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014B1 -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014B1
KR101470014B1 KR1020080101987A KR20080101987A KR101470014B1 KR 101470014 B1 KR101470014 B1 KR 101470014B1 KR 1020080101987 A KR1020080101987 A KR 1020080101987A KR 20080101987 A KR20080101987 A KR 20080101987A KR 101470014 B1 KR101470014 B1 KR 10147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ion pad
camera module
terminal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821A (ko
Inventor
오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0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메라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 방식이나 소켓 방식이 아닌 회로기판 내의 접속패드로서 직접 연결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는,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제1 접속패드가 형성된 제1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곽크기에 대응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 주변에 상기 제1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속패드를 갖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카메라모듈, 커넥터, 회로기판, 도전성, 접착부재, 소형, 단말기

Description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Camera module and terminal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메라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모듈은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기구물 형태, 위치 및 메인보드와의 접촉 방식에 따라 모양 및 형태의 종류가 많은 특징을 갖는다.
한편, 카메라모듈과 단말기 본체 회로기판 간의 연결은 커넥터(connector) 또는 소켓(socket)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1은 카메라모듈과 단말기 본체 회로기판이 커넥터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으로서, 카메라모듈(10)에서의 전기적 신호는 FPC(20;Flexible Printed Circuit)를 통해 단말기 본체 내의 회로기판과 커넥터(30) 연결되어 전달된다.
커넥터 또는 소켓 방식으로 카메라모듈과 본체 단말기를 연결할 경우, 본체 단말기 내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떨어뜨려, 단말기 소형화 설계에 장애가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말기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카메라모듈과 단말기 본체 회로기판 간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모듈은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구동부 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패드가 형성된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는,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제1 접속패드가 형성된 제1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곽크기에 대응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 주변에 상기 제1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속패드를 갖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메라모듈을 단말기에 연결할 때 커넥터 방식이나 소켓 방식이 아닌 회로기판 간에 접속패드를 통해 직접 연결함으로써, 단말기 내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커넥터나 소켓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원가 절감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과 카메라모듈이 구동부 회로기판에 연결되기 전의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의 내부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카메라모듈(10)은 렌즈부, 이미지센서,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렌즈부는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고 있어 피사체의 영상을 받아 이미지센서로 전달한다. 카메라모듈(10)은 회로기판(12)위에 이미지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홀더에 장착된 렌즈부를 통해 통해 들어오는 영상을 이미지센서로 전달한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렌즈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회로기판(12)은 상기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연결되는 접속패드(11)가 형성된다. 즉, 회로기판(12)의 일측에는 구동부 회로기판(4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패드(11)가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12)은 한쪽 변이 홀더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더 크게 형성한 한쪽변에 이미지센서의 전기적 신호를 구동부 회로기판(40)에 전달할 접속패드(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패드(11)는 회로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그림은 회로기판(12)과 구동부 회로기판(40)을 상부에서 바라본 접속패드 연결 부위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양쪽 회로기판의 상부면의 한쪽면에만 접속패드가 연결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카메라모듈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회로기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양쪽면에 모두 접속패드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 회로기판(40)은 단말기 본체의 메인 회로기판으로서 카메라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있는 기판이다.
상기 회로기판(12)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은 구동부 회로기판(40)에 형성된 안착홈(41)에 삽입되어 안착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메라모듈의 회로기판(12)을 제1 회로기판이라 부르고, 단말기 본체의 구동부 회로기판(40)을 제2 회로기판으로 부르기로 한다. 또한, 제1 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속패드를 제1 접속패드, 제2 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속패드를 제2 접속패드라 부르기로 한다.
제2 회로기판(40)에는 안착홈(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안착홈(41)은 카메라모듈(10)이 삽입되어 안착될 공간으로서, 제1 회로기판의 외곽 크기에 대응하는 안착홈의 크기를 갖는다.
안착홈(41) 네면 중 어느 하나의 한쪽면에는 제1 회로기판에 형성된 제1 접속패드(11)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야 할 제2 접속패드(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접속패드(42)는 상기 제1 접속패드(11)가 연결되어 맞닿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패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접속패드(11)와 제2 접속패드(42)간의 각 패턴이 각각 서로 맞닿도록 하는 패턴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1 회로기판(12)과 제2 회로기판(40)간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쪽 회로기판의 두께를 서로 대응되도록 동일한 두께로서 구현한다. 양쪽 회로기판(12,40)을 동일한 두께로 설계해야만, 제2 접속패드(42)와 제1 접속패드(11)가 서로 맞닿았을 때 단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제1 회로기판(12)의 두께가 낮게 설계될 경우에는 보강재를 이용해, 카메라모듈이 제2 회로기판(40)에 삽입 안착되었을 때 양쪽 패드간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모듈이 제2 회로기판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카메라모듈(10)이 안착홈에 삽입되면, 제1 회로기판(12)에 형성된 제1 접속패드(11)와 제2 회로기판(40)에 형성된 제2 접속패드(42)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맞닿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회로기판(12)과 제2 회로기판(40)의 경계부는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접착부재는 솔더링 또는 도전성 접착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착부재로서 도전성 접착부재가 사용될 경우, 도전성 접착부재가 제1 접속 패드(11)와 제2 접속패드(42)를 덮어서 제1 접속패드의 전기적 신호가 제2 접속패드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도전성 접착부재의 도전성 패턴을 도 4에 도시하였는데, 도전성 접착부재(50)는 양쪽 패드를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영역(51)과 비도전성 영역(52)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전성 영역(51)은 제1 접속패드(11)의 패턴과 제2 접속패드(42)의 패턴이 위치하게 될 부분을 도전성 재질로서 형성한 영역이다. 즉, 도전성 영역에는 양쪽 패드의 패턴이 형성되는 지점과 동일한 위치에 도전성을 갖도록 하여, 제1 접속패드(11)의 각 패턴의 전기적 신호가 맞닿는 제2 접속패드(42)의 해당 패턴으로 전달되도록 도전성을 갖는다.
비도전성 영역(52)은 도전성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비도전성 재질로서 구현하여, 패드 내 형성된 각 패턴간의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이 도전성 접착부재에 의해 도전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으로서, 제1 접속패드와 제2 접속패드간에 맞닿는 부분에 도전성 접착부재(50)가 붙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패드 내 각 패턴은 도전성 접착부재(50) 내의 도전성 영역에 의해 서로 전기적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모듈이 제2 회로기판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카메라모듈과 제2 회로기판을 서로 물리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는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로기판(12)과 제2 회로기판(42)간의 안착홈 상의 경계상에 에폭시 수지(60)를 도포하 여 물리적으로 고정시킨다.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는 경계상에는 제1 회로기판(12)과 제2 회로기판(42)의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카메라모듈과 메인 PCB가 커넥터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과 카메라모듈이 구동부 회로기판에 연결되기 전의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의 내부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모듈이 제2 회로기판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전성 접착부재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이 도전성 접착부재에 의해 도전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제1 접속패드가 형성된 제1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곽크기에 대응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 주변에 상기 제1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속패드를 갖는 제2 회로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로기판은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접속패드와 제2 접속패드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이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안착홈에 삽입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패드와 제2 접속패드는 도전성 접착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도전성 접착부재는 마주보는 제1 접속패드와 제2 접속패드를 하나로 이어주도록 띠 형태로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도전성 영역과, 상기 도전성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비도전성 재질로서 형성한 비도전성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
KR1020080101987A 2008-10-17 2008-10-17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 KR10147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987A KR101470014B1 (ko) 2008-10-17 2008-10-17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987A KR101470014B1 (ko) 2008-10-17 2008-10-17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821A KR20100042821A (ko) 2010-04-27
KR101470014B1 true KR101470014B1 (ko) 2014-12-05

Family

ID=4221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987A KR101470014B1 (ko) 2008-10-17 2008-10-17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0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68A (ko) * 2007-01-22 2008-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68A (ko) * 2007-01-22 2008-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821A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114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231305B1 (ko) 카메라 모듈 조립체
CN107850823B (zh) 相机模块
EP2575417B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JP5004337B2 (ja) メタルコア基板の外部接続端子
US20100203747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mbossed contact engaging portion
JP2002246119A (ja) 電気コネクタ
KR101470014B1 (ko)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 내장 단말기
US20050176288A1 (en) Module connector
US20100038519A1 (en) Image Sensing Module
US9356368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20050124186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dapter and connection method thereof
KR10063070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0715790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基板
KR101393925B1 (ko) 카메라 모듈
CN112736106A (zh) 一种封装体、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100947967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5693387B2 (ja) コネクタ
KR101007328B1 (ko) 카메라 모듈용 인쇄회로기판 및 카메라 모듈
KR100640513B1 (ko) 이미지 센서 모듈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모듈
JP200903348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090032220A (ko) Fpcb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KR101105453B1 (ko) 에프에프씨의 피씨비 연결부 구조
KR101053243B1 (ko) 카메라 모듈
CN115811654A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