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426B1 - 작곡 장치 - Google Patents

작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426B1
KR101471426B1 KR20130127766A KR20130127766A KR101471426B1 KR 101471426 B1 KR101471426 B1 KR 101471426B1 KR 20130127766 A KR20130127766 A KR 20130127766A KR 20130127766 A KR20130127766 A KR 20130127766A KR 101471426 B1 KR101471426 B1 KR 101471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ot
unit
note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준 filed Critical 김동준
Priority to KR2013012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3/00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 G10G3/04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에서 도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작곡하는 작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곡 장치의 특징은, 입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DOT)형태의 도트이미지(2)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이미지(2)의 2차원좌표를 확인하며, 기준점에서부터 확인된 2차원좌표까지 X축길이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기준점에서부터 확인된 2차원좌표까지 Y축길이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음의 길이와 음의 높이에 해당하는 음표를 생성하는 작곡부(200) 및 작곡부(200)에서 생성된 음표를 미리 저장된 악보이미지에 매칭시켜서 음표가 매칭된 악보이미지를 생성하는 악보생성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곡 장치{APPARATUS FOR COMPOSITION}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에서 도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작곡하는 작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곡이라 함은, 음악 작품을 창작하는 일 또는 시(詩)나 가사에 가락을 붙이는 일을 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음악활동은 작곡(작사), 연주, 감상의 3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도 작곡 및 작사는 가장 근원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작곡 및 작사의 주체는 특정한 개인이며 작곡자의 개성과 사상이 반영되고 표현의 독창성이 요구된다. 또한, 작곡을 위해서는 자기의 표현에 어울리는 주제를 완성하여 그것을 전개시켜 전체의 구성을 정하기 위해 음악적 논리에 따른 음에 대한 사고가 요구되므로, 음악적 법칙에 따른 음의 구성기술이 필요하여 전문적인 작곡교육을 받은 사람만이 원활하게 작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곡은 전문적인 작곡교육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창작의 고통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작곡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특허공보 특2001-0097723호(2001.11.08.)가 공개되었다. 이와 같이, 공개된 종래기술은 입력되는 음성에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측정하여 음표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사람의 음성이나 악기의 소리가 입력되어야만 작곡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창작의 고통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상이미지에서 도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작곡할 수 있는 작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곡 장치는, 입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DOT)형태의 도트이미지(2)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이미지(2)의 2차원좌표를 확인하며, 기준점에서부터 확인된 2차원좌표까지 X축길이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기준점에서부터 확인된 2차원좌표까지 Y축길이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음의 길이와 음의 높이에 해당하는 음표를 생성하는 작곡부(200) 및 작곡부(200)에서 생성된 음표를 미리 저장된 악보이미지에 매칭시켜서 음표가 매칭된 악보이미지를 생성하는 악보생성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곡 장치는, 영상이미지에서 도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작곡할 수 있어서, 작곡시간이 적게 소요되면서 새로운 신곡을 편리하게 창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폰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곡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트검색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표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좌표표에서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위치마다 적용되는 음표를 도시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촬영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악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곡 장치는, 입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DOT)형태의 도트이미지(2)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이미지(2)의 2차원좌표를 확인하며, 기준점에서부터 확인된 2차원좌표까지 X축길이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기준점에서부터 확인된 2차원좌표까지 Y축길이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음의 길이와 음의 높이에 해당하는 음표를 생성하는 작곡부(200) 및 작곡부(200)에서 생성된 음표를 미리 저장된 악보이미지에 매칭시켜서 음표가 매칭된 악보이미지를 생성하는 악보생성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작곡부(200) 및 악보생성부(30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이 탑재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PC나 노트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PC는 디스플레이(100)와 마우스(500)가 연결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곡부(200) 및 악보생성부(300)는 IC칩에 프로그래밍 되어서 구현될 수 있어서, PC는 후술되는 촬영기기(400)나 USB(메모리)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미지(1)를 작곡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곡부(200) 및 악보생성부(300)는 촬영기기(400)와 스피커(700) 및 터치스크린(600)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노트패드나 스마트폰에 적용되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곡부(200)는 영상이미지(1)와 오버랩되도록 바둑판 모양의 좌표표를 제공하는 좌표제공부(210)와,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형태의 도트이미지(2)를 검색하는 도트검색부(220)와, 도트검색부(220)에서 검색된 도트이미지(2)가 좌표표의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2차원좌표를 인식하는 좌표인식부(230)와, 좌표인식부(230)에서 인식된 2차원좌표를 근거로 음표를 생성하는 음표생성부(240)를 포함한다.
좌표제공부(210)는 세로줄과 가로줄이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각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40칸이 형성되는 좌표표를 제공한다. 즉, 좌표표는 바둑판모양으로 형성된다.
좌표제공부(210)는 좌표표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제공하거나, 좌표표를 90도, 180도, 270도로 회전시켜서 제공한다. 즉, 좌표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영상이미지(1)와 오버랩된다.
도트검색부(220)는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를 인식하기 위한 폐곡선형태의 기준형태(3)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형태(3)의 크기를 설정하는 기준형태설정부(221)와, 영상이미지(1)에서 배경이미지와 도트이미지(2)를 판별하기 위해 도트이미지(2)의 색상을 설정하는 색상설정부(222) 및 도트이미지(2)가 색상설정부(222)에서 설정된 색상에 일치되는지 판별하고, 기준형태(3)에 수용되는지 판별하는 도트판별부(223)를 포함한다.
기준형태설정부(221)는 기준형태(3)를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기준형태설정부(221)를 통해 기준형태(3)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도트이미지(2)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색상설정부(222)를 통해 색상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도트판별부(223)가 영영상이미지(1)에서 배경이미지와 도트이미지(2)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좌표인식부(230)는 2차원좌표를 인식하여 음표생성부(240)에 제공한다.
음표생성부(240)는 좌표표에서 X축방향의 간격을 음의 높이로 인식하고, Y축방향의 간격을 음의 길이로 인식한다. 따라서, 인식된 음의 길이와 높이를 이용하여 음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표생성부(240)는 X축의 1칸과, Y축의 1~4칸에 해당하는 좌표는 제외하며, X축의 2칸에서 40칸까지 3칸씩 나누어서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로 인식하고, Y축의 5~14칸까지는 16분음표, 15~24칸까지는 8분음표, 25~34칸까지는 점8분음표, 35~40칸까지는 4분음표로 인식한다.
악보생성부(300)는 작곡부(200)에서 완성된 음의 길이와 음의 높이에 해당하는 음표를 악보에 매칭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악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연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악보생성부(300)를 통해 음표들이 매칭된 악보가 화면으로 출력되어 하나의 곡이 완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700)를 통해 완성된 악보에 표시된 음표들이 음향으로 출력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작곡이 완성된 곡을 청음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1)를 데이터화하는 촬영기기(400)와, 촬영기기(4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1)나 악보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된 악보이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00) 및 디스플레이(100)에 출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의 선택을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이미지(2)의 2차원좌표를 작곡부(200)에 제공하는 마우스(5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기기(400)는 스냅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디지털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기기(400)를 통해 사물을 촬영한 후에 촬영된 영상이미지(1)를 디스플레이(100)로 출력시킨 상태에서 마우스(500)를 이용하여 출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트이미지(2)의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도트이미지(2)를 근거로 작곡부(200)가 작곡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1)를 데이터화하는 촬영기기(400)와, 촬영기기(4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1)나 악보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된 악보이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의 선택을 정전식이나 정압식으로 인식하며, 인식된 도트이미지(2)의 2차원좌표를 작곡부(200)에 제공하는 터치스크린(600)을 더 포함한다.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기기(400)인 디지털카메라에서 촬영되어 터치스크린(60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를 터치하여서 선택하면 선택된 도트이미지(2)를 근거로 작곡부(200)가 작곡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작곡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촬영기기(400)를 이용하여 사물을 촬영한다. 이때, 점형태의 이미지를 많이 획득할 수 있도록 별이 많이 보이는 밤하늘을 촬영하거나 작은 크기의 꽃들이 피어난 꽃밭 또는 점형태의 이미지가 많이 인쇄된 지도 등을 촬영하여 영상이미지(1)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기기(400)를 이용하여 지하철노선도를 촬영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지하철노선도에 대한 영상이미지(1)를 도 5에 도시된 좌표표와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기준형태(3)를 이용하여 도트이미지(2)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좌표설정부(210)인 기준형태설정부(221)를 통해 기준형태를 설정한 상태에서 영상이미지(1)를 작곡부(200)에 입력시킨다.
이어서, 영상이미지(1)가 디스플레이(100)에 출력되고 출력된 영상이미지(1)에 좌표표를 오버랩시킨 상태에서 도트검색부(220)가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를 검색한다.
계속해서, 좌표제공부(210)에서 제공되는 좌표표에 좌표인식부(230)가 도트이미지(2)를 대비시켜서 교차점에 위치되는 좌표들을 인식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촬영된 지하철 노선도에서 기준형태(3)에 의해 선택된 도트이미지(2)들의 좌표위치는 (X3, Y16), (X3, Y16), (X6, Y10), (X8, Y26), (X16, Y22), (X18, Y30), (X17, Y20), (X6, Y37), (X6, Y18), (X9, Y22), (X13, Y32), (X19, Y30)이다.
이 좌표들이 음표로 산출되면 도(8분음표), 레(8분음표), 레(16분음표), 미(점8분음표), 솔(8분음표), 라(점8분음표), 라(8분음표), 레(4분음표), 레(8분음표), 미(8분음표), 파(점8분음표), 라(점8분음표)이다.
이와 같이, 음표생성부(240)가 인식된 좌표를 근거로 음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생성부(300)가 생성된 음표를 악보에 매칭시켜서 완성된 악보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1)에서 획득되는 도트이미지(2)를 이용하여 손쉽게 특정 멜로디를 작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영상이미지 2 : 도트이미지
3 : 기준형태 100 : 디스플레이
200 : 작곡부 210 : 좌표제공부
220 : 도트검색부 221 : 기준형태설정부
222 : 색상설정부 223 : 도트판별부
230 : 좌표인식부 240 : 음표생성부
300 : 악보생성부 400 : 촬영기기
500 : 마우스 600 : 터치스크린
700 : 스피커

Claims (7)

  1. 입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DOT)형태의 도트이미지(2)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이미지(2)의 2차원좌표를 확인하며, 기준점에서부터 확인된 2차원좌표까지 X축길이에 해당하는 음의 높이와 기준점에서부터 확인된 2차원좌표까지 Y축길이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음의 길이와 음의 높이에 해당하는 음표를 생성하는 작곡부(200) 및 작곡부(200)에서 생성된 음표를 미리 저장된 악보이미지에 매칭시켜서 음표가 매칭된 악보이미지를 생성하는 악보생성부(300)를 포함하고,
    작곡부(200)는 영상이미지(1)와 오버랩되도록 바둑판 모양의 좌표표를 제공하는 좌표제공부(210)와,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형태의 도트이미지(2)를 검색하는 도트검색부(220)와, 도트검색부(220)에서 검색된 도트이미지(2)가 좌표표의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2차원좌표를 인식하는 좌표인식부(230)와, 좌표인식부(230)에서 인식된 2차원좌표를 근거로 음표를 생성하는 음표생성부(240)를 포함하고,
    좌표제공부(210)는 세로줄과 가로줄이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각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40칸이 형성되며,
    도트검색부(220)는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를 인식하기 위한 폐곡선형태의 기준형태(3)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형태(3)의 크기를 설정하는 기준형태설정부(221)와, 영상이미지(1)에서 배경이미지와 도트이미지(2)를 판별하기 위해 도트이미지(2)의 색상을 설정하는 색상설정부(222) 및 도트이미지(2)가 색상설정부(222)에서 설정된 색상에 일치되는지 판별하고, 기준형태(3)에 수용되는지 판별하는 도트판별부(223)를 포함하고,
    기준형태설정부(221)는 기준형태(3)를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정하며,
    음표생성부(240)는 좌표표에서 X축방향의 간격을 음의 높이로 인식하고, Y축방향의 간격을 음의 길이로 인식하되, X축의 2칸에서 40칸까지 3칸씩 나누어서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로 인식하고, Y축의 5~14칸까지는 16분음표, 15~24칸까지는 8분음표, 25~34칸까지는 점8분음표, 35~40칸까지는 4분음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좌표제공부(210)는 좌표표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제공하거나, 좌표표를 90도, 180도, 270도로 회전시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사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1)를 데이터화하는 촬영기기(400)와,
    촬영기기(4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1)나 악보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된 악보이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00) 및
    디스플레이(100)에 출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의 선택을 인식하고, 인식된 도트이미지(2)의 2차원좌표를 작곡부(200)에 제공하는 마우스(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사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1)를 데이터화하는 촬영기기(400)와,
    촬영기기(4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1)나 악보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된 악보이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이미지(1)에서 도트이미지(2)의 선택을 정전식이나 정압식으로 인식하며, 인식된 도트이미지(2)의 2차원좌표를 작곡부(200)에 제공하는 터치스크린(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장치.
KR20130127766A 2013-10-25 2013-10-25 작곡 장치 KR101471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766A KR101471426B1 (ko) 2013-10-25 2013-10-25 작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766A KR101471426B1 (ko) 2013-10-25 2013-10-25 작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426B1 true KR101471426B1 (ko) 2014-12-15

Family

ID=5267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7766A KR101471426B1 (ko) 2013-10-25 2013-10-25 작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4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082A (ja) * 1992-10-09 1994-05-06 Victor Co Of Japan Ltd 作曲支援装置及び作曲支援方法
JPH06318074A (ja) * 1994-03-09 1994-11-15 Casio Comput Co Ltd 楽音データ入力装置
JP2001350473A (ja) * 2000-06-08 2001-12-21 Web Logic:Kk 画像情報を音声情報に変換するシステム及び画像情報を音声情報に変換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082A (ja) * 1992-10-09 1994-05-06 Victor Co Of Japan Ltd 作曲支援装置及び作曲支援方法
JPH06318074A (ja) * 1994-03-09 1994-11-15 Casio Comput Co Ltd 楽音データ入力装置
JP2001350473A (ja) * 2000-06-08 2001-12-21 Web Logic:Kk 画像情報を音声情報に変換するシステム及び画像情報を音声情報に変換す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7104B2 (ja) 拡張現実によるモデル動画多平面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EP375970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usical synthesis using hand-drawn patterns/text on digital and non-digital surfaces
WO2019093156A1 (ja) 表示処理装置および表示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Banf et al. A modular computer vision sonification model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180028764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 학습 장치 및 방법
Danjoux Choreography and sounding wearables
KR101471426B1 (ko) 작곡 장치
Hariad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indonesian musical instrument (VIMi) application using leap motion controller
US11720166B2 (en) Video display system, video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2014645B2 (en) Virtual tutorials for musical instruments with finger tracking in augmented reality
Castro et al. Integrarte: Digital Art Using Body Interaction.
JP2008076765A (ja) 演奏システム
US20180293414A1 (en) System and method determining spatial relationships of physical objects
Evreinova et al. An exploration of volumetric data in auditory space
TW202208934A (zh) 將真實世界資訊擷取入虛擬環境之方法及頭戴式裝置
Sourin Music in the air with leap motion controller
JP3938327B2 (ja) 作曲支援システムおよび作曲支援プログラム
Brown et al. Audio representation of graphs: A quick look
Tanaka et al. Proposal of virtual musical instrument using single camera and verification of playability
Kolomenski Realization Of A Spatial Augmented Reality System-A Digital Whiteboard Using a Kinect Sensor and a PC Projector
Castledine Extending the Human Umwelt: Reframing Our Understanding Of an Environment via Mixed Reality and Digital Soundscapes/Visualizations
Lui Generate expressive music from picture with a handmade multi-touch music table.
KR101471428B1 (ko) 작곡기구
Xu et al. Applying sonification to sketching in the air with mobile ar devices
KR101478954B1 (ko) 동요집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장치 및 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