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811B1 -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811B1
KR101469811B1 KR1020130044118A KR20130044118A KR101469811B1 KR 101469811 B1 KR101469811 B1 KR 101469811B1 KR 1020130044118 A KR1020130044118 A KR 1020130044118A KR 20130044118 A KR20130044118 A KR 20130044118A KR 101469811 B1 KR101469811 B1 KR 10146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e
concentrator
collected
ginse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066A (ko
Inventor
김영숙
김미자
정인식
Original Assignee
김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숙 filed Critical 김영숙
Priority to KR102013004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81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정 추출법에 의해 인삼 농축액과 맥문동 농축액을 제조하고, 열수 추출법에 의해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한 후, 인삼 농축액과 오미자 농축액 및 맥문동 농축액을 혼합하고 정제수로 희석한 다음, 최종 당도가 적정 당도가 되도록 감미도를 조절함으로써, 한약재 특유의 쓴맛과 향이 강하게 풍기지 않도록 하여 수시로 음용하기에 부담이 없도록 하고, 수험생과 노약자 및 허약자들에게 원기회복과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세척 정선된 원료 인삼을 추출기에 넣고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1회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한 다음,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인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세척 정선된 오미자를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세척 정선된 맥문동을 추출기에 넣고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1회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한 다음,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맥문동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삼 농축액과 상기 오미자 농축액 및 상기 맥문동 농축액의 중량 비율을 1:20:1, 1:21:1, 1:22:1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상기 인삼 농축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로 1000~1500배로 희석한 후, 꿀, 사과 과즙, 배 과즙, 스크랄로오스, 아스파탐 중 어느 하나의 감미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functional Schisandra chinensis drinks}
본 발명은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정 추출법에 의해 인삼 농축액과 맥문동 농축액을 제조하고, 열수 추출법에 의해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한 후, 인삼 농축액과 오미자 농축액 및 맥문동 농축액을 혼합하고 정제수로 희석한 다음, 최종 당도가 적정 당도가 되도록 감미도를 조절함으로써, 한약재 특유의 쓴맛과 향이 강하게 풍기지 않도록 하여 수시로 음용하기에 부담이 없도록 하고, 수험생과 노약자 및 허약자들에게 원기회복과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미자는 예로부터 진정, 해열, 혈압 강하, 알코올 해독 작용 등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페놀함량이 높아 항산화 활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오미자는 총산이 약 24%에 달하며 구연산과 말산이 풍부하여 이러한 유기산들이 오미자의 특징적인 신맛과 향기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오미자는 설탕과 같은 당에 일정 기간동안 절인 후 생성되는 즙에 물을 타서 차 형태로 복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오미자차는 상큼한 신맛이 입을 자극하여 나른한 신체에 활력을 주는 등의 이유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한편, 여름철에는 에어컨을 가동하고 있는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냉방병을 비롯한 각종 냉방질환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수험생들은 에어컨이 가동되는 도서관, 독서실, 강의실 등에서 생활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냉방병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냉방병에 걸리게 되면 집중하기가 힘들어 심리적으로 보다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수험생들과 노약자들에게 원기회복과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음료는 그리 많지 않다. 현재 한국의 음료시장은 대부분 외국의 음료를 수입하거나 모방하여 제조됨으로써 대부분의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히 최근 들어 경제성장 및 식생활 개선에 따른 한국인의 취향에 맞는 새로운 기능성 음료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성 음료들의 경우에도 한방이란 개념이 배제된 한두가지 식품 고유의 기능성을 이용한 음료에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산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한방차를 제조함으로써, 공부와 스트레스에 지친 수험생들과 노약자 및 허약자들에게 원기회복과 활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차음료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0704450호(2007.4.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한약재 특유의 쓴맛과 향이 강하게 풍기지 않도록 하여 수시로 음용하기에 부담이 없도록 하고, 수험생과 노약자 및 허약자들에게 원기회복과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는 (a) 세척 정선된 원료 인삼을 추출기에 넣고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1회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한 다음,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인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세척 정선된 오미자를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세척 정선된 맥문동을 추출기에 넣고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1회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한 다음,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맥문동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삼 농축액과 상기 오미자 농축액 및 상기 맥문동 농축액의 중량 비율을 1:20:1, 1:21:1, 1:22:1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상기 인삼 농축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로 1000~1500배로 희석한 후, 꿀, 사과 과즙, 배 과즙, 스크랄로오스, 아스파탐 중 어느 하나의 감미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대추 농축액을 더 첨가하고, 최종 당도가 10~11 Brix가 되도록 상기 감미료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정 추출법에 의해 인삼 농축액과 맥문동 농축액을 제조하고, 열수 추출법에 의해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한 후, 인삼 농축액과 오미자 농축액 및 맥문동 농축액을 혼합하고 정제수로 희석한 다음, 최종 당도가 적정 당도가 되도록 감미도를 조절함으로써, 한약재 특유의 쓴맛과 향이 강하게 풍기지 않도록 하여 수시로 음용하기에 부담이 없도록 하고, 수험생과 노약자 및 허약자들에게 원기회복과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생맥산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맥문동(Liriope platiphylla Wang et Tang),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를 이용하여 만든 전통한방음료로서 신기 부족으로 온몸이 나른하고 기운이 없으며, 입이 마르고 가슴이 아프며 숨이 차고 맥이 약한데, 열이나 더위에 땀을 많이 흘리고입이 마르며 온몸이 노곤하고 맥이 약한데 사용하고, 폐허로 마른 기침을 하고 숨이 차고 식은땀을 흘리고 입안이 마르고 맥이 약한데 쓴다.
생맥산의 처방 중 인삼은 독성이 없고 당질, 단백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 그리고 약효작용을 하는 사포닌이 20여종이나 들어 있어 스트레스, 피로, 우울증, 심부전, 고혈압, 동맥경화, 빈혈, 당뇨, 궤양 등에 효과가 있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건조를 방지한다.
오미자는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이 고루 있다 하여 오미자라 하고 주로 과육에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 때문에 신맛이 강하다. 이러한 오미자는 여름에 장복하면 오장을 보호하고 담이 들어 목이 쉰데, 진해, 거담, 갈증에 좋다.
맥문동은 폐를 보하고 강정효과가 뛰어나 이뇨, 거담, 해열에 좋다. 맥문동은 약간 쓰고 달며 점착성이 있고 유연하며 점액질, 포도당, 과당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효능은 혈당강하작용, 항염작용 등 다양한 약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폐음을 보하고 심혈을 없애고 비위의 기능을 도와 진액을 불린다.
특히, 여름철에는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기와 음이 상하기 쉬운 것으로 보고 생맥산을 토대로 하여 차음료를 제조하되, 체질적으로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아주 좋은 여름철 음료수이고 오장을 튼튼하게 해서 무덥고 기력이 빠지는 여름철을 거뜬히 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건강기능성 음료이다.
생맥산 자체는 한약재 특유의 쓴맛과 향이 포함되어 있어 수시로 음용하기에 부담이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저칼로리 고감미 감미료, 과즙 및 식이섬유 등을 첨가하여 당뇨병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맛과 향을 개선하여 다양한 소비자들이 부담없이 음용할 수 있는 기능성 차를 제조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오미자 차 음료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1. 재료의 준비
인삼, 맥문동, 오미자 추출액을 다음과 같이 농축하여 사용한다.
(1) 인삼 농축액
인삼 추출 및 농축은 주정 추출법을 사용한다. 세척 정선된 원료 인삼을 추출기에 넣고 60~70% 주정을 가하여 대략 80도씨에서 8시간 정도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이러한 추출 및 여과 공정을 2회 추가 실시한 다음 얻은 추출물들을 농축기에 포집한다. 3회 주정 추출 후 얻은 추출박에 정제수를 가하여 대략 80도씨에서 1회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추출물도 농축기에 포집한 다음, 농축기에서 고형분 함량이 대략 65 Brix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300mmHg, 60도씨)하여 인삼 농축액을 제조한다.
(2) 오미자 농축액
오미자의 추출 및 농축은 열수 추출법을 사용한다. 세척 정선된 오미자를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가하여 대략 80도씨에서 8시간 정도 추출하고 여과한 후 농축기에 포집하고, 이러한 추출 및 여과 공정을 2회 추가 실시한 다음 얻은 추출물들을 농축기에 포집한다. 포집된 추출물을 농축기에서 고형분 함량이 대략 35 Brix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300mmHg, 60도씨)하여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한다.
(3) 맥문동 농축액
맥문동의 추출 및 농축은 주중 추출법을 사용한다. 세척 정선되 맥문동을 추출기에 넣고 60~70% 주정을 가하여 대략 80도씨에서 8시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농축기에 포집하고, 이러한 추출 및 여과 공정을 1회 실시한 다음 얻은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한다. 2회 주정 추출 후 얻은 추출박에 정제수를 가하여 60~70도씨에서 1회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추출물도 농축기에 포집한 다음, 농축기에서 고형분 함량이 대략 35 Brix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300mmHg, 60도씨)하여 맥문동 농축액을 제조한다.
2.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 제조
인삼 농축액과 오미자 농축액 및 맥문동 농축액의 중량비율을 1:20:1, 1:21:1, 1:22:1로 하고, 인삼 농축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정제수로 1000~1500배로 각각 희석하고, 감미료는 전체 당도가 10~15 Brix가 되도록 조정하여 배합조건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배합비율을 이용하여 설탕, 꿀, 사과 과즙, 배 과즙, 스크랄로오스, 아스파탐 등의 감미료를 첨가하여 최종 당도가 10~11 Brix가 되도록 감미도를 조정하였다. 중량비율이 상기와 같을 때 기호도, 맛, 색, 향기 등 4가지 부분에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인삼 농축액과 오미자 농축액 및 맥문동 농축액의 질량 비율을 5:3:2로 하고, 물을 총 중량의 5배가 되도록 희석할 수도 있다.
인삼, 오미자, 맥문동을 이용한 생맥산 음료의 최적 배합 조건에서 희석 배수는 인삼 농축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1500배 내외의 희석배수가 바람직하고, 당도의 경우 10~11 Brix, 감미료는 설탕, 꿀, 과즙, 스크랄로오스, 아스파탐을 첨가해 본 결과 꿀을 사용하여 감미했을 경우가 가장 좋은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인삼, 오미자, 맥문동에 대추 농축액을 더 혼합하여 기능성 차음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a) 세척 정선된 원료 인삼을 추출기에 넣고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1회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한 다음,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인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세척 정선된 오미자를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세척 정선된 맥문동을 추출기에 넣고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1회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추출물을 농축기에 포집한 다음, 농축기에서 300mmHg, 60도씨로 감압 농축하여 맥문동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삼 농축액과 상기 오미자 농축액 및 상기 맥문동 농축액의 중량 비율을 1:20:1, 1:21:1, 1:22:1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상기 인삼 농축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로 1000~1500배로 희석한 후, 꿀, 사과 과즙, 배 과즙, 스크랄로오스, 아스파탐 중 어느 하나의 감미료를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대추 농축액을 더 첨가하고, 최종 당도가 10~11 Brix가 되도록 상기 감미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30044118A 2013-04-22 2013-04-22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KR10146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18A KR101469811B1 (ko) 2013-04-22 2013-04-22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18A KR101469811B1 (ko) 2013-04-22 2013-04-22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66A KR20140126066A (ko) 2014-10-30
KR101469811B1 true KR101469811B1 (ko) 2014-12-05

Family

ID=5199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118A KR101469811B1 (ko) 2013-04-22 2013-04-22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8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52B1 (ko) * 1992-06-09 1995-02-24 재단법인한국체육과학연구원 생맥산(生脈散)과 전해질을 병용한 스포츠 음료의 제조방법
KR100692519B1 (ko) * 2005-03-17 2007-03-09 주식회사고려원인삼 냉온음료용 과립 홍삼 생맥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1445A (ko) * 2008-04-22 2009-10-27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생맥산과 그 가감방의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52B1 (ko) * 1992-06-09 1995-02-24 재단법인한국체육과학연구원 생맥산(生脈散)과 전해질을 병용한 스포츠 음료의 제조방법
KR100692519B1 (ko) * 2005-03-17 2007-03-09 주식회사고려원인삼 냉온음료용 과립 홍삼 생맥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1445A (ko) * 2008-04-22 2009-10-27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생맥산과 그 가감방의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66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59547B (zh) 一种固体饮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TWI500391B (zh)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CN104630010B (zh) 滋补保健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05087279A (zh) 一种保健南瓜酒及其制作方法
CN104222407A (zh) 野菊花茶保健饮料
KR20080073880A (ko) 박과 식초 조성물
CN104256782B (zh) 一种葛根山杞饮料及其制备方法
CN109055117A (zh) 一种花果香甜型高花青素嘉宝果酒及其制备方法
CN101366519A (zh) 沙棘黄酮滋养茶/粉及生产工艺
CN105249091B (zh) 菊花罗汉果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186875A (zh) 一种咖啡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687889A (zh) 一种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00766B1 (ko) 비염 개선, 가래 제거 및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819196A (zh) 一种归脾养心绿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828962A (zh) 金银花红茶复合茶饮料的制备工艺
CN103766536A (zh) 一种无糖凉茶及其制备方法
CN102669371A (zh) 一种棠梨茶及其制备方法
KR101485394B1 (ko) 배, 구지뽕잎, 헛개나무, 생강나무, 오미자, 토복령, 지각 및 수세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101524373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469811B1 (ko) 기능성 오미자 차음료의 제조방법
CN104839824A (zh) 一种蜂蜜雪梨汁及其制备方法
CN105441277B (zh) 一种红景天樱桃酒及其制备方法
CN107897596A (zh) 一种果蔬汁及其制备方法
CN106689535A (zh) 一种三根清肺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