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911B1 -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911B1
KR101468911B1 KR1020140122582A KR20140122582A KR101468911B1 KR 101468911 B1 KR101468911 B1 KR 101468911B1 KR 1020140122582 A KR1020140122582 A KR 1020140122582A KR 20140122582 A KR20140122582 A KR 20140122582A KR 101468911 B1 KR101468911 B1 KR 10146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ound absorbing
fixed
absorbing materi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우
연준오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5Noise absorbers in the form of specially adapted hangers 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와, 상기 흡음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음재를 보호하는 마감재와,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어 상기 흡음재 및 상기 마감재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철물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저감용 배관커버{PIPE COVERS FOR REDUCED NOISE}
본 발명은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을 대신하여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의 마감처리를 할 수 있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배관, 환기설비, 스프링쿨러 및 전기시설 등은 천장의 내부에 매립하여 슬래브 하부 실내공간에 깔끔한 외관이 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배관이나 스프링쿨러 등은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2942호(2010. 12. 30)"와 같은 지지부재를 통해 슬래브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의 배관이나 스프링쿨러 등이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천장 내부에 구비되기 위해서는 슬래브로부터 150mm~200mm 두께를 갖는 천장의 내부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실내공간의 용적 및 층고가 줄어들게 되어 옷장 등과 같은 가구 등의 이동시 활동반경의 제약이 따른다.
또한, 천장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슬래브 상부에서 발생한 충격음 및 배관 또는 스프링쿨러에서 발생하는 고체 및 공기 전달음이 슬래브 하부에 위치한 실내공간에 증폭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장을 시공함으로써 천장 자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 해충 등과 같은 오염물질로 인해 실내오염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래브 하부에 구비되는 배관을 천장을 대신하여 마감처리 할 수 있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래브 하부에 구비되는 배관을 통해 발생하는 고체 및 공기 전달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개폐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와, 상기 흡음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음재를 보호하는 마감재와,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어 상기 흡음재 및 상기 마감재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철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철물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래브 하부와 맞대어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철물이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흡음재와 상기 마감재가 상기 고정철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의 몸체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1흡음재와,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의 제2고정부에 동시에 고정되는 제2흡음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는 한 쌍의 상기 제1흡음재의 외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마감재와, 상기 제2흡음재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2마감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음재와 상기 제2마감재의 양단은 한 쌍의 상기 제1흡음재와 한 쌍의 상기 제1마감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배관을 상기 슬래브 하부 또는 상기 고정철물에 고정하는 배관고정철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고정철근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일부분과 맞대어져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슬래브 하부 또는 상기 고정철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에는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돌출되거나 내부에 삽입되어 실내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감싸도록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를 구비하여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 상기 제1흡음재와 상기 제2흡음재를 각각 감싸도록 제1마감재와 제2마감재를 구비하여 상기 흡음재를 보호하는 마감재; 상기 제1흡음재와 상기 제1마감재가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래브 하부와 맞대어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철물이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흡음재와 상기 제2마감재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고정철물; 또 다른 상기 제1흡음재 및 상기 제1마감재가 고정되는 또 다른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고정철물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고정철물; 상기 제2고정철물의 제1마감재 일측과 상기 제2마감재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철물의 몸체부, 상기 제1고정철물의 제2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흡음재 및 상기 마감재가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 및 상기 제1고정철물의 몸체부에 고정된 상기 제1마감재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제1고정철물의 제1고정부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과 결합하는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배관을 상기 슬래브 하부 또는 상기 제2고정철물에 고정하는 배관고정철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고정철근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일부분과 맞대어져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슬래브 하부 또는 상기 제2고정철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에는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돌출되거나 내부에 삽입되어 실내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의하면, 배관을 둘러싸는 마감재를 구비함으로써 슬래브 하부에 구비되는 배관을 마감처리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마감재 내측에 흡음재를 구비함으로써 배관을 통해 발생하는 고체 및 공기 전달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에 의해 소음저감용 배관커버가 개폐됨으로써 배관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의 고정철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배관고정철근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관고정철근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조명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의 고정철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는 슬래브(10) 하부에 설치된 배관(2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흡음재(100)와 상기 흡음재(10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음재(100)를 보호하고 상기 배관(20)의 마감처리를 하는 마감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음재(100)의 내측에는 상기 흡음재(100) 및 상기 마감재(200)를 상기 배관(20)을 감싼 상태로 상기 슬래브(10) 하부에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철물(3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300)은 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슬래브(10) 하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400)를 사용하여 상기 흡음재(100) 및 상기 마감재(200)를 상기 고정철물(3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100) 및 상기 마감재(200)는 상기 슬래브(10) 하부에 노출된 상기 배관(20)이 빈틈없이 감싸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300)은 상기 흡음재(100) 및 상기 마감재(200)의 무게를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배관(20)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에 의해 감싸진 상기 배관(20)을 제외한 상기 슬래브(10) 하부는 별도의 천장 시공 없이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천장 시공에 따른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들지 않고, 천장 시공 후 천장 자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 해충 등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10) 하부의 상당부분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슬래브(10) 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 등의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천장이 미설치됨에 따라 상기 슬래브(1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슬래브(10)를 통한 바닥충격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300)은 각각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내각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슬래브(1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철물(300)은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래브(10) 하부와 맞대어져 상기 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고정철물(300)이 상기 슬래브(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부(320)와,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흡음재(100)와 상기 마감재(200)가 상기 고정철물(3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고정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330)에 고정되는 상기 흡음재(100)와 상기 마감재(200)는 상기 고정부재(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320)와 상기 제2고정부(330)는 상기 고정부재(400)가 삽입되는 삽입부(340)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재(4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음재(100)는 제1흡음재(110)와 제2흡음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재(110)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300)의 몸체부(31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재(110)를 상기 몸체부(310)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1흡음재(110)와 맞대어지는 상기 몸체부(310)의 일면에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여 상기 제1흡음재(110)를 부착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재(4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흡음재(110)를 상기 몸체부(3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흡음재(120)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300)의 제2고정부(330)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흡음재(120)의 양측이 상기 고정부재(400)에 의해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300)의 제2고정부(330)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재(200)는 제1마감재(210)와 제2마감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재(210)는 한 쌍의 상기 제1흡음재(110)의 외면과 각각 맞대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재(210)를 상기 제1흡음재(110)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1마감재(210)와 맞대어지는 상기 제1흡음재(110)의 일면에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여 상기 제1마감재(210)를 부착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재(4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마감재(210)를 상기 제1흡음재(1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재(220)는 상기 제2흡음재(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마감재(220)의 양측이 상기 고정부재(400)에 의해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300)의 제2고정부(330)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흡음재(120)와 상기 제2마감재(220)의 양단은 한 쌍의 상기 제1흡음재(110)와 한 쌍의 상기 제1마감재(210)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제1흡음재(110)와 상기 제1마감재(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흡음재(110)와 상기 제1마감재(210)가 자중에 의해 상기 고정철물(30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흡음재(110)와 상기 제1마감재(21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기 슬래브(10)와 상기 제2흡음재(120) 및 상기 제2마감재(220)에 의해 빈틈없이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고정철물(3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슬래브(10)와 한 쌍의 상기 제1마감재(210)가 만나는 부분과 상기 제1마감재(210)와 상기 제2흡음재(120)가 만나는 부분에 실리콘처리를 하여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흡음재(100)와 상기 마감재(2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관(20)의 마감처리를 함과 동시에 상기 배관(20)에서 발생하는 고체 및 공기 전달음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철물(300)이 'ㄷ'자 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고정철물(300)은 다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에 구비되는 배관고정철근(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배관고정철근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관고정철근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에는 배관고정철근(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은 상기 배관(20)의 길이가 길거나 상기 배관(20)의 무게가 무거워 상기 배관(20)이 처지거나 상기 배관(2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관(20)과 결합하여 상기 배관(20)을 상기 슬래브(10) 하부 또는 상기 고정철물(3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은 상기 배관(20)의 길이나 무게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은 지지부(510)와 연결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10)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20)의 일부분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지지부(5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슬래브(10)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510)는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이 상기 슬래브(10) 하부에 고정될 시, 상기 배관(20) 외면의 절반 이상과 맞대어지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510)가 상기 배관(2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관(20)이 상기 지지부(5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이 상기 고정철물(300)에 고정될 시, 상기 지지부(510)는 상기 배관(20)의 하면을 받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배관(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5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몸체부(31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510)의 양단에 각각 상기 연결부(520)를 구비하여 한 쌍의 상기 몸체부(310)에 상기 연결부(52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이 상기 슬래브(10) 하부와 상기 고정철물(300)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철물(300)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관(20)을 지지하는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을 제외한 또 다른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은 스프링쿨러 파이프(30)를 비롯한 상기 슬래브(1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기타 파이프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에 의해 상기 배관(20)을 비롯한 상기 스프링쿨러 파이프(30) 등과 같은 기타 파이프 또한 마감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개의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이 상기 고정철물(300)에 각각 고정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 배관고정철근(500)은 상기 슬래브(10) 하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에 구비되는 조명장치(6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조명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는 조명장치(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재(2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재(220)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장치(600)가 상기 제2마감재(220)의 내부에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조명장치(600) 주변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조명장치(600)에서 발광된 빛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명되도록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600)는 실내공간을 직접 조명하거나 측벽을 조명함으로써 간접조명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에 상기 조명장치(600)가 구비됨으로써 실내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상기 조명장치(600)가 설치되는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명장치(600)에 필요한 전선 등과 같은 전기설비를 상기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조명장치(600)의 각종 전기설비가 실내공간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명장치(600)가 상기 제2마감재(220)에 구비되는 것을 보였으나, 상기 조명장치(600)는 상기 제1마감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A)는 흡음재(100), 마감재(200), 제1고정철물(300a), 제2고정철물(300b), 힌지(700) 및 고정수단(8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철물(300a)은 상기 제1흡음재(110)와 상기 제1마감재(210)가 고정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래브(10) 하부와 맞대어져 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슬래브(1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320)와,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흡음재(120)와 상기 제2마감재(220)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철물(300b)은 또 다른 상기 제1흡음재(110)와 상기 제1마감재(210)가 고정되는 상기 몸체부(310)와 상기 제1고정부(320)를 구비하여 상기 제1고정철물(300a)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700)는 상기 제2고정철물(300b)의 제1마감재(210) 일측과 상기 제2마감재(220)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철물(300a)의 몸체부(310), 상기 제1고정철물(300a)의 제2고정부(330), 상기 제2고정부(330)에 고정된 상기 흡음재(100) 및 상기 마감재(20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철물(300b)은 상기 제1고정철물(300a)과 다르게 상기 제2고정부(33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흡음재(120) 및 상기 제2마감재(220)는 상기 제1고정철물(300a)에 의해서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700)를 축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철물(300a)과 상기 제1고정철물(300a)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흡음재(100) 및 상기 마감재(200)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2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20)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800)은 상기 제1고정철물(300a)의 몸체부(310)에 고정된 상기 제1마감재(2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810)과 상기 제1고정철물(300a)의 제1고정부(320)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810)과 결합하는 제2고정수단(820)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7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철물(300a)에 고정되는 상기 제1흡음재(110)는 상기 제1고정수단(810)이 상기 제1마감재(21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고정수단(810)의 길이만큼 절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철물(300a)의 몸체부(310) 또한 상기 제2고정수단(820)이 상기 제1고정수단(810)과 결합할 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고정수단(820)의 길이만큼 절단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수단(810)과 상기 제2고정수단(820)은 각각 자성체로 구비되어 자력에 상호 간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억지 끼워맞춤방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제1고정수단(810)과 제2고정수단(820)이 결합 및 해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용 배관커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A: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10: 슬래브
20: 배관 30: 스프링쿨러 파이프
100: 흡음재 200: 마감재
300: 고정철물 400: 고정부재
500: 배관고정철근 600: 조명장치
700: 힌지 800: 고정수단

Claims (12)

  1.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와,
    상기 흡음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음재를 보호하는 마감재와,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어 상기 흡음재 및 상기 마감재를 상기 슬래브에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철물을 포함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물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래브 하부와 맞대어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철물이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흡음재와 상기 마감재가 상기 고정철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의 몸체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1흡음재와,
    한 쌍의 상기 고정철물의 제2고정부에 동시에 고정되는 제2흡음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한 쌍의 상기 제1흡음재의 외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마감재와,
    상기 제2흡음재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2마감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음재와 상기 제2마감재의 양단은 한 쌍의 상기 제1흡음재와 한 쌍의 상기 제1마감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배관을 상기 슬래브 하부 또는 상기 고정철물에 고정하는 배관고정철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철근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일부분과 맞대어져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슬래브 하부 또는 상기 고정철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에는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돌출되거나 내부에 삽입되어 실내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9.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감싸도록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를 구비하여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
    상기 제1흡음재와 상기 제2흡음재를 각각 감싸도록 제1마감재와 제2마감재를 구비하여 상기 흡음재를 보호하는 마감재;
    상기 제1흡음재와 상기 제1마감재가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래브 하부와 맞대어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흡음재와 상기 제2마감재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고정철물;
    또 다른 상기 제1흡음재 및 상기 제1마감재가 고정되는 또 다른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고정철물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고정철물;
    상기 제2고정철물의 제1마감재 일측과 상기 제2마감재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철물의 몸체부, 상기 제1고정철물의 제2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흡음재 및 상기 마감재가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 및
    상기 제1고정철물의 몸체부에 고정된 상기 제1마감재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제1고정철물의 제1고정부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과 결합하는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배관을 상기 슬래브 하부 또는 상기 제2고정철물에 고정하는 배관고정철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철근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일부분과 맞대어져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슬래브 하부 또는 상기 제2고정철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에는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돌출되거나 내부에 삽입되어 실내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KR1020140122582A 2014-09-16 2014-09-16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KR10146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582A KR101468911B1 (ko) 2014-09-16 2014-09-16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582A KR101468911B1 (ko) 2014-09-16 2014-09-16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911B1 true KR101468911B1 (ko) 2014-12-04

Family

ID=5267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582A KR101468911B1 (ko) 2014-09-16 2014-09-16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05B1 (ko) * 2016-10-18 2017-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배관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195B2 (ko) * 1982-06-03 1991-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2005036698A (ja) * 2003-07-18 2005-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の防音構造
KR20100071310A (ko) * 2008-12-19 2010-06-29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인테리어 겸용 커버 부재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1403694B1 (ko) * 2014-02-06 2014-06-05 (주)유진이엔지 천장용 에어컨의 돌출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195B2 (ko) * 1982-06-03 1991-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2005036698A (ja) * 2003-07-18 2005-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の防音構造
KR20100071310A (ko) * 2008-12-19 2010-06-29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인테리어 겸용 커버 부재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1403694B1 (ko) * 2014-02-06 2014-06-05 (주)유진이엔지 천장용 에어컨의 돌출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05B1 (ko) * 2016-10-18 2017-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배관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21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KR101311682B1 (ko) Lsp 조립식 칸막이
KR20150120791A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101468911B1 (ko) 소음저감용 배관커버
KR102437260B1 (ko)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42918B1 (ko)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커튼월 샷시조립체
KR101946985B1 (ko) 방음터널용 패널파이프 지지장치
KR100803766B1 (ko) 조립형 이동식 건물
KR102236474B1 (ko) 우물천장 구조물
KR20120119312A (ko) 건축물의 우물천장 고정구조물
KR10068760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6027620B2 (ja) 修復用装置を有する擬似壁用パネルのカバー装置およびカバーする方法
KR101666065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20170016628A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JPH1162082A (ja) 木造軸組工法における建築物の床骨組構造
JP6883304B2 (ja) 組立式建築物
KR102324084B1 (ko)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JP2001182366A (ja) 床下化粧体と免震支承装置及び免震建物
CN105863116A (zh) 一种双层方钢通隔音墙结构及其安装方法
JP5977660B2 (ja) 壁体の施工方法
KR20140078249A (ko) 조립식 바닥판넬
JP6786617B2 (ja) 外部導管係合特徴部を備えたプレハブ式間仕切り壁
FR2866040B1 (fr) Elements prefabriques verticaux modulaires pour l'elevation de murs d'habitation isoles avec finitions ainsi que leur procede de fabrication
KR101857252B1 (ko) 조립식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