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065B1 -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Google Patents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6065B1 KR101666065B1 KR1020150109952A KR20150109952A KR101666065B1 KR 101666065 B1 KR101666065 B1 KR 101666065B1 KR 1020150109952 A KR1020150109952 A KR 1020150109952A KR 20150109952 A KR20150109952 A KR 20150109952A KR 101666065 B1 KR101666065 B1 KR 101666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 frame
- vertical plate
- plat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기설비, 덕트설비 및 배관설비가 구비되며, 상측 프레임들, 하측 프레임들 및 측면 프레임들에 의해 다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 및 상기 슬래브로부터 설정 높이 이격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실내공간 천정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천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하측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천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천정부재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천정부재 행거유닛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에서 전기설비, 덕트설비, 배관설비 등이 구비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을 손쉽게 슬래브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천정부재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공장, 주택 등의 건물에는 천정으로 여러 종류의 설비가 통과하거나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비를 지지고정하기 위해서 천정에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천정 구조물로는 통상 천정면에서 현수된 장볼트와, 이 장볼트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되는 행거 및, 이 행거에 매달려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들이 있다.
이와 같이 천정에 설비가 위치하거나 관통하게 되면 건물의 사용공간이 난잡할 뿐만 아리나, 보기에도 좋지 않게 되므로 천정구조물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바들의 저면부에 미려한 천정판을 부착하여 마감하게 된다. 특히, 천정구조물은 지지프레임 및 천정판이 고정되는 고정바들을 천정에 지지하기 위하여 건물 슬라브 형성 시, 천정 아래로 장볼트를 매설 시공하고, 그에 지지프레임과 고정바들을 차폐로 조립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천정구조물은 획일적인 간격으로 장볼트를 천정 아래로 내려 매설시공하고, 그 간격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시공하였다. 이때, 천정에 기타설비, 예를 들어 등기구 및 덕트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보강틀을 더 구성하여 지지프레임을 보강틀에 재설치하여 시공을 해야 되었다. 이에 따라 시공 시, 천정 틀에 손상을 일으킬 뿐 아니라,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비가 상승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행거가 장볼에 곧바로 너트로 체결되므로 건물의 진동이 천정구조물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지진이나 기타 건물의 흔들림 발생 시 그 충격이 행거에 그대로 전해져 행거가 파지하고 있는 천정설비들이 파손되거나 큰 소음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에서 전기설비, 덕트설비, 배관설비가 구비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을 손쉽게 슬래브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천정부재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기설비, 덕트설비 및 배관설비가 구비되며, 상측 프레임들, 하측 프레임들 및 측면 프레임들에 의해 다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 및 상기 슬래브로부터 설정 높이 이격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실내공간 천정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천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하측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천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천정부재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천정부재 행거유닛들을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합 프레임 유닛에 걸림 고정되거나, 결합 고정되는 천정부재 행거유닛에 의해 천정부재의 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둘째, 접합부재에 의해 건축구조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체와 복합 프레임 유닛의 측면을 연결함으로써, 복합 프레임 유닛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진 등과 같은 외부의 강한 진동에도 복합 프레임 유닛이 프레임 행거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복합 프레임 유닛에 걸림 고정되거나, 결합 고정되는 천정부재 행거유닛에 의해 천정부재의 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전기설비, 덕트설비, 배관설비가 구비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을 슬라브에 연결되는 프레임 행거유닛에 걸쳐서 고정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복합 프레임 유닛의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에 사용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의 상세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가 도시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의 복합 프레임 유닛, 프레임 행거유닛, 천정부재 행거유닛 및 접합부재가 모두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는 도 2에 천정부재 행거유닛의 실시예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은 도 2에 따른 접합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에 따른 프레임 행거유닛의 실시예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프레임 행거유닛, 천정부재 행거유닛 및 접합부재에 의해 복합 프레임 유닛 및 천정부재, 벽체의 시공 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가 도시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의 복합 프레임 유닛, 프레임 행거유닛, 천정부재 행거유닛 및 접합부재가 모두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는 도 2에 천정부재 행거유닛의 실시예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은 도 2에 따른 접합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에 따른 프레임 행거유닛의 실시예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프레임 행거유닛, 천정부재 행거유닛 및 접합부재에 의해 복합 프레임 유닛 및 천정부재, 벽체의 시공 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살펴보면,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는, 복합 프레임 유닛(100) 및 천정부재 행거유닛(20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세 구성들이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은 내부에 건축구조물의 전기설비, 덕트설비, 배관설비가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에 의해 슬래브(1, slab)에 매달려 고정된다.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은 상측 프레임(110)들, 하측 프레임(130)들 및 측면 프레임(150)들을 포함하며, 이들에 의해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전기설비, 상기 덕트설비 및 상기 배관설비를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내부에 구비 시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이 많아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전기설비, 상기 덕트설비 및 상기 배관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상측 프레임(110), 각각의 상기 하측 프레임(130) 및 각각의 측면 프레임(150)은 예를 들어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웨브(미표기), 상기 웨브의 양단부에 상기 웨브와 교차하는 방향을 연장되는 플랜지(미표기)들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에 의해 'C' 형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200)은 상기 슬래브(1)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실내공간 천정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천정부재(10)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하측 프레임(1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천정부재(10)에 연결되어 상기 천정부재(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200)은 걸림고정부재(210) 및 슬라이드 부재(23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프레임(130)은 웨브(미표기) 및 플랜지(미표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고정부재(210)는 상기 하측 프레임(130)의 플랜지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걸림고정부재(210)는 몸체(21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고정부재(210)가 상기 하측 프레임(130)의 플랜지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210`)의 타측에는 상기 몸체(210`)의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홀(212)들이 상기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홀(212)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돌기(213)들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홀(21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15)에 상기 돌기(213)들이 연결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215)가 압축되면서 상기 돌기(213)들은 상기 홀(212)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215)가 인장하면서 상기 돌기(213)들이 상기 홀(212)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탄성부재(215)는 예시적으로 스프링이 적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가 상기 걸림고정부재(210)에 결합될 때,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측의 돌기(213)들에 걸려 고정될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와 세 번째 돌기(213)들이 간섭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213)들은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홀(2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세 번째 돌기(213)들에 외력을 가하여 세 번째 돌기(213)들을 홀(212)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는 상기 걸림고정부재(210)의 상기 돌기(213)들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돌기(213)들에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공지된 엠바(M-bar)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가 상기 엠바(M-bar)로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의 형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에는 상기 천정부재(10)가 결합되며, 천정부재(10)가 결합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가 상기 걸림고정부재(210)의 상기 돌기(213)들에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천정부재(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천정부재(10)가 결합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가 걸림 고정되는 상기 돌기(213)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천정부재(10)가 설치되는 높이도 조절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200a)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200a)은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200)에 포함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200a)은 제1 앵커볼트(210a), 결합고정부재(220a), 고정 플레이트(240a) 및 고정너트(25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앵커볼트(210a)는 공지의 앵커볼트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1'자 형상의 앵커볼트가 적용된다. 상기 결합고정부재(220a)는 제1 수직 플레이트(221), 제1 수평 플레이트(222)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23)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21)은 상기 하측 프레임(130)의 플랜지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와 밀착된다.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22)는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21)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앵커볼트(210a)가 관통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223)은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22)의 선단에서 상기 제4 수직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측 프레임(130)의 플랜지들 중 다른 하나의 플랜지와 밀착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40a)는 상기 하측 프레임(130)의 웨브에 밀착되며, 상기 제1 앵커볼트(210a)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웨브(미표기)에 상기 제1 앵커볼트(210a)의 직경보다 크기가 더 큰 홀(미표기)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앵커볼트(210a)를 고정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웨브(미표기)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240a)을 밀착시켜 상기 제1 앵커볼트(210a)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240a)를 관통하게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200a)이 상기 하측 프레임(130)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고정 플레이트(240a)가 하측 프레임(130)의 웨브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고정부재(220a)가 상기 하측 프레임(130)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앵커볼트(210a)는 상기 결합고정부재(220a)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40a)를 동시에 관통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250a)가 상기 제1 앵커볼트(210a)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결합고정부재(220a)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240a) 사이에도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240a) 및 상기 결합고정부재(220a)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앵커볼트(210a)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너트(250a)들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하측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20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고정부재(220a)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223)의 선단에는 횡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돌기들(224)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들(224)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가 걸림되며, 상기 돌기들(224)에 안내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30)에 결합되는 상기 천정부재(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는 접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합부재(300)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실내공간 벽면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벽체(3)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접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측면 프레임(15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벽체(3)와 연결된다. 다만, 상기 접합부재(300)가 상기 벽체(3)와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벽체(3)에 시공되는 벽체 마감부재(30), 예를 들면 석고보드와 상기 접합부재(300)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접합부재(300)에 결합됨으로써 연결된다.
상기 접합부재(3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을 절곡하여 'H'자 형상으로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공지된 경량 스터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지된 경량 스터드가 상기 접합부재(300)로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접합부재(300)는 체결부재(310)에 의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측면 프레임(150)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310)는 예시적으로 볼트(311), 와셔(312) 및 너트(313)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311)가 상기 접합부재(300) 및 상기 측면 프레임(150)을 동시에 관통하면, 상기 볼트(311)의 양 측에 상기 와셔(312) 및 상기 너트(313)가 체결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과 상기 접합부재(300)를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는 천정부재 행거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슬래브(1)에 매달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은 상기 슬래브(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기 상측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지지한다. 후술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은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이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성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을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은, 제2 앵커볼트(410) 및 제1 지지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앵커볼트(410)은 일측이 상기 슬래브(1)에 매립되며,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지지부재(430)가 연결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4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앵커볼트(4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일부분이 개구되어 있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110)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430)는 상기 제2 앵커볼트(410)의 타측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431-1)이 형성된 제2 수평 플레이트(431)와,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의 선단에서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직 플레이트(432)와,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432)의 선단에서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평 플레이트(433) 및 상기 제3 수평 플레이트(433)의 선단에서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432)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43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4 수직 플레이트(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수직 플레이트(434)는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432) 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과 상기 제4 수직 플레이트(434)의 선단 사이에 개구된 부분(미표기)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부분(미표기)을 통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상기 개구된 부분(미표기)을 통해 삽입되면,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432), 상기 제3 수평 플레이트(433) 및 상기 제4 수직 플레이트(434)에 의해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감싸지며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앵커볼트(410)의 타측이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을 관통하면 상기 제2 앵커볼트(410)의 타측에 제1 너트(450)가 체결되면서 상기 제1 지지부재(430)가 상기 제2 앵커볼트(410)과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제1 지지부재(400)는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432)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과 상기 제4 수직 플레이트(434) 선단 사이의 상기 개구된 부분(미표기)을 차폐하는 제5 수직 플레이트(435)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5 수직 플레이트(435)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므로, 상기 제5 수직 플레이트(435)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된 부분(미표기)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기 상측 프레임(110)을 상기 제1 지지부재(430)에 삽입시키거나 인출시킨 후, 상기 제5 수직 플레이트(435)를 다시 회전시켜 상기 개구된 부분(미표기)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5 수직 플레이트(435)에 의해 상기 개구된 부분(미표기)을 차폐할 수 있어, 특히,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10)의 상기 상극 프레임(110)이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에 삽입되었을 때,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상기 제1 지지부재(4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은 도 10에 도시된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의 변형된 실시형태로서,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은 상기 제2 앵커볼트(410), 상기 제1 지지부재(430`) 및 길이조절부재(4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앵커볼트(410)은 도 10에 도시된 상기 제2 앵커볼트(410)과 동일한 구성이며, 상기 제1 지지부재(430`)는 도 10에 도시된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400)의 상기 제1 지지부재(43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제1 지지부재(430`)는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5 수직 플레이트(435)의 구성이 생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재(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440)는 상기 제2 앵커볼트(410)과 상기 제1 지지부재(430`) 사이에 구비되어 체결부재(460)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재(430`)와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440)가 상기 제2 앵커볼트(410)과 상기 제1 지지부재(43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래브(1)로부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이격되는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앵커볼트(410)과 상기 제1 지지부재(43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길이조절부재(440)가 구비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440)가 구비되는 개수에 따라 상기 슬래브(1)로부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이격되는 거리가 조절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길이조절부재(440)가 하나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44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길이조절부재(440)는 상기 제2 앵커볼트(410)의 타측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441a)이 형성된 제4 수평 플레이트(441)와, 상기 제4 수평 플레이트(441)의 선단에서 상기 제4 수평 플레이트(44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 수직 플레이트(442) 및 상기 제6 수직 플레이트(442)의 선단에서 상기 제3 수평 플레이트(442)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수평 플레이트(44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5 수평 플레이트(443)에는 상기 제1 지지부재(430`)와 상기 길이조절부재(440)가 상기 체결부재(46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431)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미표기)과 대응되는 제3 관통홀(미표기)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지지부재(430`) 상에 상기 길이조절부재(440)가 배치되면,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제3 관통홀(미표기)과 상기 제1 관통홀(미표기)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재(430`)와 상기 길이조절부재(440)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460)는 예시적으로 볼트(461), 와셔(463) 및 너트(미표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적용되므로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때 실내구조에 적합한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때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부재(10)가 설치되는 높이는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천정부재(10)가 설치되는 높이를 달리하는 경우, 실내공간의 중앙에 벽체(3)를 시공하고, 상기 접합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벽체(3)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접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과 상기 벽체(3)가 서로를 고정시키는 상호 보완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300)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의 벽을 형성하는 상기 벽체(3)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과 건축구조물의 고정력이 더욱 향상되어 지진 등과 같이 건축구조물에 강한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 뿐 아니라, 이에 연결된 상기 천정부재(10)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복합 프레임 유닛 110: 상측 프레임
130: 하측 프레임 150: 측면 프레임
200, 200a: 천정부재 행거유닛
210: 걸림고정부재s
210`: 몸체 211: 홈
213: 돌기 215: 탄성부재
230: 슬라이드 부재 210a: 제2 앵커볼트
220a: 결합고정부재 240a: 고정 플레이트
250a: 고정 너트
300: 접합부재 310: 체결부재
400, 400`: 프레임 행거유닛
410: 제1 앵커볼트 430, 430`: 제1 지지부재
440: 길이조절부재
130: 하측 프레임 150: 측면 프레임
200, 200a: 천정부재 행거유닛
210: 걸림고정부재s
210`: 몸체 211: 홈
213: 돌기 215: 탄성부재
230: 슬라이드 부재 210a: 제2 앵커볼트
220a: 결합고정부재 240a: 고정 플레이트
250a: 고정 너트
300: 접합부재 310: 체결부재
400, 400`: 프레임 행거유닛
410: 제1 앵커볼트 430, 430`: 제1 지지부재
440: 길이조절부재
Claims (13)
-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기설비, 덕트설비 및 배관설비가 구비되며, 상측 프레임들, 하측 프레임들 및 측면 프레임들에 의해 다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 및
슬래브로부터 설정 높이 이격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실내공간 천정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천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하측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천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천정부재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천정부재 행거유닛들을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은 수평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양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은,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력에 의해 삽입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돌출되는 돌기들이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걸림고정부재; 및
상기 돌기들에 걸림되되, 상기 돌기들에 안내되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천정부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돌기들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돌기들이 삽입되도록 압축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돌기들이 돌출되도록 인장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은 수평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양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천정부재 행거유닛은,
제1 앵커볼트;
상기 플랜지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와 밀착되는 제1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플랜지들 중 다른 하나의 플랜지와 밀착되는 제2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의 선단에는 돌기들이 형성된 결합고정부재;
상기 웨브에 밀착되되, 상기 제1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제1 앵커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하측 프레임에 배치된 상기 결합고정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들; 및
상기 돌기들에 걸림되되, 상기 돌기들에 안내되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천정부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축구조물의 실내공간 벽면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벽체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접합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측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벽체와 연결되는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경량 스터드를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부가 개구되어 있어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상기 상측 프레임이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으며, 일측은 슬래브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상측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행거유닛들을 더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들 중 각각의 프레임 행거유닛은,
일측이 상기 슬래브에 매립되며, 타측은 상기 슬래브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너트가 체결되는 제2 앵커볼트; 및
상기 제2 앵커볼트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상측 프레임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앵커볼트의 타측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수평 플레이트;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평 플레이트;
상기 제3 수평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4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의 타단과 상기 제4 수직 플레이트의 선단 사이에 개구된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이 상기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3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수직 플레이트에 의해 감싸지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는 제5 수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은,
상기 제2 앵커볼트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상기 슬래브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제2 앵커볼트의 타측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4 수평 플레이트;
상기 제4 수평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4 수평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제6 수직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4 수평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5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952A KR101666065B1 (ko) | 2015-08-04 | 2015-08-04 |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952A KR101666065B1 (ko) | 2015-08-04 | 2015-08-04 |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6065B1 true KR101666065B1 (ko) | 2016-10-13 |
Family
ID=5717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9952A KR101666065B1 (ko) | 2015-08-04 | 2015-08-04 |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606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5093B1 (ko) | 2020-06-04 | 2021-02-10 | 성화시스템챤넬(주) | 내진성을 강화한 건축구조물의 천정용 랙 모듈러 |
KR102256620B1 (ko) | 2020-08-31 | 2021-05-26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8197A (ja) * | 1993-12-08 | 1995-06-20 | Shimizu Corp | 天井フレー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天井の施工方法 |
KR100383792B1 (ko) | 2000-02-02 | 2003-05-16 | 조용군 | 조립성을 개선한 천정구조물 |
KR20150054174A (ko) * | 2013-11-11 | 2015-05-20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채널의 상부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널의 설치공법 |
-
2015
- 2015-08-04 KR KR1020150109952A patent/KR1016660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8197A (ja) * | 1993-12-08 | 1995-06-20 | Shimizu Corp | 天井フレー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天井の施工方法 |
KR100383792B1 (ko) | 2000-02-02 | 2003-05-16 | 조용군 | 조립성을 개선한 천정구조물 |
KR20150054174A (ko) * | 2013-11-11 | 2015-05-20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채널의 상부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널의 설치공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5093B1 (ko) | 2020-06-04 | 2021-02-10 | 성화시스템챤넬(주) | 내진성을 강화한 건축구조물의 천정용 랙 모듈러 |
KR102256620B1 (ko) | 2020-08-31 | 2021-05-26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20220029295A (ko) | 2020-08-31 | 2022-03-08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20220029293A (ko) | 2020-08-31 | 2022-03-08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20220029296A (ko) | 2020-08-31 | 2022-03-08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20220029297A (ko) | 2020-08-31 | 2022-03-08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20220029294A (ko) | 2020-08-31 | 2022-03-08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167274A1 (en) | Ceiling system and ceiling baffle thereof | |
RU2010112691A (ru) | Ударопрочный подвесной потолок и его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 |
KR101887203B1 (ko) |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 |
KR102000228B1 (ko) |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 |
KR101666065B1 (ko) |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
KR101047854B1 (ko) | 건물 마감용 패널 및 패널 프레임의 조립구조 | |
KR101707559B1 (ko) |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
KR101703982B1 (ko) | 조립식 천장구조물 | |
KR20130138602A (ko) | 천정마감장치 | |
KR100884043B1 (ko) |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 체결장치 | |
KR20130116786A (ko) | 천장패널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389958B1 (ko) | 천장 루버 | |
KR102251214B1 (ko) | 내진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 조립체 | |
JP2015212503A (ja) | 斜め補強部材用取付金具 | |
JP2014199124A (ja) | 天井吊下げ機器用免震装置 | |
KR100633806B1 (ko) | 전기설비용 양방향 파이프 행거 | |
KR20190090437A (ko) | 경량철골틀의 내진장치 | |
JP2018027189A (ja) | 垂壁パネル及び防煙垂壁 | |
JP5376580B2 (ja) | 天井下地構造体 | |
JP2015059420A (ja) | ビーム支持装置 | |
KR101553003B1 (ko) |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조형물 | |
KR102616862B1 (ko) |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 |
KR102031114B1 (ko) |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 |
KR101006190B1 (ko) | 레버형 사각바 조립클립 | |
JP2021014765A (ja) | ネジ取付部材固定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