호르몬, 또는 인크레틴 모방체를 투여하는 것에 대한 하나의 이론적인 근거는 식사 관련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고/거나, 글루카곤 분비를 감소시키고/거나, 위장 운동을 늦추기 위해 내인성 GLP-1를 개선하거나, 대체하거나 또는 보충하는 것이다. 선천성 GLP-1은 매우 짧은 혈청 반감기 (5분 미만)를 갖는다. 따라서, 당뇨병 치료제로서 선천성 GLP-1를 외인적으로 투여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시판하는 인크레틴 모방체, 예컨대 엑세나티드(Exenatide) (바이에타(Byetta, 등록상표))는 T2DM 환자에게 피하적으로 투여했을때 (5 ㎍ 또는 10 ㎍ BID) 공복 및 식후의 포도당 농도를 낮춤으로써 혈당 조절을 개선시킨다.
따라서, 혈당 강하제의 평균 곡선하 면적 (AUC) 값이 지속되거나 달리 개선되어 치료상의 이점은 보유하면서 덜 빈번한 주사를 요구하는 혈당 강하제의 투여 방법에 대한 요구가 충족되지 않고 있다.
도 1은 제2형 당뇨병 대상체에서의 시간 (시)에 따른 혈장 농도 (nM ELISA) 평균 (95%) 플롯의 서열 1의 약물동태학적 추이를 나타낸다.
도 2는 제2형 당뇨병 대상체에서 주사 부위 (복부, 다리, 및 팔)와 투여량에 따른 서열 1 농도 - 노출 (AUC(0-Inf))의 상자 플롯을 나타낸다.
도 3은 서열 1을 나타낸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서는, GLP-1 활성 개선이 필요한 인간에게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GLP-1 활성 개선이 필요한 인간에게 GLP-1 활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폴리펩티드는 상기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0.6 nM, 및 1주에 걸쳐 상기 폴리펩티드의 곡선하 면적값을 적어도 약 3.5 nM×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는, GLP-1 활성 개선이 필요한 인간에게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GLP-1 활성 개선이 필요한 인간에게 GLP-1 활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21.2 pM, 및 1주에 걸쳐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곡선하 면적값을 적어도 약 149 pM×일 제공한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GLP-1 효능제"는 인크레틴 호르몬 및/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 및 인크레틴 모방체 및/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적어도 하나의 GLP-1 활성을 자극할 수 있고/거나 그러한 활성을 가질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인크레틴 호르몬"은 인슐린 분비를 증강시키거나 달리 인슐린 수치를 증가시키는 임의의 호르몬을 의미한다. 인크레틴 호르몬의 일례가 GLP-1이다. GLP-1은 음식의 섭취에 반응하여 장의 L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인크레틴이다. 건강한 개인에서, GLP-1은 췌장에 의한 포도당-의존적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말초에서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식후의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GLP-1은 또한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시켜 간에서의 포도당 배출을 감소시킨다. 또한, GLP-1은 위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고, 소장 운동을 늦추어 음식 흡수를 지연시킨다. GLP-1은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전사를 자극하고 베타-세포 신생을 촉진함으로써 연속적인 베타 세포 적격성을 촉진한다 (문헌 [Meier, et al. Biodrugs 2003; 17 (2): 93-102]).
본원에서 사용되는 "GLP-1 활성"은 혈액 및/또는 혈장 포도당을 감소시키고, 포도당-의존적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고, 달리 인슐린 수치를 높이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고, 프럭토스아민을 감소시키고, 뇌로의 포도당 전달 및 대사를 증가시키고, 위 배출을 지연시키고, 베타 세포 적격성 및/또는 신생을 촉진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자연 발생의 인간 GLP-1의 1 이상의 활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의의 활성 및 GLP-1 활성과 관련된 다른 활성은 GLP-1 활성을 갖는 조성물 또는 GLP-1 효능제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야기될 수 있다. 일례로, 인슐린 생산의 자극이 포유류에서 혈장 포도당 수치를 간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GLP-1 활성을 갖는 조성물은 포도당 의존성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인크레틴 모방체"는 인슐린 분비를 증강시키거나 달리 인슐린 수치를 높일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인크레틴 모방체는 포유류에서 인슐린 분비를 자극할 수 있고, 베타 세포 신생을 증가시킬 수 있고, 베타 세포 아폽토시스를 억제할 수 있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할 수 있고, 위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고, 포만감을 유도할 수 있다. 인크레틴 모방체에는 엑센딘 3 및 엑센딘 4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GLP-1 활성을 갖는 임의의 폴리펩티드 및 그의 임의의 단편 및/또는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가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혈당 강하제"는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혈당 강하제에는 인크레틴 호르몬 또는 인크레틴 모방체를 비롯한 임의의 GLP-1 효능제, GLP-1 및/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혈당 강하제에는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약물 (예를 들어, 술포닐우레아 (SU) 및 메글리티니드), GLP-1 붕괴를 억제시키는 약물 (예를 들어, DPP-IV 억제제), 포도당 이용을 증가시키는 약물 (예를 들어, 글리타존, 티아졸리디네디온 (TZD) 및/또는 pPAR 효능제),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 (예를 들어, 메트포르민), 및 포도당 흡수를 지연시키는 약물 (예를 들어,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술포닐우레아의 예에는 아세토헥사미드, 클로르프로파미드, 톨라자미드, 글리피지드, 글리클라지드, 글리벤클라미드 (글리부리드), 글리퀴돈, 및 글리메피리드가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리타존의 예에는 로시글리타존 및 피오글리타존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은 일반적으로 변형된 RNA 또는 DNA, 또는 변형되지 않은 RNA 또는 DNA일 수 있는 임의의 폴리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를 말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들)"에는 단일- 및 이중-가닥 DNA, 단일- 및 이중-가닥 영역 또는 단일-, 이중- 및 삼중-가닥 영역의 혼합물인 DNA, 단일- 및 이중-가닥 RNA, 단일- 및 이중-가닥 영역의 혼합물인 RNA, 및 단일-가닥 또는 보다 전형적으로는 이중-가닥, 또는 삼중-가닥 영역, 또는 단일- 및 이중-가닥 영역의 혼합물일 수 있는 DNA 및 RNA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분자가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RNA 또는 DNA, 또는 RNA와 DNA 둘 다를 포함하는 삼중-가닥 영역을 말한다. 그러한 영역의 가닥들은 동일한 분자 유래의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분자 유래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영역은 1 이상의 분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지만, 보다 전형적으로는 몇몇 분자의 영역만을 포함한다. 삼중-나선 영역의 분자 중 하나는 종종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들)"에는 또한 1 이상의 변형된 염기를 포함하는 상기와 같은 DNA 또는 RNA가 포함된다. 따라서, 안정성 또는 다른 이유상 변형된 골격을 갖는 DNA 또는 RNA도 본원에서 의도하고 있는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들)"에 해당한다. 게다가, 이노신과 같은 비통상적인 염기 또는 트리틸화된 염기와 같은 변형된 염기를 포함하는 DNA 또는 RNA (두 개의 일례만 듬)도 본원에서 의도하고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해당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많은 유용한 목적을 위해 매우 다양한 변형이 DNA 및 RNA에 가해질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은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화학적, 효소적 또는 대사적으로 변형된 형태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및 예를 들어 단순 세포 및 복합 세포를 비롯한 세포의 DNA 및 RNA 특성의 화학적 형태를 포괄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은 또한 종종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라 불리는 짧은 폴리뉴클레오티드도 포괄한다.
"폴리펩티드"는 펩티드 결합 또는 변형된 펩티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2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임의의 펩티드 또는 단백질, 즉 펩티드 동배체를 말한다. "폴리펩티드"는 통상적으로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또는 올리고머라 부르는 단쇄, 및 일반적으로 단백질이라 부르는 장쇄 둘 다를 말한다. 폴리펩티드는 20개의 유전자를 코딩하는 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을 함유할 수 있다. "폴리펩티드"는 번역후 수식과 같은 자연적인 과정에 의해, 또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화학적 변형 기술에 의해 변형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그러한 변형은 기본서 및 보다 상세한 전공서적 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다. 변형은 펩티드 골격, 아미노산 측쇄, 및 아미노 또는 카르복실 말단을 비롯해서 폴리펩티드의 어느 곳에서 일어날 수 있다. 동일한 유형의 변형이 주어진 폴리펩티드의 몇몇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다양한 정도로 존재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주어진 폴리펩티드는 많은 유형의 변형을 함유할 수 있다. 폴리펩티드는 유비퀴틴화의 결과로 분지화될 수 있고, 분지를 갖거나 그렇지 않은 환형일 수 있다. 환형, 분지형 및 분지된 환형 폴리펩티드는 번역후의 자연적인 수식에 의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합성법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변형에는 아세틸화, 아실화, ADP-리보실화, 아미드화, 플라빈의 공유 부착, 헴 잔기의 공유 부착, 뉴클레오티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유도체의 공유 부착, 지질 또는 지질 유도체의 공유 부착, 포스포티딜이노시톨의 공유 부착, 가교, 고리화, 디술피드 결합 형성, 디메틸화, 공유 가교의 형성, 시스테인의 형성, 피로글루타메이트의 형성, 포르밀화, 감마-카르복실화, 글리코실화, GPI 앵커 형성, 수산화, 요오드화, 메틸화, 미리스토일화, 산화, 단백질 분해 과정, 인산화, 프레닐화, 라세미화, 셀레노일화(selenoylation), 황산화, 단백질에의 아미노산의 t-RNA 매개 부가 (예컨대 아르기닐화(arginylation)), 및 유비퀴틴화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문헌 [PROTEINS - STRUCTURE AND MOLECULAR PROPERTIES, 2nd Ed., T. E. Creighton,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1993 and Wold, F., Posttranslational Protein Modifications: Perspectives and Prospects, pgs. 1-12 in POSTTRANSLATIONAL COVALENT MODIFICATION OF PROTEINS, B. C. Johnson,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83]; [Seifter, et al., "Analysis for Protein modifications and nonprotein cofactors", Meth. Enzymol. (1990) 182:626-646] 및 [Rattan, et al., "Protein Synthesi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and Aging", Ann NY Acad Sci (1992) 663:48-62]을 참고하기 바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변이형"은 각각 참고용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와는 상이하지만, 본질적인 특성은 보유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이다. 전형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변이형은 또다른 참고용 폴리뉴클레오티드와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상이하다. 변이형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화는 참고용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화시키거나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뉴클레오티드의 변화는 이하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참고용 서열에 의해 코딩된 폴리펩티드에서 아미노산 치환, 부가, 결손, 융합 및 절단을 야기할 수 있다. 폴리펩티드의 전형적인 변이형은 또다른 참고용 폴리펩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이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차이는 참고용 폴리펩티드와 변이형의 서열이 많은 영역에서 동일하고, 전반적으로 매우 유사한 것으로 한정된다. 변이형 및 참고용 폴리펩티드는 임의의 조합으로의 1 이상의 치환, 부가, 결손으로 인해 아미노산 서열이 상이할 수 있다. 치환된 또는 삽입된 아미노산 잔기는 유전 코드에 의해 코딩된 것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변이형은 대립형질 변이형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거나,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지지 않은 변이형일 수 있다. 자연발생적 변이형이 아닌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폴리펩티드의 변이형은 돌연변이 유발 기술에 의해 또는 직접 합성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변이형에는 또한 1 이상의 아미노산 측기가 화학적으로 변형된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단편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적 변형에는 화학적 잔기의 부가, 새로운 결합의 생성, 및 화학적 잔기의 제거가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노산 측기의 변형에는 리신-ε-아미노기의 아실화,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리신의 N-알킬화, 글루타믹 또는 아스파르틱 카르복실산기의 알킬화, 및 글루타민 또는 아스파라긴의 탈아미드화가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말단 아미노기의 변형에는 데스-아미노, N-저급 알킬, N-디-저급 알킬, 및 N-아실 변형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말단 카르복시기의 변형에는 아미드, 저급 알킬 아미드, 디알킬 아미드, 및 저급 알킬 에스테르 변형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 이상의 측기 또는 말단기는 통상의 단백질 화학자에게 알려져 있는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폴리펩티드를 언급할 때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편"은 자연 발생의 완전한 폴리펩티드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이 아닌 그 일부로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이다. 단편은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보다 큰 폴리펩티드 내에 포함되어 단일의 보다 큰 폴리펩티드에서 단일의 연속 영역으로서 일부 또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연 발생적 GLP-1의 단편은 1 내지 36의 자연 발생 아미노산 중 7 내지 36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폴리펩티드의 단편은 자연 발생적인 부분 서열의 변이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연 발생적 GLP-1의 7 내지 30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GLP-1 단편은 또한 그의 일부 서열에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변이형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접합체" 또는 "접합된"은 두 개의 분자가 서로 결합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1 폴리펩티드는 제2 폴리펩티드에 공유적 또는 비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폴리펩티드는 제2 폴리펩티드에 화학적 링커에 의해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유전적으로 융합될 수 있고, 이때 제1 및 제2 폴리펩티드는 공통의 폴리펩티드 골격을 공유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직렬 방향"이란 2 이상의 폴리펩티드가 동일한 분자의 일부로서 서로 이웃하는 것을 말한다. 이들은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2 이상의 직렬 방향 폴리펩티드는 동일한 폴리펩티드 골격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직렬 방향 폴리펩티드는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일 수 있고/거나 다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혈당 또는 혈장 포도당을 "감소시키다" 또는 "감소시키는"이란, 혈당 강하제 투여 후 환자의 혈액에서 관찰되는 혈당량이 감소되는 것을 말한다. 혈당 또는 혈장 포도당의 감소는 개인별로, 또는 대상체 군에 대한 평균 변화로서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혈당 또는 혈장 포도당의 평균 감소는 치료한 대상체 군에 대해 기준선으로부터의 평균 변화 및/또는 위약을 투여한 대상체들 중의 혈당 또는 혈장 포도당의 평균 변화와 비교한 평균 변화로서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GLP-1 활성의 개선"이란 자연 발생적 GLP-1과 관련된 임의의 및 전체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례로, GLP-1 활성의 개선은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대상체에 투여한 후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투여하기 이전의 동일한 대상체에서의 GLP-1 활성과 비교하거나, 위약을 투여한 제2 대상체와 비교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상승된 혈당 관련 질환"에는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포도당 불내증, 고혈당증, 및 알츠하이머병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공동 투여" 또는 "공동 투여하는"이란 동일한 환자에게 2 이상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한 화합물의 공동 투여는 동시에 또는 거의 동일한 시간 (예를 들어, 동일한 시간 내)에 할 수 있거나, 서로 수 시간 이내 또는 수 일 이내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합물을 매주 한 번 투여하면서 제2 화합물은 매일 공동 투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최대 혈장 농도" 또는 "Cmax"는 포유류에 물질 (예를 들어,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또는 GLP-1 효능제)을 투여한 후에 포유류의 혈장에서 관찰되는 그 물질의 최대 농도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곡선하 면적" 또는 "AUC"는 시간에 따른 혈장 내 물질 농도의 플롯에서의 곡선하 면적이다. AUC는 시간 간격 동안의 순간 농도의 적분 측정치일 수 있고, 질량×시간/용적 단위를 가지며, 또한 nM×일과 같이 몰 농도×시간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AUC는 전형적으로 사다리꼴 법 (예를 들어, 선형, 선형 로그)으로 계산한다. AUC는 통상적으로 0에서 무한대의 시간 간격으로 주어지며, 다른 시간 간격이 명시된다 (예를 들어, AUC (t1,t2)에서 t1 및 t2는 그 간격의 출발 시점 및 종료 시점임).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AUC0-24h"는 24시간 동안의 AUC를 말하고, "AUC0-4h"는 4시간 동안의 AUC를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가중 평균 AUC"는 AUC를 계산하는데 걸린 시간 간격으로 AUC를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가중 평균 AUC0-24h는 24시간으로 나눈 AUC0-24h을 나타낼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신뢰 구간" 또는 "CI"는 측정치 또는 실험치가 주어진 확률 p에 상응하는 범위 내 구간으로, 여기서 p는 90% 또는 95% CI를 말하고 산술 평균, 기하 평균, 또는 최소 제곱 평균으로 대략 계산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기하 평균은 지수화를 통해 역 변환된 자연 로그 변환값의 평균이고, 최소 제곱 평균은 고정 효과를 이용한 분산 (ANOVA) 모델의 분석으로부터 유도되지만, 이 역시 기하 평균이거나 기하 평균이 아닐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변동 계수 (CV)"는 분산 측정치이고 평균에 대한 표준 편차의 비율로 정의된다. 이는 상기 계산치에 100을 곱해서 백분율 (%)로 보고한다 (%CV).
본원에서 사용되는 "Tmax"는 포유류에 물질을 투여한 이후에 포유류의 혈장 내에서 물질이 최대 농도에 이르는데 관찰된 시간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혈청 또는 혈장 반감기"는 포유류에 투여되어 정상적인 생물학적 과정에 의해 포유류의 혈청 또는 혈장으로부터 대사되거나 제거되는 물질의 양이 반이 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말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인간에게서 GLP-1 활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인간에게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펩티드는 상기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0.6 nM, 및 1주에 걸쳐 상기 폴리펩티드의 곡선하 면적값을 적어도 약 3.5 nM×일 제공한다. 당업계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혈액, 혈장 및/또는 다른 조직에서 활성 화합물의 농도와 같은 약물동태학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혈액 및/또는 혈장 및/또는 다른 조직에서 포도당, 인슐린, C 펩티드, 글루카곤, 기타 생물표지 수치와 같은 다양한 약력학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는 GLP-1 효능제일 수 있다. GLP-1 효능제는 인크레틴 호르몬 및/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 및 인크레틴 모방체 및/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인크레틴 호르몬에 포함되는 것에는 인간 GLP-1 및/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GLP-1 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GLP-1 단편 및/또는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GLP-1 활성을 갖는다. GLP-1 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는 인간 혈청 알부민을 포함할 수 있다. 인간 혈청 알부민은 GLP-1 또는 그의 단편 및/또는 변이형에 접합될 수 있다. 인간 혈청 알부민은 주사 이전에 화학적 링커를 통해 인크레틴 호르몬 (예컨대 GLP-1) 및/또는 인크레틴 모방체 (예컨대 엑센딘 3 및 엑센딘 4) 및/또는 그의 단편 및/또는 변이형에 접합될 수 있거나, 또는 생체 내에서 자연 발생적인 인간 혈청 알부민에 화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593,295호 및 미국 특허 제6,329,336호를 참조하기 바람, 이들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 다르게는, 인간 혈청 알부민은 GLP-1 및/또는 그의 단편 및/또는 변이형, 또는 엑센딘-3 또는 엑센딘-4 및/또는 그의 단편 및/또는 변이형과 같은 다른 GLP-1 효능제에 유전적으로 융합될 수 있다. 인간 혈청 알부민과 유전적으로 융합된 GLP-1 및 그의 단편 및/또는 변이형의 예가 다음의 PCT 출원에 제시되어 있다: WO 2003/060071, WO 2003/59934, WO 2005/003296, WO 2005/077042 (이들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는 적어도 하나의 인간 GLP-1 단편 및/또는 변이형을 포함한다. 인간 GLP-1의 두 개의 자연 발생적 단편을 이하에서 서열 2로 나타낸다:
Figure 112009021736114-pct00001
여기서, 37번째 위치의 Xaa는 Gly (이하 "GLP-1(7-37)"라 함), 또는 -NH2 (이하 "GLP-1(7-36)"라 함)이다. GLP-1 단편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 GLP-1의 7 내지 36의 아미노산 (GLP-1(7-36))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GLP-1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GLP-1의 변이형 또는 그의 단편은 야생형 GLP-1 또는 서열 2로 나타내어지는 자연 발생적 GLP-1 단편에 1, 2, 3, 4, 5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LP-1 변이형 또는 GLP-1 단편은 야생형 GLP-1의 8번째 위치의 알라닌과 유사한 알라닌 잔기의 치환체, 예컨대 글리신으로 돌연변이된 알라닌 (이하 "A8G"라 함)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5,545,618에 개시되어 있는 돌연변이체를 참고하기 바람).
일부 측면에서는, GLP-1의 적어도 하나의 단편 및 변이형이 GLP-1(7-36(A8G))을 포함하며 인간 혈청 알부민에 유전적으로 융합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인간 혈청 알부민 또는 그의 변이형의 N- 또는 C-말단에 융합된 1, 2, 3, 4, 5, 또는 그 이상의 직렬 방향의 GLP-1 분자 및/또는 그의 단편 및/또는 변이형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는 알부민 또는 그의 변이형의 N- 또는 C-말단에 융합된 A8G 폴리펩티드를 갖는다. 인간 혈청 알부민의 N-말단에 융합된 두 개의 직렬 방향의 GLP-1(7-36)(A8G) 단편 및/또는 변이형의 예는 서열 1을 포함하며, 이를 도 3에 나타낸다. 다른 측면에서, GLP-1의 적어도 하나의 단편 및 변이형은 인간 혈청 알부민에 직렬로 그리고 유전적으로 융합된 적어도 두 개의 GLP-1(7-36(A8G))를 포함한다. 적어도 두 개의 GLP-1(7-36(A8G))는 인간 혈청 알부민의 N-말단에 유전적으로 융합될 수 있다.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는 서열 1을 포함할 수 있다.
GLP-1(7-37)의 변이형은, 예를 들어 GLP-1(7-37)OH의 22번째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되는 글리신이 글루타민산으로 대체된 GLP-1 변이형을 지칭하는 Glu22-GLP-1(7-37)OH로 나타낼 수 있고; GLP-1(7-37)OH의 8번째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되는 알라닌과 22번째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되는 글리신이 각각 발린 및 글루타민산으로 대체된 GLP-1 화합물을 지칭하는 Val8-Glu22-GLP-1(7-37)OH으로 나타낼 수 있다. GLP-1의 변이형의 예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21736114-pct00002
Figure 112009021736114-pct00003
GLP-1 변이형에는 또한 그의 아미노산 측기 중 하나 이상이 화학적으로 변형된 GLP-1 또는 GLP-1 단편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적 변형에는 화학적 잔기의 부가, 새로운 결합의 생성, 및 화학적 잔기의 제거가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노산 측기의 변형에는 리신-ε-아미노기의 아실화,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리신의 N-알킬화, 글루타믹 또는 아스파르틱 카르복실산기의 알킬화, 및 글루타민 또는 아스파라긴의 탈아미드화가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말단 아미노기의 변형에는 데스-아미노, N-저급 알킬, N-디-저급 알킬, 및 N-아실 변형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말단 카르복시기의 변형에는 아미드, 저급 알킬 아미드, 디알킬 아미드, 및 저급 알킬 에스테르 변형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 이상의 측기 또는 말단기는 통상의 단백질 화학자에게 알려져 있는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GLP-1 단편 또는 변이형에는 또한 상기 단편 또는 변이형 GLP-1(7-37)OH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1 이상의 아미노산이 부가된 폴리펩티드가 포함될 수 있다. GLP-1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부가된 아미노산은 GLP-1(7-37)OH에서 상응하는 아미노산과 동일한 번호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GLP-1(7-37)OH의 N-말단에 두 개의 아미노산을 부가하여 수득한 GLP-1 화합물의 N-말단 아미노산은 5번째 위치에 존재하고; GLP-1(7-37)OH의 C-말단에 한 개의 아미노산을 부가하여 수득한 GLP-1 화합물의 C-말단 아미노산은 38번째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GLP-1(7-37)OH에서와 같이 이러한 GLP-1 화합물 둘 다에서 12번째 위치는 페닐알라닌에 의해 점유되고, 22번째 위치는 글리신에 의해 점유된다. N-말단에 아미노산이 부가된 GLP-1의 1 내지 6번째 아미노산은 GLP-1(1-37)OH의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과 동일하거나 보존적 치환체일 수 있다. C-말단에 아미노산이 부가된 GLP-1의 38 내지 45번째 아미노산은 글루카곤 또는 엑센딘-4의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과 동일하거나 보존적 치환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는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매일 한 번 내지 매달 한 번 인간에게 투여하고, 매일 한 번, 매 2일에 한 번, 매 3일에 한 번, 매 7일에 한 번, 매 14일에 한 번, 매 4주에 한 번 및/또는 매달 한 번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1 투여량 및 제2 투여량을 인간에게 투여한다. 제1 및 제2 투여량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의 각 투여량은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약 0.25 μg 내지 약 1000 mg 포함할 수 있다. 투여량은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0.25 μg, 0.25 mg, 1 mg, 3 mg, 6 mg, 16 mg, 24 mg, 48 mg, 60 mg, 80 mg, 104 mg, 20 mg, 400 mg, 800 mg, 최대 약 1000 mg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0.6 nM 내지 약 319 nM, 및 1주에 걸쳐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곡선하 면적값을 적어도 약 3.5 내지 약 1936 nM×일 제공한다. 몇몇 예에서,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혈청 반감기는 약 4 내지 약 7일이다. 다른 측면에서,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Tmax 값은 약 1일 내지 약 5일이다. 몇몇 예에서,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8 nM 내지 약 54 nM, 및 1주에 걸쳐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의 AUC (주 1) 값을 적어도 약 29 nM×일 내지 약 245 nM×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의 단일 투여량에 따라 적어도 약 99 nM×일 내지 약 637 nM×일의 단일 투여 후 AUC (0-∞) 값, 및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8 nM 내지 약 54 nM을 제공한다.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임의의 인간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혈당증, 포도당 불내증, 및/또는 당뇨병 환자 (T2DM일 수 있음)일 수 있다. 또한,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로 인간의 혈장 포도당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T2DM 인간의 군집 샘플에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후 위약 투여군과 비교했을때 약 1주에 걸쳐 혈장 포도당의 AUC0-24h에 대한 가중 평균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위약 투여 대상체에서의 변화와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로서 측정할 수 있는 혈장 포도당의 평균 AUC0-24h는, T2DM 인간의 군집 샘플에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의 조성물을 투여한 후 적어도 1주 동안 95% 신뢰 구간 (-32.4, -7.8)에서 약 20 mg/dL 내지 95% 신뢰 구간 (-76.6, -21.4)에서 적어도 약 49 mg/dL 만큼 또는 그 이상 감소될 수 있다. 혈장 포도당의 감소는 투여량 의존적일 수 있다. 또한,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는 인간의 혈장 포도당을 감소시키고, T2DM 인간의 군집 샘플에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후 약 1주에 걸쳐 공복 혈장 포도당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평균 공복 혈장 포도당은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로서 측정했을때 위약 투여군과 비교하여 T2DM 인간 군집에서 95% 신뢰 구간 (-25.9, +11.2)에서 약 7 mg/dL 내지 95% 신뢰 구간 (-75.4, -26.0)에서 약 50.7 mg/dL 만큼 또는 그 이상 감소될 수 있다. 평균 공복 혈장 포도당은 기준선으로부터 변화로서 측정했을때 95% 신뢰 구간 (-16.5, +8.2)에서 약 4 mg/dL 내지 95% 신뢰 구간 (-54.1, -15.6)에서 약 35 mg/dL 만큼 또는 그 이상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식후 혈장 포도당 (평균 AUC0-4h)은 T2DM 인간의 군집 샘플에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의 조성물을 투여한 후 적어도 1주 동안 기준선과 비교하여 95% 신뢰 구간 (-27.2, +14.9)에서 약 6 mg/dL 내지 95% 신뢰 구간 (-64.7, -40.8)에서 약 53 mg/dL 만큼 또는 그 이상 감소될 수 있다. 또한,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로 위약 투여군과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로서 인간의 혈장 프럭토스아민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의 조성물을 투여한 후 적어도 2주 동안 적어도 약 34 μM/L 만큼 감소시킨다. GLP-1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인간의 다리, 팔, 또는 복부에 피하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상승된 혈당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하며, 상기 폴리펩티드는 상기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0.6 nM, 및 1주에 걸쳐 상기 폴리펩티드의 곡선하 면적값을 적어도 약 3.5 nM×일 제공하도록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인간에게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서의 GLP-1 활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21.2 pM 내지 약 51.6 pM 이상, 및 1주에 걸쳐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곡선하 면적값을 적어도 약 149 pM×일 내지 약 또는 361 pM×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GLP-1 효능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1.4 nM, 및 1주에 걸쳐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곡선하 면적값을 적어도 약 8 nM×일 제공한다. GLP-1 효능제는 인크레틴 호르몬 및/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 및 인크레틴 모방체 및/또는 그의 단편, 변이형 및/또는 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혈청 반감기는 약 4 내지 약 7일이다.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Tmax 값은 약 1일 내지 약 5일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에 의해 치료되는 인간은 고혈당증 및/또는 당뇨병 환자일 수 있다. T2DM 환자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인간의 혈장 포도당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인간의 혈장 포도당의 AUC0-24h에 대한 가중 평균은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후 약 1주에 걸쳐 임상적으로 그리고 통계적으로 현저하게 감소된다. 위약 투여군과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로서 측정한 혈장 포도당의 AUC0-24h에 대한 가중 평균은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의 조성물을 투여한 후 적어도 1주 동안 적어도 약 5 mg/dL, 10 mg/dL, 15 mg/dL 및/또는 20 mg/dL 만큼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간의 혈장 포도당을 감소시키며, 인간의 공복 혈장 포도당은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후 약 1주에 걸쳐 임상적으로 그리고 통계적으로 현저하게 감소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인간의 혈장 포도당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식후 혈장 포도당은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의 조성물을 투여한 이후에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는,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매 7일에 한 번 투여한다. 이와 달리,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매일 한 번, 매 2일에 한 번, 매 3일에 한 번, 매 2주에 한 번, 매 4주에 한 번 및/또는 매달 한 번투여할 수 있다. GLP-1 효능제는 피하 주사, 근육내 주사, 정맥내 주사, 점막적, 경구적, 및/또는 흡입에 의한 것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퍼옥시좀 증식 활성화된 수용체 (PPAR) 리간드, 티아졸리디네디온 (예를 들어, 글리타존), 메트포르민, 인슐린, 및 술포닐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퍼옥시좀 증식 활성화 수용체 (PPAR) 리간드, 티아졸리디네디온, DPP-IV 억제제, 메트포르민, 인슐린, 및 술포닐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과 공동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GLP-1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에 더하여 상기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혈당 수치의 감소가 필요한 포도당 식이 조절 중인 인간에게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상승된 혈당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용도를 제공하며, 이때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최대 혈장 농도를 적어도 약 21.2 pM, 및 1주에 걸쳐 상기 적어도 하나의 GLP-1 효능제의 곡선하 면적값을 적어도 약 149 pM×일 제공하도록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기재하는 GLP-1 및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이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상승된 혈당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서 기재하는 각 치료 방법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되는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GLP-1 효능제 및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의 GLP-1 활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및/또는 GLP-1 효능제를 포함하고 본원에서 기재하는 방법 및 용도를 위해 제형화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기재하는 약물동태학적 (예를 들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Cmax, AUC, Tmax, 혈청 반감기) 및 약력학적 (예를 들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혈청, 혈장 및 혈당 수치) 매개변수의 측정 및 계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본원에서 기재하는 약물동태학적 및 약력학적 매개변수를 통계학적으로 비교 (예를 들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준선으로부터 치료 이후의 변화의 비교 및/또는 치료군들 사이의 비교) 및/또는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약물동태학적, 약력학적, 및 기타 임상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해 다양한 다른 방법을 이해할 것이며, 이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비제한적인 측면들을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다른 언급이 없으면, 서열 1은 pH 7.2에서 만니톨 2.8%, 트레할로스 2수화물 4.2%, 폴리소르베이트 80 0.01%, 인산염 완충제 20 mM를 포함하는 동결건조 형태로부터 25 mg/mL로 제형화된 것이다. 서열 1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투여가 필요할 때 주사용수로 희석되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건강한 대상체의 복부에 피하적으로 투여한 서열 1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0.25 mg 내지 104 mg)의 단일 맹검, 위약 대조, 상승 투여량 연구이다.
39명의 건강한 남성 및 여성 대상체가 본 연구에 등재되었다. 건강한 대상체의 5개 집단에게 서열 1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매주 두 번,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양으로 복부에 피하적으로 주사하였다: 집단 1 (0.25 mg + 1 mg); 집단 2 (3 mg + 6 mg); 집단 3 (16 mg + 24 mg); 집단 4 (48 mg + 60 mg); 및 집단 5 (80 mg + 104 mg). 집단 1 내지 4에서는, 각각 6명의 대상체를 무작위선별하여 활성 화합물을 투여하고, 각각 2명의 대상체를 무작위선별하여 위약을 투여하였다. 집단 5에서는, 5명의 대상체를 무작위선별하여 활성 화합물을 투여하고, 2 명의 대상체를 무작위선별하여 위약을 투여하였다. 즉, 29명의 대상체는 활성 치료하였고, 10명의 대상체는 위약을 투여하였다. 서열 1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의 노출은 테스트한 투여량 범위 전반에서 투여량 비례 방식보다 더 증가되었다. 서열 1의 반감기는 모든 투여량에 대해 대략 7일이었고, Tmax는 2 내지 4일 범위였다.
활성 화합물을 투여한 건강한 대상체에서의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를 표 1에 요약하였다. 위약을 투여한 대상체에 대한 약물동태학적 데이터는 요약하지 않았다. AUC (Wk 1)는 제1 투여 시간으로부터 제1 투여 이후 1주에 걸쳐 계산한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을 나타낸다. AUC (Wk 2)는 제2 투여 시간으로부터 제2 투여 이후 1주에 걸쳐 계산한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을 나타낸다. Cmax (Wk 1)는 제1 투여 시간으로부터 제1 투여 이후 1주에 걸쳐 관찰된 농도의 최고값을 나타낸다. Cmax (Wk 2)는 제2 투여 시간으로부터 제2 투여 이후 1주에 걸쳐 관찰된 농도의 최고값을 나타낸다.
건강한 대상체에서의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의 요약
투여량 (mg)
(Wk 1 + Wk 2)
N AUC (Wk 1)
(nM×일)
AUC (Wk 2)
(nM×일)
Cmax (Wk 1)
(nM)
Cmax (Wk 2)
(nM)
집단 1
0.25 + 1
6 NC 3.5 (64.7) NC 0.64 (46.2)
집단 2
3 + 6
6 10.7 (31.6) 39.1 (19.2) 1.9 (37.4) 6.6 (22.2)
집단 3
16 + 24
6 75.9 (29.2) 181 (38.2) 13.3 (26.6) 30.0 (44.1)
집단 4
48 + 60
6 296 (50.2) 714 (17.8) 54.1 (52.3) 123 (17.6)
집단 5
80 + 104
5 668 (33.5) 1936 (22.4) 122 (29.2) 319 (22.7)
데이터는 기하 평균 (%CV)으로 나타냄
NC - 계산되지 않음 - 농도가 수량화 검정 한계의 미만임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T2DM 대상체에 대한 단일 맹검, 위약 대조, 다중 투여량 연구이다. 54명의 남성 및 여성 대상체가 본 연구에 등재되었다. 대상체는 식이 조절 중이거나, 메트포르민, 술포닐우레아, 또는 메트포르민과 술포닐우레아의 조합물을 섭취하고 있었다. 연구를 시작하기 이전에 메트포르민 및/또는 술포닐우레아를 섭취하고 있는 대상체가 제1 투여의 2주 전부터 그러한 치료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였다. 대상체를 무작위선별하여 위약 또는 서열 1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2주 동안 매주 한 번 복부에 피하 주사하였다: 집단 1 (9 mg + 9 mg; 4 위약, 14 활성); 집단 2 (16 mg + 16 mg; 5 위약, 12 활성); 집단 3 (32 mg + 32 mg; 5 위약, 14 활성). 40명의 대상체를 무작위선별하여 활성 치료하였고, 14명의 대상체는 무작위선별하여 위약을 투여하였다.
53명의 대상체에 대해 연구를 완료하였다. 집단 2에서 활성 치료를 위해 무작위선별된 한명의 대상체는 제2 투여량 (16 mg)을 투여하기 이전에 연구에서 배제되었다. 집단 2에서 활성 치료를 위해 무작위선별된 두 번째 대상체에게는 단지 제1 투여량 (16 mg) 만을 투여하였다. 이 두 번째 대상체는 약물동태학적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세 명의 대상체에게는 투여를 빠뜨렸다 (집단 3에서의 2명의 위약 대상체 및 활성 치료를 위해 무작위선별된 1명의 대상체임 (32 mg)). 투여를 빠뜨린 대상체는 임의의 약물동태학적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서열 1의 반감기는 모든 투여량에 대해 대략 4 내지 6일이었다. Tmax는 투여 후 약 1 내지 약 5일의 범위였고, 투여량 의존적인지 불분명하였다. 활성 화합물을 투여한 대상체에 대한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를 도 1 및 표 2에 요약하였다. 무작위선별하여 위약을 투여한 대상체는 도 1 또는 표 2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활성 화합물을 투여한 T2DM 대상체에서의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의 요약
투여량 (mg)
주사 농도
N AUC (Wk 1)
(nM×일)
AUC (Wk 2)
(nM×일)
Cmax (Wk 1)
(nM)
Cmax (Wk 2)
(nM)
9 mg + 9 mg 14 51 (45) 86 (43) 11.3 (51.4) 14.5 (43.4)
16 mg + 16 mg 12 42 (90)1 84 (40)2 11.4 (59.7)1 16.0 (29.3)2
32 mg + 32 mg 13 58 (78) 122 (55) 12.0 (76.2) 21.1 (52.7)
데이터는 기하 평균 (%CV)으로 나타냄
1. n=11
2. n=10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에서 기재한 대상체들의 약력학적 추이를 제공한다. 위약 또는 서열 1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피하 주사할 대상체에게 다음과 같이 2주 동안 1주에 한 번 투여하였다: 집단 1 (9 mg + 9 mg; 4 위약, 14 활성); 집단 2 (16 mg + 16 mg; 5 위약, 12 활성); 집단 3 (32 mg + 32 mg; 5 위약, 14 활성). 대상체들에게 1일째 및 8일째에 투여하였다. T2DM 대상체에서 포도당 및 프럭토스아민에 대한 서열 1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T2DM 대상체는 식이 조절중이거나, 메트포르민, 술포닐우레아, 또는 메트포르민과 술포닐우레아의 조합물을 섭취하고 있었고, 제1 투여의 2주 전부터 그러한 치료에서 배제시켰다. 공복 및 24-시간 포도당 추이는 기준선에서 그리고 제1 투여와 제2 투여 24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프럭토스아민은 기준선에서 투여 후 13일째, 21일째, 및 마지막날 (56일째 또는 63일째)에 평가하였다.
정확한 무작위선별 치료를 받은 모든 대상체들을 약력학적 분석에 포함시켰다. 집단 2의 한 대상체는 1일째에 정확하게 투여되었으나, 제2 투여 이전에 배재되었다. 이 대상체는 8일째 이전에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약물동태학적 분석에는 포함시키고, 8일째 투여 이후의 PD 요약서에는 제외시켰다. 위약 투여를 위해 무작위선별되어 중간량이 투여된 두 명의 대상체는 모든 약력학적 분석에서 제외시켰다. 집단 3에서 32 mg의 활성 화합물 투여를 위해 무작위선별한 한 명의 대상체에게는 투여를 빠뜨렸고, 약력학적 분석에서 제외시켰다.
모든 투여 수치에서, 24-시간 가중 평균 포도당 및 공복 혈장 포도당 (FPG) 농도에서 임상적으로 및 통계적으로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포도당 데이터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위약 투여와 비교하여
활성 화합물을 투여한 T2DM 대상체에서의 공복 및 24-시간 포도당 감소


서열 1 투여량 (mg)
집단 1 (N=14) 집단 2 (N=12) 집단 3 (N=14)
9 9+9 16 16+16 32 32+32
FPG
(95% CI)
-7.36
(-25.9, +11.2)
-23.8
(-47.9, -0.28)
-22.9
(-40.7, -5.0)
-32.5
(-57.3, -7.7)
-26.7
(-46.32, -7.06)
-50.7
(-75.4, -26.0)
AUC0-24
(95% CI)
-25.2
(-43.0, 6.4)
-31.0
(-55.6, -6.4)
-28.0
(-45.7, -10.3)
-34.8
(-60.6, -8.9)
-34.8
(-54.1, -15.5)
-56.4
(-82.2, -30.5)
포도당 값 mg/dL; 위약과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
투여 후 13일째 및 21일째에, 모든 투여 수치에서 프럭토스아민의 두드러진 감소가 관찰되었다. 예상되는 서열 1의 반감기로 인해 마지막날 (56일째 또는 63일째)에는 감소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활성 화합물을 투여한 T2DM 대상체의 프럭토스아민을 위약 투여 대상체와 비교하여 표 4에 요약하였다.
위약 투여 대상체와 비교하여
활성 화합물을 투여한 T2DM 대상체에서의 프럭토스아민의 요약

매개변수

투여량 (mg)
9 mg 16 mg 32 mg
LS 평균 차이
(95% CI)
LS 평균 차이
(95% CI)
LS 평균 차이
(95% CI)
13일째 -34.3
(-61.6, -7.18)
-35.5
(-66.0, -5.05)
-37.0
(-66.1, -7.83)
21일째 -26.7
(-57.3, 3.93)
-26.9
(-61.2, 7.43)
-49.6
(-82.3, -16.8)
마지막날 35.62
(9.68, 59.6)
5.70
(-22.3, 33.7)
12.47
(-14.2, 39.2)
프럭토스아민 값 μmol/L; 위약과 비교하여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건강한 지원자 및 T2DM 대상체에 대한 개방, 무작위선별, 단일-투여량 연구이다. 62명의 남성 및 여성 대상체가 본 연구에 등재되었다. T2DM 대상체는 식이 조절중이거나 메트포르민 또는 티아졸리디네디온 치료중이었고, 연구하는 동안 그들의 이전 치료를 계속하였다. T2DM 대상체에게 서열 1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16 mg (복부 (N=8); 팔 (N=7); 또는 다리 (N=7)) 또는 64 mg (복부 (N=8); 팔 (N=8); 또는 다리 (N=8))의 단일 투여량으로 피하 주사하였다. 건강한 지원자에게는 활성 화합물의 16 mg (N=8) 또는 64 mg (N=8)을 복부에 피하 주사하였다. 즉, 16명의 건강하고 정상인 지원자에게 활성 화합물이 투여되었고, 46명의 T2DM 대상체에게 활성 화합물이 투여되었다.
T2DM 대상체에서 노출은 모든 주사 부위에서 유사하였고 비례 방식보다 약간 더 증가되었다. 노출은 건강한 대상체와 T2DM 대상체 사이에서 유사하였다. 농도 추이 및 AUC의 상자 플롯을 도 1 및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는 표 5에 요약하였다. AUC (Wk 1)는 투여 시간으로부터 투여 이후 1주일 동안 계산한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을 나타낸다. AUC (0-∞)는 서열 1의 제거 속도에 기초하여 외삽법에 의한 투여 시간으로부터 무한대의 시간까지의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을 나타낸다. 투여 수치가 16 mg인 6명의 대상체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서열 1의 제거 속도의 예측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무한대의 시간까지의 외삽법이 불가능하였고, 이들 대상체에 대해 AUC (0-∞)는 계산되지 않았다.
건강한 대상체와 T2DM 대상체에서의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의 요약
투여량 (mg) 군집 주사부위 N AUC (Wk 1)
(nM×일)
AUC (0-∞)
(nM×일)
Cmax
(nM)

16 mg

건강인 복부 8 62.5 (16) 1331 (24) 15 (37)

T2DM
복부 8 29.9 (101) 99.61 (37) 8.4 (136)
7 35.3 (99) 1181 (36) 8.8 (70)
다리 7 57.8 (39) 1171 (29) 14 (56)

64 mg

건강인 복부 8 245 (23) 590 (23) 53 (22)

T2DM
복부 8 218 (53) 562 (39) 49 (40)
8 238 (22) 637 (26) 54 (23)
다리 8 213 (69) 555 (49) 50 (54)
데이터는 기하 평균 (%CV)으로 나타냄
1n=6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4에 기재된 대상체의 약력학적 추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열 1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단일 투여량의 약력학적 추이를 조사하였고, T2DM 대상체의 포도당, 인슐린, 글루카곤, 및 C-펩티드에 대한 서열 1의 효과를 포함하였다. T2DM 대상체는 식이 조절중이거나 메트포르민 또는 티아졸리디네디온 치료중이었고, 연구하는 동안 그들의 이전 치료를 계속하였다. 대상체에게 서열 1을 포함하는 단일 투여량의 제약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투여하였다: 16 mg 또는 64 mg의 단일 투여량을 실시예 4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16명의 건강하고 정상인 지원자의 복부에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하거나, 46명의 T2DM 대상체의 팔, 다리 또는 복부에 투여하였다. 공복 포도당은 투여 48시간 후 아침 식전에 평가하였다. 식후 (4-시간) 포도당 추이는 투여 48시간 후 아침 식후 4시간에 걸쳐 평가하였다.
포도당의 감소는 투여된 각 투여량에 대해 주사 부위마다 일관되었다. 식후 포도당 (4-시간 가중 평균 포도당) 및 공복 혈장 포도당 (FPG)의 임상적이고 통계적인 현저한 감소가 투여량 64 mg에서 관찰되었다. 포도당 데이터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기준선과 비교하여
T2DM 대상체에서의 공복 및 식후 (4시간) 포도당 감소
16 mg
복부
16 mg
16 mg
다리
64 mg
복부
64 mg
64 mg
다리
N=8 N=7 N=7 N=8 N=8 N=8
FPG
(95% CI)
-21.1
(-41.5, -0.75)
-13.1
(-26.1, -0.15)
-4.1
(-16.5, +8.2)
-34.9
(-54.1, -15.6)
-21.5 (-26.7, -16.3) -29.3 (-43.0, -15.5)
AUC0-4
(95% CI)
-16.1 (-44.5,
+12.2 )
-6.0 (-27.2, +14.9) -10.8 (-27.2, +5.6) -52.5 (-82.0, -23.0) -41.3 (-70.9, -11.7) -52.8 (-64.7, -40.8)
포도당 값 mg/dL;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
본 출원에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임의의 특허 출원이 또한 특정 공개물 및 참고문헌에 대해 상기에서 기재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SEQUENCE LISTING <110>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120> Methods for Administering Long-lasting Hypoglycemic Agents <130> PU62137 <140> Unknown <141> 2007-09-12 <150> 60/825,472 <151> 2006-09-13 <160> 2 <170> FastSEQ for Windows Version 4.0 <210> 1 <211> 64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His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His Gly 20 25 30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Gln Ala 35 40 45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Asp Ala His Lys 50 55 60 Ser Glu Val Ala His Arg Phe Lys Asp Leu Gly Glu Glu Asn Phe Lys 65 70 75 80 Ala Leu Val Leu Ile Ala Phe Ala Gln Tyr Leu Gln Gln Cys Pro Phe 85 90 95 Glu Asp His Val Lys Leu Val Asn Glu Val Thr Glu Phe Ala Lys Thr 100 105 110 Cys Val Ala Asp Glu Ser Ala Glu Asn Cys Asp Lys Ser Leu His Thr 115 120 125 Leu Phe Gly Asp Lys Leu Cys Thr Val Ala Thr Leu Arg Glu Thr Tyr 130 135 140 Gly Glu Met Ala Asp Cys Cys Ala Lys Gln Glu Pro Glu Arg Asn Glu 145 150 155 160 Cys Phe Leu Gln His Lys Asp Asp Asn Pro Asn Leu Pro Arg Leu Val 165 170 175 Arg Pro Glu Val Asp Val Met Cys Thr Ala Phe His Asp Asn Glu Glu 180 185 190 Thr Phe Leu Lys Lys Tyr Leu Tyr Glu Ile Ala Arg Arg His Pro Tyr 195 200 205 Phe Tyr Ala Pro Glu Leu Leu Phe Phe Ala Lys Arg Tyr Lys Ala Ala 210 215 220 Phe Thr Glu Cys Cys Gln Ala Ala Asp Lys Ala Ala Cys Leu Leu Pro 225 230 235 240 Lys Leu Asp Glu Leu Arg Asp Glu Gly Lys Ala Ser Ser Ala Lys Gln 245 250 255 Arg Leu Lys Cys Ala Ser Leu Gln Lys Phe Gly Glu Arg Ala Phe Lys 260 265 270 Ala Trp Ala Val Ala Arg Leu Ser Gln Arg Phe Pro Lys Ala Glu Phe 275 280 285 Ala Glu Val Ser Lys Leu Val Thr Asp Leu Thr Lys Val His Thr Glu 290 295 300 Cys Cys His Gly Asp Leu Leu Glu Cys Ala Asp Asp Arg Ala Asp Leu 305 310 315 320 Ala Lys Tyr Ile Cys Glu Asn Gln Asp Ser Ile Ser Ser Lys Leu Lys 325 330 335 Glu Cys Cys Glu Lys Pro Leu Leu Glu Lys Ser His Cys Ile Ala Glu 340 345 350 Val Glu Asn Asp Glu Met Pro Ala Asp Leu Pro Ser Leu Ala Ala Asp 355 360 365 Phe Val Glu Ser Lys Asp Val Cys Lys Asn Tyr Ala Glu Ala Lys Asp 370 375 380 Val Phe Leu Gly Met Phe Leu Tyr Glu Tyr Ala Arg Arg His Pro Asp 385 390 395 400 Tyr Ser Val Val Leu Leu Leu Arg Leu Ala Lys Thr Tyr Glu Thr Thr 405 410 415 Leu Glu Lys Cys Cys Ala Ala Ala Asp Pro His Glu Cys Tyr Ala Lys 420 425 430 Val Phe Asp Glu Phe Lys Pro Leu Val Glu Glu Pro Gln Asn Leu Ile 435 440 445 Lys Gln Asn Cys Glu Leu Phe Glu Gln Leu Gly Glu Tyr Lys Phe Gln 450 455 460 Asn Ala Leu Leu Val Arg Tyr Thr Lys Lys Val Pro Gln Val Ser Thr 465 470 475 480 Pro Thr Leu Val Glu Val Ser Arg Asn Leu Gly Lys Val Gly Ser Lys 485 490 495 Cys Cys Lys His Pro Glu Ala Lys Arg Met Pro Cys Ala Glu Asp Tyr 500 505 510 Leu Ser Val Val Leu Asn Gln Leu Cys Val Leu His Glu Lys Thr Pro 515 520 525 Val Ser Asp Arg Val Thr Lys Cys Cys Thr Glu Ser Leu Val Asn Arg 530 535 540 Arg Pro Cys Phe Ser Ala Leu Glu Val Asp Glu Thr Tyr Val Pro Lys 545 550 555 560 Glu Phe Asn Ala Glu Thr Phe Thr Phe His Ala Asp Ile Cys Thr Leu 565 570 575 Ser Glu Lys Glu Arg Gln Ile Lys Lys Gln Thr Ala Leu Val Glu Leu 580 585 590 Val Lys His Lys Pro Lys Ala Thr Lys Glu Gln Leu Lys Ala Val Met 595 600 605 Asp Asp Phe Ala Ala Phe Val Glu Lys Cys Cys Lys Ala Asp Asp Lys 610 615 620 Glu Thr Cys Phe Ala Glu Glu Gly Lys Lys Leu Val Ala Ala Ser Gln 625 630 635 640 Ala Ala Leu Gly Leu 645 <210> 2 <211> 31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VARIANT <222> 31 <223> Xaa = Any Amino Acid <400> 2 His Al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Xaa 20 25 30

Claims (47)

  1. 적어도 두 개의 GLP-1(7-36(A8G))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GLP-1(7-36(A8G)) 폴리펩티드는 마지막 위치의 Xaa가 -NH2인 서열 2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에서 위치 2의 알라닌이 글리신으로 돌연변이된 폴리펩티드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GLP-1(7-36(A8G)) 폴리펩티드는 인간 혈청 알부민에 유전적으로(genetically) 융합되고,
    매주 한 번씩, 매 14일마다 한 번씩, 매 4주마다 한 번씩 및 매달 한 번씩으로부터 선택된 시간 간격으로 투여될 때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는 적어도 0.6 nM을 제공하고,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1주에 걸친 곡선하 면적 (AUC)값은 적어도 3.5 nM×일을 제공하는 것인, 고혈당증 또는 당뇨병을 치료 또는 예방할 필요가 있는 인간에서 고혈당증 또는 당뇨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GLP-1(7-36(A8G)) 폴리펩티드가 인간 혈청 알부민의 N-말단에 직렬로 유전적으로 융합된 것인 제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인 제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매 7일마다 한 번씩 인간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매 14일마다 한 번씩 인간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매 4주마다 한 번씩 인간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매달 한 번씩 인간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제1 투여량 및 제2 투여량이 인간에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제1 투여량 및 제2 투여량이 동일한 것인 제약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제1 투여량이,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0.25 mg 내지 1000 mg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제2 투여량이,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0.25 mg 내지 1000 mg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는 적어도 0.6 nM 내지 319 nM을 제공하고,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1주에 걸친 곡선하 면적값은 적어도 3.5 nM×일 내지 1936 nM×일을 제공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는 적어도 8 nM 내지 54 nM을 제공하고,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1주에 걸친 AUC주 1 값은 적어도 29 nM×일 내지 245 nM×일을 제공하고,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16 mg 내지 64 mg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는 적어도 8 nM 내지 54 nM을 제공하고,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단일 투여 후 1주에 걸친 AUC0-∞ 값은 적어도 99 nM×일 내지 637 nM×일을 제공하고,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24 mg 내지 60 mg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혈청 반감기가 4일 내지 7일인 제약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Tmax 값이 1일 내지 5일인 제약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인간이 고혈당증을 갖는 것인 제약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인간이 당뇨병을 갖는 것인 제약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인간이 제2형 당뇨병을 갖는 것인 제약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인간의 다리, 팔 또는 복부에 피하적으로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21. 제3항에 있어서,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16 mg 내지 64 mg, 만니톨 2.8%, 트레할로스 2수화물 4.2%, 폴리소르베이트 80 0.01%, pH 7.2의 인산염 완충제 및 주사용수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매주 한 번씩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23. 제3항에 있어서,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는 적어도 0.6 nM 내지 319 nM을 제공하고,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1주에 걸친 곡선하 면적값은 적어도 3.5 nM×일 내지 1936 nM×일을 제공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4. 제3항에 있어서,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는 적어도 8 nM 내지 54 nM을 제공하고,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1주에 걸친 AUC주 1 값은 적어도 29 nM×일 내지 245 nM×일을 제공하며,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16 mg 내지 64 mg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5. 제3항에 있어서,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혈청 반감기 4일 내지 7일을 제공하는 제약 조성물.
  26. 제3항에 있어서,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Tmax 값 1일 내지 5일을 제공하는 제약 조성물.
  27. 제3항에 있어서,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용액 중에 25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8. 제3항에 있어서,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24 mg 내지 60 mg, 만니톨 2.8%, 트레할로스 2수화물 4.2%, 폴리소르베이트 80 0.01%, pH 7.2의 인산염 완충제 및 주사용수를 포함하고, 매주 한 번씩, 매 14일마다 한 번씩, 매 4주마다 한 번씩 및 매달 한 번씩으로부터 선택된 시간 간격으로 투여될 때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최대 혈장 농도는 적어도 8 nM 내지 54 nM을 제공하고,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단일 투여 후 AUC0-∞ 값은 적어도 99 nM×일 내지 637 nM×일을 제공하는 것인, 인간에서 제2형 당뇨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피하 투여용인 제약 조성물.
  30. 제28항에 있어서, 매주 한 번씩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31. 제28항에 있어서, 서열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32 mg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097007414A 2006-09-13 2007-09-12 장기 지속형 혈당 강하제의 투여 방법 KR101472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547206P 2006-09-13 2006-09-13
US60/825,472 2006-09-13
US86839106P 2006-12-04 2006-12-04
US60/868,391 2006-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155A KR20090059155A (ko) 2009-06-10
KR101472601B1 true KR101472601B1 (ko) 2014-12-15

Family

ID=3918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414A KR101472601B1 (ko) 2006-09-13 2007-09-12 장기 지속형 혈당 강하제의 투여 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3) US8338369B2 (ko)
EP (1) EP2073834B1 (ko)
JP (2) JP5524620B2 (ko)
KR (1) KR101472601B1 (ko)
CN (1) CN103705911A (ko)
AR (1) AR062775A1 (ko)
AU (1) AU2007296499C1 (ko)
BR (1) BRPI0716765A8 (ko)
CA (1) CA2662622C (ko)
CL (1) CL2007002634A1 (ko)
CR (1) CR10684A (ko)
EA (1) EA017159B1 (ko)
ES (1) ES2442869T3 (ko)
IL (1) IL197448A (ko)
JO (1) JO2945B1 (ko)
MA (1) MA30768B1 (ko)
MX (1) MX2009002863A (ko)
MY (1) MY149911A (ko)
NO (1) NO20091266L (ko)
NZ (1) NZ575419A (ko)
PE (2) PE20121528A1 (ko)
SG (2) SG10201501749WA (ko)
TW (1) TWI430806B (ko)
WO (1) WO2008033888A2 (ko)
ZA (1) ZA2009015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29798T2 (en) 2005-11-04 2017-03-28 Glaxosmithkline Llc Methods of administering hypoglycemic agents
PL2373681T3 (pl) * 2008-12-10 2017-07-31 Glaxosmithkline Llc Kompozycje farmaceutyczne albiglutydu
EP2566502A4 (en) * 2010-05-04 2013-10-09 Glaxosmithkline Llc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ORDERS AND PROVIDING CARDIOVASCULAR PROTECTION
PT2651398T (pt) 2010-12-16 2018-03-09 Novo Nordisk As Composições sólidas compreendendo um agonista de glp-1 e um sal de ácido n-(8-(2-hidroxibenzoil)amino) caprílico
EP2696687B1 (en) 2011-04-12 2016-10-26 Novo Nordisk A/S Double-acylated glp-1 derivatives
PT2827845T (pt) 2012-03-22 2019-03-29 Novo Nordisk As Composições compreendendo um agente de entrega e sua preparação
HUE062740T2 (hu) 2012-03-22 2023-12-28 Novo Nordisk As GLP-1 peptidek készítményei és elõállításuk
JP6517690B2 (ja) 2012-06-20 2019-05-22 ノヴォ ノルディスク アー/エス ペプチド及び送達剤を含む錠剤製剤
KR102272671B1 (ko) * 2013-05-02 2021-07-06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Glp-1 화합물의 경구 투여
SI3004155T1 (sl) 2013-05-28 2022-02-28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eptidna spojina
JP6995042B2 (ja) 2016-05-24 2022-02-04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ペプチド化合物
BR112020014624A2 (pt) 2018-02-02 2020-12-08 Novo Nordisk A/S Composições sólidas compreendendo agonista de glp-1, sal de ácido n-(8-(2-hidroxibenzoil) amino)caprílico e lubrificante
AR125086A1 (es) * 2021-03-23 2023-06-07 Lilly Co Eli Composiciones que contienen análogos de incretina y usos de est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618A (en) * 1990-01-24 1996-08-13 Buckley; Douglas I. GLP-1 analogs useful for diabetes treatment
US6277819B1 (en) * 1996-08-30 2001-08-21 Eli Lilly And Company Use of GLP-1 or analogs in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US6329336B1 (en) * 1999-05-17 2001-12-11 Conjuchem, Inc. Long lasting insulinotropic peptides
WO2007056681A2 (en) * 2005-11-04 2007-05-18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s for administering hypoglycemic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2549A (en) 1994-10-18 1996-04-30 Eli Lilly And Company Glucagon-like insulinotropic peptide analog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AU4063697A (en) 1996-08-08 1998-02-25 Amyli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regulating gastrointestinal motility
US6380357B2 (en) 1997-12-16 2002-04-30 Eli Lilly And Company Glucagon-like peptide-1 crystals
AR022368A1 (es) * 1998-08-28 2002-09-04 Lilly Co Eli Procedimiento para administrar peptidos insulinotropicos
US6395767B2 (en) * 2000-03-10 2002-05-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yclopropyl-fused pyrrolidine-based inhibitors of dipeptidyl peptidase IV and method
CZ308214B6 (cs) * 2000-12-07 2020-03-04 Eli Lilly And Company GLP-1 fúzní proteiny
JP2004521093A (ja) * 2000-12-13 2004-07-15 イーライ・リリー・アンド・カンパニー グルカゴン様インスリン刺激性ペプチドを用いる長期治療計画
WO2002098348A2 (en) * 2001-06-01 2002-12-12 Eli Lilly And Company Glp-1 formulations with protracted time action
EP1432730A4 (en) * 2001-08-23 2006-10-11 Lilly Co Eli GLP-1 ANALOGUES (GLUCAGON-LIKE PEPTIDE 1)
AR036711A1 (es) 2001-10-05 2004-09-29 Bayer Corp Peptidos que actuan como agonistas del receptor del glp-1 y como antagonistas del receptor del glucagon y sus metodos de uso farmacologico
IL160917A0 (en) 2001-10-18 2004-08-31 Bristol Myers Squibb Co Human glucagon-like-peptide-1 mimic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related conditions
EP2261250B1 (en) * 2001-12-21 2015-07-01 Human Genome Sciences, Inc. GCSF-Albumin fusion proteins
WO2003059934A2 (en) * 2001-12-21 2003-07-24 Human Genome Sciences, Inc. Albumin fusion proteins
WO2003058203A2 (en) 2002-01-08 2003-07-17 Eli Lilly And Company Extended glucagon-like peptide-1 analogs
CA2513213C (en) 2003-01-22 2013-07-30 Human Genome Sciences, Inc. Albumin fusion proteins
CA2545311C (en) * 2003-11-12 2012-01-03 Phenomix Corporation Heterocyclic boronic acid compounds
JP4697596B2 (ja) * 2004-01-13 2011-06-08 旭硝子株式会社 多層積層体
HUE027902T2 (en) 2004-02-09 2016-11-28 Human Genome Sciences Inc Corp Service Company Albumin fusion proteins
EP2316446A1 (en) 2004-06-11 2011-05-04 Novo Nordisk A/S Counteracting drug-induced obesity using GLP-1 agonists
WO2007139589A1 (en) 2006-05-26 2007-12-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ustained release glp-1 receptor modula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618A (en) * 1990-01-24 1996-08-13 Buckley; Douglas I. GLP-1 analogs useful for diabetes treatment
US6277819B1 (en) * 1996-08-30 2001-08-21 Eli Lilly And Company Use of GLP-1 or analogs in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US6329336B1 (en) * 1999-05-17 2001-12-11 Conjuchem, Inc. Long lasting insulinotropic peptides
WO2007056681A2 (en) * 2005-11-04 2007-05-18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s for administering hypoglycemic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48524A (ja) 2014-08-21
CA2662622C (en) 2017-01-17
SG174770A1 (en) 2011-10-28
EP2073834A2 (en) 2009-07-01
IL197448A0 (en) 2011-08-01
WO2008033888A3 (en) 2008-10-16
WO2008033888A2 (en) 2008-03-20
AU2007296499B2 (en) 2013-05-02
AU2007296499A1 (en) 2008-03-20
NZ575419A (en) 2011-11-25
EP2073834A4 (en) 2010-11-03
US20140066371A1 (en) 2014-03-06
US8338369B2 (en) 2012-12-25
JO2945B1 (en) 2016-03-15
NO20091266L (no) 2009-06-09
TWI430806B (zh) 2014-03-21
CR10684A (es) 2009-04-28
AR062775A1 (es) 2008-12-03
PE20080840A1 (es) 2008-08-27
BRPI0716765A8 (pt) 2017-02-21
MX2009002863A (es) 2009-03-30
US20100009910A1 (en) 2010-01-14
CN103705911A (zh) 2014-04-09
ZA200901548B (en) 2010-02-24
ES2442869T3 (es) 2014-02-14
EA200970274A1 (ru) 2009-08-28
JP5524620B2 (ja) 2014-06-18
IL197448A (en) 2013-06-27
JP2010503697A (ja) 2010-02-04
EP2073834B1 (en) 2013-10-23
US20130005652A1 (en) 2013-01-03
CA2662622A1 (en) 2008-03-20
SG10201501749WA (en) 2015-05-28
MA30768B1 (fr) 2009-10-01
TW200824706A (en) 2008-06-16
EA017159B1 (ru) 2012-10-30
JP5753924B2 (ja) 2015-07-22
KR20090059155A (ko) 2009-06-10
MY149911A (en) 2013-10-31
PE20121528A1 (es) 2012-12-12
CL2007002634A1 (es) 2008-05-16
AU2007296499C1 (en) 2013-09-12
BRPI0716765A2 (pt)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601B1 (ko) 장기 지속형 혈당 강하제의 투여 방법
EP237368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lbiglutide
US20160022781A1 (en) Methods for administering hypoglycemic agents
US20080213288A1 (en) Combined Use Of A Modulator Of CD3 And A GLP-1 Compound
US20130261051A1 (en) Treating Diabetes Melitus Using Insulin Injections Administered With Varying Injection Intervals
EP1515749B1 (en) Combined use of a modulator of cd3 and a glp-1 compound
JP2014500244A (ja) 様々な注射間隔を用いて施されるインスリン注射を使用する、真性糖尿病の治療
CN101516391A (zh) 施用长效降血糖药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A101 Application to extend term of patent right by permi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