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181B1 - 페인트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페인트 수납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2181B1 KR101472181B1 KR1020120103172A KR20120103172A KR101472181B1 KR 101472181 B1 KR101472181 B1 KR 101472181B1 KR 1020120103172 A KR1020120103172 A KR 1020120103172A KR 20120103172 A KR20120103172 A KR 20120103172A KR 101472181 B1 KR101472181 B1 KR 1014721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paint
- grip
- portions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1—Vats or other container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 B65D2525/286—Details relating to handles movable between two or more stable positions, e.g. a retracted and an extended position
- B65D2525/288—Details relating to handles movable between two or more stable positions, e.g. a retracted and an extended position by pivo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부 내에 페인트의 수납이 용이하고, 작업 후 다수의 페인트 수납용기를 적재하여 보관이나 작업 장소의 이동시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 손잡이에 대한 수납부의 유동이 전혀 없고, 페인트 붓을 수납부 내에 넣거나 뺄 때 손잡이부에 의한 방해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도색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페인트 수납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페인트를 수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대응하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타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부는, 각각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쪽 단부로부터 각각 구부러져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페인트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인트칠 작업시 페인트 등의 액체 도료를 담아 휴대할 수 있는 페인트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나 외부에 도색을 을 할 때, 페인트 등의 액체 도료를 수용한 수납용기를 휴대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페인트 수납용기의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인트 등의 액체도료를 수용하는 수납부(100)와 상기 수납부(100)의 측면 상단부의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의 손잡이부(200)로 구성된 페인트 수납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0)를 수납부(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이유는, 페인트 수납용기의 수납부(10)에 페인트 등의 액체 도료를 수납할 때 손잡이부(200)를 상기 수납부(100)의 어느 한쪽 측면으로 눕혀 놓음으로써, 수납부에 페이트의 수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작업 완료 후 다수의 페인트 수납용기 등을 일장 장소에 보관하거나 차량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 장소로 이동할 때, 다수의 페인트 수납용기를 적재할 수 있게 하여 보관이나 작업 장소의 이동시 간편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손잡이부(200)를 수납부(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도색 작업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특히 고층건물의 외벽을 도색하기 위하여 외줄이나 고가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고공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와 같이 작업을 하는 위치나 자세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100)가 손잡이부(2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하게 되어 작업이 곤란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납용기 내의 페인트 등이 쏟아져 낭패를 겪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페인트 수납용기의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079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를 이용하여 수납통 측면의 양쪽 단부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2개의 손잡이를 구비한 수납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를 이용하여 수납통 측면의 양쪽 단부에 2개의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경우, 상기한 하나의 손잡이를 수납부의 중앙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경우보다 다소 회동되는 범위가 제한되기는 하나, 여전히 회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하나의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통 측면의 양쪽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2개의 손잡이를 구비한 페인트 수납용기의 경우, 작업시에는 상기 2개의 손잡이가 상기 수납통의 개구된 상부의 중심을 향하여 대각 방향으로 기립(起立)하여 있기 때문에, 페인트를 묻히기 위하여 페인트 수납통에 페인트 붓을 넣거나 뺄 때에 기립 된 손잡이들이 방해물의 역할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특히 불안정한 자세로 건물의 외벽 등에 페인트칠을 하는 작업자에게는 민감한 문제로써, 이런 이유로 페인트칠을 하는 작업자들로써는 2개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페인트 수납용기보다는 오히려 하나의 손잡이를 구비한 페인트 수납용기를 더 선호하는 경향에 있다.
따라서, 이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상기 2개의 손잡이를 수납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가깝게 배치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 회동부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손잡이를 마련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납부의 회동 범위가 넓어지게 되므로 2개의 손잡이로 하는 실익이 없어진다.
또한, 이들 종래의 기술들에 있어서는, 수납부와 손잡이부를 좌우 방향으로회동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각각 상기 수납부와 손잡이부를 별도의 부품으로 생산한 후 회동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복잡하며, 이에 따른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부 내에 페인트의 수납이 용이하고, 작업 후 다수의 페인트 수납용기를 적재하여 보관이나 작업 장소의 이동시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 손잡이에 대한 수납부의 유동이 전혀 없고, 페인트 붓을 수납부 내에 넣거나 뺄 때 손잡이부에 의한 방해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도색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페인트 수납용기를 제공하고, 나아가 하나의 금형에 의하여 페인트 수납용기를 일체로 성형하여 작업공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페인트 수납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수납 용기는, 페인트를 수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대응하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타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부는, 각각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쪽 단부로부터 각각 구부러져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수납 용기는,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의 결합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는 상기 휨부가 휘어져 기립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가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에 대해 고정되어 회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수납 용기는,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휨부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수납 용기는, 상기 휨부는, 상기 지지부로 연결되는 쪽의 상반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쪽의 하반부로 구분되며, 상기 상반부의 두께보다 상기 하반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의 기립시 상기 하반부가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수납 용기는,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휨부의 두께와 상기 지지부의 두께가 같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수납 용기는, 상기 휨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단부 쪽에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페인트 수납용기에 의하면, 도색 작업 전, 후의 통상의 상태에서는. 수납부에 페인트를 쏟아 넣을 때, 상기 손잡이부에 의한 방해 없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페인트 수납용기를 용이하게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색작업시에는, 손잡이부에 대해 수납부가 전혀 회동하는 일이 없고, 또한 손잡이부가 페인트 붓의 수납부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불안정한 자세에서도 용이하게 도색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수납용기는, 상기 수납부, 연결부 및 손잡이부를 서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합성 수지 등의 같은 재질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 작업공수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파지부에 보강부를 보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의 결합시 손잡이부와 연결부의 결합부분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a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경우, 도 11b는 제 4 실시예에 의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파지부에 보강부를 보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의 결합시 손잡이부와 연결부의 결합부분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a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경우, 도 11b는 제 4 실시예에 의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제 1 실시예]
이하 , 본 발명의 페인트 수납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페인트 수납용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인트 등의 액체 도료를 수용하는 수납부(10)와, 상기 수납부(10)의 대응하는 양 측면의 상단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40)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40)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수납부(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40)의 양 측면까지 연장하여 형성된 2개의 손잡이부(20, 30)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1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형상의 케이스로 그 내부의 대응하는 양 측면에는, 페인트칠을 하기 위해 페인트 붓에 묻힌 페인트의 양을 고르게 조절하기 위한 돌기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1)는, 양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되어 꺽어진 형상의 면이 돌출된 복수의 돌기들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페인트칠을 하기 위해 페인트 붓에 묻힌 다음, 페인트 붓을 상기 돌기부(11)에 스쳐 문지름으로써 페인트 붓에 묻은 페인트의 양을 고르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페인트 붓으로부터 흘러나온 페인트는 상기 돌기의 경사를 따라 가운데로 모아져 흐르기 때문에, 빠르게 수납부(10) 내로 흘러들어갈 뿐만 아니라 상기 돌기부(11)의 각 돌기의 돌출된 턱에 잔류하는 페인트의 양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수납부(10)의 대응하는 양 측면의 상단 중앙부에 각각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수납부(1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40)는, 후술하는 2개의 손잡이부(20, 30)가 연장하여 형성되는 부위로서, 상기 수납부(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40)의 길이는 상기 수납부(10)의 상단 테두리의 일측의 길이의 1/5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의 손잡이부(20, 30)는, 상기 수납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40)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40)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제1손잡이부(20)와, 상기 수납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40)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40)의 타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제2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여기서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는 서로 정합적으로 대응하는 구성으로, 결합에 의하여 하나의 손잡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는, 통상의 상태(즉,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는 각각 상기 수납부(10)의 상단 테두리부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는, 각각 파지부(21, 31)와 상기 파지부(21, 31)의 양쪽 단부로부터 각각 구부러져(개략 90°방향으로 회전하여) 연장된 지지부(23, 33)와, 상기 지지부(23, 33)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는 휨부(24, 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20)의 파지부(21)에는 결합홈(21a)가 마련되고, 제2손잡이부(30)의 파지부(31)에는 결합돌기(31a)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홈(21a)과 상기 결합돌기(31a)는,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를 각각 기립하여 대향시켰을 때, 서로 정합적으로 결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 각각의 파지부(23)는, 서로 결합시켜 파지하였을 때 파지가 용이하도록 내측면(결합된 상태에서는 하측면)에는 파지시 접촉하는 손가락의 형상에 정합하는 4개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3, 33)는,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부위로써,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의 기립시 변형이 거의 없고, 상기 파지부(21, 31)와 같은 두께로 연장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휨부(21)는,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를 각각 기립시킬 때, 휘어짐으로써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의 기립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지지부(23, 33)와 폭은 같고 두께는 얇은 끈 형상으로,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의 결합이 해제된 수평상태에서 상기 휨부(24, 34)의 하면이 상기 지지부(23, 33)의 하면과 같은 면을 이루도록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휨부(24, 34)의 두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를 각각 기립시킬 때 용이하게 휘어져 굴곡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의 결합을 해제시켰을 때,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가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되돌아 와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는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를 동일한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하여, 상기 휨부(24, 34)의 두께를 상기 지지부(23, 33)의 두께에 대해 1/5 내지 1/8로 하여,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를 결합시 상기 휨부(21)가 용이하게 휘어 굴곡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의 결합 해제시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가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되돌아 와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는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수평상태란 완벽하게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재질의 특성상 일견하여 수평한 정도로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인트 수납용기는, 상기 수납부(10), 연결부(40) 및 2개의 손잡이부(20, 30)를 서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합성 수지 등의 같은 재질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공수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상태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는 상기 수납부(10)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면과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납부(10)에 페인트 등의 액체도료를 쏟아 넣을 때, 상기 손잡이부들에 의한 방해 없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페인트 수납용기를 적재하여 보관할 때, 상기 수납부(10)의 개구된 상면에 다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수납부(10)의 하면을 끼워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10)에 페인트를 넣어 도색작업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손잡이(20)가 가운데 몰려서 기립되어 있기 때문에, 페인트 붓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손잡이부(20)의 휨부(24, 34)가 연결부(40)에 직접 연결되어(연장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개의 손잡이부(20)에 대해 수납부(1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혀 유동하는 일이 없게 된다.
[제 2 실시예]
이하 , 본 발명의 페인트 수납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는, 각각의 상기 파지부(21, 31)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23, 33)와 휨부(24, 34)는 거의 같은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기 휨부(24, 34) 중 상기 연결부(40)에 근접한 부분에 각각 홈부(25, 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3, 33)와 휨부(24, 34)는 거의 같은 두께로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띠 형상, 원통 형상 또는 반원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홈부(25, 35)는, 상기 휨부(24, 34) 중 상기 연결부(40)에 근접한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휨부(24, 34)가 상기 연결부(23, 33)에 연결된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부(10)의 상면까지의 직선거리보다 짧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휨부(24, 34) 중 상기 연결부(40)에 근접한 부분에 상기 홈부(25, 3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의 기립시, 상기 홈부(25, 35)가 휘어지게 되어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가 기립을 용이하게 되고, 상기 휨부(24, 34)가 굴곡하여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를 결합하게 된다.
[제 3 실시예]
이하 , 본 발명의 페인트 수납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파지부에 보강부를 보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40)는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된 "ㄴ"형상이며, 상기 수평판의 하측 판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스토퍼(4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40)는 수납부(10)의 대응하는 양 측면의 중앙부에 상기 수평판이 상기 수납부(10)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수직판의 일측 판면이 상기 수납부(10)의 외측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41)는, 복수의 페인트 수납용기들을 겹쳐서 보관한 경우 페인트 수납용기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페인트 수납용기를 겹쳐서 보관하는 경우, 아래쪽에 마련된 페인트 수납용기의 상부에 개구된 부분으로 다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하단부부터 삽입하여 겹쳐지는데, 이때 서로 겹쳐지는 페인트 수납 용기들은 서로 꽉 끼여 겹쳐지므로, 사용시 이를 분리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41)를 마련함으로써, 페인트 수납용기의 상부에 개구된 부분으로 삽입하는 다른 페인트 수납용기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되어, 복수의 페인트 수납용기들을 겹쳐서 적재하여 보관한 경우에도 페인트 수납용기의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손잡이부(20)의 휨부(24) 및 제2손잡이부(30)의 휨부(34)는, 상기 연결부(40)의 수평판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평판의 판면에 대해 수직한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통상의 상태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휨부(24, 34)의 휨에 의하여 상기 수납부(10)의 상부의 개구된 테두리 외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페인트 수납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를 기립시키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휨부(24, 34)의 휨에 의하여 쉽게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를 기립시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파지부(21, 31)는, 각각 보강부(22, 32)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페인트 수납 용기는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경우,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의 파지부(21, 31)가 형성되는 중앙부에 이물질이 섞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21, 31)가 쉽게 부러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부(22, 3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22)의 내측에 상기 파지부(2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정합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22)에 복수의 결합 돌기(22a)을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파지부(21) 측에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22a)와 정합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 홈(21a)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 제2손잡이부(30)에 마련된 파지부(31)와 보강부(32)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이는 상기 파지부(21) 및 상기 보강부(22)의 결합관계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생략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22a) 및 결합 홈(21a)은 서로 맞바꾸어, 상기 결합 돌기(22a)를 상기 파지부(21)에 형성하고, 상기 결합 홈(21a)을 상기 보강부(22)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제 4 실시예]
이하 , 본 발명의 페인트 수납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제 4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수납용기의 손잡이부의 결합시 손잡이부와 연결부의 결합부분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에 각각 마련된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의 두께가 상반부(24b, 34b)의 두께보다 얇고 폭이 넓게 마련된다는 점에서, 제 3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하반부(24a, 34a)와 상반부(24b, 34b)는, 상기 휨부(24, 34)를 둘로 나누어, 연결부(40)의 수평판의 양측면의 단부와 연결되는 쪽을 하반부(24a, 34a)로 하고, 지지부(23, 33)와 연결되는 쪽을 상반부(24b, 34b)로 한 것으로, 상기 하반부(24a, 34a)와 상반부(24b, 34b)의 길이가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의 두께를 상반부(24b, 34b)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상기 제2손잡이부(30)를 기립시켰을 때, 상기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가 각각 외측으로 구부러져 만곡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0에서 상기 하반부(24a, 34a)와 상반부(24b, 34b) 사이에 두께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차를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하반부(24a, 34a)와 상반부(24b, 34b) 사이에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상기 제2손잡이부(30)를 기립시켰을 때 상기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가 각각 외측으로 구부러져 만곡될 수 있으면 만족하는 것이므로 가급적 두께의 차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의 두께를 상반부(24b, 34b)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를 기립시켰을 때, 상기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가 각각 외측으로 구부러져 만곡됨으로써 유리한 점을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휨부(24, 34) 전체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손잡이부(20)와 제2손잡이부(30)를 기립시켜 결합할 때, 상기 휨부(24, 34)와 연결부(40)가 접하는 부분인 P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 회동하기 때문에, 회동하는 횟수가 증가하면서 상기 P점 부근이 파손되기 쉬워지는 문제 있다. 나아가, 페이트 수납용기의 수납부(10)에 페인트 등의 액체도료를 수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10)의 중량에 의한 힘이 상기 P점에 집중이 되기 때문에 상기 P점 부근의 파손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문제 있다.
반면, 상기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의 두께를 상반부(24b, 34b)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를 기립시켰을 때,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 자체가 각각 외측으로 구부러져 만곡되기 때문에 상기 휨부(24, 34)와 연결부(40)가 접하는 부분인 P1점에 부담을 주는 일이 없고, 또한 페이트 수납용기의 수납부(10)에 페인트 등의 액체도료를 수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10)의 중량에 의한 힘이 상기 휨부(24, 34)의 하반부(24a, 34a)와 연결부(40)가 접하는 부분인 P1점과 상기 휨부(24, 34)의 상반부(24b, 34b)에서 상기 지지부(23, 33)로 연결되는 부분인 P2로 분산이 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도 상기 제1손잡이부(20) 및 제2손잡이부(30)와 상기 수납부(10)와의 연결이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10 : 수납부 11 : 돌기부
20 : 제1손잡이부 30: 제2손잡이부
21, 31 : 파지부 21a : 결합홈
31a : 결합돌기 22, 32 : 보강부
23, 33 : 지지부 24, 34 : 휨부
40 : 연결부
20 : 제1손잡이부 30: 제2손잡이부
21, 31 : 파지부 21a : 결합홈
31a : 결합돌기 22, 32 : 보강부
23, 33 : 지지부 24, 34 : 휨부
40 : 연결부
Claims (6)
- 페인트를 수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대응하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타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부는, 각각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쪽 단부로부터 각각 구부러져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휨부를 포함하되, 상기 휨부는 상기 연결부의 수평판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평판의 판면에 대해 수직한 상측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의 결합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는 상기 휨부가 휘어져 기립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휨부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기 휨부는, 상기 지지부로 연결되는 쪽의 상반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쪽의 하반부로 구분되며, 상기 상반부의 두께보다 상기 하반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의 기립시 상기 하반부가 상기 상반부보다 외측으로 더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수납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가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에 대해 고정되어 회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수납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05446 | 2012-06-26 | ||
KR2020120005446 | 2012-06-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1065A KR20140001065A (ko) | 2014-01-06 |
KR101472181B1 true KR101472181B1 (ko) | 2014-12-12 |
Family
ID=5013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172A KR101472181B1 (ko) | 2012-06-26 | 2012-09-18 | 페인트 수납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21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8357B1 (ko) | 2018-06-19 | 2019-07-09 | 최영근 | 페인트통 탈착형 페인트 작업 용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8320Y2 (ja) * | 1989-02-06 | 1994-08-03 | ゼオン化成株式会社 | 塗料用使い捨てバケツ |
JPH07213984A (ja) * | 1994-01-31 | 1995-08-15 | Hirohisa Nagashima | 塗料等の作業用容器及び作業用容器の縁枠 |
US6349847B1 (en) * | 1999-05-14 | 2002-02-26 | Pactiv Corporation | Vented container with handles and embossment |
JP3145260U (ja) * | 2008-07-22 | 2008-10-02 | Treximport株式会社 | 容器吊具 |
-
2012
- 2012-09-18 KR KR1020120103172A patent/KR1014721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8320Y2 (ja) * | 1989-02-06 | 1994-08-03 | ゼオン化成株式会社 | 塗料用使い捨てバケツ |
JPH07213984A (ja) * | 1994-01-31 | 1995-08-15 | Hirohisa Nagashima | 塗料等の作業用容器及び作業用容器の縁枠 |
US6349847B1 (en) * | 1999-05-14 | 2002-02-26 | Pactiv Corporation | Vented container with handles and embossment |
JP3145260U (ja) * | 2008-07-22 | 2008-10-02 | Treximport株式会社 | 容器吊具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8357B1 (ko) | 2018-06-19 | 2019-07-09 | 최영근 | 페인트통 탈착형 페인트 작업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1065A (ko) | 2014-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297773A1 (en) | Cable Carrying Case | |
EP3166757B1 (en) | Inserts for an assortment box | |
TWI478791B (zh) | 用於一組工具,尤其是具平坦柄之扳手,的鉸接箱 | |
US10059509B2 (en) |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 |
US9114909B2 (en) | Storage container | |
JP2006089096A (ja) | 梱包装置 | |
US20140197059A1 (en) | Container, toolbox, and cart | |
CA2847162C (en) | Handle system for plastic container | |
US20030000950A1 (en) | Foldable transportation container | |
JP6502421B2 (ja) | 輸送容器 | |
US20220111999A1 (en) | Storage device | |
KR101472181B1 (ko) | 페인트 수납용기 | |
JP5681032B2 (ja) | 折り畳みコンテナ | |
WO2019170902A1 (en) | Integrally-formed spectacle case and method | |
KR200458897Y1 (ko) | 박스형 수납함 | |
CN211108839U (zh) | 一种具有锁定装置的斜插式物流箱 | |
KR101622772B1 (ko) | 조립식 수납함 | |
JP7237340B2 (ja) | パレット | |
KR102028562B1 (ko) | 휴대용 아트 박스 | |
FI3657974T3 (en) | Retrofitting a body in order to produce compatibility with a system body | |
CN207580383U (zh) | 箱子 | |
CN220077001U (zh) | 一种拆卸组合箱子 | |
JP3003363U (ja) | 容 器 | |
JP2013144552A (ja) | 蓋付き容器 | |
JP6868339B2 (ja) | 運搬用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