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531B1 -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531B1
KR101467531B1 KR20130070137A KR20130070137A KR101467531B1 KR 101467531 B1 KR101467531 B1 KR 101467531B1 KR 20130070137 A KR20130070137 A KR 20130070137A KR 20130070137 A KR20130070137 A KR 20130070137A KR 101467531 B1 KR101467531 B1 KR 10146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conveyor
unit
straigh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용
Original Assignee
(주)이노셈코리아
(주)대영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셈코리아, (주)대영이엔텍 filed Critical (주)이노셈코리아
Priority to KR2013007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90Methods of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4Factory adjustment of completed discharge tubes or lamps to comply with desired tolerances
    • H01J9/445Aging of tubes or lamps, e.g. by "spot kno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LED 직관등기구가 각 기기의 부품 조립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특정공정에서는 수작업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고, 에이징공정시, 작업자가 반복하여 에이징 챔버의 도어(Door)를 개폐함으로써 에이징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불량률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직관형 LED램프의 사이즈, 진동결함, 점등, 내압, LED 발광, 조도율을 체크하고 검사하는 장비가 따로 떨어져 있어서, 검사시간이 오래 걸리고, 직관형 LED램프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할 수가 없고, 이로 인해 라벨용지로 포장되어 완제품 출시까지 생산시간이 오래 걸리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구성됨으로서, 직관형 LED램프의 조립, 에이징, 검사포장의 전체공정을 원스톱으로 자동화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기존에 비해 60%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장내부의 공간확보 및 완제품 제조시간을 기존에 비해 60%로 단축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기기불량시 리턴컨베이어와 리젝터 적재부를 통해 현장에서 현재 샘플링검사에서 전수검사를 실시함으로서 직관형 LED램프의 품질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THE APPARATUS OF AUTO PRODUCTION A DIRECT LIGHTING OF LED}
본 발명에서는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관공서, 학교, 사무실, 대형마트 등 실내조명에 사용할 수 있는 직관형 LED 램프의 조립, 에이징, 검사포장의 전체공정을 원스톱으로 자동화시킨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거 인디게이터 등의 소전력 지시등용으로 밖에 사용되지 못하던 LED(Light EmittingDiode)의 광효율이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을 만큼 향상되고 있다.
또한, LED는 다른 광원들과 달리 수은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 광원으로, 휴대폰용 백라이트, LCD TV용 백라이트, 차량용 램프, 및 일반 조명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광원으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00여년 동안 조명의 주광원으로 사용되어 왔던 백열등이나 형광등이 LED 램프로 대체되기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LED 램프는 양쪽 소켓 일측에 LED PCB 기판 지지용 앤드캡만이 구성될 뿐, LED PCB 기판을 LED램프 내부에서 지지해주는 수단이 없어서, 외압에 의해 LED 기판이 손쉽게 뒤틀려버려 LED 발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1210419호에서는 LED 직관등 몸체, LED 직관등 소켓부, 히트싱크, LED PCB 기판, LED 직관등 커버로 이루어진 형광등 대체용 LED 직관등기구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각 기기의 부품 조립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특정공정에서는 수작업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고, 에이징공정시, 작업자가 반복하여 에이징 챔버의 도어(Door)를 개폐함으로써 에이징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불량률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직관형 LED램프의 사이즈, 진동결함, 점등, 내압, LED 발광, 조도율을 체크하고 검사하는 장비가 따로 떨어져 있어서, 검사시간이 오래 걸리고, 직관형 LED램프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할 수가 없고, 이로 인해 라벨용지로 포장되어 완제품 출시까지 생산시간이 오래 걸리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10419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직관형 LED램프의 조립, 에이징, 검사포장의 전체공정을 원스톱으로 자동화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기존에 비해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장내부의 공간확보 및 완제품 제조시간을 기존에 비해 단축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기기불량시 리턴컨베이어와 리젝터 적재부를 통해 현장에서 현재 샘플링검사에서 전수검사를 실시함으로서 직관형 LED램프의 품질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는,
직관형 LED램프의 구성요소인 직관등커버, 히트싱크, PCB 모듈을 공급받아, 정렬시킨 후, 완성품으로 조립시키는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와,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 후공정에 위치되어,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에 정격 이상(통상 10~20%)의 전압이나 부하를 걸어서, 40도 이상의 온도환경에서 1시간~ 2시간 동안 에이징(Aging) 검사시키는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와,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사이즈, 진동결함, 점등, 내압, LED 조도를 체크한 후, 기기 이상시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로 리턴시키고, 정상기준의 직관형 LED램프를 선택해서 바코드 라벨과 보조캡을 부착시키고, 비닐을 권칭시켜 외부 완성품 이송기기로 전달시키는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직관형 LED램프의 조립, 에이징, 검사포장의 전체공정을 원스톱으로 자동화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기존에 비해 60%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장내부의 공간확보 및 완제품 제조시간을 기존에 비해 60%로 단축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기기불량시 리턴컨베이어와 리젝터 적재부를 통해 현장에서 현재 샘플링검사에서 전수검사를 실시함으로서 직관형 LED램프의 품질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중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중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중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를 통해 생산된 직관형 LED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직관형 LED램프(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C커버로 이루어진 직관등커버(11)와, 알루미늄 바(AL BAR)로 이루어진 히트싱크(12)와, 히트싱크와 결합되는 LED PCB모듈(13), 그리고, 좌우측캡(14,15)으로 나뉘어져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는 직관형 LED램프의 구성요소인 직관등커버, 히트싱크, PCB 모듈을 공급받아, 정렬시킨 후, 완성품으로 조립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일자형 메인 프레임(110),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150),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60),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80), 제1 PLC 제어모듈(19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일자형 메인 프레임(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일자형 메인 프레임(110)은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150),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60),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80)가 일렬로 나란히 구성된다.
상기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는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 일측에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는 제1 일자형 메인 프레임 선단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직관등커버를 일렬방향으로 정렬해서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컨베이어 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직관등커버는 PC(폴리카보네이트) 커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는 사이즈(SIZE)1324W*1700L로 내구성이 있도록 구성되고, 벨트 플러쉬 그리드(FLUSH GRID)가 900*104W*2B로 늘어나도록 구성되며, 상부 플레이트가 SUS304 재질로 이루어지고, 구동부 모터는 90W, 감속비율1/600로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는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히트싱크를 일렬방향으로 정렬해서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트싱크는 알루미늄 바(AL BAR)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는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사이즈(SIZE)1324*2650L로 구성되고, 벨트 플러쉬 그리드(FLUSH GRID)가 900*104W*2B*25H FLIGHT*27.2P 규격으로 구성되며, 동부 모터 90W, 감속비율1/200(MIN)로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는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직관등커버와,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히트싱크를 정렬시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두개의 에어실린더와, 업·다운 유니트부가 구성된다.
상기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는 MC나이론 및 S45C(도금필히)로 이루어진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150)는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를 통해 정렬되어 이송되는 직관등커버와 히트싱크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이온 노즐과, 집진기 220 3상 0.75KW가 구성되어, 알루미늄 바로 이루어진 히트싱크와 PC커버로 이루어진 직관등커버의 전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이 없도록 구성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60)는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히트싱크 상에 LED PCB 모듈을 조립시키고, LED PCB 모듈이 조립된 히트싱크를 직관등커버에 조립시켜 1차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PC 튜브를 메인 컨베어 진입 1식으로 구성되고, 조립대기 중을 1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알루미늄 바로 이루어진 직관등커버는 1단, 2단으로 구성되어 조립시, 원활하게 공급해주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조립시 모든 공급은 직교로봇 MB 60S-1840(TPC)을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히트싱크, LED PCB 모듈, 직관등커버를 업 또는 다운시키는 업·다운 유닛부는 실린더 블록(TGM2BB 32-250)으로 구성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는 일렬로 연결된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1차 직관형 LED램프의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좌측캡과 우측캡을 정렬해서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우측캡을 공급시키는 공급피더를 500파이로 하고 소음이 없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설치는 좌.우로 하되 공급으로 진행할 때 좌우측캡의 정체가 없도록 하되 소모시 알람 시스템을 적용시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는 기존의 카메라방식을 통한 비젼 정렬을 개선하여, 지그를 통한 지그정렬방식을 통해 좌우측캡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80)는 일렬로 연결된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를 통해 완성된 1차 직관형 LED 램프의 좌우측에,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좌측캡과 우측캡을 조립시켜 2차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업·다운 유닛부를 구성하여 직관등커버 및 히트싱크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측캡을 정렬하여 조립 위치선정이 셋팅되면, 실린더를 통해 좌우측캡을 트러블 없이 삽입시키도록 구성된다.
구간은 2셋트로 좌,우에 구성된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PLC 제어모듈(19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PLC 제어모듈(190)은 각 기기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150),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60),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80)를 설정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후공정의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로 완성된 2차 직관형 LED램프를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는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 후공정에 위치되어,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에 정격 이상(통상 10~20%)의 전압이나 부하를 걸어서, 40도 이상의 온도환경에서 1시간~ 2시간 동안 에이징(Aging) 검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일자형 메인 프레임(210), 제1 입력 컨베이어(220),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 리턴컨베이어(240),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250), 제2 PLC 제어모듈(2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일자형 메인 프레임(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일자형 메인 프레임(210)은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입력 컨베이어(220),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 리턴컨베이어(240),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250), 제2 PLC 제어모듈(260)이 일자형 구조로 일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입력 컨베이어(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입력 컨베이어(220)는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의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 후공정에 위치되어, 2차 직관형 LED램프를 블럭단위별로 순차적으로 나눠서 로타리 방식 회전실린더를 통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컨베이어벨트가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 플레이트는 SUS304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공급장치는 로타리 방식 회전실린더로 구성되고, 직관형 LED 램프 블록 진입은 블록 실린더로 클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부 모터는 350W, 감속비율 1/200로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은 제1 입력 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제1 입력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2차 직관형 LED램프에 에이징을 가해서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2차 직관형 LED램프가 접속되는 바닥 부위에 복수개의 동 부스바로 이루어져 2차 직관형 LED램프쪽으로 72A 이상의 DC전원을 공급시켜주는 통전레일구간모듈(231)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은 30*1375 AL 압출 성형하여 휨이 없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직관형 LED램프 클립 시스템을 구성하여 출발에서 부터 에이징이 시작하도록 제1 입력 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일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은 루이닝(Ruinning) 존(Zone)을 5층으로 구성하되, 1구간당 144개의 직관형 LED램프 블록이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실린더 방식으로 개당 블록이 스텝 방식으로 진행하도록 구성시킨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리턴컨베이어(2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리턴컨베이어(240)는 제1 입력컨베이어와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을 통해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제1 배출컨베이어 쪽으로 이송시킨 후, 제1 배출컨베이어 쪽으로 이송시키고 못하고 남은 직관형 led램프를 업유닛부를 통해 다시 제1 입력컨베이어로 리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제1 배출컨베이어에 보내고 안전하게 리턴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1구간당 144개의 직관형 LED램프 블록이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실린더 방식으로 개당 블록이 스텝 방식으로 진행하도록 구성시킨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2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250)는 제2 일자형 메인 프레임(210)의 후단에 위치되고, 리턴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을 통해 에이징처리가 완료된 직관형 LED램프를 어태치 컨베이어 방식(Attach Conveyor)을 통해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어태치 컨베이어 방식(Attach Conveyor)으로 구성되고, 경사각도는 100~140각도로 구성되어, 직관형 LED램프가 외부로 탈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PLC 제어모듈(2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PLC 제어모듈(260)은 각 기기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제1 입력 컨베이어(220),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 리턴컨베이어(240),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250)를 설정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후공정의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는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사이즈, 진동결함, 점등, 내압, LED 조도를 체크한 후, 기기 이상시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로 리턴시키고, 정상기준의 직관형 LED램프를 선택해서 바코드 라벨과 보조캡을 부착시키고, 비닐을 권칭시켜 외부 완성품 이송기기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일자형 메인 프레임(310), 제2 입력 컨베이어(320),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330), 정렬·길이체크부(340), 진동체크부(350), 점등체크부(360), 절연내력체크부(370), LED PCB 모듈체크부(380),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390), 리젝터 적재부(390a), 바코드 라벨부착부(390b), 보호캡 포장부(390c), 비닐포장부(390d), 제2 출력 컨베이어(390e), 제3 PLC 제어모듈(390f)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3 일자형 메인 프레임(3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3 일자형 메인 프레임(310)은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입력 컨베이어(320),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330), 정렬·길이체크부(340), 진동체크부(350), 점등체크부(360), 절연내력체크부(370), LED PCB 모듈체크부(380),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390), 리젝터 적재부(390a), 바코드 라벨부착부(390b), 보호캡 포장부(390c), 비닐포장부(390d), 제2 출력 컨베이어(390e)가 일렬로 나열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입력 컨베이어(3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입력 컨베이어(320)는 제3 일자형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위치되고,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의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를 후공정의 검사기기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프레임재질이 40*100 AL압출 재질로 이루어지고, 컨베이어 벨트가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가 SUS304 재질로 이루어지고, 구동부 모터가 350W, 감속비율 1/20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3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330)는 일렬로 연결되어 제2 입력 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위치되고, 제2 입력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직관형 LED램프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이온노즐 30P*38개소로 구성되고, 집진기 220 3상 0.75KW가 구성되며, 직관형 LED램프 외부 세척시 전면이 세척되도록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정렬·길이체크부(3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정렬·길이체크부(340)는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직관형 LED램프를 정렬시키고, 직관형 LED램프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측면에 부착된 위치센서를 통해 직관형 LED램프의 몸체길이를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복수개의 직관형 LED램프가 흐트럼없이 순차적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센서는 길이측정 1198 ± 0.5이내로 측정하도록 구성된다(KC규격 1198.0±1.5).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진동체크부(3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진동체크부(350)는 일렬로 연결된 정렬·길이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를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시켜 직관형 LED램프의 구성요소 중 결합력이 약하진 부위를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진동 모터 12V 좌.우 2개로 구성되고, 진동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업/다운 방식으로 이루어져 다른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점등체크부(3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점등체크부(360)는 일렬로 연결된 진동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 램프이 전원을 연결하는 캡의 핀에 규정된 전력을 인가시켜 점등여부를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절연내력체크부(3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절연내력체크부(370)는 일렬로 연결된 점등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전원을 연결하는 캡의 핀에 500V~1000V의 순간교류전압을 가해 LED PCB 모듈과 히트싱크의 절연내력을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직관형 LED 램프의 전원을 연결하는 캡(또는 커넥터 부분)의 핀과 접근 가능한 부분에 적용시킨다.
그리고, 500V 교류전압을 1분간 가하였을 때 견딜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체크시 초기전압은 규정된 전압의 1/2을 가한 후, 서서히 규정된 전압으로 올리도록 구성된다.
체크 중에 섬락 또는 절연파괴(breakdown)가 발생하면 불량으로 체크해서 리젝트 적재부로 배출시킨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LED PCB 모듈체크부(3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LED PCB 모듈체크부(380)는 일렬로 연결된 절연내력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LED PCB 모듈에 형성된 LED에 CCD카메라를 비춰서 LED이상여부를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직교로봇(RS095-Y10SS-ST-1200)이 구성되어, 직관형 LED 램프 중 LED PCB 모듈 부위를 CCD 카메라 정위치시키도록 이송시킨다.
그리고, LED PCB 모듈에 형성된 LED에 CCD카메라를 비춰서 LED이상여부를 체크한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39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390)는 일렬로 연결된 LED PCB 모듈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점등체크부를 통해 점등체크 중 스캐너를 통해 LED의 조도 및 색온도, 이물질을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열째, 본 발명에 따른 리젝터 적재부(390a)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리젝터 적재부(390a)는 정렬·길이체크부, 진동체크부, 점등체크부, 절연내력체크부, LED PCB 모듈체크부,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 일측에 위치되어 체크시 불량인 직관형 LED 램프를 리젝터(Rejector)시켜 층상구조로 적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2단 슬로프 타입(SLOPE TYPE)으로 구성되어, 직관형 LED 램프의 불량을 센서에 의해 감지한 후, 불량으로 감지된 직관형 LED 램프만을 적재시킨다.
열한째,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라벨부착부(390b)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코드 라벨부착부(390b)는 일렬로 연결된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를 통해 체크가 완료된 직관형 LED 램프에 바코드 라벨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라벨머신과, 로타리 에어실린더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라벨부착부는 라벨규격 10*30으로 AL상부에 접착이 잘 되도록 부착된다.
열두째, 본 발명에 따른 보호캡 포장부(390c)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보호캡 포장부(390c)는 일렬로 연결된 바코드 라벨부착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좌우측 캡을 외압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보호캡을 씌우는 역할을 한다.
이는 캡 공급기 좌우 2세트, 캡 정렬 시스템 2세트가 구성된다.
상기 보호캡 포장부는 전극 핀이 손상하지 않도록 보호 캡이니 일정한 힘으로 포장을 한다
열세째, 본 발명에 따른 비닐포장부(390d)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비닐포장부(390d)는 일렬로 연결된 보호캡 포장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보호캡이 형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비닐로 자동포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포장지(수축필름)75*1300 2개소로 구성되고, 진공 흡입하여 직관형 LED램프를 삽입하고, 접착 후 스크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열네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출력 컨베이어(390e)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출력 컨베이어(390e)는 제3 일자형 메인 프레임의 후단에 위치되고, 일렬로 연결된 비닐포장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비닐포장부를 통해 비닐포장된 직관형 LED램프를 외부 완성품 이송기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프레임 40*100 AL압출 재질을 이루어지고, 컨베이어 벨트가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 플레이트가 SUS304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부 모터가 350W, 감속비율 1/200로 구성된다.
열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3 PLC 제어모듈(390f)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3 PLC 제어모듈(390f)은 각 기기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제2 입력 컨베이어(320),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330), 정렬·길이체크부(340), 진동체크부(350), 점등체크부(360), 절연내력체크부(370), LED PCB 모듈체크부(380),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390), 리젝터 적재부(390a), 바코드 라벨부착부(390b), 보호캡 포장부(390c), 비닐포장부(390d), 제2 출력 컨베이어(390e)를 설정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후공정의 외부 완성품 이송기기로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는 제2 입력 컨베이어(320)에서 제2 출력 컨베이어(390e)까지 이송되는 직관형 LED램프를 스텝바이스텝 방식으로 들어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워킹 빔(Working Beam)모듈(300g)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워킹 빔(Working Beam)모듈(300g)은 에어실린더 타입 2세트와, 업다운 유니트로 구성되고, 재질은 MC나이론 및S45C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직관형 LED 램프 조립과정]
먼저, 제1 PLC 제어모듈(190)의 제어하에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가 구동되어 복수개의 직관등커버를 일렬방향으로 정렬해서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컨베이어 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제1 PLC 제어모듈(190)의 제어하에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가 구동되어 복수개의 히트싱크를 일렬방향으로 정렬해서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제1 PLC 제어모듈(190)의 제어하에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가 구동되어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직관등커버와,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히트싱크를 정렬시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제1 PLC 제어모듈(190)의 제어하에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150)가 구동되어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를 통해 정렬되어 이송되는 직관등커버와 히트싱크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제1 PLC 제어모듈(190)의 제어하에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60)가 구동되어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히트싱크 상에 LED PCB 모듈을 조립시키고, LED PCB 모듈이 조립된 히트싱크를 직관등커버에 조립시켜 1차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킨다.
다음으로, 제1 PLC 제어모듈(190)의 제어하에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가 구동되어 1차 직관형 LED램프의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좌측캡과 우측캡을 정렬해서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제1 PLC 제어모듈(190)의 제어하에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80)가 구동되어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를 통해 완성된 1차 직관형 LED 램프의 좌우측에,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좌측캡과 우측캡을 조립시켜 2차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킨다.
[직관형 LED 램프 에이징검사과정 ]
먼저, 제2 PLC 제어모듈(260)의 제어하에 제1 입력 컨베이어(220)가 구동되어 2차 직관형 LED램프를 블럭단위별로 순차적으로 나눠서 로타리 방식 회전실린더를 통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제2 PLC 제어모듈(260)의 제어하에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가 구동되어, 제1 입력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2차 직관형 LED램프에 에이징을 가해서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킨다.
다음으로, 제2 PLC 제어모듈(260)의 제어하에 리턴컨베이어(240)가 구동되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을 통해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 쪽으로 이송시킨 후, 검사완료된 직관형 LED램프를 업유닛부를 통해 다시 제1 입력컨베이어로 리턴시킨다.
다음으로, 제2 PLC 제어모듈(260)의 제어하에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250)가 구동되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을 통해 에이징처리가 완료된 직관형 LED램프를 어태치 컨베이어 방식(Attach Conveyor)을 통해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배출시킨다.
[직관형 LED 램프 특성검사·포장과정]
먼저,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제2 입력 컨베이어(320)가 구동되어,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의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를 후공정의 검사기기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330)가 구동되어, 제2 입력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직관형 LED램프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정렬·길이체크부(340)가 구동되어,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직관형 LED램프를 정렬시키고, 직관형 LED램프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측면에 부착된 위치센서를 통해 직관형 LED램프의 몸체길이를 체크한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진동체크부(350)가 구동되어, 직관형 LED램프를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시켜 직관형 LED램프의 구성요소 중 결합력이 약하진 부위를 체크한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점등체크부(360)가 구동되어 직관형 LED 램프이 전원을 연결하는 캡의 핀에 규정된 전력을 인가시켜 점등여부를 체크한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절연내력체크부(370)가 구동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전원을 연결하는 캡의 핀에 500V~1000V의 순간교류전압을 가해 LED PCB 모듈과 히트싱크의 절연내력을 체크한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LED PCB 모듈체크부(380)가 구동되어 LED PCB 모듈에 형성된 LED에 CCD카메라를 비춰서 LED이상여부를 체크한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390)가 구동되어 점등체크부를 통해 점등체크 중 스캐너를 통해 LED의 조도 및 색온도, 이물질을 체크한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리젝터 적재부(390a)가 구동되어 정렬·길이체크부, 진동체크부, 점등체크부, 절연내력체크부, LED PCB 모듈체크부,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를 통해 체크시 불량인 직관형 LED 램프를 리젝터(Rejector)시켜 층상구조로 적재시킨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바코드 라벨부착부(390b)가 구동되어,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를 통해 체크가 완료된 직관형 LED 램프에 바코드 라벨을 부착시킨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보호캡 포장부(390c)가 구동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좌우측 캡을 외압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보호캡을 씌운다.
다음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비닐포장부(390d)가 구동되어, 보호캡이 형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비닐로 자동포장시킨다.
끝으로, 제3 PLC 제어모듈(390f)의 제어하에 제2 출력 컨베이어(390e)가 구동되어, 일렬로 연결된 비닐포장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비닐포장부를 통해 비닐포장된 직관형 LED램프를 외부 완성품 이송기기로 이송시킨다.
1 :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100 :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
110 : 제1 일자형 메인 프레임 120 :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
130 :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
140 :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
150 :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
160 :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
170 :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 180 :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
190 : 제1 PLC 제어모듈
200 :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
300 :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

Claims (6)

  1. 직관형 LED램프의 구성요소인 직관등커버, 히트싱크, PCB 모듈을 공급받아, 정렬시킨 후, 완성품으로 조립시키는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와,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 후공정에 위치되어,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에 정격 전압의 10~20%으로 이루어진 정격 이상 전압이나 부하를 걸어서, 40도 이상의 온도환경에서 1시간~ 2시간 동안 에이징(Aging) 검사시키는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와,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사이즈, 진동결함, 점등, 내압, LED 조도를 체크한 후, 기기 이상시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로 리턴시키고, 정상기준의 직관형 LED램프를 선택해서 바코드 라벨과 보조캡을 부착시키고, 비닐을 권칭시켜 외부 완성품 이송기기로 전달시키는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는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일자형 메인 프레임(110)과,
    제1 일자형 메인 프레임 선단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직관등커버를 일렬방향으로 정렬해서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컨베이어 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와,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히트싱크를 일렬방향으로 정렬해서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와,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직관등커버와,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히트싱크를 정렬시켜 이송시키는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와,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를 통해 정렬되어 이송되는 직관등커버와 히트싱크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150)와,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히트싱크 상에 LED PCB 모듈을 조립시키고, LED PCB 모듈이 조립된 히트싱크를 직관등커버에 조립시켜 1차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키는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60)와,
    일렬로 연결된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1차 직관형 LED램프의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좌측캡과 우측캡을 정렬해서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로 이송시키는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와,
    일렬로 연결된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를 통해 완성된 1차 직관형 LED 램프의 좌우측에,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좌측캡과 우측캡을 조립시켜 2차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키는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80)와,
    각 기기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직관등커버 피딩 컨베이어(120), 히트싱크 피딩 컨베이어(130), 직관등커버·히트싱크 정렬 컨베이어(140), 제1 이온클리너·집진부(150), 1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60), 좌우측캡 정렬 컨베이어(170),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80)를 설정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후공정의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로 완성된 2차 직관형 LED램프를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PLC 제어모듈(1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200)는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일자형 메인 프레임(210)과,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100)의 2차 직관형 LED램프 조립부 후공정에 위치되어, 2차 직관형 LED램프를 블럭단위별로 순차적으로 나눠서 로타리 방식 회전실린더를 통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로 이송시키는 제1 입력 컨베이어(220)와,
    제1 입력 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제1 입력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2차 직관형 LED램프에 에이징을 가해서 직관형 LED램프를 완성시키는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과,
    제1 입력컨베이어와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을 통해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제1 배출컨베이어 쪽으로 이송시킨 후, 제1 배출컨베이어 쪽으로 이송시키고 못하고 남은 직관형 led램프를 업유닛부를 통해 다시 제1 입력컨베이어로 리턴시키는 리턴컨베이어(240)와,
    제2 일자형 메인 프레임(210)의 후단에 위치되고, 리턴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을 통해 에이징처리가 완료된 직관형 LED램프를 어태치 컨베이어 방식(Attach Conveyor)을 통해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배출시키는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250)와,
    각 기기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제1 입력 컨베이어(220),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 리턴컨베이어(240),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250)를 설정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후공정의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로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 PLC 제어모듈(2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이닝(Ruinning)블럭모듈(230)은
    2차 직관형 LED램프가 접속되는 바닥 부위에 복수개의 동 부스바로 이루어져 2차 직관형 LED램프쪽으로 72A 이상의 DC전원을 공급시켜주는 통전레일구간모듈(231)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는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일자형 메인 프레임(310)과,
    제3 일자형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위치되고, 일렬로 연결된 직관형 LED램프 에이징검사부의 제1 배출컨베이어(Out Conveyor)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를 후공정의 검사기기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2 입력 컨베이어(320)와,
    일렬로 연결되어 제2 입력 컨베이어의 후공정에 위치되고, 제2 입력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직관형 LED램프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330)와,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직관형 LED램프를 정렬시키고, 직관형 LED램프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측면에 부착된 위치센서를 통해 직관형 LED램프의 몸체길이를 체크하는 정렬·길이체크부(340)와,
    일렬로 연결된 정렬·길이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를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시켜 직관형 LED램프의 구성요소 중 결합력이 약하진 부위를 체크하는 진동체크부(350)와,
    일렬로 연결된 진동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 램프이 전원을 연결하는 캡의 핀에 규정된 전력을 인가시켜 점등여부를 체크하는 점등체크부(360)와,
    일렬로 연결된 점등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전원을 연결하는 캡의 핀에 500V~1000V의 순간교류전압을 가해 LED PCB 모듈과 히트싱크의 절연내력을 체크하는 절연내력체크부(370)와,
    일렬로 연결된 절연내력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LED PCB 모듈에 형성된 LED에 CCD카메라를 비춰서 LED이상여부를 체크하는 LED PCB 모듈체크부(380)와,
    일렬로 연결된 LED PCB 모듈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LED PCB 모듈체크부를 통해 체크완료된 직관형 LED 램프를 스캐너를 통해 LED의 조도 및 색온도, 이물질을 체크하는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390)와,
    정렬·길이체크부, 진동체크부, 점등체크부, 절연내력체크부, LED PCB 모듈체크부,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 일측에 위치되어 체크시 불량인 직관형 LED 램프를 리젝터(Rejector)시켜 층상구조로 적재시키는 리젝터 적재부(390a)와,
    일렬로 연결된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를 통해 체크가 완료된 직관형 LED 램프에 바코드 라벨을 부착시키는 바코드 라벨부착부(390b)와,
    일렬로 연결된 바코드 라벨부착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직관형 LED램프의 좌우측 캡을 외압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보호캡을 씌우는 보호캡 포장부(390c)와,
    일렬로 연결된 보호캡 포장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보호캡이 형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비닐로 자동포장시키는 비닐포장부(390d)와,
    제3 일자형 메인 프레임의 후단에 위치되고, 일렬로 연결된 비닐포장부의 후공정에 위치되어, 비닐포장부를 통해 비닐포장된 직관형 LED램프를 외부 완성품 이송기기로 이송시키는 제2 출력 컨베이어(390e)와,
    각 기기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제2 입력 컨베이어(320), 제2 이온클리너·집진부(330), 정렬·길이체크부(340), 진동체크부(350), 점등체크부(360), 절연내력체크부(370), LED PCB 모듈체크부(380), 조도·색온도·이물질체크부(390), 리젝터 적재부(390a), 바코드 라벨부착부(390b), 보호캡 포장부(390c), 비닐포장부(390d), 제2 출력 컨베이어(390e)를 설정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후공정의 외부 완성품 이송기기로 완성된 직관형 LED램프를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제3 PLC 제어모듈(390f)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형 LED램프 특성검사·포장부(300)는
    제2 입력 컨베이어(320)에서 제2 출력 컨베이어(390e)까지 이송되는 직관형 LED램프를 스텝바이스텝 방식으로 들어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워킹 빔(Working Beam)모듈(390g)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KR20130070137A 2013-06-19 2013-06-19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KR10146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137A KR101467531B1 (ko) 2013-06-19 2013-06-19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137A KR101467531B1 (ko) 2013-06-19 2013-06-19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531B1 true KR101467531B1 (ko) 2014-12-01

Family

ID=5267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137A KR101467531B1 (ko) 2013-06-19 2013-06-19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6752A (zh) * 2018-08-31 2019-02-26 中山市新和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Led t8灯管自动化生产线
KR101995691B1 (ko) * 2019-04-03 2019-07-02 김권진 Led 조명장치 제조 자동화 시스템
WO2019200972A1 (zh) * 2018-04-17 2019-10-24 深圳市广晟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led玻璃灯管全自动组装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103A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제품의 생산 시스템
KR20090129618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포세 제품 생산라인의 품질 자동 검사장치
KR101174840B1 (ko) 2012-06-07 2012-08-17 김명하 조립식 원목마루 자동생산시스템
KR20120113836A (ko) * 2011-04-06 2012-10-16 (주)이노셈코리아 구조개선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형광등 대체용 led 직관등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103A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제품의 생산 시스템
KR20090129618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포세 제품 생산라인의 품질 자동 검사장치
KR20120113836A (ko) * 2011-04-06 2012-10-16 (주)이노셈코리아 구조개선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형광등 대체용 led 직관등기구
KR101174840B1 (ko) 2012-06-07 2012-08-17 김명하 조립식 원목마루 자동생산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0972A1 (zh) * 2018-04-17 2019-10-24 深圳市广晟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led玻璃灯管全自动组装系统
CN109386752A (zh) * 2018-08-31 2019-02-26 中山市新和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Led t8灯管自动化生产线
CN109386752B (zh) * 2018-08-31 2023-09-08 中山市新和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Led t8灯管自动化生产线
KR101995691B1 (ko) * 2019-04-03 2019-07-02 김권진 Led 조명장치 제조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6672B (zh) 一种led灯管自动组装系统
CN102896494B (zh) Led球泡灯全自动柔性装配线
KR101467531B1 (ko) 직관형 led램프 생산자동화 장치
CN102169926A (zh) 用于检测发光二极管封装件的设备及使用其的检测方法
KR100963128B1 (ko) 엘이디 광원 모듈의 고온 점등 검사장비
CN209446631U (zh) 一种全自动电源适配器老化测试系统
CN107450229B (zh) 一种背光组膜生产设备及背光组膜生产工艺
WO2014177025A1 (zh) 一种led灯具智能生产系统
CN111069900A (zh) 一种条形灯具组装生产系统
CN102556437A (zh) 离线式全自动泡罩包装质量检测系统及其方法
CN110860490A (zh) 全自动牛角电容过程监控老化机
CN202951639U (zh) 自动cob-led分光分色检测分选系统
KR101150865B1 (ko) 엘이디 검사장치
CN103658057A (zh) 自动cob-led分光分色检测分选系统
CN201732155U (zh) 支架整灯老化检测线
CN217050229U (zh) 一种水平高效检查卡板装置
JP2008103125A (ja) コネクタ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力検出装置
CN106112525A (zh) 一种用于组装自动间隙调整臂调节机构的全自动装配机
CN113644182B (zh) 一种光电显示产品高速贴片设备
KR20110131016A (ko) 솔라셀 검사장치
CN211359704U (zh) 全自动牛角电容过程监控老化机
CN110947648B (zh) 全自动牛角电容老化数据监控测试方法
KR200387641Y1 (ko) 엘시디 백라이트 유니트 자동검사장치
CN212239967U (zh) 一种条形灯具组装生产系统
CN110388580A (zh) 一种led光源的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