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374B1 -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374B1
KR101471374B1 KR1020140079421A KR20140079421A KR101471374B1 KR 101471374 B1 KR101471374 B1 KR 101471374B1 KR 1020140079421 A KR1020140079421 A KR 1020140079421A KR 20140079421 A KR20140079421 A KR 20140079421A KR 101471374 B1 KR101471374 B1 KR 10147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loading
food
blades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3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임펠러와 같은 회전날개차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적재함을 구비하는 차량; 및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투입하는 로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로딩장치는,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호퍼와, 원통형의 수용부가 구비된 프레임 구조체;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면서 호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로 운반하는 회전날개차;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되어 회전날개차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날개차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와 연결되어 구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면으로부터 수용부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허브에 설치되어 회전날개차의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로 운반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에 설치되며, 수용부의 내면에 밀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구로 운반되도록 블레이드와 수용부의 사이에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수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Food waste collection vehicl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를 회전하는 회전날개차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적재함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고,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비료화, 사료화, 연료화를 위한 적절한 공정을 거쳐 재활용 자원으로 다시 생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을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다른 쓰레기들과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특정구역마다 음식물 용기를 비치하여 주변 거주인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용기에 버릴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에 담아 정해진 장소에 버리도록 하고 있으며, 수거자는 음식물 용기와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일괄적으로 모아 처리장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수거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가 사용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는 차량의 후방에 적재함이 마련되고, 상기 적재함의 측면이나 후방에 리프트 장치가 마련된 것으로 구성되며, 작업자가 음식물 용기를 리프트 장치에 거치하게 되면, 리프트 장치는 음식물 용기를 적재함의 상부로 이송하여 음식물 용기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투입하는 방식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는 음식물 용기를 리프트 장치에 고정하고, 음식물 용기를 적재함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잦은 반복이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작업의 특성 상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7608호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는 적재함의 후방에 대략 수직한 구조로 배치된 스크류가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적으로 적재함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크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투입하는 방식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는 호퍼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어 적재함으로 투입되는 방식을 갖고 있으므로, 고체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스크류와 이를 감싸는 외통의 사이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결국 오수의 처리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의 경우, 별도의 오수처리장치를 마련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를 그대로 투입한 경우, 스크류의 날과 날 사이로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원활하게 투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859998호 (2008.09.25.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7608호 (1999.05.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와 같은 회전날개차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날개차에 구비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 및 음식물 수거 봉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를 그대로 투입한 경우에도 원활한 수거작업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도 용이하게 적재함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오수처리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아 저장하는 적재함을 구비하는 차량; 및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투입하는 로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로딩장치는,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호퍼와, 원통형의 수용부가 구비된 프레임 구조체;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면서 호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로 운반하는 회전날개차;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되어 회전날개차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날개차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와 연결되어 구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면으로부터 수용부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허브에 설치되어 회전날개차의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로 운반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에 설치되며, 수용부의 내면에 밀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구로 운반되도록 블레이드와 수용부의 사이에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수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를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차의 회전시 회전날개차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나 봉투를 절단하는 커팅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되는 커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있어서, 상기 커터와 마주하여 커팅구조를 형성하는 블레이드의 일측단은 커터와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절곡된 절곡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에 평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평기어와 맞물리는 링기어가 회전날개차에 설치되어 구동기의 작동에 의해 회전날개차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는 적재함의 후방에서 상단부가 적재함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함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구조체에 형성된 호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투입구로 운반되어 적재함으로 투입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연속적인 적재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날개차는 음식물 쓰레기는 물론이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를 함께 적재함으로 투입하게 되므로, 별도의 오수처리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날개차의 블레이드와 커터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봉투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호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에 상관없이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의 측면도,
도 2 는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차가 프레임 구조체에 장착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차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차의 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차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의 측면도를, 도 2는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는 허브(221)의 외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222)가 형성된 통상의 임펠러와 같이 구조를 갖는 회전날개차(220)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110)으로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차량(100)과 로딩장치(200)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100)은 다수개의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차량의 방향을 운전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장치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차량으로, 운전석의 후방에는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아 보관하기 위한 적재함(110)의 탑재가 가능한 공간을 갖는 공지의 트럭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럭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차량(100)의 세부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차량(100)에 탑재되는 적재함(110)은 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박스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단 하부가 차량(100)에 힌지결합되고, 차량(100)에 설치된 덤프 실린더(120)와 연결되어 덤프 실린더(120)의 작동에 의해 힌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세워짐에 따라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딩장치(200)는 적재함(110)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리프트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110)의 내부로 투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로딩장치(200)는 적재함의 구조에 따라 적재함의 측면이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된 적재함(110)과 같이 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고 더불어 덤프 실린더(120)에 의해 힌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 적재함(110)의 경우, 적재함(110)의 후방에 로딩장치(200)가 설치하게 된다.
이처럼 적재함(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딩장치(200)는 상단부가 적재함(110)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점(P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함(110)의 후면을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로딩장치(200)의 동작을 위하여 적재함(110)에는 실린더(130)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130)는 로딩장치(200)와 연결되어 로딩장치(200)를 밀거나 당김으로서 힌지점(P2)을 중심으로 로딩장치(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차가 프레임 구조체에 장착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차의 사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차의 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차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적재함(110)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110)으로 투입하는 로딩장치(200)는 프레임 구조체(210)와 회전날개차(220) 및 구동기(2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체(210)는 회전날개차(220)와 구동기(230)를 지지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아 적재함(110)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체(210)는 다수개의 각파이프가 상호 결합되어 기초적인 틀이 형성되고, 상기 틀의 내측에는 회전날개차(220)를 수용하여 회전날개차(220)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11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수용부(211)가 구비되며, 회전날개차(22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함(110)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212)가 배면 상단부에 형성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호퍼(213)가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호퍼(213)는 작업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프레임 구조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더불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원통형의 수용부(211)로 유도할 수 있도록 내면(213a)은 수용부(211)를 향하여 경사진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날개차(220)는 프레임 구조체(210)에 설치된 수용부(211)에 설치되며, 구동기(23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호퍼(213)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212)를 통하여 적재함(110)으로 투입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날개차(220)는 프레임 구조체(210)에 마련된 지지축(214)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허브(221)와, 상기 허브(221)의 외면에 형성되어 회전날개차(220)의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212)로 운반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22)와, 상기 블레이드(222)와 수용부(211) 내면(211a) 사이에 기밀구조를 형성하는 수밀부재(22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허브(221)는 프레임 구조체(210)에 마련된 지지축(214)에 끼워져 회전을 지지 받을 수 있도록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구동기(2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링기어(224)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22)는 허브(221)의 외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블레이드(222)는 투입구(212)로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하고, 더불어 투입구(212)의 주변으로 운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212)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회전날개차(2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212)로 운반하도록 구성된 회전날개차(220)의 경우, 회전날개차(220)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비틀어진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은 블레이드(222)는 후술될 커터(240)와 함께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나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를 절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날개차(220)의 전방에 위치하는 각 블레이드(220)의 일측단은 프레임 구조체(2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터(240)와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절곡된 절곡부(225)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커터(240)와 절곡부(225)가 흡사 가위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회전날개차(220)의 회전시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나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를 절단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커터(240)는 프레임 구조체(210)의 전면 중앙부 아래쪽에서 프레임 구조체(210)를 좌우로 횡단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커터(240)의 하단부에는 블레이드(222)의 절곡부(225)와 반응하여 음식물 쓰레기나 봉투를 절단하기 위한 날이 형성된다.
상기 수밀부재(223)는 각각의 블레이드(222)에 설치되며, 끝단부가 수용부(211)의 내면(211a)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수밀부재(223)는 탄성을 갖는 고무판을 각각의 블레이드(222)에 볼트로 결합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트가 결합되도록 각각 블레이드(222)에 형성되는 체결공(222a)을 장공형태로 구성하여 고무판으로 구성되는 수밀부재(223)의 마모시 수밀부재(223)의 위치를 작업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230)는 프레임 구조체(210)에 설치되어 회전날개차(22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로 구성된다. 이처럼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기(230)는 프레임 구조체(210)의 전면에서 프레임 구조체(210)를 횡단하는 구조로 설치된 가로대(215: 도 3에 도시됨)에 고정되며, 이러한 구동기(230)에는 회전날개차(220)에 설치된 링기어(224)와 맞물려 링기어(224)를 회전시키는 평기어(231)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작업이 요구되는 장소로 이동하고, 작업자는 음식물 용기 또는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호퍼(213)로 투입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리프트가 마련된 경우, 리프트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리프트가 없는 차량(100)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음식물 쓰레기를 호퍼(213)에 투입하게 된다.
참고로,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봉투채로 투입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수거되는 봉투는 이후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선별하게 된다.
한편, 호퍼(213)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날개차(220)가 설치된 수용부(211)로 유입되며, 회전날개차(220)가 구동기(230)에 의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212)를 통해 적재함(110)으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회전날개차(220)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함(110)으로 투입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기(230)의 작동으로 인하여 평기어(231)가 회전하면, 평기어(231)와 맞물린 링기어(224)가 회전함으로써 회전날개차(2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회전날개차(220)에 구비된 각각 블레이드(222)는 수밀부재(223)를 매개로 하여 수용부(211)의 내면(211a)에 밀착되므로, 결국 각각의 블레이드(222)는 수용부(211)의 내면(211a)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의 운반을 위한 포켓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호퍼(213)를 통하여 수용부(211)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는 각각의 블레이드(222)와 수용부(211)의 내면(211a)이 형성하는 포켓구조에 담긴 채 회전날개차(220)의 회전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여 투입구(212)로 운반되며, 해당 블레이드(222)가 투입구(212)를 지나는 과정에서 투입구(212)를 통하여 적재함(110)의 내부로 투입된다.
위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와 오수의 적재과정은 회전날개차(220)의 회전시 다수개의 블레이드(222)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결국 음식물 쓰레기의 연속적인 적재가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특히 음식물 쓰레기와 오수를 동시에 적재함(110)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되므로, 오수탱크와 같은 별도의 오수처리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차(2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블레이드(222)에 형성된 절곡부(225)와 프레임 구조체(210)에 설치된 커터(240)에 의하여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 및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가 자동으로 절단됨으로써, 호퍼(213)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 110: 적재함
200: 로딩장치 210: 프레임 구조체
211: 수용부 212: 투입구
213: 호퍼 220: 회전날개차
221: 허브 222: 블레이드
223: 수밀부재 224: 링기어
225: 절곡부 230: 구동기
231: 평기어 240: 커터

Claims (6)

  1.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아 저장하는 적재함(110)을 구비하는 차량(100); 및
    상기 적재함(110)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110)으로 투입하는 로딩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로딩장치(200)는,
    상기 적재함(110)에 설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110)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12)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호퍼(213)와, 원통형의 수용부(211)가 구비된 프레임 구조체(210);
    상기 수용부(211)에 설치되며, 수용부(211) 내에서 회전하면서 호퍼(213)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212)로 운반하는 회전날개차(220);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210)에 설치되어 회전날개차(22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230);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날개차(220)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2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230)와 연결되어 구동기(230)에 의해 회전하는 허브(221);
    상기 허브(221)의 외면으로부터 수용부(211)의 내면(211a)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허브(221)에 설치되어 회전날개차(220)의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212)로 운반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22); 및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222)에 설치되며, 수용부(211)의 내면(211a)에 밀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구(212)로 운반되도록 블레이드(222)와 수용부(211)의 사이에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수밀부재(2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차(220)의 회전시 회전날개차(22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222)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나 봉투를 절단하는 커팅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체(210)에 설치되는 커터(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터(240)와 마주하여 커팅구조를 형성하는 블레이드(222)의 일측단은 커터(240)와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절곡된 절곡부(2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230)는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230)에 평기어(231)가 설치되고, 상기 평기어(231)와 맞물리는 링기어(224)가 회전날개차(220)에 설치되어 구동기(230)의 작동에 의해 회전날개차(220)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200)는 적재함(110)의 후방에서 상단부가 적재함(110)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점(P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함(11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KR1020140079421A 2014-06-27 2014-06-27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Active KR10147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21A KR101471374B1 (ko) 2014-06-27 2014-06-27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21A KR101471374B1 (ko) 2014-06-27 2014-06-27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374B1 true KR101471374B1 (ko) 2014-12-10

Family

ID=5267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421A Active KR101471374B1 (ko) 2014-06-27 2014-06-27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907B1 (ko) * 2022-10-19 2023-01-09 잎스 주식회사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폐자원수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608A (ko) * 1998-12-24 1999-05-25 권혁상 음식물 쓰레기 수거전용 차량장치
JP2003001132A (ja) * 2001-06-18 2003-01-07 Iwatsuki Kikai Seisakusho:Kk 破砕減容脱水機
KR100895510B1 (ko) * 2008-08-07 2009-04-30 대경특장주식회사 폐기물 수거차량
JP2010195590A (ja) * 2009-02-20 2010-09-09 Woongjin Coway Co Ltd ローターを備えた移送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生ごみ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608A (ko) * 1998-12-24 1999-05-25 권혁상 음식물 쓰레기 수거전용 차량장치
JP2003001132A (ja) * 2001-06-18 2003-01-07 Iwatsuki Kikai Seisakusho:Kk 破砕減容脱水機
KR100895510B1 (ko) * 2008-08-07 2009-04-30 대경특장주식회사 폐기물 수거차량
JP2010195590A (ja) * 2009-02-20 2010-09-09 Woongjin Coway Co Ltd ローターを備えた移送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生ごみ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907B1 (ko) * 2022-10-19 2023-01-09 잎스 주식회사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폐자원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05173U (zh) 一种废旧塑料的清洗系统
KR101471374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
CN113083413B (zh) 建筑垃圾制备再生建筑材料的设备
JP2015525722A (ja) 空気圧式材料取扱いシステムにおいて材料を取り扱う方法及び装置
KR101685576B1 (ko) 톱밥 및 분쇄물 운반차량
CN210709059U (zh) 垃圾分类收集移动车
CN105540112B (zh) 一种餐厨垃圾预处理装置及含其装置的收运车
CN103962362A (zh) 一种垃圾预处理系统
CN211225543U (zh) 垃圾发酵罐上下料机构及具有它的垃圾处理装置
CN217806898U (zh) 一种生物有机肥生产用卸料装置
CN215918123U (zh) 一种垃圾回收再利用前大小分选系统
CN210233250U (zh) 一种印刷品废纸收集机构
CN210594341U (zh) 一种建筑施工用卸料装置
CN109606978B (zh) 道路垃圾环保处理装置及其施工方法
CN211616243U (zh) 一种泡沫垃圾收集处理车
CN209740079U (zh) 一种环保专用垃圾分类传送装置
CN217262331U (zh) 环卫车的垃圾收集箱及环卫车
CN206231926U (zh) 一种快速粉碎式垃圾桶
CN212798766U (zh) 一种散装水泥装车导料机构
CN201098639Y (zh) 大件垃圾混合破碎机
CN214440846U (zh) 一种固态有机废弃物筛分装置
CN210594349U (zh) 一种上料机及具有自动上料功能的车辆
CN214454002U (zh) 一种垃圾转运设备的污水收集装置
CN205293882U (zh) 一种餐厨垃圾预处理装置及含其装置的收运车
CN219971233U (zh) 自主上肥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