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428B1 - 작곡기구 - Google Patents

작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428B1
KR101471428B1 KR1020130127767A KR20130127767A KR101471428B1 KR 101471428 B1 KR101471428 B1 KR 101471428B1 KR 1020130127767 A KR1020130127767 A KR 1020130127767A KR 20130127767 A KR20130127767 A KR 20130127767A KR 101471428 B1 KR101471428 B1 KR 10147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axis
coordinate
plat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준 filed Critical 김동준
Priority to KR1020130127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3/00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좌표판에 형성된 좌표를 이용하여 특정지점에 해당하는 좌표위치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길이를 확인하여서 작곡하는 작곡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곡기구의 특징은, 세로줄과 가로줄이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각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40칸이 형성되는 투명한 좌표판(10) 및 좌표판(10)의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좌표위치들에 해당하는 음표를 제공하는 음표제공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작곡기구{APPARATUS FOR COMPOSITION}
본 발명은 투명한 좌표판에 형성된 좌표를 이용하여 특정지점에 해당하는 좌표위치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길이를 확인하여서 작곡하는 작곡기구에 관한 것이다.
작곡이라 함은, 음악 작품을 창작하는 일 또는 시(詩)나 가사에 가락을 붙이는 일을 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음악활동은 작곡(작사), 연주, 감상의 3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도 작곡 및 작사는 가장 근원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작곡 및 작사의 주체는 특정한 개인이며 작곡자의 개성과 사상이 반영되고 표현의 독창성이 요구된다. 또한, 작곡을 위해서는 자기의 표현에 어울리는 주제를 완성하여 그것을 전개시켜 전체의 구성을 정하기 위해 음악적 논리에 따른 음에 대한 사고가 요구되므로, 음악적 법칙에 따른 음의 구성기술이 필요하여 전문적인 작곡교육을 받은 사람만이 원활하게 작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곡은 전문적인 작곡교육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창작의 고통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작곡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특허공보 특2001-0097723호(2001.11.08.)가 공개되었다. 이와 같이, 공개된 종래기술은 입력되는 음성에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측정하여 음표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사람의 음성이나 악기의 소리가 입력되어야만 작곡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창작의 고통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명한 좌표판에 형성된 좌표를 이용하여 특정지점에 해당하는 좌표위치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길이를 확인하여서 작곡할 수 있는 작곡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곡기구는, 세로줄과 가로줄이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각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40칸이 형성되는 투명한 좌표판(10) 및
좌표판(10)의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좌표위치들에 해당하는 음표를 제공하는 음표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표제공수단은 X축의 2칸에서 40칸까지 3칸씩 나누어서 각각 순서대로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로 표시되고, Y축의 5~14칸까지는 16분음표, 15~24칸까지는 8분음표, 25~34칸까지는 점8분음표, 35~40칸까지는 4분음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곡기구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판(30) 및 투명판(30)에 상하좌우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증가될수록 음의 높이를 표시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될수록 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음표영역(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표영역(40)들은 X축으로 증가되는 음의 높이가 각각 표시되고 Y축으로 증가되는 음의 길이가 각각 표시되되, X축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각각의 음표영역(40)마다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로 표시되고, Y축의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각각의 음표영역(40)마다 16분음표, 8분음표, 점8분음표, 4분음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곡기구는, 투명한 좌표판에 형성된 좌표를 이용하여 특정지점에 해당하는 좌표위치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길이를 확인하여서 작곡할 수 있어서, 작곡시간이 적게 소요되면서 새로운 신곡을 편리하게 창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곡에 따른 창작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좌표판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표제공수단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철노선도에 좌표판이 겹쳐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악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투명판 음표영역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곡기구는, 세로줄과 가로줄이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각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40칸이 형성되는 투명한 좌표판(10) 및 좌표판(10)의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좌표위치들에 해당하는 음표를 제공하는 음표제공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좌표판(10)은 투명하면서 경질의 아크릴판이나 고강도유리판 또는 플렉시블한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좌표판(10)은 빛이 통과될 수 있다.
음표제공수단은 X축의 2칸에서 40칸까지 3칸씩 나누어서 각각 순서대로 1옥타브의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로 표시되고, Y축의 5~14칸까지는 16분음표, 15~24칸까지는 8분음표, 25~34칸까지는 점8분음표, 35~40칸까지는 4분음표로 표시되는 음표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음표제공수단인 음표표는 좌표판(10)의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좌표위치들 마다 해당하는 수치와 음의 높이 및 음의 길이가 기재된 음표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의 좌표판(10)에서 자신이 원하는 특정위치(X축과 Y축이 교차되는 좌표위치)마다 점으로 표시를 한다. 또는 투명의 좌표판(10)을 들어서 밤하늘의 별을 보면서 별의 위치가 해당하는 특정위치마다 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꽃밭을 촬영한 사진이나 지하철노선도에 좌표판(10)을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좌표판(10)에서 꽃들의 위치나 지하철노선도에서 각각의 역마다 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좌표판(10)에 표시된 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음의 길이를 음표제공수단인 음표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꽃밭이 촬영된 사진이나 지하철노선도에서 선택된 좌표위치는 (X3, Y16), (X3, Y16), (X6, Y10), (X8, Y26), (X16, Y22), (X18, Y30), (X17, Y20), (X6, Y37), (X6, Y18), (X9, Y22), (X13, Y32), (X19, Y30)이다.
이 좌표들을 음표제공수단인 음표표를 통해서 확인하면 도(8분음표), 레(8분음표), 레(16분음표), 미(점8분음표), 솔(8분음표), 라(점8분음표), 라(8분음표), 레(4분음표), 레(8분음표), 미(8분음표), 파(점8분음표), 라(점8분음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의 높이와 음의 길이를 악보에 그리면 작곡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좌표판(10)과 음표제공수단을 이용하여 손쉽게 특정 멜로디를 작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곡기구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판(30) 및 투명판(30)에 상하좌우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상부로 증가될수록 음의 높이를 표시하고, 우측으로 증가될수록 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음표영역(40)을 포함한다.
음표영역(40)들은 X축으로 증가되는 음의 높이가 각각 표시되고 Y축으로 증가되는 음의 길이가 각각 표시되되, X축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각각의 음표영역(40)마다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로 표시되고, Y축의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각각의 음표영역(40)마다 16분음표, 8분음표, 점8분음표, 4분음표로 표시된다.
즉, 투명판(30)에는 폐곡선형태의 음표영역(40)들이 상하좌우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층층이 근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음표영역(40)들이 형성된 투명판(30)을 이용하여 음표영역(40)들마다 점을 표시한다.
그리고, 점이 표시된 음표영역(40)들마다 표시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확인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악보에 표시하여 작곡을 완성할 수 있다. 즉, 음표영역(40)이 형성된 투명판(30)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작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곡에 따른 창작의 고통을 줄여줄 수 있어서, 작곡자들이 널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좌표판
20 : 음표제공수단
30 : 투명판
40 : 음표영역

Claims (4)

  1. 세로줄과 가로줄이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각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40칸이 형성되어, 사진이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좌표인 특정위치마다 점으로 표시할 수 있는 투명한 좌표판(10) 및
    좌표판(10)의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좌표위치들에 해당하는 음표를 제공하는 음표제공수단을 포함하고,
    음표제공수단은 X축의 2칸에서 40칸까지 3칸씩 나누어서 각각 순서대로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로 표시되고, Y축의 5~14칸까지는 16분음표, 15~24 칸까지는 8분음표, 25~34칸까지는 점8분음표, 35~40칸까지는 4분음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기구.
  2. 삭제
  3. 빛이 투과되는 투명판(30) 및
    투명판(30)에 상하좌우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증가될수록 음의 높이를 표시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될수록 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음표영역(40)을 포함하고,
    음표영역(40)들은 X축으로 증가되는 음의 높이가 각각 표시되고 Y축으로 증가되는 음의 길이가 각각 표시되되, X축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각각의 음표영역(40)마다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로 표시되고, Y축의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각각의 음표영역(40)마다 16분음표, 8분음표, 점8분음표, 4분음표로 표시되고,
    4분음표의 음표영역(40)은 16분음표, 8분음표, 점8분음표의 음표영역(40)들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투명판(30)에 사진이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특정음표영역(40)들마다 점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기구.
  4. 삭제
KR1020130127767A 2013-10-25 2013-10-25 작곡기구 KR10147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767A KR101471428B1 (ko) 2013-10-25 2013-10-25 작곡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767A KR101471428B1 (ko) 2013-10-25 2013-10-25 작곡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428B1 true KR101471428B1 (ko) 2014-12-15

Family

ID=5267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767A KR101471428B1 (ko) 2013-10-25 2013-10-25 작곡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4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8074A (ja) * 1994-03-09 1994-11-15 Casio Comput Co Ltd 楽音データ入力装置
JPH07140976A (ja) * 1993-11-12 1995-06-02 Tdk Corp 作曲補助装置
JP3921638B2 (ja) * 2004-09-08 2007-05-30 淑江 飯田 音域調整用補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0976A (ja) * 1993-11-12 1995-06-02 Tdk Corp 作曲補助装置
JPH06318074A (ja) * 1994-03-09 1994-11-15 Casio Comput Co Ltd 楽音データ入力装置
JP3921638B2 (ja) * 2004-09-08 2007-05-30 淑江 飯田 音域調整用補助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428B1 (ko) 작곡기구
CN206579355U (zh) 一种学习尺组件
Vergara The dance of the lines: On the rhythms of making petroglyphs
CN209962433U (zh) 一种直线投影演示仪
Ivanov A hierarchical theory of aesthetic perception: Scales in the visual arts
CN205058991U (zh) 一种教学使用的多功能组合教具
CN105489141A (zh) 圆圈图案构成的三维立体动态标牌
KR101471426B1 (ko) 작곡 장치
JP3207538U (ja) 分度器付有色透明三角定規
Soxibov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IN PAINTING
CN209128904U (zh) 一种含有透明屏体的景观声屏障
Leopold Experiments on relations between geometry, architecture and music
Tseng Discussion on the situation and trend of applied basic design and art—take winners of" Asia-Pacific creative award in memorial of professor Asakura Naomi Contest" as examples
CN110047354B (zh) 一种直线投影演示方法
CN207397552U (zh) 一种声音的产生和特性教学演示仪
Chesky et al. Nature’s Curves
Talbot Design and Perspective Construction: Why is the Chalice the shape it is?
Pendse et al. Exploration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Architecture.
del Rio Sketching in the CRP Department
TW202226185A (zh) 光影展示裝置
Thangarajah Strengthening Mathematics Courses for Elementary Education
Weiss On the Limits of Representation: Ryōan-ji, Ryoanji, Where R= Ryoanji: … in memory of Daniel Charles…
CN203832091U (zh) 拱门型平尺
KR102181504B1 (ko) 판소리 학습용 교재
RU21820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каза изображ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