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775B1 - Wi-fi 신호 기반 근접 검출을 위한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Wi-fi 신호 기반 근접 검출을 위한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775B1
KR101470775B1 KR1020137012234A KR20137012234A KR101470775B1 KR 101470775 B1 KR101470775 B1 KR 101470775B1 KR 1020137012234 A KR1020137012234 A KR 1020137012234A KR 20137012234 A KR20137012234 A KR 20137012234A KR 101470775 B1 KR101470775 B1 KR 10147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computing device
proximity detection
determining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498A (ko
Inventor
저스틴 립맨
트레보 페링
쳉슈 자오
켄튼 라이온스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7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Wi-Fi 신호에 근거한 근접 검출을 위한 메커니즘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및 제 2 디바이스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사이에서 통신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패킷(broadcast packet)과 관련된다.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신호의 결정된 강도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의 근접(proximity)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WI-FI 신호 기반 근접 검출을 위한 메커니즘{MECHANISM FOR PROXIMITY DETECTION BASED ON WI-FI SIGNALS}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의 냉각 해결책(cooling solutions)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Wi-Fi 신호 기반 근접 검출(proximity detection)을 위한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컴퓨팅에서의 현재 트렌드는 랩탑, 스마트폰 등과 같이 비슷한 디바이스들 사이, 또는 인프라 스트럭쳐 내 한 요소(an element)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 중 하나에서 지역 분산 시스템(local distributed system)에 기초하여 새로운 사용 모델(new usage models)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계속 성장하는 이러한 트렌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 근접을 계산하는 종래 해결책(예를 들어,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 근접 또는 거리)은 범위(scope)에 있어 제한되고/되거나 비효율적이다. 하나의 해결책은 작동될 디바이스 사이의 매우 가까운 거리(예를 들어, 10cm)를 요구하는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NFC 해결책은 작은 스마트폰 디바이스를 고정된 POS(Point of Sale) NFC 리더기와 통합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작동될 수 있지만, 그룹 환경(예를 들어, 교실) 내 퍼스널 컴퓨터(PCs), 노트북과 같은 두 개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이러한 NFC 해결책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NFC 접속점의 정확한 위치를 요구하기 때문에 작동되지 않는다.
또 다른 종래 해결책은 단일 안테나 RSSI 측정 기술이다. 하지만, 이 기술은 다중 경로 신호 전파(multiple-path signal propagation) 및 간섭의 다른 원인(sources)에 의해 야기되는 높은 분산 신호 강도 측정(high variance signal strength measurements)으로 인해 적합하지 않다. 또 다른 종래 해결책은 시간 동기화(time synchronization)인데, 이것은 전형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타임 프로토콜(over-the-network Network Time Protocol(NTP))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이 해결책은 넓은 영역에 걸쳐 시스템 클록을 사용자 감지 레벨(user-perceptible levels)로 동기화하는데 적합하지만, 오디오 공-국부화(co-localization)를 실시하는데 필수적인 정밀 파인-그레인(tight fine-grain) 동기화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의 특징에 대한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설명되는데, 여기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안테나로부터 내보내진 신호의 Wi-Fi 신호 강도를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근접을 검출하는 멀티-안테나 근접 검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라 멀티 안테나 기반 근접 검출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신호를 사용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근접을 검출하는 정밀 시간 동기화 메커니즘(tight time synchronization mechanism)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안테나 기반 근접 검출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근접을 검출하는 적응형 클럭킹(adaptive clocking) 기술 기반 근접 검출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응형 클럭킹 기술 기반 근접 검출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Wi-Fi 신호에 근거한 근접 검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및 제 2 디바이스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사이에서 통신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패킷(broadcast packet)과 관련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의 상기 결정된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근접(proximity)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Wi-Fi 신호는 두 개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노트북 또는 랩톱,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마트폰 등) 사이의 근접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컴퓨터,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 머신, 또는 단순히 디바이스 등의 동의어로 언급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컴퓨터상에서 이용되는 Wi-Fi 안테나는 근접 측정을 제공하도록, 예를 들어, 컴퓨터의 좌우 안테나 사이의 신호 강도 분화(signal strength differentiaion)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 기법은 근접에 관한 다중 측정을 제공하도록, 각 디바이스상에서 두 개 이상의 안테나의 전략적인 배치를 이용하는데, 이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상대적인 방향 및 측면(예를 들어, 좌, 우, 앞, 뒤)의 결정 및 근접 검출을 개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Wi-Fi 액세스 포인트 비콘(access point beacons)은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정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오디오-기반 공-국부화(audio-based co-localization)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응형 클럭킹이 (인근 디바이스와 관련된) 국부적 간섭(local interferences)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이러한 간섭은 그 이후 근접을 측정하는 신호로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내보내지는 신호의 Wi-Fi 신호 강도를 이용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 사이의 근접을 검출하는 멀티-안테나 근접 검출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컴퓨팅 디바이스 A(102) 및 B(104)(예를 들어, PC, 랩톱, 핸드헬드 등)는 주어진 근접에 도시되고, 디바이스상에 각각 위치된 복수의 Wi-Fi 안테나 A1-A2(122-124) 및 B1-B2(126-128)(예를 들어, IEEE 802.11b 기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교실 환경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A(102) 및 B(104)는, 자신만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가진 다수의 학생 및 심지어 교수 중에서 두 명의 학생에 의해 사용되는 두 개의 컴퓨터 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복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임의의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근접 검출이 매우 큰 규모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과 관련된다는 것을 고려하지만, 간결성, 간단함, 및 쉬운 이해를 위해, (도 1에 관한 예시와 같이) 더 간단한 예시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고,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러한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안테나(122-128)에 의해 송출되는 각 신호와 관련된 신호 강도의 측정이 결정되고 그 이후 신호 강도의 상대 오차(relative difference)가 디바이스들(102, 104) 사이의 거리 또는 근접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가 더 멀리 이동할수록, 더 많이 떨어진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 추정(estimate)은 계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신호가 B1(126)으로부터 A1(122) 및 A2(124)로 송신된다면, B1(126) 및 A2(124) 사이의 신호는 B1(126) 및 A1(122) 사이의 신호보다 더 크다는 것이 예상되고, 이러한 신호의 크기(loudness) 및 드롭 오프(dropping off)는 컴퓨팅 디바이스 A(102) 및 B(104) 사이에서 디바이스 근접 추정(estimate)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안테나(122-128) 사이의 4개 쌍별(pair-wise) 거리: A1(122)-B1(126)=2d; A2(124)-B2(128)=2d; A2(124)-B1(126)=1d; 및 A1(122)-B2(128)=3d 가 있다. 컴퓨팅 시스템(102, 104) 사이의 거리 제곱(d^2) 신호 강도 드롭 오프를 고려해 볼 때, A2(124) 및 B1(126)는 A1(122) 및 B2(128) 보다 9배 더 높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갖는 것으로 기대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 A(102) 및 B(104)에 대한 좌-우 근접이 더 높은 디퍼렌셜(a higher differential)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시된 것과 같이, 신호 강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거리, 2d인 A1-B1 거리(164)는 A2-B2 거리(166)와 같고, 1d는 안테나 A2(124) 및 B1(126) 사이에 있는 가장 짧은 거리로 측정되고, 거리 3d는 안테나 A1(122) 및 B2(128) 사이에 있는 가장 긴 거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102, 104)는 Wi-Fi 어탭터/라디오(132,134)를 포함하는데, 이는 두 개의 컴퓨팅 디바이스 A(102) 및 B(104) 사이의 안테나(122-128)을 통해 전송되는 RSSI 신호를 측정 및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각 디바이스(102, 104)는 멀티 안테나 근접 검출 메커니즘(142, 152)(멀티-안테나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2, 104)의 근접을 추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멀티 안테나 메커니즘(142, 152)은 다수의 컴포넌트(144-148, 154-158)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 컴포넌트로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모드 변경기(mode changer)(144, 154)는 근접을 측정할 때 각 디바이스(102, 104)상의 신호 모드를 변경하는데 사용되어 그 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데이터는 무관해지고 초점(focus)은 신호 강도로 시프트(shift)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모드 변경은 전송(transmitting) 및 수신(receiving) 디바이스 둘 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멀티 안테나 메커니즘(142, 152)은 근접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두 개 디바이스(102, 104)와 관련된 (물리적 배치와 같은) 관련 정보(148, 158)로의 접근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근접은, 두 디바이스(102, 104)의 물리적 배치(layout)에 기초하여, 더 높은 디퍼렌셜(differential)을 가지도록 좌-우 근접(left-light proximity)으로 결정된다. 비슷하게, 근접은 위-아래, 아래-위, 우-좌 등과 같을 수 있다.
멀티 안테나 메커니즘(142, 152)이 포함하는 다른 컴포넌트는 근접 추정기(estimator)이다. 일 실시예에서, 근접 추정기(146, 156)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2, 104) 사이의 근접을 계산하거나 추정한다. 다시 말해, 근접 추정기(146, 156)는, 관련 정보(148, 158), Wi-Fi 어댑터/라디오(132, 134) 등을 통해 얻어진 필요 정보를 고려하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호 강도에 기초한 근접의 최종 계산 또는 추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멀티 안테나 메커니즘(142, 152)은 내장형 Wi-Fi 어댑터/라디오(132, 134)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전략적으로-배치된 안테나(122-128)를 사용하여, 주어진 거리 내(예를 들어, 1미터 이하)에서 서로에 대한 디바이스(102, 104)의 위치 상황(location aspect)(예를 들어, 좌, 우, 앞, 및 뒤)을 결정한다. 수신된 발견(discovery) 패킷 또는 각 브로드캐스트에 대한 각 안테나에서의 RSSI(122-128)는, 안테나 A1(122) 및 안테나 B2(128)와 같은 (그 사이에 신호가 방송되고 있는) 두 안테나 사이의 디퍼렌셜 표시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좌측 안테나(예를 들어, A1(122))에서 측정된 RSSI가 시스템(100)의 우측 안테나(예를 들어, B2(128))에서의 측정보다 눈에 띄게 크다면, 이후 타겟(target) 디바이스는 좌측 근처 내에 있거나, 우측 안테나(예를 들어, B2(128)) 상에서 측정된 RSSI가 좌측 안테나(예를 들어, A1(122))에서의 측정보다 눈에 띄게 크다면, 타겟 디바이스는 우측 근처에 있다. d^2의 무선 자유 공간 경로 손실(감쇠)로 인해, 안테나, 예를 들어, A1(122) 및 B2(128), 사이에서 측정 가능한 차이(a measurable difference)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 104)의 반대편에 있는 안테나 구성 요소의 배치는 신호 분화(signal differentiation) 및 추가 경로 손실을 야기하는 추가 장벽(barrier)을 생성할 수 있다.
현재, 비콘 데이터 속도는, 각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대한 두 개 이상의 RSSI 측정을 제공하면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 및 제어에 대한 일반적인 방법인) IEEE 802.11b 데이터 속도로 전송된다. 이 시점에서, 멀티 안테나 802.11n 코딩 형식은 안테나 신호 강도 분화 능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하지만, 더 높은 802.11n 데이터 속도가 능동(active)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 기술 또는 표준으로 한정되지 않고, 변화하는 기술 및 표준을 사용하기에 충분히 다이나믹하다는 것을 고려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안테나 기반 근접 검출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200)은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세싱 로직은 하드웨어(예를 들어, 회로, 전용 로직, 프로그램가능 로직, 마이크로코드 등), (프로세싱 디바이스상에서 구동되는 명령어와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디바이스 내 기능 회로나 펌웨어와 같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200)은 도 1의 멀티 안테나 근접 검출 메커니즘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200)은 전송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및 수신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사이의 Wi-Fi 신호(예를 들어, RSSI 신호)의 통신(송신 및 수신)을 개시하는 블록 205에서 시작한다. 블록 210에서, 각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가 측정된다. 블록 215에서, 신호의 측정된 신호 강도 및 다른 관련 정보(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물리적 배치(layout))를 사용하여, 두 디바이스의 근접이 측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Wi-Fi 신호를 사용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근접을 검출하는 정밀 시간 동기화 메커니즘(tight time synchronization mechanism)(300)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컴퓨팅 디바이스 A(302) 및 B(304)는, 액세스 포인트(an access point)(342)와 연결되고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Wi-Fi 신호(322, 324)는 액세스 포인트(342)로부터 두 디바이스(302, 304)로 송신되고, 그러한 각 Wi-Fi 신호(322, 324)에 삽입되어 (embedded), 두 디바이스(302, 304)에서의 정확한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정밀 시간 동기화 메커니즘(312, 314)(시간 메커니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또는 다른 것(예를 들어, 클럭, 카운터 등)이다. 다시 말해, 액세스 포인트(342)는 모든 디바이스(302, 304)에 걸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시간 메커니즘(312, 31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또는 클럭 등을 발행(issue)한다. 이 알려진 시간에서 오디오 신호(332)는, 오디오 버스트가 액세스 포인트(342)로부터 송신된 Wi-Fi 신호(322, 324)로부터 결정되었던 알려진 시간에서 디바이스 A(302)로부터 디바이스 B(304)로 송신되는 것과 같이, 두 디바이스(302, 304) 사이에서 통신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간은 Wi-Fi 신호(322, 324)에 삽입되어 시간 메커니즘(312, 314)에 의해 검출되거나, 또는, 클럭 또는 카운터가 Wi-Fi 신호(322, 324)에 의해 제공되어, 이로부터 시간이 시간 메커니즘(312, 314)에 의해 결정되거나 계산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A(302)로부터 디바이스 B(304)로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332)의 송신 시간은 알려지고 그 이후, 오디오 신호(332)의 수신 시간은 신호(332)가 디바이스 B(304)에 수신될 때 알려진다. 그 이후 디바이스(302, 304) 중 하나상의 시간 메커니즘(312, 314)은 감산(subtraction)의 간단한 개념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332)가 디바이스 A(302)로부터 디바이스 B(304)까지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의 양을 결정한다. 음속을 이용하여(그리고 음속을 변화시킬 수 있는 온도, 습도, 고도 등과 같은 다른 요인을 고려하여), 디바이스(302, 304) 중 하나상의 시간 메커니즘(312, 314)은, 오디오 신호가 디바이스 A(302)로부터 디바이스 B(304)로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을 구하고 상기 시간을 두 디바이스(302, 304) 사이의 근접 또는 거리로 변환한다. 실시간 상황에서, 다수의 디바이스 또는 심지어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가 네트워크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시간은 초(second)(예를 들어, 나노초, 밀리초 등)로 계산될 수 있고, 거리는 센티미터, 미터, 인치, 야드 등과 같은 다양한 측정 시스템의 거리 단위로 계산될 수 있다.
다르게 언급하면,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의 참조와 함께 설명된 신호 강도를 이용하는 대신, Wi-Fi 신호(322, 324) 내의 삽입 시간 또는 클럭, 및 (Wi-Fi 신호(322, 324)를 리스닝하는 Wi-Fi 어댑터/라디오(152, 154)를 구비한) 두 개의 리스닝 Wi-Fi 디바이스(302, 304)사이의 오디오 신호(332)가 두 디바이스(302, 304) 사이에서 음향 기반 근접(acoustic based proximity)을 보조하는데 사용된다. 두 개 리스닝 디바이스(302, 304)의 무선 라디오(152, 154)는 동기화되는데, 왜냐하면 이들 둘 모두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예를 들어, 마이크로초 이내로)에 브로드캐스팅 액세스 포인트(342)로부터 무선 발견 비콘(wirless discovery beacon)(예를 들어, Wi-Fi 신호(322, 324))을 수신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디바이스(302, 304) 사이의 오디오 신호(332)는, 더 느린 음속을 고려하여, 상당히 지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Wi-Fi 신호(322, 324)는 두 디바이스(302, 304)의 신호(332) 또는 오디오 기록과 결합된 근처 디바이스(302, 304)상에서 정밀 시간 동기화를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또한 두 디바이스(302, 304) 사이의 근접을 표시하도록 오디오 신호(332) 사이의 긴밀한 시간적 상호관계(close temporal correlation)를 이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안테나 기반 근접 검출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400)은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세싱 로직은 하드웨어(예를 들어, 회로, 전용 로직, 프로그램가능 로직, 마이크로코드 등), (프로세싱 디바이스상에서 구동되는 명령어와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디바이스 내 기능 회로나 펌웨어와 같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도 3의 정밀 시간 동기화 메커니즘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400)은 액세스 포인트가 삽입 시간 또는 클럭 등을 가진 Wi-Fi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으로 블록 405에서 시작한다. 블록 410에서, 디바이스의 삽입 시간이 주목되고, 오디오 신호는 주목된 시간에서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주목된 시간에서의 제 2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블록 415에서, 오디오 신호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까지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이 측정된다. 측정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신호가 제 2 디바이스에서 수신될 때의 제 2 디바이스에서의 시간으로부터 Wi-Fi 신호에 의해 제공된 제 2 디바이스의 삽입된 또는 주목된 시간을 감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 420에서, 음속(그리고 음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관련 요인) 및 오디오 신호가 제 1 및 제 2 디바이스 사이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 또는 근접이 추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근접을 검출하는 적응형 클럭킹 기술 기반 근접 검출 메커니즘(an adaptive clocking technology -based proximity detection machanism)(500)을 도시한다. 예시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비슷한 컴퓨팅 디바이스 A(502) 및 B(504)는, Wi-Fi 신호 송신/수신 컴포넌트(512, 514),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y: LCD)(516, 518), 적응형 클럭킹 기술(Adaptive Clocking Technology: ACT)(522, 532), 및 ACT 기반 근접 검출 메커니즘(542, 552)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전형적으로, 디바이스 A(502)의 ACT(522)과 같은 적응형 클럭킹 기술(ACT)은, 예를 들어, Wi-Fi(512)와 같은 Wi-Fi 자체에서, LCD(516)와 같은 LCD의 백라이트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interference)을 검출하고 완화시키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LCD(516)의 백라이트는 Wi-Fi 자체(512)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B(504)와 같은 근처 디바이스의 Wi-Fi와 함께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간섭 완화는 시간에 관해 더 느리거나 더 빠르게 되도록 약간 쉬프트 함으로써 LCD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어서 간섭은 감소되고 Wi-Fi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예시의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A(502)의 LCD(516)의 백라이트는 디바이스 B(504)의 Wi-Fi(514)와 간섭(570)을 야기한다. ACT(522, 532)는, 간섭으로 인한 Wi-Fi 신호 저하를 포함할 수 있는 디바이스 자체의 간섭 영향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간섭 측정 모듈(524, 5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CT-기반 근접 검출 메커니즘(ACT 기반 메커니즘)(542, 552)은 또 다른 디바이스상의 Wi-Fi 신호 저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간섭 측정 모듈(544, 5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동일한 디바이스 A(502)상의 간섭 측정 모듈(524)과 함께, 또는 Wi-Fi 신호가 간섭된 다른 디바이스 B(504)상의 간섭 측정 모듈(554)과 함께 작동하는 간섭 측정 모듈(544)과 같이 많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A(502)상의 LCD(516) 백라이트에 의한 디바이스 B(504)상의 Wi-Fi(514)의 저하 및 신호 간섭(570)은 디바이스 B(504)와 함께 디바이스 A(502)의 근접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응형 클럭킹 기술 기반 근접 검출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600)은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세싱 로직은 하드웨어(예를 들어, 회로, 전용 로직, 프로그램가능 로직, 마이크로코드 등), (프로세싱 디바이스상에서 구동되는 명령어와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디바이스 내 기능 회로나 펌웨어와 같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600)은 도 5의 ACT 기반 근접 검출 메커니즘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600)은 제 2 디바이스상의 Wi-Fi 신호와 함께 간섭을 야기하는 제 1 디바이스상의 LCD 백라이트를 검출하는 블록 605에서 시작한다. 블록 610에서, 간섭 영향은 제 2 디바이스상의 Wi-Fi 신호 저하를 결정함으로써 계산된다. 블록 615에서, 신호 저하로 나타낸 간섭 영향은 두 디바이스의 근접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 3 및 5 각각의 근접 검출 메커니즘(100, 300 및 500)을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700)을 도시한다. 도 7에 예시된 컴퓨팅 시스템은: 1) 이 중 적어도 하나가 위에서 설명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01); 2) 메모리 제어 허브(MCH)(702); 3) (DDR RAM(double data rate RAM), EDO RAM(extended data output RAM)과 같이 상이한 종류가 존재하는) 시스템 메모리(703); 4) 캐시(704); 5) 입력/출력(I/O) 제어 허브(ICH)(705); 6) 그래픽 프로세서(706); 7) (CRT(Cathode Ray Tube), TFT(Thin Film Transistor), LCD(Liquid Crystal Display), DPL 등과 같이 상이한 종류가 있는) 디스플레이/스크린(707); 및 8) 하나 이상의 I/O 디바이스(708)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01)는, 컴퓨팅 시스템이 실행하는 어떤 소프트웨어 루틴이든 수행할 수 있도록 명령어를 실행한다. 명령어는 종종 데이터상에서 수행되는 몇몇 종류의 연산을 포함한다. 데이터 및 명령어 모두는 시스템 메모리(703) 및 캐시(704)에 저장된다. 캐시(704)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메모리(703)보다 짧은 레이턴시(latency) 시간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캐시(704)는 프로세서(들)처럼 작은 실리콘 칩(들)상으로 집적될 수 있고/있거나 더 빠른 정적 RAM(SRAM) 셀과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시스템 메모리(703)는 더 느린 동적 RAM(DRAM) 셀과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703)와 반대로, 캐시에서 더 자주 사용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향에 의해, 컴퓨팅 시스템의 전체 성능 효율은 개선된다.
시스템 메모리(703)는 의도적으로 컴퓨팅 시스템 내의 다른 컴포넌트에 이용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의 다양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키보드 및 마우스, 프린터 포트, 근거리 통신망(LAN) 포트, 모뎀 포트 등)로 부터 수신되거나,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저장 구성 요소(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검색된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01)에 의한 연산 전에, 종종 일시적으로 시스템 메모리(703)로 큐잉된다 (queued). 유사하게, 하나의 컴퓨팅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팅 시스템으로부터 외부 엔티티(an outside entity)로 송신되어야하거나, 내부 저장 구성 요소 내로 저장되어야 한다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판정한 데이터는, 송신되기 전 또는 저장되기 전에 시스템 메모리(703)에 종종 일시적으로 큐잉된다.
ICH(705)는 그러한 데이터가 시스템 메모리(703) 및 이의 적절한 대응 컴퓨팅 시스템 인터페이스(및 컴퓨팅 시스템이 그렇게 설계된 경우 내부 저장 디바이스) 사이에서 적절히 통과되었음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MCH(702)는, 서로에 관하여 시간에 맞춰 인접하여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저장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들)(701) 사이의 시스템 메모리(703) 엑세스에 대한 다양한 경합하는 요청(contending requests)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하나 이상의 I/O 디바이스(708)는 또한 전형적인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행된다. I/O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네트워킹 어댑터)으로 및/또는 컴퓨팅 시스템으로부터, 또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큰 규모의 비휘발성 스토리지에 대하여, 데이터를 옮기는 역할을 한다. ICH(705)는 ICH 자체 및 발견된 I/O 디바이스(708) 사이의 양-방향 포인트-투-포인트 링크(bi-directional point-to-point links)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제품 안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컴퓨터(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를 프로그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머신-판독 가능한 매체는, 플로피 디스켓, 광디스크, CD-ROM(compact disk read-only memory), 자기 광학 디스크, ROM, RA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PROM), 자기 또는 광학 카드,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자 명령어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다른 종류의 매체/머신-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앞서 언급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및 더 넓은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Claims (22)

  1. 제 1 디바이스의 제 1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와 제 2 디바이스의 제 2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사이에서 통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패킷(broadcast packet)과 연관되고, 상기 제 1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제 2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위치 상황(location aspect)에 기초하여 근접(proximity)을 결정하도록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각각 배치됨 - 의 강도(strength)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의 결정된 강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근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의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강도 측정치(multiple measurements of strength)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정된 강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안테나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안테나 사이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물리적 배치(physical placements)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상황은 좌, 우, 위, 아래, 앞, 및 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물리적 배치 중 하나 이상에 관련되는
    근접 검출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an access point)와 상기 제 1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되는 Wi-Fi 신호 내 삽입 시간(embedded time)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오디오 신호가 통신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수신 시간(reception time)이 결정되는
    근접 검출을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음속(speed of sound) 및 상기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근접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LCD 백라이트에 의해 야기된 Wi-Fi 간섭(interference)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근접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방법.
  9. 제 1 디바이스의 제 1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와 제 2 디바이스의 제 2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사이에서 통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패킷(broadcast packet)과 연관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위치 상황에 기초하여 근접을 결정하도록 상기 제 1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제 2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각각 배치됨 - 의 강도를 결정하는 제 1 로직 컴포넌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의 결정된 강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근접을 결정하는 제 2 로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배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강도 측정치를 결정하되,
    상기 결정된 강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안테나 사이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물리적 배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 상황은 좌, 우, 위, 아래, 앞, 및 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물리적 배치 중 하나 이상에 관련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상기 제 1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되는 Wi-Fi 신호 내 삽입 시간(embedded time)을 검출하는 제 3 로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오디오 신호를 통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수신 시간(reception time)을 결정하는 제 4 로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음속 및 상기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근접을 결정하는 제 5 로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LCD 백라이트에 의해 야기된 Wi-Fi 간섭(interference)을 결정하는 제 6 로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근접을 결정하는 제 7 로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장치.
  17.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 2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로 하나 이상의 신호를 내보내는(emit) 제 1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갖는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패킷과 연관되고, 상기 제 1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제 2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는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위치 상황에 기초하여 근접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에 각각 배치됨 -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사이에서 통신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의 강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 컴퓨팅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근접을 결정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배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강도 측정치를 결정하되,
    결정된 강도는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의 안테나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안테나 사이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고, 상기 근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의 물리적 배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상황은 좌, 우, 위, 아래, 앞, 및 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물리적 배치 중 하나 이상에 관련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되는 Wi-Fi 신호 내 삽입 시간(embedded time)을 더 검출하고,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수신 시간을 결정하고, 및 음속 및 상기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근접을 결정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는 LCD 백라이트에 의해 야기된 Wi-Fi 간섭(interference)을 더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근접을 결정하는
    근접 검출을 위한 시스템.
  21. 프로세싱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
  2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근접 검출 장치.
KR1020137012234A 2010-10-13 2010-10-13 Wi-fi 신호 기반 근접 검출을 위한 메커니즘 KR101470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0/001599 WO2012048442A1 (en) 2010-10-13 2010-10-13 Mechanism for proximity detection based on wi-fi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498A KR20130071498A (ko) 2013-06-28
KR101470775B1 true KR101470775B1 (ko) 2014-12-08

Family

ID=4593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234A KR101470775B1 (ko) 2010-10-13 2010-10-13 Wi-fi 신호 기반 근접 검출을 위한 메커니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824316B2 (ko)
JP (1) JP6155499B2 (ko)
KR (1) KR101470775B1 (ko)
CN (1) CN102687037B (ko)
RU (1) RU2547142C2 (ko)
TW (1) TWI549442B (ko)
WO (1) WO2012048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145B2 (en) * 2011-04-01 2014-07-0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determine user presence
US9147057B2 (en) 2012-06-28 2015-09-2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 connections using touch gestures
ES2869381T3 (es) 2012-07-06 2021-10-25 Ericsson Telefon Ab L M Un transmisor para transmitir señales de descubrimiento, un receptor y métodos en los mismos
US9179244B2 (en) 2012-08-31 2015-11-03 Apple Inc. Proximity and tap detection using a wireless system
US8972820B2 (en) * 2012-11-21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access point mapping
CN103856971A (zh) * 2012-11-30 2014-06-11 国际商业机器公司 检测无线干扰的方法和设备
US9746926B2 (en) 2012-12-26 2017-08-2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gesture-based initiation of inter-device wireless connections
US9258694B2 (en) 2013-01-23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device discovery process
US20140232553A1 (en) * 2013-02-15 2014-08-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 using a smart meter as a location reference
US9265015B2 (en) * 2013-03-15 2016-02-16 Whistle Labs, Inc. Detecting interaction among entities via proximity
US9313722B2 (en) * 2013-05-28 2016-04-12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roximity between wireless devices
WO2015047329A1 (en) * 2013-09-27 2015-04-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proximity detection for wireless docking
GB2522892A (en) * 2014-02-08 2015-08-12 Nimble Devices Oy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of receiving device
EP2950590A1 (en) * 2014-05-26 2015-12-02 Nokia Technologies OY Device selection according to proximity
WO2016056383A1 (ja) * 2014-10-07 2016-04-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位置検知装置
US9565187B2 (en) * 2015-02-05 2017-02-07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tual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US10045148B2 (en) 2015-06-26 2018-08-07 Intel Corporation Location-based wireless device presentation and connection
KR102257994B1 (ko) * 2019-09-02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10092614A (ko) * 2020-01-16 202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9891B2 (en) * 2003-11-21 2006-10-31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proximity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20070052534A1 (en) * 2003-10-15 2007-03-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n object
US20080130604A1 (en) * 2006-12-05 2008-06-05 Wherenet Corp. Location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ing rssi and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866B2 (ja) * 1998-12-10 2001-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携帯端末
US6748324B2 (en) * 2002-01-07 2004-06-08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JP4245311B2 (ja) * 2002-06-27 2009-03-2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4348918B2 (ja) * 2002-09-20 2009-10-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位置測定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無線端末装置
WO2005122483A1 (ja) * 2004-06-09 2005-1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距離測定システム、距離測定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US7272277B2 (en) * 2004-12-23 2007-09-18 Intel Corporation Data exchange architecture using optical links
JP4861654B2 (ja) 2005-07-29 2012-01-25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
US8711034B2 (en) * 2007-10-02 2014-04-29 Ricoh Co., Ltd. Geographically self-labeling access points
CN101836486B (zh) * 2007-10-22 2014-04-30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wlan的位置感知背景接入点扫描
CN101320090A (zh) 2008-07-15 2008-12-10 浙江大学 面向时间异步节点的往返时间的无线传感器网络测距方法
CN201294639Y (zh) * 2008-11-10 2009-08-19 石强 单基站无线定位装置
US20100130230A1 (en) * 2008-11-21 2010-05-27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sectoring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8340614B2 (en) 2008-12-18 2012-12-25 Plantronics, Inc. Antenna diversity to improve proximity detection using RSSI
CN201523451U (zh) * 2008-12-25 2010-07-07 北京中矿华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井下人员定位系统的定向基站
JP5301313B2 (ja) * 2009-02-20 2013-09-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リフレッシュ・レートの設定方法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JP4862931B2 (ja) 2009-09-07 2012-01-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2534A1 (en) * 2003-10-15 2007-03-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n object
US7129891B2 (en) * 2003-11-21 2006-10-31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proximity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130604A1 (en) * 2006-12-05 2008-06-05 Wherenet Corp. Location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ing rssi and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8442A1 (en) 2012-04-19
KR20130071498A (ko) 2013-06-28
RU2013121572A (ru) 2014-11-20
CN102687037A (zh) 2012-09-19
US20150038163A1 (en) 2015-02-05
RU2547142C2 (ru) 2015-04-10
WO2012048442A8 (en) 2013-06-06
US9157991B2 (en) 2015-10-13
JP2013545968A (ja) 2013-12-26
JP6155499B2 (ja) 2017-07-05
US8824316B2 (en) 2014-09-02
TWI549442B (zh) 2016-09-11
US20130229928A1 (en) 2013-09-05
CN102687037B (zh) 2016-10-26
TW201228267A (en) 201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775B1 (ko) Wi-fi 신호 기반 근접 검출을 위한 메커니즘
CN105979479B (zh) 在拥挤室内环境中的设备位置的确定
US201503127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location of electronic device
US100097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mobile device by an access point
US20140274166A1 (en) Maximum likelihood localization in the presence of channel uncertainties
US9568584B2 (en) Wireless positioning server using clock offset calibration position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9198454A (ja) 位置検知システム、位置検知サーバおよび端末
KR20050121176A (ko) 순차 송수신 방식을 이용한 비동기 무선 측위 시스템 및방법
US20180224522A1 (en) Wireless signal identification
JP6681617B2 (ja) 波源位置推定装置、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0701515B2 (en) Multi-beacon-based location system and method
WO2013091145A1 (en) Mechanism for employing and facilitating proximity and context-based deduction of global positioning of computing devices
US10191135B2 (en) Wireless network-based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apparatus
US20160255470A1 (en) Location determining scheme
US10869293B2 (en) Positioning cycl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US11824595B2 (en) Locationing based on channel-specific gain
US20080020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node by using time offset information
Mahapatra Received signal strength based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WI702808B (zh) 測定裝置、測定方法及程式
Tian et al. A Novel Indoor Human Occlusion Identification Method With BLE Signals
CN104808176A (zh) 一种室内定位方法
JP2012068070A (ja) 測位情報配信システム、受信装置及び測位情報配信方法
KR20170034510A (ko) 비콘을 활용한 기지국 성능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