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789B1 -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789B1
KR102407789B1 KR1020200114864A KR20200114864A KR102407789B1 KR 102407789 B1 KR102407789 B1 KR 102407789B1 KR 1020200114864 A KR1020200114864 A KR 1020200114864A KR 20200114864 A KR20200114864 A KR 20200114864A KR 102407789 B1 KR102407789 B1 KR 10240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sound
fixing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919A (ko
Inventor
조현민
김신태
김명준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7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슬라브(C)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4각 형상의 테두리틀을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F1)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프레임(F2)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을 천장슬라브(C)에 연결하는 수직바(R);를 포함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으로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은, 서로 마주보는 ㄷ형상의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1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제1흡음패널(P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은,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1면(110)과, 상기 제1-1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2면(120)과, 상기 제1-1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3면(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흡음패널은 마주보는 제1프레임의 제1-3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천장슬라브(C)와 상기 제1-2면(120)을 서로 연결한다.

Description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WELL TYPE CEILING STRUCTURE SYSTEM WITH SOUND ABSORPTION PANEL FOR PREVENTING CEILING SOUND}
본 발명은 천장 내부 설비배관과의 간섭 최소화 및 바닥의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흡음재를 거치한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천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거치되어  내부 배관과의 간섭을 없애고  바닥의 충격음에 효과적으로 차단 할 수 있는 천장 구조시스템을 구현하여 소음저감 효과를 높이면서 시공성을 향상시킨 기술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천장은 상부의 슬라브 구조물을 차폐하고 실내의 미관의 수려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기의 차단이나 소음의 반사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틀을 시공하고 여기에 천장마감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천장틀의 일반적인 구조는, 천장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재 부착부재와 이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바, 마감재 부착부재는 다수개의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이 서로 수평이 맞게 교차 연결되어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다.
최근 넓은 공간 연출할 수 있는 등 유리한 점이 있어서 천장 구조가 우물의 형태를 닮은 우물천장 구조가 다수 시공되고 있는데, 천장의 구조를 보면 가운데 부분이 안으로 살짝 들어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색다른 매력을 드러내는 구조이며, 천장을 살짝 올려내기에 더욱 넓은 공간으로의 시각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천장구조는 층간소음 측면에서 완전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벽체가 비내력 벽체이거나 내단열 등 경량벽체의 경우 벽체에서 천장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시공을 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16590호(등록일 2012.12.21.) 한국등록특허 제10-1730004호(등록일 2017.04.19.)
본 발명의 목적은 비내력 벽체이거나 내단열 등 경량벽체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천장구조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동시에 시공의 편의성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천장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장슬라브(C)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4각 형상의 테두리틀을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F1)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프레임(F2)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을 천장슬라브(C)에 연결하는 수직바(R);를 포함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으로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은, 서로 마주보는 ㄷ형상의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1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제1흡음패널(P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은,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1면(110)과, 상기 제1-1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2면(120)과, 상기 제1-1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3면(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흡음패널은 마주보는 제1프레임의 제1-3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천장슬라브(C)와 상기 제1-2면(120)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에 결합되는 ㄷ 형상의 고정부재(200);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수평 지지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제1-1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1면(221)과, 상기 제2-1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2면(222) 및 제2-3면(2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2-2면(222) 및 제2-3면(223)과 결합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0)는, 상기 제2-2면(222)과 제2-3면(223)에 각각 결합되는 제3-1면(331) 및 제3-2면(332); 상기 제3-1면(331)과 제3-2면(33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3면(333); 상기 제3-1면(331)과 제3-2면(332)의 하단에서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4면(334) 및 제3-5면(3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의 하단에서 일정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우물천장 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평 지지대(300)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와 수평 지지대 사이에는 흡음재패널(P2)이 배치되어 천장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흡음재패널(P2)은, 이웃하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제3-4면과 제3-5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면(221)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각각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수직바를 상기 제1프레임의 제1-2면에 결합하는 너트(122); 및 상기 너트와 제1-2면 사이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고무소재의 완충부재(125);를 더 포함하여, 천장슬라브의 소음 전달을 차단한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재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별개로 제작된 후 나사로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면(221) 사이에는 고무부재를 배치하여 소음차단 효과가 발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비내력 벽체이거나 내단열 등 경량벽체의 경우에도 우물형 천장구조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동시에 시공의 편의성도 향상시키면서 천장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시공 현장에서의 다양한 평면 및 조건에 맞춰 유동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이 천장슬라브 아래쪽에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의 테두리 프레임의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된 일부 구성품의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의 사시도 일부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이 천장슬라브 아래쪽에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의 테두리 프레임의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된 일부 구성품의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의 사시도 일부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이하, 간단히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이라고도 함)으로서, 천장슬라브(C) 아래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내측에는 흡음재패널(또는 흡음패널)을 내장하여 천장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천장 내부 설비배관에서의 소음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은 4각 형상의 테두리틀을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F1)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내측에서 구조체를 이루고 있는 내측 프레임(F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을 천장슬라브(C)에 연결하는 수직바(R)가 구비된다. 즉, 수직바에 의해 테두리 프레임에 천장슬라브에 메달리게 되고, 내측 프레임은 테두리 프레임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F2)의 하면은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의 하면 보다 상측으로 인입되어 있어서(즉, 바닥에서 내측 프레임의 아래쪽 면에 이르는 높이가, 테두리 프레임의 아래쪽 면에 이르는 높이보다 더 높아서) 우물 천장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내측 부분이 테두리부 보다 상측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서 우물천장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은 상기 내측 프레임을 전후좌우에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1에서는 설명 편의상 테두리 프레임을 마주보는 두 개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에서의 테두리 프레임(F1)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은, 서로 마주보는 ㄷ형상의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1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제1흡음패널(P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1면(110)과, 상기 제1-1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2면(120)과, 상기 제1-1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3면(1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흡음패널은 마주보는 제1프레임의 제1-3면의 상측에 배치되어 천장슬리브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직바는 제1프레임을 상기 천장슬라브(C)에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측은 천장슬리브에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제1-2면(120)에 결합된다. 상기 수직바를 상기 제1프레임의 제1-2면에 결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너트(122)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와 제1-2면(120) 사이에는 링 형상의 고무소재로 된 완충부재(125)를 배치하여 천장슬라브의 소음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천장슬리브의 소음이 상기 수직바를 통해서 상기 제1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수직바 체결부위에 완충 및 흡음역할을 하도록 고무 소재의 완충부재를 배치하는 것이다(도 3 참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에 결합되는 ㄷ 형상의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수평 지지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ㄷ 형상의 부재로서 수평 지지대(300)를 제1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즉,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제1-1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1면(221)과, 상기 제2-1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2면(222) 및 제2-3면(22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대(300)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2-2면(222) 및 제2-3면(223)과 볼트 등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대(30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면(222)과 제2-3면(223)에 각각 결합되는 제3-1면(331) 및 제3-2면(332)와, 상기 제3-1면(331)과 제3-2면(33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3면(333)와, 상기 제3-1면(331)과 제3-2면(332)의 하단에서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4면(334) 및 제3-5면(3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의 하단에서 일정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우물천장 구조를 이룬다. 즉, 본 발명의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은 아래쪽에서 보면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이루는 부분 보다 내측 부분이 보다 높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우물천장형 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평 지지대(300)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와 수평 지지대 사이에는 흡음재패널(P2)이 배치되어 천장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된다. 상기 흡음재패널(P2)은 제1프레임에 내장되는 흡음재패널(P1)과 함께 소음 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음재패널(P2)은, 이웃하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제3-4면과 제3-5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재는 일체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시공되거나 또는 별개로 제작된 후 시공현장에서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면(221)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각각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면(221) 사이에는 고무부재(미도시)를 배치하여 소음차단 효과가 더욱 발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흡음재패널을 내장하고 우물 천장 구조를 가진 천장구조시스템으로서, 측벽이 비내력벽, 내단열 등 경량벽체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천장이 구조적으로 천장시공이 어려운 구조 및 조건이더라도, 본 발명의 우물천장 구조시스템은 천장에만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으므로 벽체 시공이 어려운 구조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시공의 효율성 및 층간소음 저감이라는 두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천장슬라브(C)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4각 형상의 테두리틀을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F1)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프레임(F2)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을 천장슬라브(C)에 연결하는 수직바(R);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F1)은,
    서로 마주보는 ㄷ형상의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1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제1흡음패널(P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은,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1면(110)과, 상기 제1-1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2면(120)과, 상기 제1-1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3면(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흡음패널은 마주보는 제1프레임의 제1-3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천장슬라브(C)와 상기 제1-2면(12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에 결합되는 ㄷ 형상의 고정부재(200); 및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수평 지지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제1-1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1면(221)과, 상기 제2-1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2면(222) 및 제2-3면(2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2-2면(222) 및 제2-3면(223)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300)는,
    상기 제2-2면(222)과 제2-3면(223)에 각각 결합되는 제3-1면(331) 및 제3-2면(332);
    상기 제3-1면(331)과 제3-2면(33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3면(333);
    상기 제3-1면(331)과 제3-2면(332)의 하단에서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4면(334) 및 제3-5면(3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의 하단에서 일정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우물천장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300)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와 수평 지지대 사이에는 흡음재패널(P2)이 배치되어 천장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패널(P2)은, 이웃하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제3-4면과 제3-5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면(221)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각각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를 상기 제1프레임의 제1-2면에 결합하는 너트(122); 및
    상기 너트와 제1-2면 사이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고무소재의 완충부재(125);를 더 포함하여, 천장슬라브의 소음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재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별개로 제작된 후 나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1면(110)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2-1면(221) 사이에는 고무부재를 배치하여 소음차단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KR1020200114864A 2020-09-08 2020-09-08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KR10240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64A KR102407789B1 (ko) 2020-09-08 2020-09-08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64A KR102407789B1 (ko) 2020-09-08 2020-09-08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19A KR20220032919A (ko) 2022-03-15
KR102407789B1 true KR102407789B1 (ko) 2022-06-10

Family

ID=8081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864A KR102407789B1 (ko) 2020-09-08 2020-09-08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7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655B1 (ko) 2023-03-20 2023-09-07 최윤석 커튼박스
KR102576653B1 (ko) 2023-03-20 2023-09-07 최윤석 간접 등박스
KR102576648B1 (ko) 2023-03-20 2023-09-07 최윤석 일반 등박스
KR20240040291A (ko) 2022-09-21 2024-03-28 (주)포스코이앤씨 우물천장 단부 공기층 흡음재 거치용 부속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560Y1 (ko) 2000-12-20 2001-06-1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종현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KR100790221B1 (ko) 2007-04-17 2008-01-02 임기태 내장재와 조립되는 공명흡음구조 몰딩 및 흡음 음향조절구조
JP2016014288A (ja) 2014-07-03 2016-01-28 株式会社フジタ 耐震天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004B1 (ko) 2016-08-05 2017-04-25 유세현 우물 천장 구조물
KR102216590B1 (ko) 2016-10-04 2021-02-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의 진단을 위한 조성물
KR102236474B1 (ko) * 2019-01-30 2021-04-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물천장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560Y1 (ko) 2000-12-20 2001-06-1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종현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KR100790221B1 (ko) 2007-04-17 2008-01-02 임기태 내장재와 조립되는 공명흡음구조 몰딩 및 흡음 음향조절구조
JP2016014288A (ja) 2014-07-03 2016-01-28 株式会社フジタ 耐震天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291A (ko) 2022-09-21 2024-03-28 (주)포스코이앤씨 우물천장 단부 공기층 흡음재 거치용 부속부재
KR102576655B1 (ko) 2023-03-20 2023-09-07 최윤석 커튼박스
KR102576653B1 (ko) 2023-03-20 2023-09-07 최윤석 간접 등박스
KR102576648B1 (ko) 2023-03-20 2023-09-07 최윤석 일반 등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19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789B1 (ko)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KR200485826Y1 (ko)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KR101730976B1 (ko)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KR101359394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KR102228485B1 (ko) 내진용 외장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74115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2236474B1 (ko) 우물천장 구조물
KR102635932B1 (ko)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102324084B1 (ko)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KR102260317B1 (ko) 벽체 지지형 천장 흡음 시스템
JP3355929B2 (ja) クリーンルームを有する建物の架構構造
JP201711552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カーテンウォール設置構造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の施工方法
JPH09310510A (ja) 既設建屋の耐震補強構造
KR102661116B1 (ko) 설치가 간편한 우물천장 조립체
JP2001182366A (ja) 床下化粧体と免震支承装置及び免震建物
CN219060704U (zh) 一种装饰连接结构及外围护系统
CN218541112U (zh) 一种用于幕墙的固定防护机构
KR200497827Y1 (ko)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JP2009097255A (ja) 集合住宅
KR20130141999A (ko) 방진지지구조체
KR20130085823A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체 결합구조
KR200473052Y1 (ko) 흡음기능을 가진 일체형 방음패널
KR20200045691A (ko) 입체적 방음 공간을 형성하는 천장 패널과 이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장치
KR101718103B1 (ko) 완충층을 구비한 중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