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084B1 -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 Google Patents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084B1
KR102324084B1 KR1020190129092A KR20190129092A KR102324084B1 KR 102324084 B1 KR102324084 B1 KR 102324084B1 KR 1020190129092 A KR1020190129092 A KR 1020190129092A KR 20190129092 A KR20190129092 A KR 20190129092A KR 102324084 B1 KR102324084 B1 KR 102324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e
ceiling
fixing member
sup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714A (ko
Inventor
김명준
조현민
김신태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0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슬라브(C)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벽체(W)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1-1면(111)과 상기 제1-1면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2면(112)으로 이루어진 띠장(110); 상기 띠장의 제1-1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20); 및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지지대(1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제1-1면에 결합되는 제2-1면(121);과, 상기 제2-1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2면(122)과 제2-3면(1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2-2면(122) 및 제2-3면(123)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을 제공함으로써, 상층의 천장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경량벽체 및 내단열 벽체 등과 같은 직접적으로 하중을 받을 수 없는 비내력벽에서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CEILING STRUCTURE WITH HORIZONTAL BEAM SUPPORTED BY WALL}
본 발명은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천장 구조틀로서 띠장형 천장 구조틀을 구현하여 바닥충격음에 대한 소음저감 효과를 높이면서 시공성을 향상시킨 기술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천장은 상부의 슬라브 구조물을 차폐하고 실내의 미관의 수려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기의 차단이나 소음의 반사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틀을 시공하고 여기에 천장마감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천장틀의 일반적인 구조는, 천장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재 부착부재와 이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바, 마감재 부착부재는 다수개의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이 서로 수평이 맞게 교차 연결되어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다.
현재, 신축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천장구조의 경우, 앵커를 통한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경량철골(M-bar) 천장과, 목재로 틀을 설치하는 목상 천장틀 구조가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천장구조는 층간소음 측면에서 효과는 미비한 문제가 있다. 또한, 천장슬라브와 천장을 연결하는 틀이나 달대 등이 고체음 전달통로(sound bridge)가 되어 천장마감재를 통해 상층 바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그대로 천장으로 전달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벽체가 비내력 벽체이거나 내단열 등 경량벽체의 경우 벽체에서 천장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시공을 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6590호(등록일 2012.12.21.) 한국등록특허 제10-1730004호(등록일 2017.04.19.)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천장슬라브 구조 중 천장 내부 달대 및 연결부재 등의 구성요소를 통해 전달되는 고체음의 전달경로를 최소화한 천장구조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천장슬라브와 연결되는 달대 등 구조물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층간소음을 최소화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내력 벽체이거나 내단열 등 경량벽체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천장구조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동시에 시공의 편의성도 향상시킨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장슬라브(C)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벽체(W)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1-1면(111)과 상기 제1-1면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2면(112)으로 이루어진 띠장(110); 상기 띠장의 제1-1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20); 및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지지대(1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제1-1면에 결합되는 제2-1면(121);과, 상기 제2-1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2면(122)과 제2-3면(1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2-2면(122) 및 제2-3면(123)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제2-2면(122)과 제2-3면(123)에 각각 결합되는 제3-1면(131)과 제3-2면(132);과, 상기 제3-1면(131)과 제3-2면(132)의 상단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3면(133);과, 상기 제3-1면(131)과 제3-2면(132)의 하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4면(134)과 제3-5면(1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은 상기 띠장의 제1-2면(112)과 소정 폭만큼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의 제3-3면(133)은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과 상기 띠장의 제1-2면(112)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대(130)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복수 개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는 흡음재모듈이 배치되어 천장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흡음재모듈은,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의 제3-4면과 제3-5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띠장의 제1-1면과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대는 각각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띠장의 제1-2면(112)과 상기 천장슬라브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0)를 더 포함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상기 벽체(W)와 상기 띠장의 제1-1면 사이에는 고무부재를 배치하여 벽체를 통한 소음 전달을 차단하고, 상기 띠장의 제1-1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면 사이에는 고무부재를 배치하여 절연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띠장과 상기 고정부재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별개로 제작된 후 나사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상층의 천장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ㄱ형상의 띠장 구조로 인해 천장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벽체에 고정되는 천장 구조틀이면서 경량벽체 및 내단열 벽체 등과 같은 직접적으로 하중을 받을 수 없는 비내력벽에서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현재 공동주택 천장 내부에는 공기 덕트 및 스프링클러 배관 등 다양한 설비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천장구조를 설치함에 어려움이 존재하나 본 발명의 경우, ㄱ형 띠장 및 고정부재를 일체화 시켜 작업 및 제작하여 벽체에 해당 모듈을 설치할 수 있어서 높은 시공성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이 천장슬라브 아래쪽에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의 좌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의 우측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의 벽체 접합부의 확대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이 시공되는 모습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의 다른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이 천장슬라브 아래쪽에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2에서 도 4는 각각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의 평면도, 좌측단면도이며, 우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서는 벽체가 생략된 그림이며, 천장슬라브(C)에서 일정 간격 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천장슬라브의 아래쪽에 본 발명의 띠장형 벽체지지 천장 구조틀(100)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띠장형 벽체지지 천장구조틀(1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천장을 형성하는 흡음재모듈(20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띠장형 벽체지지 천장 구조틀(이하, 간단히 '천장 구조틀'이라고도 함)은 상기 천장슬라브 아래에 배치되면서 상기 흡음재모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틀이 벽체(W)에 결합된 모습이며,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틀의 분리 사시도와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보면, 본 발명의 천장 구조틀(100)은 크게 보아 ㄱ 형상의 띠장(110)과 ㄷ 형상의 고정부재(120)와 지지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띠장(110)은 제1-1면(111)과 상기 제1-1면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2면(112)으로 이루어져서 ㄱ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제2-1면(121)과, 상기 제2-1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2면(122)과 제2-3면(1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1면(121)이 상기 제1-1면(111)에 나사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띠장(110)의 제1-1면(111)은 천장슬라브(C)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된 위치에서 벽체(W)에 수평으로 나사 등 결합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제2-2면(122)과 제2-3면(123)에 각각 결합되는 제3-1면(131)과 제3-2면(132)과, 상기 제3-1면(131)과 제3-2면(132)의 상단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3면(133)과, 상기 제3-1면(131)과 제3-2면(132)의 하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4면(134)과 제3-5면(1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20)의 상단은 상기 띠장(110)의 제1-2면(112)과 소정 폭만큼 이격되어 결합된다. 이 소정 폭만큼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지지대의 제3-3면(133)이 위치하도록 나사(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띠장(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벽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130)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띠장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는 흡음재모듈(도 1의 200)이 배치되어 천장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흡음재모듈은,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130)의 제3-4면(134)과 제3-5면(135)의 상측에 접하면서 지지된다.
상기 띠장의 제1-1면과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대는 각각 나사(미도시)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이 시공되는 모습이다. 먼저, 벽체(W) 일정 위치에 상기 ㄱ 형상의 띠장(110)을 위치하여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재(120)를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하면서 나사 등 고정수단으로 띠장에 결합한다. 이때 고정부재의 상단과 띠장 사이에는 적절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 간격으로 상기 지지대(130)를 끼우고 지지대와 고정부재를 나사로 결합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띠장과 상기 고정부재는 미리 일체로 제작되어 시공 현장에 투입될 수도 있고, 또는 별개로 제작된 후 시공 현장에서 나사로 결합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의 다른 실시 형태이다. 본 실시예는 띠장(110)과 벽체(W)의 결합이 약한 경우를 대비하여 천장슬라브와 띠장을 연결하는 부재를 더 추가한 것이다. 즉, 상기 띠장의 제1-2면(112)과 상기 천장슬라브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0)를 더 포함하여 천장구조틀(100)의 강도를 보강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벽체(W)와 상기 띠장(110)의 제1-1면(111) 사이에는 고무부재(미도시)를 배치하여 벽체를 통한 소음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층간소음 차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고무부재는 1.2mm 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띠장(110)의 제1-1면(111)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121)면 사이에는 고무부재를 배치하여 절연효과가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 좋고, 이때 고무부재는 1.2mm 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천장 구조틀은 ㄱ 형상의 띠장을 사용하여 흡음재모듈을 지지하는 천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측벽이 비내력벽, 내단열 등 경량벽체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천장구조에 하중을 벽체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추가적으로, 천장 구조틀이 구조적으로 천장시공이 어려운 구조 및 조건에서도 벽체에만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천장시공이 어려운 구조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천장구조틀이 설치된 후 남은 천장공간(설비 시스템이 설치되는 곳으로 공기층이 존재)에는 흡음재를 충진하여 바닥충격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상층의 천장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ㄱ 형상의 띠장 구조로 인해 천장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벽체에 고정되는 천장 구조틀이며, 경량벽체와 내단열 벽체 등과 같은 직접적으로 하중을 받을 수 없는 비내력벽에서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천장슬라브(C)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벽체(W)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1-1면(111)과 상기 제1-1면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2면(112)으로 이루어진 띠장(110); 상기 띠장의 제1-1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20); 및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130);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재모듈; 및 상기 띠장과 상기 천장슬라브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0)를 포함하는 천장 구조틀로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제1-1면에 결합되는 제2-1면(121);과, 상기 제2-1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2면(122)과 제2-3면(1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제2-2면(122)과 제2-3면(123)에 각각 결합되는 제3-1면(131)과 제3-2면(132);과, 상기 제3-1면(131)과 제3-2면(132)의 상단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3면(133);과, 상기 제3-1면(131)과 제3-2면(132)의 하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4면(134)과 제3-5면(1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상단은 상기 띠장의 제1-2면(112)과 소정 폭만큼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의 제3-3면(133)은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과 상기 띠장의 제1-2면(112)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기 띠장의 제1-2면과 상기 천장슬라브를 연결하되, 상기 수직지지대는 천장의 네 모서리 위치에서만 구비되어 있어서 천장에서 전달되는 천장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비내력 벽체와 경량벽체에도 설치가능하고,
    상기 띠장의 제1-1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면 사이에는 고무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모듈은,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의 제3-4면과 제3-5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의 제1-1면과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대는 각각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29092A 2019-10-17 2019-10-17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KR102324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92A KR102324084B1 (ko) 2019-10-17 2019-10-17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92A KR102324084B1 (ko) 2019-10-17 2019-10-17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14A KR20210045714A (ko) 2021-04-27
KR102324084B1 true KR102324084B1 (ko) 2021-11-08

Family

ID=7572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092A KR102324084B1 (ko) 2019-10-17 2019-10-17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0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4288A (ja) * 2014-07-03 2016-01-28 株式会社フジタ 耐震天井
US20170226736A1 (en) * 2014-08-19 2017-08-10 Usg Interiors, Llc Free span ceiling grid system
KR101972806B1 (ko) * 2016-09-09 2019-04-2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틀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515A (ko) * 2009-10-07 2011-04-13 (주)유창플러스 공동주택용 천장의 경량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6590B1 (ko) 2012-08-21 2012-12-31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높이조절과 형태 변형이 가능한 우물천장
KR101730004B1 (ko) 2016-08-05 2017-04-25 유세현 우물 천장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4288A (ja) * 2014-07-03 2016-01-28 株式会社フジタ 耐震天井
US20170226736A1 (en) * 2014-08-19 2017-08-10 Usg Interiors, Llc Free span ceiling grid system
KR101972806B1 (ko) * 2016-09-09 2019-04-2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14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498B2 (en) Floor system
KR102407789B1 (ko)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KR101723976B1 (ko) 소음 차단 이중 슬라브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KR200404398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2210028B1 (ko) 난방 배관 패드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저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86774B1 (ko) 차수 및 방수 조립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방수 조립식 벽체시공방법
KR102324084B1 (ko)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KR20130076151A (ko) 지지블럭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36474B1 (ko) 우물천장 구조물
KR100675225B1 (ko) 차음성능 및 단열성능 향상을 위한 경량벽체 시스템 및 그설치방법
GB2420355A (en) Joist with adhered acoustic insulating material
KR100500436B1 (ko) 건축물의 지붕용 데크
KR102260317B1 (ko) 벽체 지지형 천장 흡음 시스템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20180029389A (ko) 바닥충격음을 흡수하는 복합 차음구조를 구비한 바닥시스템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KR100709390B1 (ko) 차음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JP2020165211A (ja) 天井構造
KR20210047101A (ko)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KR20130085823A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체 결합구조
CN115233881B (zh) 一种房模架带天花板结构
JP5406399B2 (ja) 遮音内装構造
KR102229921B1 (ko) 건축물의 단열벽 구조
KR101355696B1 (ko) 양면 요철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용 부상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