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786B1 - 유니트 장착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니트 장착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786B1
KR101470786B1 KR1020137034754A KR20137034754A KR101470786B1 KR 101470786 B1 KR101470786 B1 KR 101470786B1 KR 1020137034754 A KR1020137034754 A KR 1020137034754A KR 20137034754 A KR20137034754 A KR 20137034754A KR 101470786 B1 KR101470786 B1 KR 10147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nic device
device unit
unit mounting
mou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599A (ko
Inventor
요시카즈 무라타
다카시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74Mounting of modules, e.g. on a base or rail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유니트 장착장치(1)는 전자기기 유니트(9)가 장착되는 유니트 장착장치로서, 전자기기 유니트의 일측면(12a)과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기초부(4a)와, 기초부의 상부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상측 차양부(5a)와, 기초부의 하부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하측 차양부(5b)와, 하측 차양부의 연장 측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입설부(6)와, 전자기기 유니트의 일측면의 폭보다도 좁은 폭으로 입설부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니트 장착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 {UNIT MOUNT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NIT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유니트 장착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더보드와 그것을 보호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니트 장착장치에 대해서 전자기기 유니트가 장착된 전자기기 시스템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 시스템에서는, 유니트 장착장치로의 전자기기 유니트의 장착조작성과, 시스템 가동시에서의 유니트 장착장치에 대한 전자기기 유니트가 안정된 장착상태의 유지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차양부(eave part)로부터 돌출한 단면 볼록형의 레일부를 가지는 케이스와, 커넥터를 실장(實裝)하는 마더보드(mother board)로 구성된 유니트 장착장치에 대해서, 오목홈부를 가지는 전자기기 유니트를 장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구성에 의하면, 유니트 장착장치 측의 단면 볼록형의 레일부와, 전자기기 유니트 측의 오목홈부가 끼워맞추는 것으로 전자기기 유니트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결정되고, 유니트 장착장치 측의 차양부에 의해서 전자기기 유니트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로 전자기기 유니트의 빠짐방지가 행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평3-6890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전자기기 유니트의 빠짐방지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착공정 수의 증가에 의한 장착조작성의 악화 및 부품점수 증가에 의한 제품의 코스트-업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착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아울러, 부품점수를 억제하여 제품의 코스트 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유니트 장착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자기기 유니트가 장착되는 유니트 장착장치로서, 전자기기 유니트의 일측면과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기초부와, 기초부의 상부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상측 차양부와, 기초부의 하부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하측 차양부와, 하측 차양부의 연장 측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입설부(立設部)와, 전자기기 유니트의 일측면의 폭보다도 좁은 폭으로 입설부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설부와 돌기부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를 전자기기 유니트에 형성하고, 그 끼워맞춤부를 입설부와 돌기부에 끼워맞춰지게 하면 전자기기 유니트를 유니트 장착장치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장착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아울러, 부품점수를 억제하여 제품의 코스트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전자기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측 차양부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B-B선에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프레스 가공 전의 유니트 장착장치(베이스 구조체)의 하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에 관한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관한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비교예로서의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프레스 가공 전 상태(베이스 구조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유니트 장착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전자기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자기기 시스템(50)은 유니트 장착장치(1)에 전자기기 유니트(9)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전자기기 유니트(9)는 전자기기 유니트 케이스(12)의 내부에 기판(10)이 수용되어 구성된다.
전자기기 유니트 케이스(12)는 전자기기 유니트(9)의 외곽을 구성한다. 전자기기 유니트(9)는 전자기기 유니트 케이스(12)의 일측면(12a)이 유니트 장착장치(1)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유니트 장착장치(1)에 장착된다. 전자기기 유니트 케이스(12)에는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기판(10)에는 전자기기 유니트 커넥터(11)가 실장되어 있다. 전자기기 유니트 케이스(12)의 내부에 기판(10)이 수용된 상태에서, 전자기기 유니트 커넥터(11)가 일측면(12a) 측으로 노출하고 있다.
유니트 장착장치(1)는 유니트 장착장치 케이스(4)와 마더보드(2)를 가지고 구성된다. 유니트 장착장치 케이스(4)는 전자기기 유니트(9)의 일측면(12a)과 대향하는 기초부(4a), 기초부(4a)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차양부(5)를 가진다.
차양부(5)는 기초부(4a)의 상부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9) 측으로 연장하는 상측 차양부(5a)와, 기초부(4a)의 하부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9) 측으로 연장하는 하측 차양부(5b)로 구성된다. 유니트 장착장치(1)에 대해서 전자기기 유니트(9)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자기기 유니트(9)는 일측면(12a) 가까이의 상하 부분이 차양부(5)(상측 차양부(5a)와 하측 차양부(5b))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니트 장착장치(1)의 하측 차양부(5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B-B선에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 ~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트 장착장치(1)의 하부에는 입설부(6)와, 돌기부(7)가 마련되어 있다. 입설부(6)는 하측 차양부(5b)의 연장 측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자기기 유니트(9)의 전자기기 유니트 케이스(12)에는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의 일부로서, 입설부(6)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를 입설부(6)에 끼움으로써, 입설부(6)의 빠짐방지면(6a)과,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의 끼워맞춤부 배면(13a)이 맞닿아, 전자기기 유니트(9)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를 입설부(6)에 끼움으로써, 입설부(6)의 상부면인 하측 위치결정면(6b)과,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의 끼워맞춤부 하면(13b)이 맞닿아, 전자기기 유니트(9)의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이 된다.
또, 입설부(6)는 후술하는 돌기부(7)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니트 장착장치 케이스(4)의 가로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입설부(6)의 하측 위치결정면(6b)이 전자기기 유니트(9)의 가로폭 전체를 지지할 수 있고, 전자기기 유니트(9)의 가로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돌기부(7)는 전자기기 유니트(9)의 일측면(12a)의 폭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되며, 입설부(6)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9) 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7)는 입설부(6)의 높이방향에서의 중단(中段)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전자기기 유니트(9)의 전자기기 유니트 케이스(12)에는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의 일부로서, 돌기부(7)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는 돌기부(7)와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를 돌기부(7)에 끼움으로써, 돌기부(7)의 좌우 위치결정면(7a)과,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의 끼워맞춤부 측면(13c)이 맞닿아, 전자기기 유니트(9)의 가로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입설부(6)의 상부면 측의 모서리 및 돌기부(7)의 돌출 측의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있다. 모따기의 종류로서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돌기부(7)의 돌출 측의 모서리와 같이 각이진 면으로 모따기해도 되고, 도 3에서 나타내는 입설부(6)의 상부면와 같이 둥근면으로 모따기해도 된다. 이와 같이, 모따기를 함으로써, 전자기기 유니트(9)를 장착할 때에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부드러운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 걸리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나 유니트 장착장치(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마더보드(2)는 유니트 장착장치 케이스(4)의 기초부(4a)에 장착되어, 전자기기 유니트(9)의 일측면(12a)과 대향한다. 마더보드(2)에는 유니트 장착장치 커넥터(3)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기기 유니트(9)를 유니트 장착장치(1)에 장착하면, 전자기기 유니트(9)에 마련된 전자기기 유니트 커넥터(11)와, 유니트 장착장치(1)에 마련된 유니트 장착장치 커넥터(3)가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 유니트(9)를 유니트 장착장치(1)에 장착할 때에, 하측 차양부(5b)에 마련된 입설부(6)와 돌기부(7)에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13)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하방향의 위치결정, 가로방향의 위치결정 및 빠짐의 방지가 도모되기 때문에,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한 고정작업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전자기기 유니트(9)의 장착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아울러, 부품점수를 억제하여 제품의 코스트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니트 장착장치(1)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유니트 장착장치(1)의 제조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기초부(4a)와, 상측 차양부(5a)와, 하측 차양부(5b)와, 입설부(6)와, 돌기부(7)를 구비하는 베이스 구조체를 압출(押出)성형에 의해 성형한다(스텝 S1).
도 6은 프레스 가공 전의 유니트 장착장치(베이스 구조체)의 하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성형에 의해 성형된 베이스 구조체에서는 돌기부(7)가 베이스 구조체의 가로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전자기기 유니트(9)의 일측면(12a)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지 않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돌기부(7)로서, 좌우 위치결정면(7a)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 파선으로 해칭(hatching)한 영역(7b)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프레스 금형(30)(도 3을 참조)에 의해서 프레스 가공을 행하여, 영역(7b)을 제거한다(스텝 S2). 그리고, 기초부(4a)에 마더보드(2)를 장착하여(스텝 S3), 유니트 장착장치(1)가 제조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금형(30)을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레스 가공이 행해진다. 그 때, 프레스 금형(30)은 돌기부(7)만을 프레스 가공하게 되고, 입설부(6)를 프레스 가공하지 않고 마무리된다.
여기서, 비교예로서의 유니트 장착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비교예로서의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프레스 가공 전의 상태(베이스 구조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종래,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유니트 장착장치(21)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로서의 유니트 장착장치(21)에서는 유니트 장착장치 케이스(24)의 하측 차양부(25b)로부터 전자기기 유니트(29)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8)는 전자기기 유니트(29)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이 좌우 위치결정면(28c)이 된다.
또, 돌출부(28)는 그 돌출 측의 단부가 위쪽으로 세워진 입설부(28d)로 되어 있다. 입설부(28d)는 전자기기 유니트(29)에 형성된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31)에 끼워져 전자기기 유니트(29)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면(28a)과, 전자기기 유니트(29)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여 전자기기 유니트(29)의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하측 위치결정면(28b)을 가진다.
또, 돌출부(28)의 단부에 형성된 입설부(28d)는 돌출부(28)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 유니트(29)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하측 위치결정면(28b)에 의한 전자기기 유니트(29)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어, 전자기기 유니트(29)의 가로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 전자기기 유니트(29)가 흔들림으로써, 커넥터(3, 11)(도 1도 참조)가 파손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 위치결정면(6b)이 전자기기 유니트(9)의 가로폭 전체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유니트(9)의 가로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3, 1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어, 전자기기 시스템(50)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28e)을 베이스 구조체로부터 프레스 가공으로 제거하는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금형(30)을 화살표 Y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 돌출부(28)에 더하여 입설부(28d)도 프레스 금형(30)에 의해 프레스 가공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입설부(28d)의 입설높이(T2)를 크게 하면, 프레스 가공시에 하측 차양부(25b)나 돌출부(28)에 부하가 가해져, 하측 차양부(25b)나 돌출부(28)가 변형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하측 차양부(25b)나 돌출부(28)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입설부(28d)의 입설높이(T2)를 낮게 억제하면, 빠짐방지면(28a)이 낮아지기 때문에, 전자기기 유니트(29)가 빠지기 쉬워져 버린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니트 장착장치(1)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설부(6)를 프레스 가공하지 않고 돌기부(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하측 차양부(5b)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입설부(6)의 입설높이(T1)를 크게 해도, 프레스 가공시의 하측 차양부(5b)에 거의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비교예에 비해, 입설부(6)의 입설높이(T1)를 크게 할 수 있다. 입설부(6)의 입설높이(T1)를 크게 함으로써, 빠짐방지면(6a)을 크게 하여, 보다 확실히 전자기기 유니트(9)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에 관한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설부(6)의 높이방향에서의 하단 부분에 돌기부(7)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입설부(6)를 프레스 가공하지 않고 돌기부(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하측 차양부(5b)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빠짐방지면(6a)을 크게 형성하여 전자기기 유니트의 빠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관한 유니트 장착장치의 하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설부(6)의 높이방향에서의 상단 부분에 돌기부(7)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서도, 입설부(6)를 프레스 가공하지 않고 돌기부(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하측 차양부(5b)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빠짐방지면(6a)을 크게 형성하여 전자기기 유니트의 빠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유니트 장착장치는 전자기기 유니트가 장착되는 유니트 장착장치에 유용하다.
1 유니트 장착장치 2 마더보드
3 유니트 장착장치 커넥터 4 유니트 장착장치 케이스
4a 기초부 5 차양부
5a 상측 차양부 5b 하측 차양부
6 입설부 6a 빠짐방지면
6b 하측 위치결정면 7 돌기부
7a 좌우 위치결정면 7b 영역
9 전자기기 유니트 10 기판
11 전자기기 유니트 커넥터 12 전자기기 유니트 케이스
12a 일측면 13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
13a 끼워맞춤부 배면 13b 끼워맞춤부 하면
13c 끼워맞춤부 측면 21 유니트 장착장치
24 유니트 장착장치 케이스 25b 하측 차양부
28 돌출부 28a 빠짐방지면
28b 하측 위치결정면 28c 좌우 위치결정면
28d 입설부 28e 영역
29 전자기기 유니트 30 프레스 금형
31 전자기기 유니트 끼워맞춤부 50 전자기기 시스템
X, Y 화살표

Claims (5)

  1. 전자기기 유니트가 장착되는 유니트 장착장치로서,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의 일측면과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상측 차양부(eave part)와,
    상기 기초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하측 차양부와,
    상기 하측 차양부의 연장 측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입설부(立設部)와,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의 상기 일측면의 폭보다도 좁은 폭으로 상기 입설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장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설부는 상기 돌기부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장착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입설부의 상부면의 모서리 및 상기 돌기부의 돌출 측의 면의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장착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유니트 장착장치와,
    상기 입설부 및 상기 돌기부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된 전자기기 유니트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5. 전자기기 유니트가 장착되는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의 일측면과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상측 차양부와, 상기 기초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하측 차양부와, 상기 하측 차양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입설부와, 상기 입설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유니트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구조체를 압출성형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돌기부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서 상기 일측면의 폭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37034754A 2011-07-29 2011-07-29 유니트 장착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 KR101470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7507 WO2013018170A1 (ja) 2011-07-29 2011-07-29 ユニット取付装置、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ユニット取付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599A KR20140015599A (ko) 2014-02-06
KR101470786B1 true KR101470786B1 (ko) 2014-12-08

Family

ID=4606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754A KR101470786B1 (ko) 2011-07-29 2011-07-29 유니트 장착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092577A1 (ko)
JP (1) JP4902034B1 (ko)
KR (1) KR101470786B1 (ko)
CN (1) CN103718662A (ko)
DE (1) DE112011105476T5 (ko)
TW (1) TW201306718A (ko)
WO (1) WO2013018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5738B1 (ja) * 2014-05-16 2016-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ベースユニット、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および支持部材
KR20170078840A (ko) * 2014-12-19 2017-07-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유닛 장착 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닛 장착 장치의 제조 방법
US10631426B1 (en) * 2018-09-28 2020-04-2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s module mounting system
CN110198607A (zh) * 2019-05-27 2019-09-03 重庆金美通信有限责任公司 一种机箱内模件竖向紧固侧向贴紧的锁紧机构设计方法
JP7439468B2 (ja) * 2019-11-20 2024-02-28 富士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モジュール及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089A (ja) * 1995-11-10 1997-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の固定装置
JPH11346075A (ja) * 1998-06-02 1999-12-14 Yokogawa Electric Corp 入出力ユニット
JP3591705B2 (ja) * 1999-07-09 200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誤装着防止機構
JP2009076660A (ja) * 2007-09-20 2009-04-09 Yokogawa Electric Corp 回路基板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27Y2 (ja) * 1987-10-20 1994-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レドーム
JPH036890U (ko) * 1989-06-05 1991-01-23
JPH05191064A (ja) * 1992-01-17 1993-07-30 Fujitsu Ltd 電源パッケージの誤装着防止構造
DE102006027254B4 (de) * 2006-06-09 2009-01-15 Kautex Textron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hlkörp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urch Extrusionsblasformen
CN102210037A (zh) * 2008-09-09 2011-10-05 Cap-Xx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封装
TWM366863U (en) * 2009-06-06 2009-10-11 Topower Computer Ind Co Ltd Computer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089A (ja) * 1995-11-10 1997-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の固定装置
JPH11346075A (ja) * 1998-06-02 1999-12-14 Yokogawa Electric Corp 入出力ユニット
JP3591705B2 (ja) * 1999-07-09 200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誤装着防止機構
JP2009076660A (ja) * 2007-09-20 2009-04-09 Yokogawa Electric Corp 回路基板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02034B1 (ja) 2012-03-21
JPWO2013018170A1 (ja) 2015-02-23
DE112011105476T5 (de) 2014-04-17
TW201306718A (zh) 2013-02-01
WO2013018170A1 (ja) 2013-02-07
KR20140015599A (ko) 2014-02-06
CN103718662A (zh) 2014-04-09
US20140092577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786B1 (ko) 유니트 장착장치, 전자기기 시스템 및 유니트 장착장치의 제조방법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KR100933401B1 (ko) 커넥터
US8213182B2 (en) Housing case for housing electronic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EP2173014B1 (en) Substrate fix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EP2665131A2 (en) Attachment stru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JP5516308B2 (ja)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KR102131989B1 (ko) 카드용 커넥터
JP2010097727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TWI678031B (zh) 具有電纜連接器與安裝連接器之連接器裝置、及使用於該連接器裝置的連接器
US972373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4937429B2 (ja) 基板固定構造
US8971027B2 (en) Display device cabinet
US779884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jumper device
JP2007087903A (ja) 基板用コネクタ
JP524261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とバスバーの接続構造
KR101199243B1 (ko) 커넥터
JP4291176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装置
JPH10264163A (ja) インサート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938545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ct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arranged in a pitch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onnection direction
KR102066957B1 (ko) 카드용 커넥터
JP4382460B2 (ja) コンピュータ用カード
JP4171551B2 (ja) 成形回路基板及び部品保持具
JP2006216647A (ja) 位置規制爪およびシャーシ
KR100849950B1 (ko) 플라스틱금형 슬라이드 코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