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478B1 -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478B1
KR101467478B1 KR1020130110636A KR20130110636A KR101467478B1 KR 101467478 B1 KR101467478 B1 KR 101467478B1 KR 1020130110636 A KR1020130110636 A KR 1020130110636A KR 20130110636 A KR20130110636 A KR 20130110636A KR 101467478 B1 KR101467478 B1 KR 101467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mount
unit
circle
photograph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택
Original Assignee
(주)시스트
김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트, 김선택 filed Critical (주)시스트
Priority to KR102013011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by the use of microwaves, X-rays, gamma rays or electrons
    • G01B1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by the use of microwaves, X-rays, gamma rays or electr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2Transforming X-rays
    • H04N5/321Transforming X-rays with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H04N5/325Image enhancement, e.g. by subtraction techniques using polyenergetic X-rays

Abstract

본 발명은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검사대상을 향해 X선을 방출하는 방출부와; 상기 검사대상을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X선의 방출 경로에 상기 방출부의 방출 중심축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마운트부와; 상기 마운트부를, 상기 방출부의 X선 방출 범위 내에서, 상기 방출부의 방출구를 중심으로 하되 상기 방출 중심축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1원에 포함되는 촬영 위치로 평행이동시키는 마운트구동부와; 상기 마운트부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검사대상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마운트부가 상기 촬영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촬영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방출부를 구동시켜 X선을 방출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대면적 검사대상을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촬영 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CIRCUIT ELEMENTS USING X-RAY}
본 발명은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대상의 위치를 변경하여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Ball Grid Array 등과 같이, 칩 내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선과 접점들을 포함함으로써, 이들의 구조가 가시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패키지 집적회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광학적 방법으로는 Flip chip, SoC(System on Chip) 등과 같은 집적회로나 인쇄회로기판, 웨이퍼(Wafer), 반도체 등의 회로소자들에 포함된 결함을 명확히 검출하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최근에는 회로소자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X선(X-Ray)을 사용하고 있다.
X선은 음극에서 전자를 발생시키고 이를 고압장치로 가속하여 표적에 충돌시킴으로서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발생한 X선은 검사대상을 향해 방출되어, 검사대상 내부 조직의 구성이나 두께 등에 의해 다른 투과율로 검사대상을 투과하며, 이와 같이 투과된 X선의 에너지를 측정하여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검사대상의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회로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그 구조가 미세해짐에 따라, 이와 같은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불량 여부 판별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회로소자 내부 구조의 불량 여부를 정밀하게 검출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X선을 이용하여 회로소자의 내부 구조를 입체적으로 스캐닝하는 불량 검출 방법을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이와 같은 회로소자의 불량 검출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X선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검사대상을 이차원 스캔한 후, 이차원 스캐닝 결과들을 삼차원으로 재구성(Reconstruction)함으로써, 검사대상의 입체적 구조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검사대상을 충분히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이차원 스캔하여야만 신뢰성 있는 검사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X선을 방출하는 X선 튜브와, 검사대상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감지부는 고정한 상태에서 검사대상을 회전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촬영 방식에 의한 촬영장치(100)는, 다양한 촬영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상(O)을 X선 튜브(110)와 감지부(120) 사이에서 회전시킨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상(O)을 예를 들어, 180도 내지 360도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검사대상(O)에 대한 투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때 X선 튜브(110)와 감지부(120)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검사대상(O)의 크기가 큰 경우 또는 고배율 확대 촬영을 위해 검사대상(O)을 X선 튜브 쪽으로 근접 촬영해야 할 경우, 검사대상(O)의 회전 중에 X선 튜브(110) 또는 감지부(120)와의 접촉이나 충돌이 발생하여 촬영장치(100)나 검사대상(O)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면적 검사대상의 검사나 고배율 촬영 검사 시, 다양한 촬영 각도를 확보할 수 있고 신뢰성 있는 검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사대상의 크기가 크더라도 장치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촬영장치는 검사대상을 향해 X선을 방출하는 방출부와; 상기 검사대상을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X선의 방출 경로에 상기 방출부의 방출 중심축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마운트부와; 상기 마운트부를, 상기 방출부의 X선 방출 범위 내에서, 상기 방출부의 방출구를 중심으로 하되 상기 방출 중심축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1원에 포함되는 촬영 위치로 평행이동시키는 마운트구동부와; 상기 마운트부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검사대상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마운트부가 상기 촬영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촬영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방출부를 구동시켜 X선을 방출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촬영방법은, X선을 방출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촬영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방출부의 방출구를 중심으로 하되 상기 방출부의 X선의 방출 중심축에 평행한 제1원에 포함되는 제1촬영 위치에, 상기 방출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검사대상을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제1촬영 위치에 배열된 상기 검사대상에 X선을 방출하고 상기 검사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검출하여 제1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대상을 상기 제1원에 포함되는 제2촬영 위치로 평행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촬영 위치에 배열된 상기 검사대상에 X선을 방출하고 상기 검사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검출하여 제2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사대상을 이동시킴으로써 대면적 검사대상의 검사나 고배열 촬영 검사 시에도 다양한 촬영 각도를 확보할 수 있고 신뢰성 있는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사대상의 크기가 크더라도 장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장치를 유지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는 검사대상(O)을 향해 X선을 방출하는 방출부(11)를 포함한다. 방출부(11)는 진공관 내의 음극에서 방출된 전자를 고전압으로 가속하여 타겟(양극)에 충돌시킴으로서 X선을 방출시키는 X선 튜브(Tub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X선은 전자가 고속으로 가속되었다가 속도를 잃거나 타겟에 충돌하면서 방출하는 매우 짧은 파장의 전자기파이다.
방출부(11)는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고, 동시에 일정 범위 이상의 각도로 X선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10)는 방출부(11)로부터 방출되는 X선이 검사대상(O)을 향하도록, 방출부(11)의X선의 방출경로에 배열되는 마운트부(12)가 구비된다.
마운트부(12)에는 검사대상(O)이 놓여지거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부(12)는 후술할 마운트구동부(13)에 의하여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검사대상(O)은 반도체나, 인쇄회로기판 또는 리드프레임과 같은 회로 프레임, 또는 이들의 패키지 등과 같은 각종 회로소자일 수 있다.
여기서 마운트부(12)에는 한번에 하나의 단위의 검사대상(O)이 실장될 수 있고, 또는 한번에 여러 개의 단위 검사대상(O)이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촬영장치(10)는, 복수의 검사대상(O)을 순차적으로 마운트부(12)에 실장하고, 검사가 완료되면 고정된 검사대상(O)을 분리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운트부(12)는 검사대상(O)이 방출 중심축(A)에 수직하게 배열되도록 검사대상(O)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검사대상(O)이 고정된 마운트부(12)의 촬영경로는 방출부(11)의 X선 방출 범위 내에 배열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11)의 방출구가 형성되는 위치, 이하 방출 중심(O1)을 원의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반지름을 가지며, 방출부(11)의 X선 방출 중심축(A)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1원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촬영경로(T1)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검사대상(O)이 고정된 마운트부(12)의 촬영경로(T1)는 방출부(11)가 X선을 방출하여 검사대상(O)에 대한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생성할 때의 마운트부(12)의 촬영 위치들이 포함되는 경로를 의미하고, 마운트부(12)의 실제 이동경로와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즉 검사대상(O)에 대한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할 때의 마운트부(12)의 위치인 촬영 위치는, 촬영경로(T1) 상에 미리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하여 촬영장치(10)는 상술한 마운트부(12)를 촬영경로에 배열하는 마운트구동부(13)를 포함한다.
마운트구동부(13)는 마운트부(12)의 위치를 촬영경로 상으로 이동시키되, 마운트부(12)에 고정된 검사대상(O)이 향하는 방향에 변화가 없도록, 즉 검사대상(O)이 평행이동 하도록 마운트부(12)를 구동시킨다.
이때 마운트구동부(13)가 마운트부(12)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촬영경로를 따라 마운트부(12)를 이동시키는데, 촬영경로(T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R)를 원의 중심으로 하고 방출 중심축(A)과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는 제1원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운트구동부(13)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운트부(12)에 고정된 검사대상(O)이 촬영경로(T1)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차원 투시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하되, 검사대상(O)이 검사대상(O)의 중심(O2)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동시킨다. 그에 따라 검사대상(O)에 대한 방출부(11)의 촬영각이 마운트부(1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면 마운트부(12)의 위치가 촬영경로(T1)를 따라 이동하면서 동시에 검사대상(O)의 중심(O2)에 대해서도 동일한 중심각만큼 회전한다면, 검사대상(O)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촬영각에서 촬영이 반복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할 때, 마운트부(12)와 검사대상(O)이 검사대상(O)의 중심(O2)에 대해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마운트구동부(13)는 방출부(11)의 X선 방출 범위 내에서 마운트부(12)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마운트구동부(13)는 마운트부(12)를 도 3에서 방출 중심축(A)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중심각(C)의 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촬영경로(T1)는 방출 중심축(A)을 기준으로 중심각(C)의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운트구동부(13)는 검사대상(O)이 고정된 마운트부(12)를 여러 방법에 의하여 촬영경로(T1)의 제1촬영 위치에서 제2촬영 위치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운트구동부(13)는 검사대상(O)이 고정된 마운트부(12)를 제1촬영 위치와 제2촬영 위치의 X축, Y축 좌표에 따라 X축 및 Y축으로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 시키는 방법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원이 포함된 평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을 X축, 수직방향을 Y축이라고 하면, 제1촬영 위치와 제2촬영 위치 사이의 X축 좌표 사이의 차, Y축 좌표 사이의 차만큼 각각 마운트부(12)를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 되도록 구동시켜 검사대상(O)이 회전하지 않고 평행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운트구동부(13)는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레일(미도시)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레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평방향의 레일이 수직방향의 레일을 따라 수직이동하고, 마운트부(12)가 수평방향의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마운트구동부(13)는 마운트부(12)에 고정된 검사대상(O)을 제1원의 중심, 즉 방출 중심(O1)을 중심으로 제1원의 원주를 따라 회전시키는 수단과, 검사대상(O)이 검사대상(O)의 중심(O2)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마운트부(12)를 고정된 위치에서 회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상(O)이 도 3에 도시된 S1의 위치에 배열된 상태에서, 마운트구동부(13)가 검사대상(O)을 고정하고 있는 마운트부(12)를 방출 중심(O1)을 중심으로 중심각 C’만큼 시계방향(D1)으로 회전시켜 검사대상(O)이 S2의 위치에 배열할 수 있다. 이때 검사대상(O)이 방출 중심축(A)과 이루는 각도는 S1의 위치와 상이하게 된다. 즉, S1 위치에서 검사대상(O)이 회동하지 않고, 방출 중심(O1)을 중심으로 중심각 C’만큼 시계방향(D1)으로 회전하면, 검사대상(O)은 검사대상(O)의 중심(O2)을 기준으로 그 배열 각도가 시계방향으로 C’만큼 변동된다.
따라서 마운트구동부(13)는 반시계방향(D2)으로 각도 C’만큼 마운트부(12)를 회동시켜 검사대상(O)이 방출 중심축(A)과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운트구동부(13)는 마운트부(12)를 제1원의 원주를 따라 회전시키는 수단과, 검사대상(O)의 중심(O2)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는 감지부(14)가 포함된다. 감지부(14)는 방출부(11)로부터 조사되어 검사대상(O)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한다. 감지부(13)는 X선 검사 장비들에서 소위 디텍터(Detector)로 불리는 수단으로서, 검사대상(O)을 투과한 X선을 감지하여 가시광선으로 전환한 후, 이를 이용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4)는 상술한 마운트부(12)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감지부(14)는 후술할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방출부(11) 및 마운트부(12)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이동할 수 있다.
감지부(14)는 방출부(11)로부터 조사되는 X선 빔(B)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감지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11)의 방출 중심(O1)을 원의 중심으로 하고, 제1원의 반지름보다 큰 반지름을 가지며, 방출 중심축(A)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제2원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이동경로(T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원의 반지름은 감지부(14)가 방출부(11)로부터 조사되어 검사대상(O)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할 수 있도록 적절한 거리로 결정된다.
또한 감지부(14)는 방출부(11)를 향하여 배열된 상태로 이동경로(T2)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방출부(11)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감지부(14)는 마운트부(12)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즉, 감지부(14)는 마운트부(12)의 촬영 위치가 예를 들어, 방출 중심(O1)을 기준으로 중심각30도만큼 이동한 위치인 경우, 이동경로(T2)를 따라 마찬가지로 방출 중심(O1)을 중심으로 중심각 30도만큼 회전한다.
이와 같이 마운트부(12)와 감지부(14)가 위치를 이동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감지부(14)는 검사대상(O)에 대한 서로 다른 여러 각도에서의 복수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4)에는 선택적으로 거리센서, 예를 들어 광센서를 이용한 거리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4)와 검사대상(O)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감지부(14)의 촬영지점이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10)는 보정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부(15)는 마운트부(12)에 적재된 검사대상(O)의 배열 상태를 확인하여, 검사대상(O)의 배열 각도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보정부(15)는 예를 들어, 마운트구동부(13)가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마운트부(12)를 제1원의 원주를 따라 회전시키는 수단과, 검사대상(O)의 중심(O2)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마운트구동부(13)가 S1 위치에서 마운트부(12)를 시계방향(D1)으로 중심각 C’만큼 회전시켜 S2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후, 다시 반시계방향(D2)으로 중심각 C’만큼 제자리에서 회동시켜 정렬한 이후에, 검사대상(O)에 빛을 조사하여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보정부(15)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광센서(15a, 15b)를 포함하고, 각각의 촬영지점에서 각각의 광센서(15a, 15b)가 검사대상(O)에 빛, 예를 들어 적외선 등을 조사하여 획득한 두 거리(L1, L2)가 동일한지 판단한다. 이때 보정부(15)는 두 거리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마운트구동부(13)가 마운트부(12)를 검사대상(O)의 중심(O2)을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는 보정부(15)는 최초 촬영 지점에서의 두 광센서(15a, 15b)와 검사대상(O)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두 거리(L1, L2)의 차를 연산한 후, 다른 촬영 지점에서 측정된 두 거리(L1, L2)의 차가 최초 촬영 지점에서의 거리 차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마운트부(12)의 배열 각도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로써, 마운트부(12)의 위치 변경에도 불구하고 검사대상(O)의 배열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정부(15)는 수평방향(X축 방향)의 이동경로(T3)를 따라 이동하며, 마운트부(12)의 촬영 위치의 X축 좌표와 동일한 좌표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10)는 합성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부(16)는 감지부(14)에 의하여 획득된 복수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삼차원으로 재구성(reconstruction)하여 삼차원 투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검사대상(O)의 내부 구조를 명확히 확인하여, 검사대상(O) 내부의 결함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즉, 합성부(16)는 동일한 검사대상(O)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획득된 복수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입체적인 형상의 삼차원 투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10)는 제어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구동시켜 하나의 검사대상(O)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의 복수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10)를 이용한 촬영방법을 제어부(17)가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촬영방법은 우선, 제어부(17)가 마운트구동부(13)를 이용하여 마운트부(12)를 촬영경로 상의 제1촬영 위치에 배열하는 단계(S1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물론 마운트부(12)에는 검사대상(O)이 이미 적재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감지부(14)를 마운트부(12)의 제1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제1촬영지점에 위치되도록 방출 중심(O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S12). 여기서 제1촬영지점은 이동경로(T2) 위에 위치하며, 마운트부(12)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4)에 거리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7)는 감지부(14)를 제1촬영지점을 향하여 회전시킨 후, 배열 위치가 정확한지 거리센서를 통해 확인하여 감지부(14)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17)는 방출부(11)를 구동하여 X선을 방출하고, 감지부(14)를 통해 검사대상(O)에 대한 제1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한다(S13).
S13단계에서 이미지 획득이 완료되면 제어부(17)는 제1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저장한 후, 다시 마운트부(12)를 제2촬영 위치에 배열한다(S14).
이때 마운트구동부(13)가 마운트부(12)를 수평이동 시키는 수단과 수직이동 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7)는 제2촬영 위치의 X축 및 Y축 좌표를 결정한 후, 마운트부(12)에 고정된 검사대상(O)을 제2촬영 위치의 X축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제2촬영 위치의 Y축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마운트구동부(13)가 마운트부(12)를 방출 중심(O1)을 중심으로 제1원의 원주를 따라 회전시키는 수단과, 마운트부(12)에 고정된 검사대상(O)의 중심(O2)을 기준으로 검사대상(O)이 방출 중심축(A)에 수직이 되도록 제자리에서 회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7)는 제1촬영 위치에서 제2촬영 위치까지 마운트부(12)를 이동시킬 중심각을 결정한 후, 마운트구동부(13)를 통해 마운트부(12)를 촬영경로(T1)를 따라 결정된 중심각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회전 반대방향으로 마운트부(12)를 결정된 각도만큼 제자리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는 보정부(15)가 감지한 거리에 따라 마운트부(12)를 중심(O2)을 기준으로 정밀하게 회동시켜 검사대상(O)의 배열 각도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운트부(12)가 제2촬영 위치에 배열될 때, 제어부(17)는 감지부(14)를 제2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제2촬영지점으로 이동시킨다(S15).
S15단계는 앞서 설명한 S12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는 S14 및 S15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다시 방출부(11)를 제어하여 X선을 조사한 후, 감지부(14)를 통해 제2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6).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미리 설정된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미리 설정된 수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 획득이 완료되면(S17), 제어부(17)는 합성부(16)를 통해 복수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합성하여 삼차원 투시 이미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S18).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삼차원 투시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사대상(O)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후, 검사대상(O)을 하적한 후, 새로운 검사대상(O)을 적재하여 촬영을 반복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는 S18단계에서 재구성된 삼차원 투시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사대상(O)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 그리고 결함이 있는 위치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재구성된 삼차원 투시 이미지 내에 포함된 구조물의 삼차원 이미지가 기 설정된 패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지 여부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대상(O)내에 포함된 BGA(Ball Grid Array)의 솔더 볼(Solder Ball)이나 단자 등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크기와 기 설정된 형상을 갖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결함이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는 상술한 검사대상(O)을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D1)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고, 중심각(C)의 우측 일단까지 검사대상(O)이 고정된 마운트부(12)를 이동시킨 후 획득된 이차원 투시 이미지들로 삼차원 투시 이미지를 재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시계방향(D1)으로 검사대상(O)을 이동시키면서 이차원 투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고 다시 검사대상(O)을 마운트부(12)에서 하적한 후 반대방향으로 뒤집어 다시 적재하거나 또는 마운트부(12)를 180도 회동시켜 검사대상(O)을 뒤집은 후, 반시계방향(D2)으로 이동시키면서 다시 복수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계방향(D1)과 반시계방향(D2)으로 이동하며 촬영한 모든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합성하여 삼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원(T1)을 따라 시계방향(D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후, 다시 반시계방향(D2)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촬영 위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마운트구동부(13)는 마운트부(12)를 제1원(T1)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하여 180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마운트구동부(13)는 마운트부(12)를 상기 방출부(11)와 상기 감지부(14) 사이에서 제1원(T1)에서 이탈되는 위치로 인출한 후 방출 중심축(A)에 수직한 검사대상(O)의 중심(O2)을 기준으로 180도 회동시키고, 다시 상기 방출부(11)와 상기 감지부(14) 사이에 배열하여 나머지 경로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검사대상을 향해 X선을 방출하는 방출부와;
    상기 검사대상을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X선의 방출 경로에 상기 방출부의 방출 중심축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마운트부와;
    상기 마운트부를, 상기 방출부의 X선 방출 범위 내에서, 상기 방출부의 방출구를 중심으로 하되 상기 방출 중심축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1원에 포함되는 촬영 위치로 평행이동시키는 마운트구동부와;
    상기 마운트부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검사대상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마운트부가 상기 촬영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촬영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방출부를 구동시켜 X선을 방출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원과 같이 상기 방출부의 방출구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원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2원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촬영지점으로 이동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마운트부에 적재된 상기 검사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구동부는,
    상기 마운트부를 상기 제1원에 포함되는 제1촬영 위치로부터 제2촬영 위치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1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촬영 위치와 상기 제2촬영 위치 사이의 중심각만큼 상기 마운트부를 상기 제1원의 원주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1회전수단과, 상기 중심각만큼 상기 제1회전수단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마운트부를 상기 마운트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전수단을 포함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제1촬영 위치와 상기 제2촬영 위치에서 상기 검사대상과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적어도 2개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부의 상기 광센서가 측정한 적어도 두 거리 사이의 차에 따라 상기 제2회전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검사대상의 배열 각도를 보정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구동부는,
    상기 제1원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마운트부를 복수의 촬영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마운트부에 설치된 상기 검사대상을 180도 회동시켜, 상기 원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마운트부를 복수의 촬영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7. X선을 방출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촬영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방출부의 방출구를 중심으로 하되 상기 방출부의 X선의 방출 중심축에 평행한 제1원에 포함되는 제1촬영 위치에, 상기 방출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검사대상을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제1촬영 위치에 배열된 상기 검사대상에 X선을 방출하고 상기 검사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검출하여 제1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대상을 상기 제1원에 포함되는 제2촬영 위치로 평행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촬영 위치에 배열된 상기 검사대상에 X선을 방출하고 상기 검사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검출하여 제2의 이차원 투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원이 포함되는 평면 상의 상기 제1촬영 위치 및 제2촬영 위치의 좌표에 따라, 상기 검사대상을 X축으로 평행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원이 포함되는 평면 상의 상기 제1촬영 위치 및 제2촬영 위치의 좌표에 따라, 상기 검사대상을 Y축으로 평행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촬영 위치와 상기 제2촬영 위치 사이의 중심각만큼 상기 검사대상을 상기 제1원의 원주를 따라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중심각만큼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검사대상을 상기 검사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방법은,
    상기 제1촬영 위치에서 상기 검사대상과 상기 방출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두 개의 광센서 사이의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회동시키는 단계의 수행 이후에, 상기 제2촬영 위치에서 상기 검사대상과 상기 두 개의 광센서 사이의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촬영 위치에서 측정된 두 거리 사이의 차와 상기 제2촬영 위치에서 측정된 두 거리 사이의 차가 서로 다른 경우, 두 거리 차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검사대상을 상기 검사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더 회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 위치와 상기 제2촬영 위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촬영 위치에 순차적으로 포함되되, 미리 설정된 복수의 촬영 위치는, 상기 제1원을 따라 상기 제1원의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촬영 위치와, 이어서 상기 제1원을 따라 상기 원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촬영 위치로 평행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촬영 위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촬영 위치 중에서, 상기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촬영 위치 중 마지막 촬영 위치에 해당하면, 상기 제2촬영 위치로 상기 검사대상을 평행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검사대상을 180도 회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방법.
KR1020130110636A 2013-09-13 2013-09-13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467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636A KR101467478B1 (ko) 2013-09-13 2013-09-13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636A KR101467478B1 (ko) 2013-09-13 2013-09-13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478B1 true KR101467478B1 (ko) 2014-12-01

Family

ID=5267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636A KR101467478B1 (ko) 2013-09-13 2013-09-13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4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1633A (ja) * 2003-08-27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X線検査装置及びx線検査方法
JP2007101446A (ja) * 2005-10-06 2007-04-19 Shimadzu Corp X線検査装置
WO2009078415A1 (ja) * 2007-12-17 2009-06-25 Uni-Hite System Corporation X線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2010002221A (ja) * 2008-06-18 2010-01-07 Omron Corp X線利用の基板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1633A (ja) * 2003-08-27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X線検査装置及びx線検査方法
JP2007101446A (ja) * 2005-10-06 2007-04-19 Shimadzu Corp X線検査装置
WO2009078415A1 (ja) * 2007-12-17 2009-06-25 Uni-Hite System Corporation X線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2010002221A (ja) * 2008-06-18 2010-01-07 Omron Corp X線利用の基板検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2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odel of a region of interest using an imaging system
TW573118B (en) Off-center tomosynthesis
US7680242B2 (en) X-ray examination method and X-ray examination apparatus
KR101712298B1 (ko) 하전 입자선 장치 및 중첩 어긋남량 측정 방법
KR101654825B1 (ko) 기판의 밀집 검사 부위의 엑스레이 검사 방법
JP2008224606A (ja) X線検査装置およびx線検査装置を用いたx線検査方法
JP2009204447A (ja) 荷電粒子ビーム装置
JP2015083932A (ja) X線測定装置、x線測定方法、及び構造物の製造方法
US11004193B2 (en)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US5500886A (en) X-ray position measuring and calibration device
JP2006184267A (ja) X線検査装置、x線検査方法およびx線検査プログラム
JP3713457B2 (ja) 基板検査方法及び基板検査装置
CN111247424A (zh) 检查位置确定方法、三维图像生成方法以及检查装置
KR101480968B1 (ko) X-선 ct 및 레이저 표면 검사를 이용하는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467478B1 (ko)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촬영장치 및 방법
JP2003294848A (ja) 放射線校正装置
KR101381927B1 (ko)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사위 촬영장치 및 방법
JP5569061B2 (ja) X線検査方法、x線検査装置およびx線検査プログラム
KR20150031148A (ko)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의 사위 촬영장치 및 방법
KR20060083878A (ko) 이온 주입기, 이 이온 주입기를 위한 각도 측정 장치 및비임 발산 측정 장치
TW201822241A (zh) 用於動態補償樣本的位置誤差之系統
KR101437125B1 (ko) X선을 이용한 회로소자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2009036575A (ja) X線検査装置およびx線検査方法
JP2013224961A (ja) 半導体ウェハ検査装置
KR102635148B1 (ko) 비전캠 융합형 엑스레이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