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271B1 -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 Google Patents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271B1
KR101472271B1 KR1020140053530A KR20140053530A KR101472271B1 KR 101472271 B1 KR101472271 B1 KR 101472271B1 KR 1020140053530 A KR1020140053530 A KR 1020140053530A KR 20140053530 A KR20140053530 A KR 20140053530A KR 101472271 B1 KR101472271 B1 KR 101472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pe
hole
mold portion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구
Original Assignee
(주)엔하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하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엔하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5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21D28/343Draw punche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 또는 일측면에 통공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는 하단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지지로드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 일측단에는 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제1핀부가 구비된 제1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에 삽입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제1핀부와 대응되는 핀홀이 형성된 유도가압부와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와 대응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단외주면에는 지지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제2핀부가 설치된 바닥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와 바닥금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외주측면에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파이프를 이송 및 지지할 수 있는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금형부의 제2핀부와 대응되는 핀홀이 형성된 제2금형부를 포함하여 이룬 금형부와 상기 금형부의 제1금형부 상단에는 상, 하로 이동하여 상기 금형부의 제1금형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동력부와 상기 금형부의 바닥금형부 하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Pipe bidirectional punching press machine}
본 발명은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 또는 일측면에 통공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베란다, 계단 및 인도 등에 설치되는 통상의 난간대는 소정 높이로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부착된 복수의 지지파이프로 이루어져 추락 사고나 기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에 수개의 지지파이프를 부착하기 위해서 파이프에 일정 크기의 구멍을 천공해야 하는데 상기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드릴머신 등이 사용되고 있다.
즉, 작업자가 드릴머신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직접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자가 파이프에 직접 구멍을 천공하고자 할 경우 먼저, 작업자가 일일이 파이프에 천공될 구멍의 위치를 표시한 후 드릴머신을 이용하여 직접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더불어 드릴머신으로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할 시 파이프가 유동될 우려가 다분하여 파이프에 정밀하게 구멍을 천공하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0024040호의 파이프 펀칭 프레스는 유압 등의 원동력에 의해 상하 기동되며, 피가공물에 절삭력을 가하는 가공수단을 가지는 피가공물을 안착 고정하는 베드부를 가지는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21)는 저면에 하방향을 향하는 수 개의 펀칭 블레이드(blade)(30)를 가지며; 상기 베드(24)부는; 피가공물인 파이프의 내부로 적은 유격으로 삽입되는 기다란 강재로서, 상면에는 상기 펀칭 블레이드(30)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며, 상기 펀칭블레이드(30)가 여유를 가지고 섭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수 개의 세로구멍이 형성되는 보강재(40)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베드(24)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보강재(40)가 오직 상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40)를 고정시키는 고정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펀칭 프레스는 상기 펀칭블레이드(30)에 의해 파이프 통공을 형성시 상기 펀칭블레이드에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펀칭블레이드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펀칭블레드에 의해 파이프에 통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통공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0024040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에 통공을 형성시키는 핀부에 완충기능을 설치하여 핀부의 수명을 증대함과 상부, 하부로 나누어진 핀부에 의해 파이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 또는 일측면에 통공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지지로드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 일측단에는 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제1핀부가 구비된 제1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에 삽입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1핀부와 대응되는 핀홀이 형성된 유도가압부와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와 대응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단외주면에는 지지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제2핀부가 설치된 바닥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와 바닥금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외주면에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파이프를 이송 및 지지할 수 있는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금형부의 제2핀부와 대응되는 핀홀이 형성된 제2금형부를 포함하여 이룬 금형부와 상기 금형부의 제1금형부 상단에는 상, 하로 이동하여 상기 금형부의 제1금형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동력부와 상기 금형부의 바닥금형부 하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형부의 유도가압부는 상기 금형부의 제1금형부에 구비된 지지로드부가 삽입관통되어 상, 하로 이동되도록 외주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금형부와 상기 유도가압부를 연결되어 상, 하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일측단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바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바이트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송장치로 이룬 이송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가이드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단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가이드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단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중심부에는 유도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공 내측에는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는 파이프에 통공을 형성시 통공을 시간차로 나누어 형성하므로써, 파이프 흔들림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금형부의 제1핀부와 제2핀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 또는 일측면에 통공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펀칭 프레스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b는 도 3a 대한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착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유도가압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 6b는 도 5에 대한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가이드 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이송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1a, 11b, 11c는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를 나타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 2b 내지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1)는 하단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지지로드부(12-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탄성스프링(12-2)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2-2) 일측단에는 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제1핀부(12-3)가 구비된 제1금형부(12)와 상기 제1금형부(12)의 지지로드부(12-1)에 삽입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1핀부(12-3)와 대응되는 핀홀(13-2)이 형성된 유도가압부(13)와 상기 제1금형부(12)의 지지로드부(12-1)와 대응되는 삽입홈부(14-2)가 형성되며 상단외주면에는 지지탄성부재(14-4)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파이프(P)를 천공할 수 있는 제2핀부(14-6)가 설치된 바닥금형부(14)와 상기 제1금형부(12)와 바닥금형부(14)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부(12)의 지지로드부(12-1)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15-2)이 형성되고 상단외주면에는 안착부(15-3)가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파이프(P)를 이송 및 지지할 수 있는 롤러부(15-4)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15-4)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금형부(14)의 제2핀부(14-6)와 대응되는 핀홀(15-6)이 형성된 제2금형부(15)를 포함하여 이룬 금형부(10)와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 상단에는 상, 하로 이동하여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동력부(20)와 상기 금형부(10)의 바닥금형부(14) 하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베이스부(3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12-2)은 상기 동력부(20)에서 전달되는 가압힘에 의해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에 구비된 제1핀부(12-3)가 파이프(P) 면부에 맞닿아 파이프(P)에 통공을 형성하는데 이때 발생되는 상기 제1핀부(12-3)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와 바닥금형부(14)에 형성되는 핀홀(13-2,15-6)은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 제2핀부(14-6)가 가압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P)에 정확하게 통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와 제2핀부(14-6)는 동일 또는 상이하게 형성되어 파이프(P)에 다양하게 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금형부(10)의 제2금형부(15)에 구비된 안착부(15-3)는 파이프(P)의 높이와 동일한 금속체로 형성하거나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에 의해 가압되는 충격을 완충 및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부재인 고무 및 탄성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안착부(15-3)는 상기 안착부(15-3)의 높이와 파이프(P)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가 파이프(P)를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금형부(10)의 제2금형부(15)을 가압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금형부(10)의 바닥금형부(14)에 형성된 제2핀부(14-6)에 의해 파이프(P)에 통공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안착부(15-3)가 파이프(P)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먼저 파이프(P)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다음 가압력에 의해 파이프(P) 하부에 형성시킬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 보다 높게 형성되어 먼저 상기 금형부(10)의 제2금형부(15)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파이프(P)의 하부통공을 먼저 형성시킨 후 상부 통공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파이프(P)의 하부만 통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부(15-3)에 의해 파이프(P)의 통공을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는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에 구비된 지지로드부(12-1)가 삽입관통되어 상, 하로 이동되도록 외주면부에 관통공(13-5)이 형성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금형부(12)와 상기 유도가압부(13)를 연결되어 상, 하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40)이 설치되어 파이프(P)의 통공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조절수단(40)에 의해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 위치를 조절하여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가 상기 금형부(10)의 제2금형부(15)를 가압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금형부(12)의 제1핀부(12-3)에 의해 파이프(P) 상부에만 통공이 형성시키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가 상기 금형부(10)의 제2금형부(15)에 형성되는 안착부(15-3)와 파이프를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금형부(10)의 바닥금형부(14)에 형성되는 제2핀부(14-6)에 의해 파이프(P) 하부에만 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절수단(40)은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 상단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나사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2)의 일측단은 상기 유도가압부(13)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 하단면에 상기 나사부(42)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12-6)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2)에는 상기 유도가압부(13)가 상, 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볼트(44)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는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에 구비된 제1핀부(12-3)에 의해 파이프 이면이 천공시 상기 제1금형부(12)의 제1핀부(12-3)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금형부(10)의 유도가압부(13)의 위치를 설정하여 파이프에 두께에 따라 가압되는 가압력을 조절 및 상기 금형부의 제2금형부(15)를 가압시키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의 통공을 다양하게 천공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와 제2핀부(14-6)가 하나 내지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금형부(15)의 롤러부(15-4) 또한 파이프(P)를 고정지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30)에는 상기 동력부(2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30)에는 작업자가 파이프(P)를 밀어 천공시키는 것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천공시킬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3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5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일측단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바이트(54)가 설치되며 상기 바이트(54)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5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송장치(56)로 이룬 이송부(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장치(56)는 구동모터 및 유압/공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부(5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게 또는 서로 이격되어 둘 이상으로 형성하고 금형부(10)는 둘 이상으로 형성하여 한 동력부(20)에 의해 신속정확하게 파이프(P)에 다양하게 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P)에 통공을 형성시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와 제2핀부(14-6)를 보호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50)의 가이드부(52)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단 중심부에는 관통공(5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와 제2핀부(14-6)가 파이프(P)를 관통시 보다 안정적으로 통공을 형성함과 파이프(P)에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와 제2핀부(14-6)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파이프(P)의 형상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와 제2핀부(14-6)에 의해 파이프(P)가 통공을 형성시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와 제2핀부(14-6)가 맞닿아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50)의 가이드(52)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단 중심부에는 관통공(52-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2-1) 중심부에는 유도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공(52-2) 내측에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부재(57)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부재(57)는 고무 및 스폰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1)는 작동실시예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지지로드부(12-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탄성스프링(12-2)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2-2) 일측단에는 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제1핀부(12-3)가 구비된 제1금형부(12)와 상기 제1금형부(12)의 지지로드부(12-1)에 삽입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1 핀부(12-3)와 대응되는 핀홀(13-2)이 형성된 유도가압부(13)와 상기 제1금형부(12)의 지지로드부(12-1)와 대응되는 삽입홈부(14-2)가 형성되며 상단외주면에는 지지탄성부재(14-4)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파이프(P)를 천공할 수 있는 제2핀부(14-6)가 설치된 바닥금형부(14)와 상기 제1금형부(12)와 바닥금형부(14)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부(12)의 지지로드부(12-1)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15-2)이 형성되고 상단외주측면에는 안착부(15-3)가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파이프(P)를 이송 및 지지할 수 있는 롤러부(15-4)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15-4)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금형부(14)의 제2핀부(14-6)와 대응되는 핀홀(15-6)이 형성된 제2금형부(15)를 포함하여 이룬 금형부(10)가 상, 하로 이동시키는 동력부(20)에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 상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금형부(10)의 바닥금형부(14) 하단면은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30)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상기 금형부(10)의 제2금형부(15)에 형성된 롤러부(15-4) 사이에 파이프(P)를 삽입시킨 후 상기 동력부(20)에 의해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를 하방으로 가압시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부(10)의 제1금형부(12)에 구비된 제1핀부(12-3)에 의해 상기 파이프(P)의 상부에 1차 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금형부(10)의 바닥금형부(14)에 구비되는 탄성스프링(14-4)은 상기 파이프(P)에 1차 통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금형부(1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파이프(P)에 1차 통공이 형성되며 더욱더 가압되는 힘에 의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가압부(13)이 상기 제2금형부(15)의 안착부(15-3)을 가압하여 상기 제2금형부(15)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바닥금형부(14)에 구비된 제2핀부(14-6)에 의해 상기 파이프(P)의 하부에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는 파이프에 통공을 형성시 통공을 시간차로 나누어 형성하므로써, 파이프 흔들림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금형부(10)의 제1핀부(12-3)와 제2핀부(14-6)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 또는 일측면에 통공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10 : 금형부
12 : 제1금형부 12-1 : 지지로드부
12-2 : 탄성스프링 12-3 : 제1핀부
12-6 : 나사공
13 : 유도가압부 13-2 : 핀홀
14 : 바닥금형부 14-2 : 삽입홈부
14-4 : 지지탄성부재 14-6 : 제2핀부
15 : 제2금형부 15-2 : 관통공
15-3 : 안착부 15-4 : 롤러부
15-6 : 핀홀
20 : 동력부 30 : 베이스부
40 : 조절수단 42 : 나사부
44 : 조절볼트
50 : 이송부 52 : 가이드
52-1 : 관통공 52-2 : 유도공
56 : 이송장치 57 : 충격부재

Claims (5)

  1. 하단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지지로드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 일측단에는 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제1핀부가 구비된 제1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에 삽입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제1핀부와 대응되는 핀홀이 형성된 유도가압부와;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와 대응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단외주면에는 지지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제2핀부가 설치된 바닥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와 바닥금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부의 지지로드부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외주면에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파이프를 이송 및 지지할 수 있는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금형부의 제2핀부와 대응되는 핀홀이 형성된 제2금형부를 포함하여 이룬 금형부와;
    상기 금형부의 제1금형부 상단에는 상, 하로 이동하여 상기 금형부의 제1금형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동력부와;
    상기 금형부의 바닥금형부 하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의 유도가압부는
    상기 금형부의 제1금형부에 구비된 지지로드부가 삽입관통되어 상, 하로 이동되도록 외주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금형부와 상기 유도가압부를 연결되어 상, 하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일측단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바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바이트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송장치로 이룬 이송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가이드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단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가이드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단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중심부에는 유도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공 내측에는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KR1020140053530A 2014-05-02 2014-05-02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KR10147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30A KR101472271B1 (ko) 2014-05-02 2014-05-02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30A KR101472271B1 (ko) 2014-05-02 2014-05-02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271B1 true KR101472271B1 (ko) 2014-12-10

Family

ID=5267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530A KR101472271B1 (ko) 2014-05-02 2014-05-02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2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663B1 (ko) * 2015-08-10 2017-09-18 주식회사 산돌기업 각관 타공기
KR102065782B1 (ko) 2019-10-18 2020-02-11 도승일 자동차 조향장치용 파이프 천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32B1 (ko) * 2002-11-20 2005-11-24 박천수 파이프 천공장치
KR100824771B1 (ko) * 2006-10-23 2008-04-24 유한회사 누리산업개발 파이프 천공장치
KR20080095225A (ko) * 2008-10-06 2008-10-28 김종영 파이프 천공용 프레스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32B1 (ko) * 2002-11-20 2005-11-24 박천수 파이프 천공장치
KR100824771B1 (ko) * 2006-10-23 2008-04-24 유한회사 누리산업개발 파이프 천공장치
KR20080095225A (ko) * 2008-10-06 2008-10-28 김종영 파이프 천공용 프레스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663B1 (ko) * 2015-08-10 2017-09-18 주식회사 산돌기업 각관 타공기
KR102065782B1 (ko) 2019-10-18 2020-02-11 도승일 자동차 조향장치용 파이프 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144B1 (ko) 금속 파이프 타공장치
CA2664784A1 (en) Multiple punch and die assembly providing hand disassembly, punch length adjustment and replacement
CN107282752A (zh) 一种升降式夹持固定的圆柱体散热件的中部打孔装置
KR102062003B1 (ko) 파이프 타공 장치
KR101472271B1 (ko) 파이프 양방향 천공프레스기
TW201611924A (en) Tailstock device of machine tool for deep-hole processing
CN105269024A (zh) 加工饰品的对接穿孔装置
KR101518011B1 (ko) 멀티 홀 가공장치
JP5233017B2 (ja) 側面穴明け装置
CN204036539U (zh) 新型电动钻孔机
KR101472270B1 (ko) 마킹 기능을 구비한 절단장치
CN103934402A (zh) 自动装铆装置
JP6470038B2 (ja) パンチング装置
JP5328596B2 (ja) 切断装置
KR20080004275A (ko) 피어싱 펀치의 센터링장치
CN104338830A (zh) 快速冲孔模具
KR20170045816A (ko) 앵글 펀칭장치
KR20170140046A (ko) 천공작업 예방장치 및 시스템
CN205110595U (zh) 用于压力机的工件输送机构
KR20120002957U (ko) 파이프 천공용 금형장치
MY188259A (en) Die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604579B1 (ko) 탄띠 벨트구멍 천공장치
MX2013000179A (es) Prensa de estampacion.
ATE492359T1 (de) Stanzmaschine
KR101610292B1 (ko) 프로파일의 펀칭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