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188B1 -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188B1
KR101471188B1 KR1020100085501A KR20100085501A KR101471188B1 KR 101471188 B1 KR101471188 B1 KR 101471188B1 KR 1020100085501 A KR1020100085501 A KR 1020100085501A KR 20100085501 A KR20100085501 A KR 20100085501A KR 101471188 B1 KR101471188 B1 KR 10147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put
input image
monitoring
moni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033A (ko
Inventor
이용득
박진석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대상 영역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위험 물체의 발생 시에 감시 대상 영역에 설치된 감시 경계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격지에 설치되어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 경계하는 감시 경계 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 운용 장치; 상기 입력 영상을 기초로 하고,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상기 입력 영상을 분기하여 출력하는 영상 중계 장치; 및 상기 운용 장치,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영상 중계 장치 중의 적어도 두 개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각종 센서, 감시 로봇, 및 원격 무장 등을 제어함으로써, 통합적으로 운용하여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하여 감시 및 경계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시 시스템은 멀리 떨어져 있는 특정한 장소나 사물을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으로 촬영하고, 해당 영상을 폐쇄 회로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감시 시스템에서는 촬영되는 장소나 사물의 이상 유무를 현장에 가지 않고도, CCTV 또는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감시 시스템은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 및/또는 모니터링 함으로써,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감시 대상 영역을 보호하거나 내부의 중요한 시설 장치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시 대상 영역에 카메라 또는 인력이 배치되어 감시 경계 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위험물 또는 위협에 대한 이상 징후가 발견되는 경우에, 근무자가 이러한 상황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황실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요소 발견 시에는 필요 인원 또는 추가 인원이 직접 현장에 출동하여 위험 요소를 제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시 대상 영역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위험 물체의 발생 시에 감시 대상 영역에 설치된 감시 경계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격지에 설치되어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 경계하는 감시 경계 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 운용 장치; 상기 입력 영상을 기초로 하고,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상기 입력 영상을 분기하여 출력하는 영상 중계 장치; 및 상기 운용 장치,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영상 중계 장치 중의 적어도 두 개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서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고, 상기 감시 대상 물체의 위치 및 각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좌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좌표값을 입력받아 상기 감시 경계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 물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서, 상기 운용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조작 정보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정보에 의하여 상기 감시 대상 물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중계 장치가, 상기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복수개의 출력으로 분기 및 증폭하며, 상기 입력 영상에 상기 감시 대상 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지정된 수정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정 영상이, 상기 운용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조작 정보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OSD(On Screen Display)를 추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및 상기 수정 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이 아날로그 영상인 경우에, 상기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디지털 형식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외부의 다른 통제소 내에 설치되는 외부 운용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 및 상기 수정 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여 상기 외부 운용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운용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허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다른 통제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 운용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영상, 상기 수정 영상, 및 상기 감시 경계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용 장치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및 조이스틱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허브가 이더넷 스위칭에 의하여 다른 장치들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허브 및 상기 영상 중계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외부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감시 경계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광통신을 인터페이스 하는 광 링커, 시리얼 인터페이스, 병렬 인터페이스, 및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중계기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안개 또는 연무가 실질적으로 제거된 입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디포그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대상 영역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위험 물체의 발생 시에 감시 대상 영역에 설치된 감시 경계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감시 시스템은 감시 대상 영역의 중요한 시설, 장치 등을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시 시스템에는 카메라 또는 인력이 배치되어 감시 경계의 임무를 수행한다. 위험물 또는 위협에 대한 이상 징후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근무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황실에 현재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요소 발견 시에는 필요 인원 또는 추가 인원이 직접 현장으로 출동하여 제압할 수 있으며, 준비된 초소 또는 은폐/엄폐물을 이용하여 현지에서 사람이 직접 사격 등의 제압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임무 수행을 위하여 인력에 대한 손실이 발생 될 수 있다.
이처럼 감시 현장에 인력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추운 날씨, 더운 날씨, 호우, 눈보라, 안개, 어두움 등 환경조건에 의하여 감시 경계 임무 수행에 많은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현장 인력은 감시 경계 및 제압을 위하여 필요한 많은 장비 및 장치들을 숙달하여야 하며 직접 휴대도 하여야 한다. 또한, 넓은 감시 지역을 모두 감시 경계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너비, 길이, 보호해야 할 대상물 등에 의해 추가적인 초소 및 인원을 배치하여 운용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10)에서는, 감시 대상 영역을 원격으로 감시 및/또는 경계함으로써, 추가적인 인원 배치 없이도 위험 물체의 발생 시에 감시 대상 영역에 설치된 감시 경계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감시 시스템(1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시 시스템(10)은 감시 경계 장치(410); 운용 장치(110); 제어 장치(140); 영상 중계 장치(170); 및 네트워크 허브(19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경계 장치(410)는 원격지의 감시 대상 영역에 설치되고, 운용 장치(110); 제어 장치(140); 영상 중계 장치(170); 및 네트워크 허브(190) 등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은 별도로 마련되는 통제소에 설치될 수 있다.
감시 경계 장치(410)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 경계한다. 운용 장치(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감시 경계 장치(410)를 제어하는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다.
제어 장치(140)는 입력 영상을 기초로 하고, 운용 장치(110)를 통한 조작 입력에 따라 감시 경계 장치(410)를 제어한다. 영상 중계 장치(170)는 입력 영상을 분기하여 출력한다. 네트워크 허브(190)는 운용 장치(110), 제어 장치(140), 및 영상 중계 장치(170) 중의 적어도 두 개를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대상 영역을 원격으로 감시 및/또는 경계함으로써, 위험 물체의 발생 시에 감시 대상 영역에 설치된 감시 경계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감시 경계 장치(410)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 및/또는 경계하는 것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감시 시스템(10)에는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감시 경계 장치(410)가 포함될 수 있다.
감시 경계 장치(410)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카메라, 각종 센서류, 원격 무장 장비, 및 감시 경계 로봇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아날로그 카메라 또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드라이버가 내장된 UTP 카메라가 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고정식 카메라 및/또는 팬-틸트-줌(Panning-Tilting-Zooming) 작동이 가능한 PTZ 카메라가 될 수 있다.
감시 경계 장치(410)는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한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통제소 등에서 감시 대상 영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입력 영상을 처리하여 특정 물체를 인식하거나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시 경계 장치(410)는 별도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거나, 원격 무장 장비 및/또는 감시 경계 로봇 등이 카메라를 장착하고, 이들을 통하여 입력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감시 경계 장치(410)는 사격 등을 통하여 감시 대상 물체를 제압할 수 있는 무장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장 장비는 단발, 점사, 연발 등의 사격이 가능하며, 지정된 위치에 일괄 사격할 수 있는 원 클릭(one click) 사격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운용 장치(110)는 운용자가 감시 시스템(10)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이며,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및 조이스틱 등의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40)를 통하여 원격에 있는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용자가 모니터에 표시되는 감시 대상 영역의 영상을 보면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을 조작하여 감시 경계 장치(4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운용자는 운용 장치(110)를 통하여 감시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PTZ 카메라의 패닝, 틸팅, 줌잉, 및/또는 포커스 등을 제어하는 등의 원격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용 장치(110)의 모니터에는 감시 경계 장치(410)에 포함되는 감시 경계 로봇의 현재 위치와 지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운용 장치(110)를 통하여, 현재의 감시 대상 물체에 대한 감시 및/또는 추적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입력 영상의 크기 조정, 프리셋 설정, 연동 운용 등이 운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용 장치(110)에는 원격 장치에 있는 무장 장비에 대한 사격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자에 의한 원격 사격이 가능하다. 사격은 단발, 점사, 연발이 가능하며, 지정된 위치에 일괄 사격할 수 있는 원클릭 사격(One Click 사격) 기능을 포함한다.
운용 장치(110)의 모든 조작 정보는 제어 장치(140)로 전송되어 제어 장치(140)를 통하여 원격에 있는 감시 경계 장치(410)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네트워크 허브(190)는 운용 장치(110), 제어 장치(140), 및 영상 중계 장치(170)를 포함한 감시 시스템(10)의 모든 구성 요소 또는 일부 구성 요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감시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 요소는 이더넷 통신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허브(190)는 이더넷 스위칭(ethernet switching)에 의하여 다른 장치들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감시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는 일대일 통신 방식에 의하여, 다른 일부는 이더넷 통신 방식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일부 구성 요소들은 서로 일대일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면서도, 동시에 네트워크 허브(190)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감시 시스템(10)에서는 감시 경계 장치(410), 제어 장치(140), 및 기타 다른 구성 요소들이 서로 영상 신호, 제어 신호, 및/또는 기타 데이터들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고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운용 장치(110), 후술하는 디포그 장치(120), 영상 저장 장치(130), 제어 장치(140), 및 영상 처리 장치(150)는 네트워크 허브(190)를 통하여 이더넷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원격지에 배치되는 감시 경계 장치(410)는 통신 인터페이스(180, 420)를 통하여 통제소 내의 네트워크 허브(19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80, 42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80)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4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80)는 네트워크 허브(190) 및 영상 중계 장치(170)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외부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420)는 감시 경계 장치(410)와 연결되고, 제1 통신 인터페이스(180)와 연결되어 제1 통신 인터페이스(180)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한다.
이때, 제1 통신 인터페이스(180)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420)는, 광통신을 인터페이스 하는 광 링커, 시리얼 인터페이스, 병렬 인터페이스, 및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중계기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경계 장치(410)는 원격 무장 장비(411, 414), 감시 경계 로봇(412, 415, 417), 및 카메라(413, 416)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감시 경계 장치(411 내지 417)는 각각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421 내지 427)에 연결되고, 각각 서로 다른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들(181 내지 187)은 각각 제2 통신 인터페이스들(421 내지 427)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감시 시스템(30) 내에도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감시 시스템(30)은 연결되는 감시 경계 장치들(411 내지 417)이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함께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41 내지 143)도 복수 개 구비되고, 감시 경계 장치들(411 내지 417)이 하나 또는 몇 개 단위로 각각의 제어 장치(141 내지 14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감시 경계 장치들(411 내지 417)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감시 시스템(10)은 영상 처리 장치(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감시 대상 영역에서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입력 영상을 처리한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네트워크 허브(190)에 연결되어, 시스템에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입력 영상에서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고, 감시 대상 물체의 위치 및 각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좌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40)는 감시 대상 물체의 위치 및/또는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값을 입력받아 감시 경계 장치(410)가 감시 대상 물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감시 경계 장치(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감시 대상 물체를 인식하고,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 처리 장치(150)는 운용 장치(110)를 통하여 입력된 운용자의 조작 정보에 의하여 입력 영상에서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40)는 운용 장치(110)를 통하여 입력된 조작 정보에 의하여 감시 대상 물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150)가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통제실에서 작업자가 입력 영상을 보면서, 특정 물체를 감지 대상 물체로 지정함으로써,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 및/또는 추적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카메라로부터 직접 영상을 입력받거나, 영상의 수가 많을 경우에는 영상을 영상 중계 장치(17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입력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자동, 반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 및/또는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운용 장치(110)를 통하여 운용자에 의하여 위험 물체를 식별한 후에 위험 물체에 대한 사격 및/또는 제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장치(140)는 운용 장치(110)를 통한 조작 입력에 따라 감시 경계 장치(410)를 제어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운용자에 의한 별도의 운용 장치(110) 조작 없이도, 제어 장치(140)가 자동으로 감시 시스템(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40)는 감시 경계 로봇 및 원격 무장 장비 등 감시 시스템에 연결된 감시 경계 장치(410)들과 광통신, 시리얼(Serial) 통신, 병렬(parallel) 통신 및/또는 무선 전송 안테나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140)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감시 경계 장치(410)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40)는 운용 장치(110)로부터 운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40)는 운용 장치(110)로 감시 시스템(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 또는 구성 요소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 또는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감시 시스템(110)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 및 명령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50)에서 영상을 처리하여 감시 대상 물체를 자동 추적(Tracking)을 할 때에는, 제어 장치(140)는 이동해야 할 앵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영상 처리 장치(150)로부터 받고 이 데이터를 감시 경계 장치(410)로 전송함으로써, 감시 대상 물체에 대한 추적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감시 경계 장치(410)는 영상을 획득 가능한 장치에서 전송된 영상을 처리하여 감시 및/또는 추적할 대상 물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직접 추출하는 로봇아이(roboteye)와 같은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140)는 감시 경계 장치(410)로부터 그 데이터를 전송 받고, 전송된 데이터를 이더넷 방식으로 운용 장치(110)의 콘솔(console)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중계 장치(170)는 입력 영상을 분기하여 출력한다. 영상 중계 장치(170)는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복수개의 출력으로 분기 및/또는 증폭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중계 장치(170)는 입력 영상에 감시 대상 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지정된 수정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중계 장치(170)에서 생성된 수정 영상은 운용 장치(110)를 통하여 입력된 조작 정보에 의하여 입력 영상에 OSD(On Screen Display)를 추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수정 영상은 입력 영상에 감시 대상 물체를 둘러싸는 사각형 등을 OSD로 표시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감시 시스템(10)은 영상 저장 장치(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저장 장치(150)는 입력 영상 및 수정 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영상 저장 장치(150)에 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다른 데이터 등이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 저장 장치(150)에는 영상 정보만 저장되고, 기타 다른 데이터는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별도의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 저장 장치(150)에는 입력 영상 및 수정 영상, 뿐만 아니라 로봇아이 등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추가된 영상을 영상 중계 장치(17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감시 시스템(20) 내부에는 각각 복수의 영상 처리 장치(151, 152, 153) 및/또는 영상 중계 장치(170a, 170b, 170c)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80a, 180b, 180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180a, 180b, 180c)는 각각의 감시 경계 장치에 연결되고, 각각의 감시 경계 장치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이, 각각에 연결되는 영상 중계 장치(170a, 170b, 170c)와 영상 처리 장치(151, 152, 153)로 입력되어, 영상 처리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감시 시스템(10)은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160)는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디지털 형식의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160)는 입력 영상이 아날로그 영상인 경우에 입력 영상을 디지털 형식의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UTP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영상은 바로 네트워크 전송 가능하며, 아날로그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영상은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160)를 통하여 이더넷 방식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감시 시스템(10)은 안개 또는 연무가 실질적으로 제거된 입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디포그 장치(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디포그 장치(120)에 의하여 안개 및/또는 연무에 의한 영상의 화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개 및/또는 연무가 있는 환경에서도 감시 및/또는 추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의 다른 통제소에 설치되는 외부 운용 장치(210, 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상 및 수정 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영상 중계 장치(170)로부터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160)를 통하여 외부 운용 장치(210, 31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입력 영상 및 수정 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영상 중계 장치(170)로부터 직접 외부 운용 장치(210, 310)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 운용 장치(210, 310)는 네트워크 허브(19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통제소에 속하는 감시 시스템(10)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네트워크 허브(190)를 통하여 이더넷 방식으로 외부 운용 장치(210, 3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 시스템(10)과 이더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른 통제소에서도 외부 운용 장치(210, 310)를 통하여 감시 시스템(10) 내부의 구성 요소를 접근할 수 있으며, 감시 경계 시스템(410)을 모니터링 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의 다른 통제소에도 별도로 데이터 서버(320)가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320)는 외부의 다른 통제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운용 장치(310)와 연결되고, 입력 영상, 수정 영상, 및 감시 경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제소에 원격으로 설치되는 감시 경계 장치(410)들이 연결되는 기본 운용 시스템이 설치가 되고, 다른 제2 통제소에서도 제1 통제소의 감시 경계 장치(410)들을 통제할 수 있는 외부 운용 장치(210, 310)가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때, 제어해야 할 장치가 많을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보관, 공유, 설정을 위한 서버 장치가 추가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10)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감시 경계 장치(410)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 관측, 분석 및 원격 제압할 수 있다. 이때, 원격지에 있는 카메라, 센서류, 거리 측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을 받아 통제실 또는 통제기를 통하여 분석을 하며, 원격 장치에 대한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또는 명령을 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제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원격지에서 제압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 장치(150)는 입력된 영상에서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 및 추적, 식별 및 인지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자동으로 추적을 하기 위하여 위치 정보 및 앵글의 변화 요청 값을 생성하여 제어 장치(140)로 송부하고, 제어 장치(140)를 통하여 감시 경계 장치(4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영상을 관리하여 여러 곳을 동시에 감시 및/또는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무장 장비를 통제소에서 운용 장치(110)를 통하여 조작함으로써, 무장 장비에 숙달된 사수가 아니더라도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면 무장 방비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격 및/또는 제압이 가능하다. 따라서, 감시/경계에 대한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험 지역 또는 험난한 지역에서의 근무 기피 및 사고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사람이 이동할 수 없는 지역에 대한 감시/경계 사각 지역을 해소 할 수 있게 된다.
전쟁 또는 분쟁 등의 실제 상황 발생 시에도, 해당 경계 근무자들의 공황을 예방할 수 있으며, 대체 원격 무장 장비로 대응함으로써 인력 손실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감시 시스템(10)의 운용부를 환경이 좋은 실내로 구성을 하여 운용자가 외부 환경에 의한 피로 및 사고로부터도 보호받을 수 있으므로, 운용자의 양호한 근무 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시 경계 장치(410)를 운용 장치(110)의 조이스틱,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통해서 조작함으로써, 운용자가 무장 장비에 대한 두려움이나 거부감 가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운용자가 시스템에 대하여 친근감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숙달 및/또는 교육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대상 영역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위험 물체의 발생 시에 감시 대상 영역에 설치된 감시 경계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감시 시스템, 110: 운용 장치,
130: 영상 저장 장치, 140: 제어 장치,
150: 영상 처리 장치, 160: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
170: 영상 중계 장치, 210, 310: 외부 운용 장치,
410: 감시 경계 장치.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원격지에 설치되어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 경계하는 감시 경계 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 운용 장치;
    상기 입력 영상을 기초로 하고,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상기 입력 영상을 분기하여 출력하는 영상 중계 장치;
    상기 운용 장치,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영상 중계 장치 중의 적어도 두 개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서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영상 중계 장치가,
    상기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복수개의 출력으로 분기 및 증폭하며,
    상기 입력 영상에 상기 감시 대상 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지정된 수정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수정 영상은 상기 운용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조작 정보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OSD(On Screen Display)를 추가하여 생성되며,
    상기 입력 영상 및 상기 수정 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 장치를 더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원격지에 설치되어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 경계하는 감시 경계 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 운용 장치;
    상기 입력 영상을 기초로 하고,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상기 입력 영상을 분기하여 출력하는 영상 중계 장치;
    상기 운용 장치,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영상 중계 장치 중의 적어도 두 개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서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 영상이 아날로그 영상인 경우에,
    상기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디지털 형식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영상 중계 장치가,
    상기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복수개의 출력으로 분기 및 증폭하며,
    상기 입력 영상에 상기 감시 대상 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지정된 수정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수정 영상은 상기 운용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조작 정보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OSD(On Screen Display)를 추가하여 생성되며,
    외부의 다른 통제소 내에 설치되는 외부 운용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 및 상기 수정 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코딩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여 상기 외부 운용 장치로 전송되며,
    상기 외부 운용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허브와 연결되는 감시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허브 및 상기 영상 중계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외부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감시 경계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고, 상기 감시 대상 물체의 위치 및 각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좌표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좌표값을 입력받아 상기 감시 경계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 물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서, 상기 운용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조작 정보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감시 대상 물체를 탐지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정보에 의하여 상기 감시 대상 물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감시 경계 장치를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KR1020100085501A 2010-09-01 2010-09-01 감시 시스템 KR10147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501A KR101471188B1 (ko) 2010-09-01 2010-09-01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501A KR101471188B1 (ko) 2010-09-01 2010-09-01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033A KR20120025033A (ko) 2012-03-15
KR101471188B1 true KR101471188B1 (ko) 2014-12-11

Family

ID=4613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501A KR101471188B1 (ko) 2010-09-01 2010-09-01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567Y1 (ko) * 2005-03-16 2005-09-26 한덕희 광역감시와 지역감시 자동전환 촬영 기능을 갖는감시카메라
KR20080044936A (ko) * 2006-11-17 2008-05-22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영상자동팝업기능이 구비된 감시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4791A (ko) * 2007-11-01 2009-05-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116215A (ko) * 2008-05-06 2009-11-11 (주) 티앤엑스시스템즈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567Y1 (ko) * 2005-03-16 2005-09-26 한덕희 광역감시와 지역감시 자동전환 촬영 기능을 갖는감시카메라
KR20080044936A (ko) * 2006-11-17 2008-05-22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영상자동팝업기능이 구비된 감시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4791A (ko) * 2007-11-01 2009-05-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116215A (ko) * 2008-05-06 2009-11-11 (주) 티앤엑스시스템즈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033A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225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KR101851539B1 (ko) 드론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US20050024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calable multi-camera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urveillance system
JP2012178134A (ja) セキュリティ監視及び火災早期警戒の一体化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12101654B3 (de) Militärisches Fahrzeug
US10906784B2 (en) Method for crane assembly
KR20210123671A (ko) 드론 블랙박스 시스템 및 드론 모니터링 조치 방법
KR20100103061A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101747213B1 (ko) 시나리오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843650B1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71188B1 (ko) 감시 시스템
KR102239811B1 (ko) 드론을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CN111010543B (zh) 机器人遥视视频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760101B1 (ko) 지능형 소방 시스템
KR101204081B1 (ko) 감시 시스템
JP2009301175A (ja) 監視方法
US20120290170A1 (en) Maintenance systems and methods of an installation of a vehicle
KR20180134459A (ko) 무인차량의 원격통제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90007999A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08160203A (ja) 防犯監視システム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20305B1 (ko) 차량용 전방향 감시장치
KR100872403B1 (ko)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ptz 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시스템
CN114217631A (zh)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巡查系统、方法及存储介质
KR20190109168A (ko) 복합현실 표시장치를 이용한 멀티 유저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