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989B1 -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1989B1 KR102131989B1 KR1020130041757A KR20130041757A KR102131989B1 KR 102131989 B1 KR102131989 B1 KR 102131989B1 KR 1020130041757 A KR1020130041757 A KR 1020130041757A KR 20130041757 A KR20130041757 A KR 20130041757A KR 102131989 B1 KR102131989 B1 KR 1021319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card
- card member
- socket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노말 타입 또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가 장착되는 공통의 소켓을 가지는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도체부를 가지는 카드부재(41)와, 카드부재(41)가 재치되는 트레이(29)와, 트레이(29)가 장착되는 소켓(11)을 가지는 카드용 커넥터(10)로서, 소켓(11)은 컨택트(18)와 하우징(13)과 커버체(21)로 구성되고, 트레이(29)는 커버체(21)로 인접하는 평면부(30)와, 평면부(30)의 양단부에 마련된 측면부(32, 33)와, 측면부에 따른 지지부(35, 36)를 가지고, 도체부가 아래쪽을 향하여 재치되는 노말 타입의 트레이(29) 또는 커버체와 인접하는 평면부와, 평면부의 양단부에 마련된 측면부를 가지며, 도체부가 위쪽을 향하여 재치되는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이며, 하우징(13)에는 지지부(35, 36)가 끼워 넣어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해결수단] 도체부를 가지는 카드부재(41)와, 카드부재(41)가 재치되는 트레이(29)와, 트레이(29)가 장착되는 소켓(11)을 가지는 카드용 커넥터(10)로서, 소켓(11)은 컨택트(18)와 하우징(13)과 커버체(21)로 구성되고, 트레이(29)는 커버체(21)로 인접하는 평면부(30)와, 평면부(30)의 양단부에 마련된 측면부(32, 33)와, 측면부에 따른 지지부(35, 36)를 가지고, 도체부가 아래쪽을 향하여 재치되는 노말 타입의 트레이(29) 또는 커버체와 인접하는 평면부와, 평면부의 양단부에 마련된 측면부를 가지며, 도체부가 위쪽을 향하여 재치되는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이며, 하우징(13)에는 지지부(35, 36)가 끼워 넣어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나 SD(Secure Digital) 카드 등의 카드부재가 장착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재치(載置)되는 노말 타입의 트레이와,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위쪽을 향해 재치되는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가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켓을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SIM 카드나 SD 카드 등이 접속되는 카드용 커넥터가 탑재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카드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각종 카드가 재치되는 트레이가 구비되며, 이 트레이와 함께 카드의 출입이 행해지는 이른바 트레이식이 이용되고 있다. 트레이식의 커넥터에 이용되는 트레이는, 일반적으로 노말 타입의 트레이와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트레이 타입의 카드용 커넥터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평판 모양의 트레이, 평판 모양의 하우징, 커버판 및 복수의 외팔보 모양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트레이는 카드가 재치되는 대략 사각형의 제1 오목부를 가지며, 하우징은 프린트 기판의 단부(端部)에 배치되고, 트레이가 진퇴 가능한 제2 오목부를 가지며, 커버판은 하우징의 제2 오목부를 덮고, 컨택트는 하우징에 배열되며, 카드의 한쪽의 면에 마련한 접속단자와 프린트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구성이 간이하고, 노말 타입용의 트레이와 리버스 타입용의 트레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되며, 하우징, 커버판 및 복수의 컨택트로 구성되는 본체를 공용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고 되어 있다.
한편, 트레이식의 커넥터는 커넥터에 구비된 소켓 본체에 트레이의 부품이 추가된 구성이 되므로, 커넥터 자체의 제품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특허문헌 2에는 저배화(低背化)를 목적으로 한 SIM 카드용 커넥터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SIM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SIM 카드에 전기 접속된 접속기판 및 접속기판의 양측에 형성된 안내홈 유니트에 의해 구성된 케이스와, SIM 카드를 재치할 때에, 슬라이딩으로 안내홈 유니트에 접속되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트레이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금속제이며, SIM 카드를 재치하는 저면과, 슬라이딩으로 안내홈 유니트와 접속하기 위해서 저면의 가장자리를 굽혀 형성된 측벽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기 특허문헌 2의 SIM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SIM 카드가 재치되는 트레이의 저면은 종래의 부드러운 수지제의 트레이보다도 얇게 형성되면서, 외력에 대해서 보다 저항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SIM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트레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커넥터는 기판의 하측에 실장(實裝)되어 있고 SIM 카드의 도체부가 위쪽을 향하여 재치되는 이른바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를 가지는 커넥터이므로, 트레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SIM 카드의 도체부와 트레이가 단락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기판의 상측에 실장되어 있고 SIM 카드의 도체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재치되는 이른바 노말 타입의 트레이를 가지는 커넥터의 경우, 금속으로 형성된 트레이로 SIM 카드의 도체부를 지지하려고 하면, 트레이의 지지하는 부분이 SIM 카드의 도체부와 접촉하여 단락을 일으켜 버리기 때문에, 통상, 노말 타입의 트레이는 절연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를 수지로 형성하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지를 어느 정도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트레이를 작게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커넥터의 저배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는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를 이용했을 경우와, 수지로 형성된 노말 타입의 트레이를 이용했을 경우는 장착되는 소켓의 두께가 다르고, 각각의 트레이에 맞춘 소켓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에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소망의 형상의 트레이를 얻어도 된다(단락 [0022])」라는 기재가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노말 타입의 트레이를 이용했을 경우, 트레이와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접촉하면 단락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형성된 면에 도체부 이외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여분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지만, 최근, 사용되고 있는 SIM 카드나 SD 카드는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도체부 이외의 부분을 마련하는 스페이스도 삭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카드용 커넥터에 사용되는 노말 타입의 트레이에서는 소형화가 곤란하다는 과제도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트레이 타입의 카드용 커넥터와 같이, 노말 타입용의 트레이와 리버스 타입용의 트레이를 바꾸는 것으로, 트레이의 형상이 바뀌어 카드와 컨택트와의 거리가 바뀌고, 카드와 컨택트와의 접압도 바뀌어 버린다는 과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노말 타입의 트레이와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가 장착되는 소켓이 공통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카드부재가 재치되는 각 트레이의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을 금속재료로 형성해도 트레이의 금속제의 부분과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단락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한쪽의 면의 폭 방향 전체 및 삽입 방향에 대해서 적어도 앞쪽에 도체부가 마련된 카드부재와, 상기 카드부재가 재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켓을 가지는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소켓은 상기 도체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장착되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덮이는 금속제의 커버체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에는, 상기 트레이로서,
상기 소켓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커버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기 평면부와 반대 측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평면부와 대향하며, 상기 측면부를 따라서 마련된 세판체(細板體)로 형성된 상기 카드부재의 한쪽의 면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재치되는 노말 타입의 트레이와,
상기 소켓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커버체와 인접해서 배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상기 트레이의 요동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위쪽을 향해 재치되는 리버스 타입의 트레가 공통적으로 장착되며,
삭제
상기 소켓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의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부재를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에 재치하여 상기 소켓에 삽입했을 때,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카드부재의 도체부와 평행하게 되고, 상기 카드부재의 상기 폭 방향 외측 부분에 형성된 상기 도체부와 상기 트레이의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부재를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에 재치하여 상기 소켓에 삽입했을 때,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카드부재의 도체부와 평행하게 되고, 상기 카드부재의 상기 폭 방향 외측 부분에 형성된 상기 도체부와 상기 트레이의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 또는 상기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는 모두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카드부재가 상기 소켓에 재치되었을 때, 상기 카드부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측면부의 안쪽의 외면에는 각각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 내에는 상기 트레이의 제1 걸림부가 걸리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소켓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의 제1 걸림부와 상기 소켓의 제2 걸림부가 걸려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거리가 규제되고 있고,
상기 트레이의 앞쪽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과는 반대 측에는 상기 카드부재의 삽입이 규제되는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6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2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트레이의 측면부, 앞쪽 및 안쪽은, 수지재료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7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 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의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는 상기 트레이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의 카드부재에 의하면, 트레이가 노말 타입 또는 리버스 타입 중 어느 것이라도 공통된 소켓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소켓에 장착되는 트레이가 노말 타입인 경우, 하우징에는 노멀 트레이에 형성된 카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끼워 넣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홈부의 깊이는 지지부의 두께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레이에 재치된 카드부재를 소켓에 삽입했을 때, 트레이의 지지부가 하우징의 홈부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한편, 소켓에 장착되는 트레이가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인 경우, 하우징에 형성된 홈부는 소켓과 트레이의 장착에 관해서는, 하우징에 형성된 홈부는 관계없기 때문에, 카드부재를 커넥터에 문제없이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말 타입의 트레이에 형성된 지지부를 하우징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넣음으로써, 노말 타입 및 리버스 타입 중 어느 쪽의 트레이를 이용해도, 카드부재와 컨택트와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는 것으로 카드부재와 컨택트와의 접압(接壓)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노말 타입의 트레이와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를 공통의 소켓에 장착할 수 있으며, 다른 형상의 소켓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2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트레이의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트레이를 얇게 형성해도 고강도를 얻기 때문에, 카드용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하우징에는 트레이에 형성된 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끼워 넣어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레이에 재치된 카드부재를 소켓에 삽입했을 때, 트레이의 지지부가 하우징의 홈부에 끼워 넣어지게 되어, 금속재료로 형성된 트레이의 지지부와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접촉하여 단락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3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카드부재가 소켓에 재치되었을 때, 카드부재의 도체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컨택트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카드부재의 도체부와 컨택트의 접촉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또, 제4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트레이를 소켓으로부터 떼어낼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래예와 같이 카드부재를 안정적으로 배치시키는 벽 등을 트레이의 앞쪽에 형성하지 않아도, 트레이 자체가 안정됨으로써, 카드부재를 안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트레이에 이러한 벽 등을 형성하지 않고도 되기 때문에 트레이를 소형으로 할 수 있으며, 카드용 커넥터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의 앞쪽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카드부재의 빼고 꽂기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카드부재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트레이를 소켓으로부터 떼어낼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트레이가 분실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 제5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트레이에 삽입되는 카드부재가 벽부에 의해 삽입이 방지되기 때문에, 카드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카드부재를 가압함으로써, 트레이마다 소켓 내에 밀어넣을 수 있어, 카드부재 및 트레이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6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에 닿는 트레이의 측면부, 앞쪽 및 안쪽이 수지재료로 덮여 있으므로, 사용자가 금속제의 단부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7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카드용 커넥터 및 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카드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및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 중 도 3의 A는 도 2의 IIIA-IIIA선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의 IIIB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하우징 및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 중 도 6의 A는 트레이에 카드부재를 재치한 상태의 위쪽으로부터의 사시도이며, 도 6의 B는 하부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7 중 도 7의 A ~ 도 7의 C는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부재를 장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중 도 8의 A는 도 7의 C의 VIIIA부의 카드부재를 생략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의 B는 도 7의 C의 VIIIB부의 카드부재를 생략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C의 IX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카드용 커넥터 및 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의 카드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및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2 중 도 12의 A는 도 11의 XIIA-XIIA선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XIIB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 중 도 13의 A ~ 도 13의 C는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부재를 장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카드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및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 중 도 3의 A는 도 2의 IIIA-IIIA선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의 IIIB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하우징 및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 중 도 6의 A는 트레이에 카드부재를 재치한 상태의 위쪽으로부터의 사시도이며, 도 6의 B는 하부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7 중 도 7의 A ~ 도 7의 C는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부재를 장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중 도 8의 A는 도 7의 C의 VIIIA부의 카드부재를 생략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의 B는 도 7의 C의 VIIIB부의 카드부재를 생략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C의 IX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카드용 커넥터 및 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의 카드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및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2 중 도 12의 A는 도 11의 XIIA-XIIA선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XIIB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 중 도 13의 A ~ 도 13의 C는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부재를 장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카드용 커넥터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것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1]
도 1 ~ 도 9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1의 카드용 커넥터(이하, 간단히 「커넥터」라 한다.)(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넥터(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모양의 카드부재(41)가 재치되는 트레이(29)와, 트레이(29)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켓(11)으로 구성되고, 미도시의 기판 등에 실장되어 이용된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커넥터(10)에서는, 카드부재(41)는 한쪽의 면에 도체부(42)(도 6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도체부(42)가 아래쪽을 향해서 트레이(29)에 재치되는 이른바 노말 타입의 커넥터이다. 또, 이하에서는, 커넥터에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을 앞쪽으로 하고, 그 반대 측을 안쪽으로 한다.
우선, 도 1 ~ 4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의 소켓(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켓(11)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복수의 컨택트(18)와, 컨택트(18)가 장착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13)과, 이 하우징(13)이 덮이는 커버체로 구성되고, 한쪽에 트레이(29)가 슬라이딩되어 출입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3)은 도 4에 나타내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평판체에 구성된 절연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평판체의 트레이(29)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변에는 일부에 절개부(15a)가 마련된 입설부(立設部)(15)를 가지고 있고, 이 입설부(15)의 외측에는 복수의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15a) 및 돌기(16)는 후술하는 커버체(21)와의 장착에 이용된다.
또, 하우징(13)에는 후술하는 컨택트(18)가 배치되었을 때 컨택트(18)의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의 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3)의 양단변 측에는 다른 부분의 하우징(13)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된 홈부(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7)는 후술하는 트레이(29)의 한 쌍의 지지부(35, 36)가 끼워 넣어질 수 있는 형상 및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1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부재(41)에 마련된 복수로 구분된 도체부(42)와 접촉되는 접촉부(19)와, 커넥터(10)가 기판 등에 실장(實裝)되었을 때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20)를 가지고, 각 접촉부(19) 및 접속부(20)와 미도시의 컨택트 본체로 일체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며, 하우징(13)과 일체로 모듈 성형되어 있다. 하우징(13)의 개구(14)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컨택트(18)의 접촉부(19)는 각각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11)에 장착된 카드부재(41)에 의해 변형되는데 저항하여, 카드부재(41)를 위쪽으로 가압하도록 된다. 또, 접속부(20)는 하우징(13)의 한쪽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커버체(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3)과 대향하도록 마련된 평판 모양의 상면(22)과, 이 상면(22)의 트레이(29)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변이 굴곡되어 형성된 측면(23, 24)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측면(23, 24)에는 상술한 하우징(13)의 입설부(15)에 형성된 절개부(15a) 및 돌기(16)와 대응하도록, 연설부(延設部)(26) 및 맞물림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체(21)의 트레이(29)가 출입하는 측과 반대 측에는 상면(22)의 일부가 하우징 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규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28)는 트레이(29)가 삽입되었을 때, 트레이(29)가 지나치지 않도록 규제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커버체(21)의 연설부(26) 및 규제부(28)의 저부는 커넥터(10)가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 기판과 납뗌 등으로 고정되는 부분도 되어, 커넥터의 실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소켓(11)의 개구부(12)와 근접하는 커버체(21)의 양측면(23, 24)에는 돌기 모양의 제2 걸림부(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트레이(29)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레이(29)는 카드부재(41)를 커넥터(10)에 장착시킬 때에 카드부재(41)를 재치시켜, 카드부재(41)를 소켓(11)으로부터 출입하기 위한 것이다.
트레이(29)는, 소켓(11)에 재치되었을 때, 상측에 배치되는 평면부(30)와, 이 평면부(30)의 트레이(29)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로부터 굴곡되어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32, 33)와, 이 측면부(32, 33)의 아래쪽으로부터 평면부(30)와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지지부(35, 36)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금구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부(32, 33)는 후술하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호부에 의해 덮여 있다.
평면부(30)는 트레이(29)의 본체가 되는 부분이며, 면적이 큰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평면부(30)의 앞쪽, 즉 카드부재(41)가 삽입되는 측에는 카드부재(41)를 빼내기 쉽게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레이(29)가 소켓(11)에 장착되었을 때, 트레이(29)의 평면부(30)가 소켓(11)의 커버체(21)의 상면(22) 측에 배치된다.
측면부(32, 33)는 평면부(30)의 한 쌍의 단변으로부터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29)에 재치되는 카드부재(41)의 두께에 비해 조금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즉, 트레이(29)에 카드부재(41)가 재치되었을 때, 후술하는 지지부(35, 36)와 카드부재(41)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측면부(32, 33)가 형성된다. 또, 측면부(32, 33)의 안쪽, 즉 카드부재(41)가 삽입되는 측과 반대 측에는 소켓(11)의 커버체(21)에 형성된 돌기 모양의 제2 걸림부(25)와 걸리는 웅덩이 모양의 제1 걸림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 36)는 트레이(29)에 카드부재(41)가 재치되었을 때, 카드부재(41)의 도체부(42)를 지지하는 부분이 되고, 측면부(32, 33)의 하측으로부터 평면부(30)와 대향하여 굴곡하여 마련된 한 쌍의 세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 36)는 측면부(32, 33)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3)의 컨택트(18)가 마련된 부분에 걸리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 36)의 형상은 카드부재(41)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면, 도 6의 B에 나타낸 형상 이외에도, 하우징(13)에 형성된 홈부(17)에 끼워넣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9)의 안쪽에는 카드부재(41)가 삽입되었을 때에, 카드부재(41)의 삽입이 규제되는 벽부(37)가 측면부(32, 33) 및 평면부(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트레이(29)의 앞쪽에는 소켓(11)에 삽입된 트레이(29)를 뽑아내기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38)가 측면부(32, 33)의 적어도 한쪽에 세워져 있다. 또한, 트레이(29)의 앞쪽은 카드부재(41)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트레이(29)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트레이(29)의 측면부(32, 33), 앞쪽 및 안쪽 등에 닿아 상처 나는 것 등을 억제하기 위해서,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호부(39)로 덮여 있다. 이 보호부(39)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트레이를 수지 등으로 몰드 성형하여 형성된다. 또, 이 보호부(39)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목적은 사용자의 보호에 있기 때문에, 극히 얇게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트레이의 저배화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으로, 주로 도 7 ~ 도 9를 참조하여 커넥터(10)로의 카드부재(41)의 장착과 떼어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10)로의 카드부재(41)의 장착에 대해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소켓(11)으로부터 트레이(29)를 인출한다. 이 때,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이른바 노말 타입의 트레이(29)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카드부재(41)의 도체부(42)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부재(41)를 트레이(29)의 앞쪽이 개방된 개방부(40)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카드부재(41)는 트레이(29)의 지지부(35, 36)의 위에 재치된 상태이므로, 카드부재(41)의 도체부(42)와 트레이(29)의 지지부(35, 36)는 접촉한 상태이다(도 6의 B 참조). 이 때, 커넥터(10)에는 통전되어 있지 않으므로, 카드부재(41)와 트레이(29)가 단락하지 않는다. 또, 트레이(29)의 안쪽에는 벽부(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드부재(41)는 벽부(37)와 맞닿게 됨으로써 삽입이 규제되어, 정(定)위치에 배치되게 된다(도 6의 A, 도 6의 B 참조).
그 후,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1) 내에 카드부재(41) 및 트레이(29)를 밀어넣어, 소켓(11)에 장착시킨다. 이 때, 소켓(11)의 커버체(21)의 안쪽에 형성된 규제부(28)에 의해 트레이(29)의 삽입이 규제되어, 정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29)에 형성된 지지부(35, 36)는 하우징(13)에 형성된 홈부(17)에 끼워 넣어지고(도 3, 도 8의 A, 도 8의 B 참조), 또, 카드부재(41)는 하우징(13)에 마련된 컨택트(18)의 접촉부(19)와 도체부(42)가 접촉함으로써, 카드부재(41)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부재(41)와 트레이(29)의 지지부(35, 36)와의 사이에 틈새(43)가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노말 타입의 트레이(29)를 금속재료로 형성해도 카드부재(41)와의 단락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레이(29)를 금속재료로 형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트레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는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 즉 실시형태 1에서는 평면부 및 지지부가 금속재료로 형성됨으로써 트레이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컨택트(18)의 접촉부(19)에 카드부재(41)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변형되어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해 둠으로써, 카드부재(41)와 트레이(29)의 지지부(35, 36)와의 사이에 틈새를 보다 확실히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10)로부터 카드부재(41)의 떼어냄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드부재(41)를 커넥터(1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는, 우선,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에 삽입된 트레이(29)를 카드부재(41)가 재치된 상태인 채로 뽑아낸다. 즉, 트레이(29)의 앞쪽의 측면부(32)에 마련된 손잡이부(38)를 손가락 등으로 걸어 뽑아내어, 도 7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 한다. 그 후, 카드부재(41)의 앞쪽을 손가락 등으로 잡고, 그대로 뽑아냄으로써 카드부재(41)의 떼어냄이 행해진다(도 7의 A 참조). 이 때, 트레이(29)의 평면부(30)에는 앞쪽에 절개부(3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카드부재(41)를 뽑아내기 쉽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의 커넥터에서는 노말 타입의 트레이가 장착되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실시형태 2의 커넥터에서는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가 장착되었을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커넥터와 공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 도 13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의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커넥터(10A)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평판 모양의 카드부재(41)가 재치되는 트레이(29A)와, 트레이(29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켓(11)으로 구성되며, 미도시의 기판 등에 실장되어 이용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커넥터(10A)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부재(41)는 한쪽의 면에 도체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체부(42)가 위쪽을 향하여 트레이(29A)에 재치되는 이른바 리버스 타입의 커넥터(10A)이다. 또, 이하에서는, 커넥터에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을 앞쪽으로 하고, 그 반대 측을 안쪽으로 한다.
실시형태 2의 소켓(11)은 실시형태 1의 소켓(1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 도 2, 도 4, 도 10 ~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1)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복수의 컨택트(18)와, 컨택트(18)가 장착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13)과, 이 하우징(13)이 덮이는 커버체로 구성되며, 한쪽에 트레이(29)가 슬라이딩되어 출입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하우징(13)에도 트레이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양단부에는 홈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 1의 하우징(13)과 동일하다. 또, 실시형태 2의 소켓(11)은 커넥터(10A)에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29A)가 장착되기 위해, 실시형태 1의 소켓(11)에 대해, 위아래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기판 등에 실장되게 된다(도 10 참조). 또한, 소켓(11)을 구성하는 하우징(13), 컨택트(18) 및 커버체(21)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하우징(13), 컨택트(18) 및 커버체(21)의 각 구성과 공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0 ~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2의 트레이(29A)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트레이(29A)는 카드부재(41)를 커넥터(10A)에 장착시킬 때에, 카드부재(41)를 재치시켜 카드부재(41)를 소켓(11)으로부터 출입하기 위한 것이다. 트레이(29A)는, 소켓(11)에 재치되었을 때, 하측에 배치되는 평면부(30A)와, 이 평면부(30A)의 트레이(29A)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로부터 굴곡되어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32A, 33A)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금속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부(32A, 33A)는 후술하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호부에 의해 덮여 있다.
평면부(30A)는 트레이(29A)의 본체가 되는 부분이며, 면적의 큰 판상체로 형성되고, 이 면에 카드부재(41)가 도체부(42)를 위쪽으로 하여 재치되게 된다. 측면부(32A, 33A)는 평면부(30A)의 한 쌍의 단변으로부터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측면부에 의해 트레이(29A)에 재치되는 카드부재(41)를 가이드하여 트레이(29A)의 평면부(30A)의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 측면부(32A, 33A)의 안쪽, 즉 카드부재(41)가 삽입되는 측과 반대 측에는 소켓(11)의 커버체(21)에 형성된 돌기 모양의 제2 걸림부(25)와 걸리는 웅덩이 모양의 제1 걸림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는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 즉 실시형태 2에서는 평면부를 금속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트레이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트레이(29A)의 안쪽에는 카드부재(41)가 삽입되었을 때에, 카드부재(41)의 삽입이 규제되는 벽부(37A)가 측면부(32A, 33A) 및 평면부(30A)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29A)의 앞쪽에는, 소켓(11)에 삽입된 트레이(29A)를 뽑아내기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38A)가 측면부(32A, 33A)의 적어도 한쪽에 세워져 있다. 더욱이 또한, 트레이(29A)의 앞쪽에는 카드부재(41)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40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트레이(29A)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트레이(29A)의 측면부(32A, 33A), 앞쪽 및 안쪽 등에 닿아 상처 나는 것 등을 억제하기 위해서,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호부(39A)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보호부(39A)의 효과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커넥터(10A)로의 카드부재(41)의 장착과 떼어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10A)로의 카드부재(41)의 장착에 대해서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A)의 소켓(11)으로부터 트레이(29A)를 인출한다. 이 때, 실시형태 2의 커넥터(10A)는, 이른바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29A)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카드부재(41)의 도체부(42)가 위쪽을 향하도록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부재(41)를 트레이(29A)의 앞쪽이 개방된 개방부(40A)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카드부재(41)는 트레이(29A)의 평면부(30A)의 위에 재치된 상태이다. 또한, 트레이(29A)의 안쪽에는 벽부(37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드부재(41)는 벽부(37A)와 맞닿게 됨으로써 삽입이 규제되어, 정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 후, 도 1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1) 내에 카드부재(41) 및 트레이(29A)를 밀어넣어, 소켓(11)에 장착시킨다. 이 때, 소켓(11)의 커버체(21)의 안쪽에 형성된 규제부(28)에 의해 트레이(29A)의 삽입이 규제되어, 정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카드부재(41)는 하우징(13)에 마련된 컨택트(18)의 접촉부(19)와 도체부(42)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하우징(13)에 형성된 홈부(17)는 실시형태 2의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29A)의 출입에 대해서 관계없기 때문에, 문제없이 행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시형태 2의 금속재료로 형성된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29A)는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소켓(11)을 이용한 커넥터(10A)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택트(18)의 접촉부(19)에 카드부재(41)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변형되어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해 둠으로써, 카드부재(41)가 가압되는 것으로 도체부(42)와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10A)로부터 카드부재(41)의 떼어냄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드부재(41)를 커넥터(10A)로부터 떼어내는 경우는, 우선, 도 1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A)에 삽입된 트레이(29A)를 카드부재(41)가 재치된 상태인 채로 뽑아낸다. 즉, 트레이(29A)의 앞쪽의 측면부(33A)에 마련된 손잡이부(38A)를 손가락 등으로 걸어 뽑아내어, 도 13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 한다. 그 후, 카드부재(41)의 앞쪽을 손가락 등으로 잡고, 그대로 뽑아냄으로써 카드부재(41)의 떼어냄이 행해진다(도 13의 A 참조).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2의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29A)를 이용한 커넥터(10A)에서는, 실시형태 1의 노말 타입의 트레이(29)를 이용한 커넥터(10)에서는 하우징에 홈부(17)를 형성하고, 이 홈부(17)에 노말 타입의 트레이(29)를 구성하는 지지부(35, 36)가 끼워 넣어지도록 함으로써, 위아래를 반대로 한 상태이지만 공통의 구성을 가진 소켓(11)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를 금속제로 하고, 노말 타입의 트레이를 수지성 재료로 형성하고 있던 것을, 노말 타입 및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를 모두 금속재료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각각의 트레이에 맞추어 다른 형상의 소켓을 제조할 필요가 없고,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말 타입의 트레이에 형성된 지지부가 하우징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노말 타입 및 리버스 타입의 어느 쪽의 트레이를 이용해도, 카드부재와 컨택트와의 거리가 동일하게 됨으로써 카드부재와 컨택트와의 접압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 1 및 2의 커넥터(10, 10A)에서는, 트레이(29, 29A)는 소켓(11)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소켓(11)으로부터 트레이(29, 29A)를 뽑아내려고 했을 때, 소켓(11)의 커버체(21)에 형성된 제2 걸림부(25)와 트레이(29, 29A)의 측면부(32, 32A, 33, 33A)에 형성된 제1 걸림부(34, 34A)가 걸려지므로, 트레이(29, 29A)는 소켓(1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 카드부재(41)를 안정적으로 배치시키는 벽 등을 트레이(29, 29A)의 앞쪽에 형성하지 않아도, 트레이 자체의 배치 상태가 안정되기 때문에, 카드부재(41)를 문제 없이 재치시킬 수 있다. 또, 트레이(29, 29A)에 이러한 벽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트레이(29, 29A)를 소형으로 할 수 있어, 보다 커넥터(10, 10A)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9, 29A)의 앞쪽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카드부재(41)의 빼고 꽂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트레이(29, 29A)의 분실을 억제할 수 있다.
10, 10A : 커넥터 11 : 소켓
12 : 개구부 13 : 하우징
14 : 개구 15 : 입설부
15a : 절개부 16 : 돌기
17 : 홈부 18 : 컨택트
19 : 접촉부 20 : 접속부
21 : 커버체 22 : 상면
23, 24 : 측면 25 : 제2 걸림부
26 : 연설부 27 : 맞물림 구멍
28 : 규제부 29, 29A : 트레이
30, 30A : 평면부 31 : 절개부
32, 32A, 33, 33A : 측면부 34, 34A : 제1 걸림부
35,36 : 지지부 37, 37A : 벽부
38, 38A : 손잡이부 39, 39A : 보호부
40, 40A : 개방부 41 : 카드부재
42 : 도체부 43 : 틈새
12 : 개구부 13 : 하우징
14 : 개구 15 : 입설부
15a : 절개부 16 : 돌기
17 : 홈부 18 : 컨택트
19 : 접촉부 20 : 접속부
21 : 커버체 22 : 상면
23, 24 : 측면 25 : 제2 걸림부
26 : 연설부 27 : 맞물림 구멍
28 : 규제부 29, 29A : 트레이
30, 30A : 평면부 31 : 절개부
32, 32A, 33, 33A : 측면부 34, 34A : 제1 걸림부
35,36 : 지지부 37, 37A : 벽부
38, 38A : 손잡이부 39, 39A : 보호부
40, 40A : 개방부 41 : 카드부재
42 : 도체부 43 : 틈새
Claims (7)
- 한쪽의 면의 폭 방향 전체 및 삽입 방향에 대해서 적어도 앞쪽에 도체부가 마련된 카드부재와, 상기 카드부재가 재치(載置)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켓을 가지는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소켓은 상기 도체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장착되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덮이는 금속제의 커버체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에는, 상기 트레이로서,
상기 소켓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커버체와 인접해서 배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기 평면부와 반대 측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평면부와 대향하며, 상기 측면부를 따라서 마련된 세판체(細板體)로 형성된 상기 카드부재의 한쪽의 면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재치되는 노말 타입의 트레이와,
상기 소켓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커버체와 인접해서 배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위쪽을 향하여 재치되는 리버스 타입의 트레가 공통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소켓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의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부재를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에 재치하여 상기 소켓에 삽입했을 때,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카드부재의 도체부와 평행하게 되고, 상기 카드부재의 상기 폭 방향 외측 부분에 형성된 상기 도체부와 상기 트레이의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말 타입의 트레이 또는 상기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는 모두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카드부재가 상기 소켓에 재치되었을 때, 상기 카드부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측면부의 안쪽의 외면에는 각각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 내에는 상기 트레이의 제1 걸림부가 걸리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소켓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의 제1 걸림부와 상기 소켓의 제2 걸림부가 걸려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거리가 규제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의 앞쪽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과는 반대 측에는, 상기 카드부재의 삽입이 규제되는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측면부, 앞쪽 및 안쪽은, 수지재료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 청구항 1 ~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의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는 상기 트레이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094262A JP2013222631A (ja) | 2012-04-17 | 2012-04-17 | カード用コネクタ |
JPJP-P-2012-094262 | 2012-04-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7685A KR20130117685A (ko) | 2013-10-28 |
KR102131989B1 true KR102131989B1 (ko) | 2020-07-08 |
Family
ID=4925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1757A KR102131989B1 (ko) | 2012-04-17 | 2013-04-16 | 카드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3222631A (ko) |
KR (1) | KR102131989B1 (ko) |
CN (1) | CN203225369U (ko) |
TW (1) | TWM476395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72751B (zh) * | 2014-05-20 | 2017-02-15 |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JP5986255B1 (ja) * | 2014-06-06 | 2016-09-0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
KR101596316B1 (ko) | 2015-02-03 | 2016-02-22 | 몰렉스 엘엘씨 | 전자기기용 카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 캐리어 조립체 |
JP6416018B2 (ja) * | 2015-03-05 | 2018-10-31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
CN105826754B (zh) * | 2015-09-09 | 2021-03-1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卡组合连接装置及电子设备 |
KR101844773B1 (ko) * | 2016-11-17 | 2018-04-05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스위치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
WO2019000289A1 (zh) * | 2017-06-28 | 2019-01-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的结构及电子设备 |
US11404858B2 (en) * | 2018-10-30 | 2022-08-02 | Scott Norris | Quick connect mount for electrical fix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eiling mounted fixture to an electrical junction box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6418Y1 (ko) | 2005-11-04 | 2006-01-20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메모리카드 어댑터 |
JP2006127808A (ja) * | 2004-10-26 | 2006-05-18 | Alps Electric Co Ltd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2006127811A (ja) | 2004-10-26 | 2006-05-18 | Alps Electric Co Ltd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2007193733A (ja) * | 2006-01-23 | 2007-08-02 | Nec Saitama Ltd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JP2010170707A (ja) * | 2009-01-20 | 2010-08-05 | Kyocera Elco Corp | トレイ式カード用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6458B1 (ko) | 2008-03-26 | 2015-02-26 | 타이코에이엠피(유) | 심 카드의 커넥터 |
JP5480002B2 (ja) | 2010-04-30 | 2014-04-23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トレイタイプのカード用コネクタ |
-
2012
- 2012-04-17 JP JP2012094262A patent/JP2013222631A/ja active Pending
-
2013
- 2013-04-16 KR KR1020130041757A patent/KR1021319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4-16 CN CN201320189981XU patent/CN203225369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4-16 TW TW102206855U patent/TWM476395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7808A (ja) * | 2004-10-26 | 2006-05-18 | Alps Electric Co Ltd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2006127811A (ja) | 2004-10-26 | 2006-05-18 | Alps Electric Co Ltd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KR200406418Y1 (ko) | 2005-11-04 | 2006-01-20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메모리카드 어댑터 |
JP2007193733A (ja) * | 2006-01-23 | 2007-08-02 | Nec Saitama Ltd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JP2010170707A (ja) * | 2009-01-20 | 2010-08-05 | Kyocera Elco Corp | トレイ式カード用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M476395U (en) | 2014-04-11 |
KR20130117685A (ko) | 2013-10-28 |
CN203225369U (zh) | 2013-10-02 |
JP2013222631A (ja) | 2013-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1989B1 (ko) | 카드용 커넥터 | |
US9960536B2 (en) |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 |
EP1453149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687475B1 (ko) | 커넥터 조립체 | |
KR101496458B1 (ko) | 심 카드의 커넥터 | |
US9875432B2 (en) |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 |
JP5049003B2 (ja) | カードコネクタ及びハウジングSubAssyの製造方法 | |
JP4030954B2 (ja) | レセプタクル電気コネクタ | |
US20090081890A1 (en) |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 |
JP2007234472A (ja) | カードコネクタ | |
CN107204544B (zh) | 卡缘连接器 | |
US20090258518A1 (en) |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 flange-like plane portion | |
JP5457888B2 (ja) | カードコネク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KR102066957B1 (ko) | 카드용 커넥터 | |
JP6061084B2 (ja) | カードコネクタ | |
CN101262094B (zh) | 电子卡连接器 | |
KR101402999B1 (ko) | 심카드 커넥터용 컨택트 단자 | |
JP5884839B2 (ja) | カードコネクタ | |
CN113394581B (zh) | 一种电子卡连接器 | |
KR20140046183A (ko) | 슬림형 마이크로심 커넥터 | |
JP2005339837A (ja) | 低背カードコネクタ | |
KR101586255B1 (ko) | 심 카드 가이드부를 구비한 심 카드 소켓 | |
KR101316847B1 (ko) |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 소켓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15675B1 (ko) | 듀얼 소켓 | |
JP2010140144A (ja) | Icカード用ソケット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