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747B1 -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747B1
KR101471747B1 KR1020130027236A KR20130027236A KR101471747B1 KR 101471747 B1 KR101471747 B1 KR 101471747B1 KR 1020130027236 A KR1020130027236 A KR 1020130027236A KR 20130027236 A KR20130027236 A KR 20130027236A KR 101471747 B1 KR101471747 B1 KR 10147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value
vehicle
sensor
referenc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795A (ko
Inventor
이동희
이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74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센서의 검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센서부재의 발신부가 발신하는 초음파의 방향이 전후 좌우로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센서부재의 검출 영역을 확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ANTITHEFT SYSTEM USING MOVABLE SENS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센서의 검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자동차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수단이며, 그에 따라 차량 운전자는 차량 내부에 여러 가지 중요한 물품을 싣고 다니거나,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등 고가의 장비들을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물품이나 장비 등은 전문 도둑들의 표적이 되어, 차량 관련 도난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부 차량에는 도난 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차량 관련 도난 사건을 방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도난 방지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차량용 도난 방지장치의 발신신호가 발신되지 않는 음영지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차량용 도난 방지장치(10)는 차량의 실내 천장에 위치한 오버해드 콘솔에 장착되며, 내부에 신호발신센서(미도시)와 신호수신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발신센서로부터 발신신호가 발신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신호수신센서로 수신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내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상기 신호발신센서에서 발신되는 발신신호는 신호발신센서의 뒷쪽 즉, 차량의 룸램프 주변 또는 운전석(2)이나 보조석(2)의 상단으로 발신되는바, 대시보드(4)가 위치한 차량 실내의 앞쪽에는 발신신호가 닿지 않는 음영지역(A)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침입자가 룸램프 주변이나 운전석 상단을 피해 음영지역(A)으로 침투하는 경우, 이를 검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발신센서와 상기 신호수신센서를 다수 개 구비하여 검출 영역을 확장하게 되면, 음영지역이 생기지 않게 되어, 차량 도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긴 하지만, 이 경우, 다수 개의 센서들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원가 상승은 물론, 장착하는 과정도 상당히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0267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방향으로 발신되는 센서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센서의 검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어 전파를 발신하는 발신부와, 상기 발신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오는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센서부재; 상기 차량의 실내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센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센서부재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상기 수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반사파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값과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에 포함되면, 정상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를 초과하면 침입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출력한 후 상기 발신부가 전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센서부재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신부는 입력되는 발신제어신호에 따라, 발신되는 전파 신호의 강도를 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발신부로 상기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되는 전파 신호의 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입력값은, 상기 수신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반사파의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하는 제 1 입력값 또는, 상기 모션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이동감지신호의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하는 제 2 입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도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도어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발신부가 전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침입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도어감지신호를 통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상기 도어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발신부가 상기 도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부로부터 상기 전파를 발신하는 시간정보 또는 상기 전파의 강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시간정보 또는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강도정보를 입력받아, 이들의 차이값을 상기 입력값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가 차량의 실내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센서부재의 수신부로부터 상기 센서부재의 발신부가 발신하는 전파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전파신호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값과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에 포함되면, 정상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를 초과하면, 침입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신부가 발신하는 전파의 방향을 변경시킨 후, 상기 입력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전파의 정보를 입력받아 제 1 입력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모션센서로부터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 2 입력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입력값은 상기 제 1 입력값 또는 상기 제 2 입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이동을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로부터 도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도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회전부재로 출력하여 상기 발신부가 발신하는 전파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로 상기 도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상기 도어감지신호를 통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상기 도어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발신부를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회전부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발신부가 발신하는 전파 신호의 강도가 가감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신부로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값을 상기 기준범위 미만으로 판단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이면 상기 정상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센서부재의 발신부가 발신하는 초음파의 방향이 전후 좌우로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센서부재의 검출 영역을 확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오픈 유무와 연동하여 차량 내부의 침입자를 감지하거나, 센서부재의 위치 변경을 특정 모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하여, 차량 도난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도난 방지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차량용 도난 방지장치의 발신신호가 발신되지 않는 음영지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의 센서부재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부로 발신되는 초음파 센서의 방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에 적용되는 기준범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이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드가 설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의 위험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의 탐색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은 침입자에 의한 차량 도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부재(100), 모션센서(300), 도어감지센서(310), 회전부재(200), 모터구동부(500), 경보음 생성부(510), 제어부(400) 및 저장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물체는 차량 실내에 구비되는 것들로, 각종 장치, 기구가 될 수도 있고, 운전자, 침입자 등의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센서부재(100)는 차량 실내의 천장, 예를 들면 운전석 전방 등의 오버해드콘솔 주변에 장착되어 침입자를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부재(100)는 발신부(110)와 수신부(120)를 포함하는데, 발신부(110)는 전파를 차량 실내로 발신하고, 수신부(120)는 차량 실내로 발신되어 물체에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한다. 그리고 센서부재(100)는 후술하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반사파의 정보는 제어부(400)로 출력된다. 상기 전파는 초음파 등으로 구성되며, 이하에서, 상기 전파는 초음파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전파를 초음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모션센서(300)는 차량 실내에 구비되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적외선을 이용한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모션센서(300)에서 생성한 이동감지신호는 제어부(400)로 출력된다.
도어감지센서(310)는 차량의 도어, 예를 들면 차량의 운전석이나 보조석 방향에 위치되는 도어에 장착되며,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도어감지센서(310)는 예를 들면 센서의 가속도에 따른 정전용량변화를 이용하는 가속도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도어감지센서(310)에서 생성한 도어감지신호는 제어부(400)로 출력된다.
회전부재(200)는 차량 실내의 천장에 장착되어 센서부재(10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부(210) 및 구동부(220)를 포함한다. 회전부(210)는 차량 실내 천장의 발신부(110)가 회전되도록 발신부(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부(210)의 회전에 의하여, 발신부(110)가 회전되어, 회전부(210)에 연결된 상기 발신부(110)에서 발신되는 초음파의 방향이 변경된다. 예를 들면, 회전부(210)의 회전에 의하여 발신부(110)에서 발신되는 초음파의 방향이 운전석, 보조석, 차량 전방, 차량 후방 등으로 회전된다. 구동부(220)는 회전부(210)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모터구동부(500)는 제어부(400)에서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2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400)에서 모터구동부(500)로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모터구동부(500)가 구동부(220)를 제어하게 되고, 구동부(220)는 모터구동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면서 회전부(210)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부(210)는 구동부(22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발신부(110)의 위치를 변경시키게 된다.
경보음 생성부(510)는 제어부(400)에서 입력되는 침입신호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512)로 경보음 신호를 전송하여, 스피커(512)가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장치(미도시)와 통신가능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제어부(400)에서 입력되는 침입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장치는 운전자의 휴대폰이 될 수도 있고, 보안회사의 보인서버 등이 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발신부(110)로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센서부재(100)의 수신부(120) 및 모션센서(300)에서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입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값과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에 포함되면, 정상모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를 초과하면 침입모드로 판단하고 침입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위험모드 또는 탐색모드로 판단하고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정상모드, 침입모드, 위험모드 및 탐색모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입력값은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을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제 1 입력값은 상기 발신부(110)로부터 초음파를 발신하는 시간정보 또는 초음파의 강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발신부(110)가 발신하는 초음파가 반사되어 생성되는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부(120)로부터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시간정보 또는 상기 반사파의 강도정보를 입력받아, 이들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입력값은 모션센서(300)가 출력하는 이동감지신호의 강도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도어감지센서(310)로부터 도어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침입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기도 한다.
그리고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는 예를 들면, 제 1 구동제어신호 내지 제 4 구동제어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구동제어신호는 발신부(110)가 차량 실내의 천장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고, 제 2 구동제어신호는 발신부(110)가 차량 실내의 하부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제 3 구동제어신호는 발신부(110)가 차량 실내의 운전석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고, 제 4 구동제어신호는 발신부(110)가 차량 실내의 보조석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그리고 제어부(400)에서 발신부(110)로 출력하는 발신제어신호는 예를 들면, 제 1 발신제어신호 내지 제 4 발신제어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발신제어신호는 발신부(110)에서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가 제 1 강도로 발신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발신제어신호는 발신부(110)에서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의 강도가 제 2 강도로 발신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 3 발신제어신호는 발신부(110)에서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의 강도가 제 3 강도로 발신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 4 발신제어신호는 발신부(110)에서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의 강도가 제 4 강도로 발신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발신제어신호를 제 1 발신제어신호 내지 제 4 발신제어신호로 구분하는 이유는, 발신부(110)에서 전방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거나, 발신부(110)에서 후방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거나, 발신부(110)에서 운전석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거나, 발신부(110)에서 보조석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신하는 경우, 발신부(110)와 물체 간의 거리가 각각 다르므로, 발신부(110)가 발신하는 초음파의 강도 또한, 각각 제 1 강도 내지 제 4 강도 중 해당 강도에 맞도록 발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는 방향과 관련된 조건 등은 하기 도 7 내지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410)는 제 1 입력값 또는 제 2 입력값이 정상 범위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범위가 저장된다. 상기 기준범위는 제 1 기준범위, 제 2 기준범위, 제 3 기준범위, 제 4 기준범위 및 모션 기준범위를 포함한다. 제 1 기준범위는 센서부재(100)가 차량의 후방을 감지하는 상태에서,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 1 입력값의 정상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범위이고, 제 2 기준범위는 센서부재(100)가 차량의 전방을 감지하는 상태에서,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 1 입력값의 정상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범위이다. 그리고 제 3 기준범위는 센서부재(100)가 차량의 운전석 방향을 감지하는 상태에서,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 1 입력값의 정상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범위이고, 제 4 기준범위는 센서부재(100)가 차량의 보조석 방향을 감지하는 상태에서,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 1 입력값의 정상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범위이다. 제 1 입력값의 정상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을 이렇게 다양하게 나누는 이유는 센서부재(100)가 감지하는 차량 내부의 위치에 따라 제 1 입력값의 정상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모션 기준범위는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 2 입력값의 정상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범위이다. 제 2 입력값의 기준 범위가 하나의 모션 기준범위로 구성되는 이유는 모션센서(300)는 차량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 모션센서(300)와 관련된 제 2 입력값의 기준범위는 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의 센서부재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부로 발신되는 초음파 센서의 방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는 차량의 후방으로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재(100)는 침입자가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상측 주변으로 침입하는 경우는 이를 검출할 수 있지만, 대시보드가 위치한 차량 실내의 앞쪽 즉, 대시보드 방향으로는 초음파가 발신되지 않아, 룸램프 주변이나 운전석을 피해 대시보드 방향으로 침투하는 경우는, 이를 검출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210)의 회전에 의하여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가 차량의 전방을 바라보도록 회전되면, 발신부(110)에서 발신되는 초음파는 차량 실내의 대시보드 방향으로 발신된다. 이 경우, 상기 초음파는 대시보드 방향으로 발신되어, 센서부재(100)의 검출 영역이 차량의 전방까지 확장되며, 이에 따라 침입자가 룸램프 주변이나 운전석을 피해 대시보드 방향으로 침투한다 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재(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가 발신하는 초음파의 방향이 전후 좌우로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센서부재(100)의 검출 영역을 확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에 적용되는 기준범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저장부(410)에 저장되는 제 1 기준범위, 제 2 기준범위, 제 3 기준범위 및 제 4 기준범위는 센서부재(100)에서 제어부(400)로 출력되는 제 1 입력값이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범위로,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저장부(410)에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410)에 저장되는 모션 기준범위는 모션센서(300)에서 제어부(400)로 출력되는 제 2 입력값이 정상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범위로,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저장부(410)에 저장된다.
먼저, 제어부(400)는 차량에 시동이 걸린 후, 차량 안정화를 위한 대기시간이 초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 그 후, 제어부(400)는 제 1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220)로 출력하여,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제어한다(S10). 이어서 제어부(400)는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로 제 1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한다. 그러면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게 되고, 이어서 수신부(120)가 반사파를 수신하게 된다. 그 후, 수신부(120)는 수신한 반사파의 정보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S12). 상기 S12단계에서, 제어부(400)로 입력되는 반사파의 정보 즉, 제 1 입력값은 차량의 후방에 침입자가 침입하지 않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정보이므로, 이를 제 1 기준범위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 1 기준범위는 저장부(410)에 저장한다(S14).
그 후, 제어부(400)는 제 2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220)로 출력하여,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어한다(S20). 이어서 제어부(400)는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로 제 2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한다. 그러면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게 되고, 이어서 수신부(120)가 반사파를 수신하게 된다. 그 후, 수신부(120)는 수신한 반사파의 정보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S22). 상기 S22단계에서, 제어부(400)로 입력되는 반사파의 정보 즉, 제 1 입력값은 차량의 후방에 침입자가 침입하지 않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정보이므로, 이를 제 2 기준범위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 2 기준범위는 저장부(410)에 저장한다(S24).
그 후, 제어부(400)는 제 3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220)로 출력하여,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어한다(S30). 이어서 제어부(400)는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로 제 3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한다. 그러면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게 되고, 이어서 수신부(120)가 반사파를 수신하게 된다. 그 후, 수신부(120)는 수신한 반사파의 정보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S32). 상기 S32단계에서, 제어부(400)로 입력되는 반사파의 정보 즉, 제 1 입력값은 차량의 후방에 침입자가 침입하지 않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정보이므로, 이를 제 3 기준범위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 3 기준범위는 저장부(410)에 저장한다(S34).
그 후, 제어부(400)는 제 4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220)로 출력하여,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어한다(S40). 이어서 제어부(400)는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로 제 4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한다. 그러면 발신부(110)가 초음파를 발신하게 되고, 이어서 수신부(120)가 반사파를 수신하게 된다. 그 후, 수신부(120)는 수신한 반사파의 정보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S42). 상기 S42단계에서, 제어부(400)로 입력되는 반사파의 정보 즉, 제 1 입력값은 차량의 후방에 침입자가 침입하지 않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정보이므로, 이를 제 4 기준범위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 4 기준범위는 저장부(410)에 저장한다(S44).
그 후, 제어부(400)는 모션센서(300)로부터 전파의 정보를 입력받는다(S50). 상기 모션센서(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제어부(400)로 전파를 출력하거나,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어부(400)로 전파를 출력한다. 상기 S50단계에서, 제어부(400)로 입력되는 전파의 정보 즉, 제 2 입력값은 차량 내부에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정보이므로, 이를 모션 기준범위로 설정하고, 설정된 모션 기준범위는 저장부(410)에 저장한다(S52).
한편, 제 1 기준범위 내지 제 4 기준범위 및 모션 기준범위는 발신부(110) 또는 모션센서(300)에서 발신되는 초음파의 각도나 반사파의 각도 등에 의하여 조금씩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S10 단계 내지 상기 S52 단계를 여러 번 이행하여, 그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 1 기준범위 내지 제 4 기준범위 및 모션 기준범위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이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드가 설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은 먼저, 제어부(400)는 버튼부(미도시)로부터 자동모드를 위한 온 신호가 제어부(400)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한 후(S100), 온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모드가 설정된다(S110). 그 후, 제어부(400)는 제 1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220)로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S120). 그리고, 제어부(400)는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로 제 1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제 1 강도의 초음파를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상단 부근 또는 룸미러 부근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한다(S130). 그 후, 센서부재(100)의 수신부(120)는 발신부(110)에서 발신한 초음파 즉, 반사파를 수신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하고, 제어부(400)는 수신부(120)에서 수신하는 반사파의 정보를 입력받아 제 1 입력값을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모션센서(300)로부터 이동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 모션센서(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차랑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주기적으로 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션센서(300)는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면 이동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상기 이동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 2 입력값을 생성한다(S140). 이어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150).
상기 S15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1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침입자가 차량 내부에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침입모드로 설정하여, 침입신호를 생성한다(S152). 이어서 제어부(400)는 생성된 침입신호를 경보음 생성부(510)로 출력하여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512)에서 경보음이 울리도록 제어한다(S154). 그리고 상기 S15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1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0)는 제 2 입력값이 모션 기준범위 미만인지 판단하고, 제 2 입력값이 모션 기준범위 미만이면, 제어부(400)는 도어감지센서(310)로부터 도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60).
상기 S16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2 입력값이 모션 기준범위 미만이고, 도어감지신호가 제어부(400)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센서부재(100)와 모션센서(300)가 침입자가 차량 내부로 침입한 것을 감지하지 못하였으나, 도어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므로, 침입자가 침입한 상황일 수도 있는바, 위험모드를 설정하여, 후술하는 위험모드를 실행한다(S200).
상기 S160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2 입력값이 모션 기준범위 미만이고, 도어감지신호가 제어부(400)로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이 제 1 기준범위 미만인지 판단한다(S170). 상기 S170 단계에서 제 1 입력값이 제 1 기준범위 미만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센서부재(100)와 모션센서(300)와 도어감지센서(310)가 침입자가 차량 내부로 침입한 것을 감지하지 못하였으나, 센서부재(100)와 모션센서(300)에서 입력되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정상범위는 아니므로, 탐색모드를 설정하여, 후술하는 탐색모드를 실행한다(S300).
한편, 상기 S170단계에서 제 1 입력값이 제 1 기준범위 미만이 아니라면, 제 1 입력값은 정상범위에 해당하므로, 제어부(400)는 정상모드로 진입하도록, 정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S110 단계를 이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의 위험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의 상기 S200단계에서 위험모드가 실행되면, 도어의 움직임이 체크되었으므로, 차량에 침입자가 침입했을 수도 있을 만큼 위험한 상황이므로, 차량 내부를 보다 정밀하게 검사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도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도어감지신호가 운전석 측방에 위치한 제 1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인지, 아니면 보조석 측방에 위치한 제 2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인지 판단한다(S210). 이를 위하여 도어감지센서는 상기 제 1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 1 도어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 2 도어김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S210 단계에서, 제 1 도어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면, 운전석 감지를 위하여 제 3 구동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500)로 출력하여, 모터구동부(500)가 구동부(220)를 제어하도록 한다(S220). 그러면 구동부(220)가 회전부(210)를 회전시켜서 발신부(110)가 운전석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어부(400)는 제 3 발신제어신호를 발신부(110)로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제 3 강도의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한다(S222).
상기 S210 단계에서, 제 2 도어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면, 보조석 감지를 위하여 제 4 구동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500)로 출력하여, 모터구동부(500)가 구동부(220)를 제어하도록 한다(S225). 그러면 구동부(220)가 회전부(210)를 회전시켜서 발신부(110)가 보조석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어부(400)는 제 4 발신제어신호를 발신부(110)로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제 4 강도의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한다(S226).
그리고 상기 S222단계와 상기 S226단계에서, 발신부(110)가 발신하는 초음파는 수신부(120)가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부(120)는 발신부(110)가 발신한 초음파 즉, 반사파를 수신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하고, 제어부(400)는 수신부(120)에서 수신하는 반사파의 정보를 재입력받아 제 1 입력값을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모션센서(300)로부터 이동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 모션센서(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차랑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주기적으로 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션센서(300)는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면 이동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상기 이동감지신호를 재입력받아 제 2 입력값을 생성한다(S230). 이어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240).
상기 S24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3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침입자가 차량 내부에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침입모드로 설정하여, 침입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생성된 침입신호를 경보음 생성부(510)로 출력하여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512)에서 경보음이 울리도록 제어한다(S250). 그리고 상기 S24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3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3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242).
상기 S242단계에서,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3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 미만이면, 제어부(400)는 상기 반사값을 상기 기준범위 미만으로 판단한 횟수를 카운트하여(S244), 상기 카운트한 횟수가 기준 횟수, 예를 들면 30 횟수 이상이면 차량 내부에 침입자가 없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안전신호를 생성하여(S246), 상기 도 7의 S110 단계를 이행한다(S248).
또한, 상기 S242 단계에서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3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 미만이 아닌 경우,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은 제 3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 즉, 정상범위에 포함되므로, 제어부(400)는 안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도 7의 S110 단계를 이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의 탐색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차량 내부를 다시 탐색하기 위하여 센서부재(100)의 발신부(110)로 제 1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제 1 강도의 초음파를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상단 부근 또는 룸미러 부근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한다(S310). 그 후, 수신부(120)는 발신부(110)에서 발신한 초음파 즉, 반사파를 수신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하고, 제어부(400)는 수신부(120)에서 수신하는 반사파의 정보를 입력받아 제 1 입력값을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모션센서(300)로부터 이동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 그리고 모션센서(300)는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면 이동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상기 이동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 2 입력값을 생성한다(S320). 이어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330).
상기 S33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1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S370), 침입자가 차량 내부에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침입모드로 설정하여, 침입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신호를 경보음 생성부(510)로 출력하여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512)에서 경보음이 울리도록 제어한다(S380).
그리고 상기 S33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1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0)는 차량 내부를 보다 정밀하게 검사하기 위하여, 전방 감지를 위한 제 2 구동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500)로 출력하여, 모터구동부(500)가 구동부(220)를 제어하도록 한다(S340). 그러면 구동부(220)가 회전부(210)를 회전시켜서 반사판(220)이 하방으로 펼쳐진다. 그 후, 제어부(400)는 제 2 발신제어신호를 발신부(110)로 출력하여 발신부(110)가 제 2 강도의 초음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한다(S350). 그리고 발신부(110)가 발신하는 초음파는 반사판(220)에 반사되어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 방향으로 반사되며, 이렇게 반사된 반사파는 수신부(120)가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부(120)가 수신한 반사파의 정보는 제어부(400)로 입력된다. 제어부(400)는 수신부(120)에서 수신하는 반사파의 정보를 입력받아 제 1 입력값을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모션센서(300)로부터 이동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 모션센서(300)는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면 이동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상기 이동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 2 입력값을 생성한다(S360).
상기 S360 단계 이후,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2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면(S370), 상기 S380 단계를 이행한다.
그리고 S37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2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0)는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2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372).
상기 S372단계에서,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2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 미만이면, 제어부(400)는 상기 반사값을 상기 기준범위 미만으로 판단한 횟수를 카운트하여(S374), 상기 카운트한 횟수가 기준 횟수, 예를 들면 30 횟수 이상이면 차량 내부에 침입자가 없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안전신호를 생성하여(S376), 상기 도 7의 S110 단계를 이행한다(S378).
그리고 상기 S372 단계에서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이 제 2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 미만이 아닌 경우, 제 1 입력값과 제 2 입력값은 제 2 기준범위와 모션 기준범위 즉, 정상범위에 포함되므로, 제어부(400)는 안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도 7의 S110 단계를 이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센서부재 110: 발신부
120: 수신부 200: 회전부재
210: 회전부 220: 구동부
300: 모션센서 310: 도어감지센서
400: 제어부 410: 저장부
500: 모터구동부 510: 경보음 생성부
512: 스피커

Claims (14)

  1.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어 전파를 발신하는 발신부와, 상기 발신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오는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센서부재;
    상기 차량의 실내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센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센서부재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반사파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값과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에 포함되면, 정상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를 초과하면 침입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출력한 후 상기 발신부가 전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구동부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값을 상기 기준범위 미만으로 판단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이면 상기 정상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카운트한 횟수가 기준 횟수 미만이면 상기 구동부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발신부가 전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센서부재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는 입력되는 발신제어신호에 따라, 발신되는 전파 신호의 강도를 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부로 상기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되는 전파 신호의 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입력값은, 상기 수신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반사파의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하는 제 1 입력값 또는, 상기 모션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이동감지신호의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하는 제 2 입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도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도어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발신부가 전파를 발신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침입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도어감지신호를 통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상기 도어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발신부가 상기 도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부로부터 상기 전파를 발신하는 시간정보 또는 상기 전파의 강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시간정보 또는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강도정보를 입력받아, 이들의 차이값을 상기 입력값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9. 제어부가 차량의 실내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센서부재의 수신부로부터 상기 센서부재의 발신부가 발신하는 전파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전파신호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값과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에 포함되면, 정상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를 초과하면, 침입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신부가 발신하는 전파의 방향을 변경시킨 후, 상기 입력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입력값이 상기 기준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값을 상기 기준범위 미만으로 판단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이면 상기 정상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전파의 정보를 입력받아 제 1 입력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모션센서로부터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 2 입력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입력값은 상기 제 1 입력값 또는 상기 제 2 입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27236A 2013-03-14 2013-03-14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7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236A KR101471747B1 (ko) 2013-03-14 2013-03-14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236A KR101471747B1 (ko) 2013-03-14 2013-03-14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795A KR20140113795A (ko) 2014-09-25
KR101471747B1 true KR101471747B1 (ko) 2014-12-11

Family

ID=5175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236A KR101471747B1 (ko) 2013-03-14 2013-03-14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440B1 (ko) * 2017-07-27 2018-09-13 노수곤 능동형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73A (ko) * 2002-02-18 2003-08-25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침입자 검출장치 및 제어장치
JP2005167943A (ja) * 2003-12-05 2005-06-23 Denso Corp 不審者撮像装置
KR20110014404A (ko) * 2009-08-05 2011-02-11 주식회사 에이텔시스텍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차량의 실내 침입 감지 장치
KR20120082337A (ko) * 2011-01-13 2012-07-23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전파 송수체의 검출 장치,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73A (ko) * 2002-02-18 2003-08-25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침입자 검출장치 및 제어장치
JP2005167943A (ja) * 2003-12-05 2005-06-23 Denso Corp 不審者撮像装置
KR20110014404A (ko) * 2009-08-05 2011-02-11 주식회사 에이텔시스텍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차량의 실내 침입 감지 장치
KR20120082337A (ko) * 2011-01-13 2012-07-23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전파 송수체의 검출 장치,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795A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4784B (zh) 经由非车载传感器降低车辆点火开关断开的负载
US9956911B2 (en) Object detection for vehicles
CA2882465C (en)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ccelerometer based security warning and related methods
JP6113016B2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携帯機
US20140266811A1 (en) System including vehicle location alert based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audio entertain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2017102840A (ja) 車両監視装置
US9031546B2 (en) System including vehicle speed alert based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audio entertain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4157452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KR101407561B1 (ko)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차량 침입 감지 방법
KR101471747B1 (ko)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7898404B2 (en) Vehicle speed exceeded notif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6156168B2 (ja) 重大事故検知装置
JPH10315917A (ja) 自動車の盗難等異常状態警報装置
KR102254081B1 (ko) 침입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침입 검출 장치의 제어방법
US8493191B2 (en) Vehicle security notif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4511325B2 (ja) 車両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7023329B2 (en) Air pressure induction type vehicle anti-thief device
KR101935051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JP2016141313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461913B1 (ko)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CN216184646U (zh) 车辆座椅调节系统
CN219302678U (zh) 车辆避障装置及车辆避障设备
US20240157910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transportation vehicle
JP2001270425A (ja) 盗難検知装置
JP3735349B2 (ja) 自動車盗難防止装置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