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655B1 - 커튼박스 - Google Patents

커튼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55B1
KR102576655B1 KR1020230036169A KR20230036169A KR102576655B1 KR 102576655 B1 KR102576655 B1 KR 102576655B1 KR 1020230036169 A KR1020230036169 A KR 1020230036169A KR 20230036169 A KR20230036169 A KR 20230036169A KR 102576655 B1 KR102576655 B1 KR 10257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oard
frame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석 filed Critical 최윤석
Priority to KR102023003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00Pelm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되,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 가능하고 커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 가능한 커튼 박스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튼박스{Curtain box}
본 발명은 커튼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되,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 가능하고 커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 가능한 커튼 박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은 상부의 슬라브 구조물을 차폐하고 실내의 미관의 수려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기의 차단이나 소음의 반사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건축물의 천장 구조물에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천장 고정물을 시공하고 여기에 천장마감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천장틀의 일반적인 구조는,천장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재 부착부재와 이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바,마감재 부착부재는 다수개의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이 서로 수평이 맞게 교차 연결되어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다.
특히,우물천장은 천장면의 중앙부위에 조명설비나 환기설비 등을 설치하도록 상방으로 함몰된 실내장식물로서,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조명등이나 환기 설비등과 조화를 이루어 실내 인테리어를 한층 돋보이도록 하는 천장마감재 구조물이며,형강재,목재,합성 수지재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우물천장은 소비자의 미적 욕구나 감성에 호소하는 디자인의 미려함 등이 중요시되는 현대 건축물의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공사현장에서 주로 시공이 되고 있으나,현장에서의 우물천장의 시공은 기존의 일반적인 천장면 시공에 비해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우선,우물천장 구조물을 천장에 고정하여야 하므로, 우물천장의 설치 위치, 고정방법 등의 세부사항을 별도 설계하여 정확하게 시공해야 하고,시공 후에 별도의 후 가공이나 교정작업 등이 필요할 수 있으며,목재 등을 이용하여 우물천장을 시공할 경우,천장에서 노출되는 조명기구 등의 전기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배선을 고려하여 시공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으로 시공 시간이 길어지고,이에 따른 시공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된다.
또한,시공과정에서 천장에 설치되는 달대나 연결부재 등의 우물천장 부속물이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시공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어야하는 문제가 있고,우물천장을 다양한 사이즈와 디자인으로 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서,다양한 소비자들의 성향에 모두 맞추어 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우물천장의 경우에는 천장틀이나 달대,연결부재 등의 천장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사용이 증가하여,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전달되는고체음 전달경로가 늘어나 층간 소음 등의 외부소음이 증폭될 수 있는 문제점 있고, 달대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우물천장을 상부의 슬라브에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슬라브의 천장면이 평탄하지 않아 연결부재 등의 천장마감재를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건물의 창문쪽 천장에는 커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커튼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커튼은 커트봉 및 레일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천정면에 나사를 통해 일정 간격에 맞춰 브라켓을 고정한 후, 커튼을 커튼 봉에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천장면에 나사를 통해 레일을 고정한 후, 커튼에 고정된 피스를 레일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커튼 박스의 고정을 위하여 나사를 통해 체결하여 벽체 등에 설치함에 따라 천정이나 벽체 등에 나사구멍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407789호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되,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 가능하고 커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 가능한 커튼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되,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 가능하고 커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 가능한 커튼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튼박스는, 천정슬라브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이 천정슬라브에 달대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으로 보드고정용경량철 일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톱니형달대와, 톱니형달대가 천정슬라브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천정슬라브면과 접촉되는 톱니형달대에 관통되어 천정슬라브에 삽입 형성되는 달대고정핀과, 톱니형달대와 보드고정용경량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드고정용경량철과 톱니형달대가 맞닿는 위치에 타공형성되는 보드연결핀과, 보드고정용경량철 일측 수직방향으로 조명설치공간의 일측벽을 형성하도록 보드고정용경량철에 부착 형성되는 내벽석고보드와, 보드고정용경량철 일측 끝단에서 등기구가 매립되거나,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천정석고보드와, 내벽석고보드와 천정석고보드 간의 연결 이음선을 가려주도록 천정석고보드의 측면 둘레로 부착 형성되는 석고보드이음몰딩과, 천정석고보드와 내벽석고보드와 내부천정보드가 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톱니형달대에 고정되어 천정슬라브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며, 타측이 경량철고정대에 결합되는 보드고정용경량철과, 보드고정용경량철 일측 천정측으로 조명설치공간의 천정벽을 형성하도록 보드고정용경량철에 부착 형성되는 내부천정보드와, 보드고정용경량철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벽체용석고보드 일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경량철고정대와, 경량철고정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조명설치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석고고정본드를 이용하여 벽체에 형성되는 단열재에 부착 형성되는 벽체용석고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튼박스는, 조명장치의 설치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어 붕괴됨을 방지하기 위한 붕괴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붕괴방지부는, 내진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천정슬라브에 밀착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천정슬라브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브밀착판과, 슬라브밀착판이 천정슬라브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브밀착판을 관통하여 천정슬라브에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고정핀과, 내진프레임을 지지하며, 고정프레임 측으로 완충연결되도록 고정프레임 하측방향으로 완충하우징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 간의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프레임 양측 끝단과 지지프레임 양측 끝단을 상호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완충하우징과, 지지측완충부재에 접촉되어 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완충스프링을 이완 및 압축시키도록 고정프레임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측완충부재와, 고정측완충부재에 접촉되어 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완충스프링을 이완 및 압축시키도록 지지프레임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측완충부재와, 석고보드상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고정측완충부재와 완충하우징 내부 사이, 지지측완충부재와 완충하우징 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내진볼이 안착되며, 내진볼을 눌러주는 볼밀착부재를 지지하도록 내진프레임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 중앙으로 형성되는 볼안착부재와, 내진볼 측에 밀착되어 진동발생시 볼안착부재 상에서 내진볼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내진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볼밀착부재와, 진동발생시 고정프레임과 내진프레임이 각각 다른 방향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볼안착부재와 볼밀착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내진볼과, 지지프레임 중앙에 결합되어 볼밀착부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톱니형달대가 부착 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 중앙으로 결합 형성되는 내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수평 방향으로 각재틀을 설치하고, 각재틀에는 수직 방향으로 지지판을 설치하고, 수직 배치 지지판에 마구리 몰딩을 결합시켜서 마감함으로써,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 가능하고 커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 가능한 커튼 박스를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커튼박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붕괴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공기냉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비산먼지포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커튼박스(100)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커튼박스(100)는 각종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되,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 가능하고 커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튼박스(100)는 톱니형달대(110), 달대고정핀(111), 보드연결핀(112), 내벽석고보드(113), 천정석고보드(114), 석고보드이음몰딩(115), 보드고정용경량철(116), 내부천정보드(117), 경량철고정대(118), 벽체용석고보드(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톱니형달대(110)는 천정슬라브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톱니형달대(110)는 일측이 천정슬라브에 달대고정핀(111)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으로 보드고정용경량철(116) 일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달대고정핀(111)은 톱니형달대(110)가 천정슬라브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달대고정핀(111)은 천정슬라브면과 접촉되는 톱니형달대(110)에 관통되어 천정슬라브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드연결핀(112)은 톱니형달대(110)와 보드고정용경량철(116)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드연결핀(112)은 보드고정용경량철(116)과 톱니형달대(110)가 맞닿는 위치에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벽석고보드(113)는 보드고정용경량철(116) 일측 수직방향으로 조명설치공간의 일측벽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벽석고보드(113)는 보드고정용경량철(116)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정석고보드(114)는 보드고정용경량철(116) 일측 끝단에서 등기구가 매립되거나,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고보드이음몰딩(115)은 내벽석고보드(113)와 천정석고보드(114) 간의 연결 이음선을 가려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석고보드이음몰딩(115)은 천정석고보드(114)의 측면 둘레로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드고정용경량철(116)은 천정석고보드(114)와 내벽석고보드(113)와 내부천정보드(117)가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드고정용경량철(116)은 일측이 톱니형달대(110)에 고정되어 천정슬라브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며, 타측이 경량철고정대(118)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천정보드(117)는 보드고정용경량철(116) 일측 천정측으로 조명설치공간의 천정벽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천정보드(117)는 보드고정용경량철(116)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량철고정대(118)는 보드고정용경량철(116)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경량철고정대(118)는 벽체용석고보드(119) 일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용석고보드(119)는 경량철고정대(118)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조명설치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용석고보드(119)는 석고고정본드를 이용하여 벽체에 형성되는 단열재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붕괴방지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붕괴방지부(200)는 본 발명 커튼박스(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붕괴방지부(200)는 조명장치의 설치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어 붕괴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붕괴방지부(200)는 고정프레임(210), 슬라브밀착판(211), 프레임고정핀(212), 지지프레임(213), 완충하우징(214), 고정측완충부재(215), 지지측완충부재(216), 완충스프링(217), 볼안착부재(218), 볼밀착부재(219), 내진볼(220), 내진프레임(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내진프레임(221)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천정슬라브에 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브밀착판(211)은 고정프레임(210)을 천정슬라브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브밀착판(211)은 고정프레임(210) 상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고정핀(212)은 슬라브밀착판(211)이 천정슬라브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고정핀(212)은 슬라브밀착판(211)을 관통하여 천정슬라브에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13)은 내진프레임(221)을 지지하며, 고정프레임(210) 측으로 완충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13)은 고정프레임(210) 하측방향으로 완충하우징(214)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하우징(214)은 고정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3) 간의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하우징(214)은 고정프레임(210) 양측 끝단과 지지프레임(213) 양측 끝단을 상호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측완충부재(215)는 지지측완충부재(216)에 접촉되어 완충하우징(214) 내부에서 완충스프링(217)을 이완 및 압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측완충부재(215)는 고정프레임(210)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측완충부재(216)는 고정측완충부재(215)에 접촉되어 완충하우징(214) 내부에서 완충스프링(217)을 이완 및 압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측완충부재(216)는 지지프레임(213)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217)은 석고보드상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217)은 고정측완충부재(215)와 완충하우징(214) 내부 사이, 지지측완충부재(216)와 완충하우징(214) 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안착부재(218)는 내진볼(220)이 안착되며, 내진볼(220)을 눌러주는 볼밀착부재(219)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안착부재(218)는 내진프레임(221)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213)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밀착부재(219)는 내진볼(220) 측에 밀착되어 진동발생시 볼안착부재(218) 상에서 내진볼(220)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밀착부재(219)는 내진프레임(22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진볼(220)은 진동발생시 고정프레임(210)과 내진프레임(221)이 각각 다른 방향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진볼(220)은 볼안착부재(218)와 볼밀착부재(219)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진프레임(221)은 지지프레임(213) 중앙에 결합되어 볼밀착부재(219)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톱니형달대(110)가 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진프레임(221)은 지지프레임(213) 중앙으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공기냉각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냉각부(300)는 본 발명 커튼박스(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냉각부(300)는 조명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냉각부(300)는 냉각케이스(310), 케이스고정대(311), 고정볼트(312), 팬고정대(313), 냉각팬(314), 공기흡입구(315), 공기배출구(316), 히트파이프(317), 냉매제(318), 냉각파이프(319), 냉각핀(320), 온도센서(321), 케이스고정지지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케이스(310)는 냉각을 위한 냉매제(318)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케이스(310)는 케이스고정지지대(322)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고정대(311)는 냉각케이스(310)가 케이스고정지지대(3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고정대(311)는 일측이 냉각케이스(310) 하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케이스고정지지대(322)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트(312)는 케이스고정대(311)가 케이스고정지지대(322)에 결합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볼트(312)는 케이스고정대(311)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고정대(313)는 냉각팬(314)이 냉각케이스(310)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팬고정대(313)는 일측이 냉각케이스(310) 상부 중앙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냉각팬(314) 하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팬(314)은 냉각케이스(310) 면의 온도를 낮춰주고, 냉각케이스(310) 주변의 공기를 순환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팬(314)은 팬고정대(313)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구(315)는 냉각팬(314)의 구동시 냉각케이스(31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흡입구(315)는 복수의 팬고정대(31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구(316)는 공기흡입구(315)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순환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배출구(316)는 냉각팬(314)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트파이프(317)는 상수관의 냉기를 제공받아 냉각케이스(310) 내부의 냉매제(318)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히트파이프(317)는 일측이 냉각케이스(310) 내부에 내장되고, 타측이 상수관에 권취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제(318)는 히트파이프(317)를 통해 제공받은 냉기를 냉각파이프(319)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매제(318)는 냉각케이스(310) 내부와 냉각파이프(319)에 내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파이프(319)는 냉매제(318)로부터 제공받은 냉기를 냉각핀(3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파이프(319)는 일측이 냉각케이스(310) 일측에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핀(320)은 냉각파이프(319)로 전달된 냉기를 냉각케이스(310) 주변에 방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핀(320)은 냉각파이프(319)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321)는 냉각케이스(31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냉각팬(314)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321)는 냉각케이스(310)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고정지지대(322)는 냉각케이스(3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고정지지대(322)는 천정슬라브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비산먼지포집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산먼지포집부(400)는 본 발명 커튼박스(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비산먼지포집부(400)는 천정슬라브와 석고패널 사이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산먼지포집부(400)는 포집케이스(410), 케이스고정날개(411), 케이스고정핀(412), 흡기구(413), 흡기필터(414), 타이머(416), 개폐덮개(417), 개폐손잡이(418), 텐션힌지(419), 케이스고정판(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케이스(410)는 천정슬라브와 천정석고보드(114) 사이 공간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케이스(410)는 케이스고정판(42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고정날개(411)는 포집케이스(410)가 천정석고보드(1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고정날개(411)는 포집케이스(410) 상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고정핀(412)은 케이스고정날개(411)를 천정석고보드(114)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구(413)는 포집케이스(410) 내부로 포집케이스(410) 주변의 비산먼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기구(413)는 포집케이스(410)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필터(414)는 흡기팬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기필터(414)는 포집케이스(4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팬은 포집케이스(41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기팬은 포집케이스(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머(416)는 흡기팬이 기설정되는 시간에 따라 구동 및 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타이머(416)는 흡기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덮개(417)는 포집케이스(410) 내부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덮개(417)는 포집케이스(410) 상부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손잡이(418)는 개폐덮개(417)를 열고 닫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손잡이(418)는 개폐덮개(417)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힌지(419)는 개폐덮개(417)가 열림시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힌지(419)는 개폐덮개(417)와 포집케이스(410) 간의 상호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고정판(420)은 포집케이스(4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고정판(420)은 천정슬라브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커튼박스
110 : 톱니형달대 111 : 달대고정핀
112 : 보드연결핀 113 : 내벽석고보드
114 : 천정석고보드 115 : 석고보드이음몰딩
116 : 보드고정용경량철 117 : 내부천정보드
118 : 경량철고정대 119 : 벽체용석고보드
200 : 붕괴방지부 210 : 고정프레임
211 : 슬라브밀착판 212 : 프레임고정핀
213 : 지지프레임 214 : 완충하우징
215 : 고정측완충부재 216 : 지지측완충부재
217 : 완충스프링 218 : 볼안착부재
219 : 볼밀착부재 220 : 내진볼
221 : 내진프레임
300 : 공기냉각부 310 : 냉각케이스
311 : 케이스고정대 312 : 고정볼트
313 : 팬고정대 314 : 냉각팬
315 : 공기흡입구 316 : 공기배출구
317 : 히트파이프 318 : 냉매제
319 : 냉각파이프 320 : 냉각핀
321 : 온도센서 322 : 케이스고정지지대
400 : 비산먼지포집부 410 : 포집케이스
411 : 케이스고정날개 412 : 케이스고정핀
413 : 흡기구 414 : 흡기필터
415 : 흡기팬 416 : 타이머
417 : 개폐덮개 418 : 개폐손잡이
419 : 텐션힌지 420 : 케이스고정판

Claims (3)

  1. 각종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되,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 가능하고 커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 가능한 커튼박스에 있어서,
    상기 커튼박스는,
    천정슬라브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이 천정슬라브에 달대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으로 보드고정용경량철 일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톱니형달대와,
    톱니형달대가 천정슬라브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천정슬라브면과 접촉되는 톱니형달대에 관통되어 천정슬라브에 삽입 형성되는 달대고정핀과,
    톱니형달대와 보드고정용경량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드고정용경량철과 톱니형달대가 맞닿는 위치에 타공형성되는 보드연결핀과,
    보드고정용경량철 일측 수직방향으로 조명설치공간의 일측벽을 형성하도록 보드고정용경량철에 부착 형성되는 내벽석고보드와,
    보드고정용경량철 일측 끝단에서 등기구가 매립되거나,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천정석고보드와,
    내벽석고보드와 천정석고보드 간의 연결 이음선을 가려주도록 천정석고보드의 측면 둘레로 부착 형성되는 석고보드이음몰딩과,
    천정석고보드와 내벽석고보드와 내부천정보드가 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톱니형달대에 고정되어 천정슬라브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며, 타측이 경량철고정대에 결합되는 보드고정용경량철과,
    보드고정용경량철 일측 천정측으로 조명설치공간의 천정벽을 형성하도록 보드고정용경량철에 부착 형성되는 내부천정보드와,
    보드고정용경량철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벽체용석고보드 일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경량철고정대와,
    경량철고정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조명설치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석고고정본드를 이용하여 벽체에 형성되는 단열재에 부착 형성되는 벽체용석고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박스는,
    조명장치의 설치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어 붕괴됨을 방지하기 위한 붕괴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붕괴방지부는,
    내진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천정슬라브에 밀착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천정슬라브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브밀착판과,
    슬라브밀착판이 천정슬라브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브밀착판을 관통하여 천정슬라브에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고정핀과,
    내진프레임을 지지하며, 고정프레임 측으로 완충연결되도록 고정프레임 하측방향으로 완충하우징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 간의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프레임 양측 끝단과 지지프레임 양측 끝단을 상호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완충하우징과,
    지지측완충부재에 접촉되어 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완충스프링을 이완 및 압축시키도록 고정프레임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측완충부재와,
    고정측완충부재에 접촉되어 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완충스프링을 이완 및 압축시키도록 지지프레임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측완충부재와,
    석고보드상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고정측완충부재와 완충하우징 내부 사이, 지지측완충부재와 완충하우징 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내진볼이 안착되며, 내진볼을 눌러주는 볼밀착부재를 지지하도록 내진프레임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 중앙으로 형성되는 볼안착부재와,
    내진볼 측에 밀착되어 진동발생시 볼안착부재 상에서 내진볼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내진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볼밀착부재와,
    진동발생시 고정프레임과 내진프레임이 각각 다른 방향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볼안착부재와 볼밀착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내진볼과,
    지지프레임 중앙에 결합되어 볼밀착부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톱니형달대가 부착 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 중앙으로 결합 형성되는 내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박스.
KR1020230036169A 2023-03-20 2023-03-20 커튼박스 KR10257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169A KR102576655B1 (ko) 2023-03-20 2023-03-20 커튼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169A KR102576655B1 (ko) 2023-03-20 2023-03-20 커튼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655B1 true KR102576655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169A KR102576655B1 (ko) 2023-03-20 2023-03-20 커튼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6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823A (ko) * 2015-12-04 2017-06-14 김성주 커튼 박스
KR102407789B1 (ko) 2020-09-08 2022-06-1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823A (ko) * 2015-12-04 2017-06-14 김성주 커튼 박스
KR102407789B1 (ko) 2020-09-08 2022-06-1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617B2 (en) Wall panel system
KR102576655B1 (ko) 커튼박스
US20140174019A1 (en) Multi-purpose column assembly
KR102576648B1 (ko) 일반 등박스
KR102576653B1 (ko) 간접 등박스
JP3829168B2 (ja) 空気調和機用の天井埋込型室内機
KR0147238B1 (ko)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84612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JP5209931B2 (ja) 玄関ポーチ
KR102023091B1 (ko) 바닥패널 고정구
JP4460874B2 (ja) 天井装置
CN203475675U (zh) 一种结构简单的装饰吊顶组件
KR101389144B1 (ko)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KR20170048129A (ko) 간격 조절 기능을 구비한 벽면 마감 조립체
KR20170092261A (ko) 액자형 흡음패널
KR20120119312A (ko) 건축물의 우물천장 고정구조물
CN101769082B (zh) 一种集装箱套房
JP2010095899A (ja) 屋内配線構造および建物
KR102354827B1 (ko) 원터치 조립방식의 멀티 브라켓을 구비한 커튼월
KR101963719B1 (ko) 환기용 루버 설치구조
KR20110037515A (ko) 공동주택용 천장의 경량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7315754B2 (ja) 集合住宅の住戸
KR101613300B1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CN116084616B (zh) 一种结合机电管线的装饰板安装悬挂构架
KR101229738B1 (ko) 시스템 창호 난간대 및 이의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